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독 국경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독 국경부대는 1946년 독일 국경경찰로 창설되어 1961년 독일 민주 공화국 국경부대로 재조직되었으며, 동독의 국방부 소속으로 서독과의 국경 경비 및 동독 주민의 탈출을 막는 역할을 수행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무력을 사용해 탈출을 시도하는 동독 주민들을 사살하는 등 인권 침해 논란을 겪었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후 국경 통제가 완화되었고, 1990년 서독과의 국경 경비 업무를 종료한 후 해체되어 독일 연방 국경경비대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경경비대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부 안보 유지를 প্রধান한 준군사 조직으로, 1949년 인민공안부대에 기원을 두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18년 완전히 군사화되었으나, 신장 및 티베트 자치구에서의 활동으로 인권 침해 논란을 겪고 있다. - 국경경비대 - 연방국경경비대
냉전 시대 서독의 국경을 수호한 연방국경경비대는 국경 경비, 치안 유지, 대테러 작전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철도 경찰 지휘권을 이관받아 재편되어 2005년 연방 경찰로 개편되었다.
| 동독 국경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존속 기간 | 1946년 12월 1일 – 1990년 9월 |
| 국가 | 동독 |
| 충성 | 해당 없음 |
| 군종 | 국경 경비대 |
| 역할 | 국경 보안 |
| 규모 | 47,000명 |
| 주둔지 | 페츠 |
| 별칭 | 해당 없음 |
| 표어 | 해당 없음 |
| 군가 | 해당 없음 |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 지휘부 | |
| 최고 지휘관 | 폐지됨 |
| 사회주의 통일당 서기장 | 폐지됨 |
| 국가방위위원회 의장 | 폐지됨 |
| 연혁 | |
| 창설 | 1961년 9월 15일 |
| 해체 | 1990년 9월 30일 |
| 조직 | |
| 소속 | 국가인민군 (1961년–1973년) (1973년–1990년) 동독 내무부 (1946년–1952년, 1953년–1961년) 국가보안부 (1952년–1953년) |
| 상징 | |
![]() | |
![]() | |
2. 역사

1945년 12월, 소련 점령 지역의 5개 주에 중앙 경찰 부대를 배치하는 것이 포츠담 회담과 얄타 회담에 의해 승인되었다. 1946년 1월 초, 동독에서 인민경찰(Volkspolizei)이 창설되었고, 같은 해 8월 중앙 행정부의 통솔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6년 11월, 독일 주둔 소련 군정청(SMAD)에 의해 독일 국경경찰(Deutsche Grenzpolizei)이 조직되었고, 12월 1일에 형성되었다. 초기에는 3,000여 명으로 시작하여 인민경찰에 의해 훈련받았다. 1948년 4월에는 1만 명, 1950년에는 1만 8,000여 명으로 병력이 증가했다. 이들은 인민경찰과 유사하게 무장하고 조직되었으며, 내무부 산하의 국경 및 경계 인원 관리부에 소속되었다.
1961년, 독일 국경경찰은 '''독일 민주공화국 국경부대'''(Grenztruppen der DDR)로 재조직되었고, 동독 국방부 소속이 되었다. 처음에는 국가인민군의 일부분이었지만, 1973년에 분리되어 동독 국방부 직할대가 되었다. 동독 국경부대는 국가인민군 제복과 달리 진한 녹색 병과색을 사용했고, 왼팔에는 녹색 소매에 흰색 글씨로 'Grenztruppen der DDR'이 쓰여 있었다. 서독과 접경한 국경에는 대규모 국경부대원이 배치되었지만, 동독의 우방국인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국경지대에는 600여 명의 국경부대원만이 배치되었다.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국경 통제가 완화되었다. 1990년 7월 1일, 서독과의 국경 경비 업무를 종료하고, 9월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독일연방공화국의 연방국경경비대로 흡수되었다.

1948년부터 1990년까지 동독 국경부대의 통제 주체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기간 | 통제 주체 |
|---|---|
| 1948년 7월 13일 - 1949년 10월 11일 | 내무행정처(DVdI) |
| 1949년 10월 12일 - 1952년 | 내무부(MdI) |
| 1952년 - 1953년 6월 16일 | 국가보안부(MfS) |
| 1953년 6월 17일 - 1955년 | 내무부(MdI) |
| 1955년 - 1957년 2월 28일 | 국가보안부(MfS) |
| 1957년 3월 1일 - 1961년 9월 14일 | 내무부(MdI) |
| 1961년 9월 - 1973년 | 국가인민군(NVA) |
| 1973년 - 1990년 | 국방부(MfNV) |
| 1990년 - 1994년 | 연방군(Bundeswehr) [1] |
2. 1. 베를린 장벽과 국경 통제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동독 주민들의 서독 탈출 시도가 증가했다. 특히 의사나 기술자와 같은 전문 인력의 유출은 동독 지도부에 심각한 문제였다. 이에 동독 당국은 국경 통제를 강화했고, 국경부대는 탈출 시도자를 막기 위해 무력을 사용했다.1962년 8월 17일, 페터 페히터가 동독 국경부대원에 의해 사살된 사건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2] 1989년 2월 6일, 크리스 귈프로이가 국경부대원에게 사살된 사건은 베를린 장벽에서의 마지막 망명자 살해 사건이었다.[19][20]
동독 당국은 망명 시도자에 대한 발포 명령을 내렸으며, 2007년 8월 15일에 발견된 내부 자료에는 "비록 월경자가 여성이나 아이를 데리고 있더라도 무기 사용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 반역자들이 자주 사용해 온 수법이다"라는 비밀 지령이 있었다. 동독 존속 기간 동안 베를린에서만 197명이 국경부대에 의해 사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편제
동독 국경부대 사령부는 페츠에 위치했다.
- 북부국경사령부(GKN)는 슈텐달에 위치했으며, 다음 부대로 구성되었다.
|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 6개 국경연대 | 6 국경연대, 8 국경연대, 20 국경연대, 23 국경연대, 24 국경연대, 25 국경연대 |
| 2개 교육연대 | 5 교육연대, 7 교육연대 |
| 1개 헬리콥터 편대 | 25 헬리콥터 편대 |
| 기타 | 직할대 |
- 남부국경사령부(GKS)는 에르푸르트에 위치했으며, 다음 부대로 구성되었다.
|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 6개 국경연대 | 1 국경연대, 3 국경연대, 4 국경연대, 9 국경연대, 10 국경연대, 15 국경연대 |
| 2개 교육연대 | 11 교육연대, 12 교육연대 |
| 1개 헬리콥터 편대 | 27 헬리콥터 편대 |
| 기타 | 직할대 |
- 중부국경사령부(GKM)는 베를린 칼쇼스트에 위치했으며, 다음 부대로 구성되었다.
|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 6개 국경연대 | 33 국경연대, 34 국경연대, 35 국경연대, 36 국경연대, 38 국경연대, 42 국경연대, 44 국경연대 |
| 2개 교육연대 | 39 교육연대, 40 교육연대 |
| 1개 포병연대 | 26 포병연대 |
| 기타 | 직할대 |
해안 국경 여단은 해군 소속이었다.
4. 장비
동독 국경부대는 국가인민군 육군과 유사하게 무장했다. 주요 개인 화기로 MPi-K(AK-47의 동독 라이선스 생산 버전) 소총을 사용했으며, RPK, RPD 등도 활용했다.[1] 탈출 시도자를 수색하기 위해 셰퍼드 개를 활용했다.
부대 차량으로는 PSzH-IV와 FUG 장갑차를 운용했다. 또한, Mi-2 헬리콥터도 사용되었다.
다음은 동독 국경부대에서 사용된 주요 장비 목록이다.
| 종류 | 모델 | 비고 |
|---|---|---|
| 소총 | MPi-K | AK-47의 동독 라이선스 생산 버전 |
| 기관총 | RPK, RPD | |
| 기타 화기 | RPG-7, PKM | 필요에 따라 사용 |
| 군견 | 셰퍼드 | 탈출 시도자 수색 |
| 장갑차 | PSzH-IV, FUG | |
| 헬리콥터 | Mi-2 |
- -|]]
5. 탈출 시도자 사살 및 논란
동독 국경부대de와 관련하여 가장 논란이 많았던 부분은 동독에서 서독으로 탈출을 시도하다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사람들이다. 특히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장벽을 넘어 서베를린으로 가려는 사람들을 국경 경비대 병사가 사살하는 사건이 잇따랐다. 동독 존속 기간 동안 베를린에서만 197명이 사살된 것으로 알려졌다.[2]
독일 시민 단체 '워킹 그룹 8월 13일'(Arbeitgeminschaft 13 August)이 2004년 8월 13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65명이 살해되었으며 그 중에는 국경 경비대원 37명도 포함되어 있다. 베를린 검찰청은 국경에서 약 270명의 사망이 국경부대의 폭력 행위로 인한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3]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사살 명령을 내린 간부와 현장 병사들에 대한 수사 및 재판이 진행되었다. 사살 명령을 실행했다고 인정된 병사에게도 대부분 집행유예 판결이 내려졌다. 예를 들어, 1962년 8월 17일에 사살된 페터 페히터 사건에서는 1997년 3월에 실행자인 병사 롤프 프리드리히에게 20개월, 에리히 슈라이버에게 21개월의 집행유예가 붙은 징역형이 각각 선고되었다. 1989년 2월 6일에 사살된 크리스 귈프로이 사건에서도 실행자 4명이 기소되었지만, 잉고 하인리히에게는 징역 3년 6개월이 선고되었다가 1994년에 징역 2년(집행유예)으로 감형되었고, 나머지 3명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
6. 국경부대원의 사망
총 29명의 국경 부대de원이 근무 중 순직했다. 1949년 10월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건국 이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3명이 사망했고, 1990년 동독 붕괴 시까지 국경 경비대원과 국경 군인 26명이 추가로 사망했다. 이들 29명 중 20명은 내부 독일 국경에서, 8명은 베를린 장벽에서, 1명은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서 사망했다.[4]
2017년 베를린 자유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국경 경비대원 24명의 사망 원인은 다음과 같다.
사망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사망 원인과 살해자(알려진 경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 이름 | 사망 날짜 | 사망 원인 및 살해자 (알려진 경우) |
|---|---|---|
| 파울 자거 | 1948년 11월 10일 | |
| 게르하르트 호페르트 | 1949년 8월 3일 | |
| 프리츠 오토 | 1949년 9월 1일 | |
| 지크프리트 아포르틴 | 1950년 7월 2일 | [5] |
| 헤르베르트 리브스 | 1951년 2월 21일 | [6] |
| 베르너 슈미트 | 1951년 3월 2일 | [7][8] |
| 하인츠 야넬로 | 1951년 3월 2일 | [9] |
| 루돌프 슈프랑거 | 1951년 8월 7일 | [10] |
| 만프레트 포르트비치 | 1951년 10월 27일 | [11] |
| 울리히 크론 | 1952년 5월 16일 | [12] |
| 헬무트 유스트 | 1952년 12월 30일 | |
| 발데마르 에스텔 | 1956년 9월 3일 | [13] |
| 외르겐 슈미트헨 | 1962년 4월 18일 | 슈탄스도르프 대공 학교 생도 2명에게 사살된 군 탈영병[14] |
| 만프레트 바이스 | 1962년 5월 19일 | [15] |
| 페터 괴링 | 1962년 5월 23일 | |
| 라인홀트 훈 | 1962년 6월 18일 | |
| 루디 아른슈타트 | 1962년 8월 14일 | |
| 귄터 젤링 | 1962년 9월 30일 | |
| 지크프리트 비데라 | 1963년 9월 8일 | 1963년 8월 23일 탈출하려는 난민에게 치명상을 입음 |
| 이름 불상의 인민경찰 | 1964년 9월 15일 | |
| 에곤 슐츠 | 1964년 10월 5일 | |
| 한스-아돌프 샤르프 | 1966년 6월 10일 | [16] |
| 롤프 헤니거 | 1968년 11월 15일 | |
| 루츠 마이어 | 1972년 1월 18일 | |
| 클라우스-페터 자이델 | 1975년 12월 19일 | 탈영한 군인 베르너 바인홀트에게 사살됨[17] |
| 위르겐 랑에 | 1975년 12월 19일 | 탈영한 군인 베르너 바인홀트에게 사살됨[17] |
| 울리히 슈타인하우어 | 1980년 11월 4일 | 탈영한 우체국 직원이 등 뒤에서 총을 쏴 사망. 범인은 도주, 1981년 서베를린에서 과실치사 혐의로 6년 청소년 구류형[18] |
| 클라우스-페터 브라운 | 1981년 8월 1일 | |
| 에버하르트 크노스페 | 1982년 5월 5일 | |
| 우베 디트만 | 1985년 3월 22일 | |
| 호르스트 흐니디크 | 1989년 8월 3일 |
참조
[1]
뉴스
Unity replaces fence — German social, economic barriers next to fall
1990-04-22
[2]
웹사이트
Arbeitsgemeinschaft 13. August e.V.
http://www.mauermuse[...]
2017-07-23
[3]
웹사이트
Germany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 Truth and justice
http://www.amnesty.n[...]
Amnesty International, Daan Bronkhorst
2008-03-11
[4]
뉴스
Germany charts 327 Cold War border deaths
https://www.bbc.com/[...]
2019-09-22
[5]
웹사이트
Siegfried Apportin · Biografisches Handbuch
https://todesopfer.e[...]
2021-12-30
[6]
웹사이트
Herbert Liebs · Biografisches Handbuch
https://todesopfer.e[...]
2021-12-30
[7]
웹사이트
Schmidt, Werner
https://www.fu-berli[...]
2021-12-30
[8]
웹사이트
Werner Schmidt · Biografisches Handbuch
https://todesopfer.e[...]
2021-12-30
[9]
웹사이트
Janello, Heinz
https://www.fu-berli[...]
2021-12-30
[10]
웹사이트
Spranger, Rudolf
https://www.fu-berli[...]
2021-12-30
[11]
웹사이트
Portwich, Manfred
https://www.fu-berli[...]
2021-12-30
[12]
웹사이트
Krohn, Ulrich
https://www.fu-berli[...]
2021-12-30
[13]
웹사이트
Estel, Waldemar
https://www.fu-berli[...]
2021-12-30
[14]
서적
The Berlin Wall – Monument of the Cold War
Ch. Links
2007
[15]
웹사이트
Manfred Weiß · Biografisches Handbuch
https://todesopfer.e[...]
2021-12-30
[16]
웹사이트
Scharf, Hans-Adolf
https://www.fu-berli[...]
2021-12-30
[17]
서적
Who was who in the GDR?
Ch. Links
2006
[18]
서적
Fall of the Berlin Wall
Ch. Links
2002
[19]
서적
東ドイツ(DDR)の実像 独裁と抵抗
木鐸社
[20]
서적
ベルリンの壁 ドイツ分断の歴史
洛北出版
[21]
Youtube
5-6 ベルリンの壁 ~The Berlin Wall~
http://www.youtube.c[...]
[22]
뉴스
旧東独ベルリンの壁での射殺命令、捜査を検討
https://www.afpbb.co[...]
AFPBBNews
2007-08-15
[23]
뉴스
「ベルリンの壁」での死者は少なくとも136人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09-08-12
[24]
Youtube
3-6 ベルリンの壁 ~The Berlin Wall~
http://www.youtube.c[...]
[25]
웹사이트
ベルリンの壁データ - ベルリンの壁写真館
https://archive.is/9[...]
[26]
Youtube
4-6 ベルリンの壁 ~The Berlin Wall~
http://www.youtube.c[...]
[27]
웹사이트
間違えやすい常識 - ベルリンの壁写真館
https://archive.is/I[...]
[28]
Youtube
6-6 ベルリンの壁 ~The Berlin Wall~
http://www.youtub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