돈 쿠얼릉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 쿠얼릉거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황소로, 9세기의 렘스켈라에 그 기원이 설명되어 있다. 돈 쿠얼릉거는 원래 두 돼지치기 프리흐와 루흐트가 다투다 벌레가 되어 암소에게 삼켜진 후 두 황소로 환생한 존재이다. 코노트 여왕 메브는 이 황소를 소유하여 남편 알릴보다 부유해지려 했고, 이를 위해 울스터의 영주 다이레에게 황소를 빌리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메브는 군대를 일으켜 울스터를 침공하여 돈 쿠얼릉거를 훔치려 했고, 쿠 훌린의 저항과 핀벤나흐와의 결투 끝에 돈 쿠얼릉거는 죽음을 맞이한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돈 쿠얼릉거와 유사한 켈트족 동맹을 언급하기도 한다. 이야기는 레보르 나 후드레에 가장 오래된 판본이 실려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전설의 생물 - 돼지 얼굴 여인
돼지 얼굴 여인은 17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전설로, 임신한 귀족에게 저주를 받은 여성이 돼지 얼굴을 가진 딸을 낳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기형아 출생에 대한 믿음과 여러 민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18세기에는 실존 인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 아일랜드의 전설의 생물 - 와일드헌트
와일드헌트는 유럽 민속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들의 무리 또는 사냥 행렬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나타나며 어둠의 왕, 악마의 개, 죽은 자들의 영혼 등과 연관되어 묘사되고, 게르만 신화의 오딘이나 켈트 신화의 굴든과 같은 지도자를 중심으로 할로윈부터 율 시기 동안 활동한다고 전해지며, 현대 이교주의,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산타클로스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 황소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황소 - 소싸움
소싸움은 두 마리의 황소가 싸우는 스포츠로,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슬람 율법에서는 금지하고 있다. - 신화의 소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신화의 소 - 이오 (신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헤라의 질투로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방랑을 겪고, 이집트에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를 낳는 인물이다.
| 돈 쿠얼릉거 | |
|---|---|
| 신화 속 정보 | |
![]() | |
| 그룹 | 아일랜드 신화 |
| 하위 그룹 | 신화 속 황소 |
| 국가 | 아일랜드 |
| 별칭 | 쿨리의 갈색 황소 |
2. 전설의 기원
9세기의 '''렘스켈라''' 또는 서곡은 이 이야기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설명한다. 6세기 선찬 토르페이스트는 아일랜드의 시인들을 모았으나, 그들 중 타인 보 쿠얼릉거 이야기 전체를 아는 사람은 없었다. 페르구스 막 로이흐의 무덤에서 그의 아들 무이르겐이 시를 읊자 페르구스의 유령이 나타나 ''타인''의 사건들을 이야기해 주었다.[1]
2. 1. 6세기 시인들의 전승
6세기에 선찬 토르페이스트는 아일랜드의 시인들을 모았으나, 그들 중 타인 보 쿠얼릉거 이야기 전체를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의 아들 무이르겐이 페르구스 막 로이흐의 무덤에서 시를 읊자 페르구스 막 로이흐의 유령이 나타나 ''타인''의 사건들을 이야기해 주었다.[1]2. 2. 두 돼지치기와 두 황소
문스터의 "시드" 왕 보브 데아르그의 돼지치기였던 프리흐는 코노트 "시드"의 왕 오칼 오크네의 돼지치기 루흐트와 다투었다. 둘은 싸우면서 다양한 동물과 인간의 형태로 변신했고, 결국 두 마리의 벌레가 되어 암소에게 삼켜졌다. 이후 돈 쿠얼릉거와 핀벤나흐("흰 뿔")라는 두 황소로 다시 태어났다.[5] 돈은 울라드의 가축 영주 다이레 막 피아흐나의 소유였고, 핀벤나흐는 코노트 여왕 메브의 가축에서 태어났으나, 여자에게 속하는 것을 불명예로 여겨 남편 알릴의 가축으로 들어갔다.[5]3. 전설
돈 쿠얼릉거는 원래 문스터 "시드"의 왕 보브 데아르그를 위해 일하던 돼지치기 프리흐였다. 그는 코노트 "시드"의 왕 오칼 오크네의 돼지치기인 루흐트와 다투었다. 둘은 싸우면서 다양한 동물과 인간의 형태로 변신했고, 결국 두 마리의 벌레가 되어 두 마리의 암소에게 삼켜졌다. 그 후 돈 쿠얼릉거와 핀벤나흐("흰 뿔")라는 두 마리의 황소로 다시 태어났다. 돈은 울라드의 가축 영주인 다이레 막 피아흐나에게 속했고, 핀벤나흐는 코노트 여왕 메브의 가축에서 태어났지만, 여자에게 속하는 것을 자신보다 못한 것으로 여겨 남편 알릴의 가축에 합류했다.[5]
모리간은 돈에게 교미시키기 위해 쿨리에 암소를 데려갔다. 그 결과 핀벤나흐와 싸워 간신히 진 황소 송아지가 태어났다. 메브는 핀벤나흐가 황소 송아지의 아버지와 싸우는 것을 보려고 결심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서 쿨리의 '돈 타르브'와 비슷한 켈트족 발레리우스 돈노타우루스를 언급했다.[4]
3. 1. 메브 여왕의 욕망
코노트의 여왕 메브는 남편 알릴이 가진 황소 핀벤나흐 때문에 자신이 남편보다 가난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메브는 알릴과 대등해지기 위해 돈 쿠얼릉거를 차지하기로 결심했다.[2]3. 2. 다이레의 거절
메브는 핀벤나흐를 소유함으로써 알릴이 자신보다 더 부유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자, 돈 쿠얼릉거를 소유함으로써 그 계정을 맞추기로 결심했다. 그녀는 다이레에게 토지와 보물을 매우 관대하게 제공하고, 필요하다면 성적인 호의까지 제공하면서 황소를 1년 동안 빌려달라고 사자를 보냈다. 다이레는 동의했다. 그러나 사자들이 술에 취했고, 한 사람은 다이레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메브가 힘으로 황소를 가져갔을 것이라고 자랑했다. 다이레는 그 말을 듣고 거래에서 물러섰다.[2]3. 3. 울스터 침공과 쿠 훌린의 저항
메브는 자신의 남편 알릴 막 마타보다 부를 과시하기 위해 돈 쿠얼릉거를 차지하려 했다. 그녀는 다이레에게 황소를 1년 동안 빌려달라고 요청하며 토지와 보물, 심지어 성적인 호의까지 제안했다. 다이레는 처음에는 동의했지만, 메브의 사자들이 술에 취해 강제로라도 황소를 빼앗아 올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거래를 파기했다.[2]이에 메브는 군대를 일으켜 울스터로 진격했다. 울스터의 남자들은 마하의 저주로 인해 무력화되었고, 유일하게 저항할 수 있는 사람은 17세의 쿠 훌린뿐이었다. 그러나 쿠 훌린은 밀회 때문에 국경을 지키지 못했고, 메브의 군대는 울스터를 기습했다. 메브는 돈 쿠얼릉거를 붙잡았고, 황소는 그를 잡으려던 첫 번째 코노트 목동을 뿔로 들이받았다. 그 후 돈 쿠얼릉거는 50마리의 암소와 함께 캠프를 질주하며 50명의 전사를 죽이고 시골로 도망쳤다.[3]
쿠 훌린은 슬리브 포이 산에서 메브의 군대와 만나 여울에서 일대일 전투를 벌이며 몇 달 동안 대치했다. 이 과정에서 쿠 훌린은 메브 군대의 여러 챔피언들을 물리쳤다.[2] 쿠 훌린이 교전하는 동안, 부이데 막 바인이 돈 쿠얼릉거를 찾아 코노트로 몰고 갔다. 쿠 훌린은 부이데 막 바인과 그의 추종자들을 죽였지만, 돈 쿠얼릉거는 다시 도망쳤다.[3]
3. 4. 돈 쿠얼릉거의 행방
쿠 훌린이 슬리브 포이 산에서 메브의 군대와 대치하며 몇 달 동안 일대일 전투를 벌이는 동안[2], 부이데 막 바인이 돈 쿠얼릉거를 찾아 그와 스물네 마리의 암소를 코노트로 몰아갔다. 쿠 훌린은 부이데 막 바인과 그의 추종자 24명을 죽였지만, 그 와중에 돈 쿠얼릉거는 다시 도망쳤다.[3]3. 5. 돈 쿠얼릉거와 핀벤나흐의 결투
메브의 군대는 돈 쿠얼릉거를 크루아찬으로 데려왔다. 돈 쿠얼릉거는 그곳에서 핀벤나흐와 싸웠고, 길고 격렬한 전투 끝에 핀벤나흐를 죽였다.[3] 하지만 돈 쿠얼릉거 역시 치명상을 입었고, 아일랜드 전역을 돌아다니며 지명을 고취하다가 쿨리로 돌아와 죽었다.[3]4. 역사적 배경
(내용 없음)
4. 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기록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갈리아 전기''에서 쿨리의 '돈 타르브'와 유사한 켈트족 인물인 발레리우스 돈노타우루스를 언급한다.[4]5. 판본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판본은 ''황소의 서''에 실려 있다. 이는 1390년경에 완성된 ''레칸의 황색 서''에 상당 부분 복사되었다.[5]
참조
[1]
서적
How the ''Táin Bó Cúailnge'' Was Found Again
[2]
웹사이트
"The Tain Bó Cualigne -The Brown Bull of Cooley", Carlingford and Mourne
https://web.archive.[...]
2016-02-05
[3]
서적
Táin Bó Cúailng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4]
웹사이트
"Donn Cuailnge", Oxford Index
http://oxfordindex.o[...]
[5]
서적
Old Irish Pros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6]
웹인용
"The Tain Bó Cualigne -The Brown Bull of Cooley", Carlingford and Mourne
https://web.archive.[...]
2019-02-05
[7]
서적
Old Irish Pros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8]
서적
Táin Bó Cúailng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