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츠담 회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츠담 회담은 1945년 7월, 독일 포츠담에서 열린 미국, 영국, 소련 3개국 정상회담이다. 얄타 회담 이후 변화된 각국 지도자들의 관계 속에서, 독일 점령, 폴란드 문제, 배상 문제 등을 논의했다. 회담 결과, 독일은 4개 구역으로 분할 점령되고, 나치 전범 재판, 독일 동부 국경 변경 등이 결정되었다. 또한, 폴란드 임시 정부 승인, 오데르-나이세 선을 임시 국경으로 하는 데 합의했다. 3개국은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으나, 이 선언은 한국의 즉각적인 독립을 명시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포츠담 회담은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전후 세계 질서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회의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는 1945년 12월 미국, 영국, 소련 외무장관들이 모여 전후 처리와 한반도 문제(미소공동위원회 설치, 4대 강국 신탁통치 구상)를 논의했으나, 국내에 왜곡된 정보 전달로 신탁통치 논쟁을 야기하여 좌우 대립 심화와 한반도 분단에 영향을 주었다.
  • 1945년 회의 - 얄타 회담
    얄타 회담은 1945년 2월 얄타에서 미국, 영국, 소련 정상이 모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의 문제, 독일 분할 점령, 폴란드 문제, 국제 연합 창설, 소련의 대일 참전 등을 논의한 회담이다.
  • 독일의 외교 회의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 독일의 외교 회의 - 베를린 회의
    1878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주도로 열린 베를린 회의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후 산스테파노 조약의 수정을 통해 발칸 반도의 세력 균형을 재조정하고자 유럽 열강들이 모여 베를린 조약을 체결, 발칸 지역 정치적 지형 변화와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다.
  • 1945년 국제 관계 - 포츠담 협정
    포츠담 협정은 1945년 미국, 영국, 소련의 연합국 정상회담에서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점령, 배상, 영토 문제, 전범 재판 등을 합의한 내용으로, 냉전과 한국전쟁의 배경이 되었으며 독일인 추방 문제 등 현재까지도 논란이 있다.
  • 1945년 국제 관계 - 제2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
    제2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는 연합국, 추축국, 중립국 간의 복잡한 관계와 주요 회담, 국제기구 설립 과정을 다루며, 유럽 우선주의, 테헤란, 얄타, 포츠담 회담 등을 통해 전후 세계 질서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포츠담 회담
포츠담 회담
윈스턴 처칠, 해리 S. 트루먼, 이오시프 스탈린
포츠담 회담의 "Big Three", 윈스턴 처칠, 해리 S. 트루먼, 이오시프 스탈린
기본 정보
국가독일
날짜1945년 7월 17일 – 8월 2일
장소Cecilienhof
도시포츠담
참석자
참석자이오시프 스탈린
윈스턴 처칠
클레멘트 애틀리
해리 S. 트루먼
이전 회담
이전 회담얄타 회담

2. 지도자들 간의 관계

얄타 회담 이후 5개월 동안 여러 변화가 발생하여 포츠담 회담에 참석한 세 지도자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련의 영향력 확대: 소련은 발트 3국을 강제로 재편입하고,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불가리아, 루마니아를 점령했다. 스탈린은 폴란드에 공산주의 정부를 수립하고, 동유럽에 대한 통제가 미래의 공격에 대한 방어 조치이며 정당한 소련의 영향권이라고 주장했다.[10]
  • 영국 총리 교체: 윈스턴 처칠은 회담 기간 중 총선거 결과에 따라 클레멘트 애틀리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 처칠은 반공주의적 성향으로 소련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나, 노동당의 애틀리는 상대적으로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 미국 대통령 교체: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1945년 4월 12일에 사망하고, 해리 트루먼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트루먼은 루즈벨트보다 공산주의에 대해 더 의심을 품고 있었으며, 스탈린의 의도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가졌다.[13] 외교 경험은 부족했지만, 단호한 결단력으로 소련의 팽창주의에 맞섰다.[13]

3. 회담 준비

1945년 5월,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6월에 3국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6][7] 트루먼은 미국과 영국이 소련을 압박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고자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서기장이 회담을 제안하기를 바랐다. 트루먼의 보좌관 해리 홉킨스의 설득으로 스탈린은 베를린 지역에서 회담을 제안했다. 이를 통보받은 처칠은 "베를린의 잔해"에서 만나는 것에 동의하는 편지를 보냈다.[6][7]

일부 자료에 따르면 트루먼은 첫 번째 원자폭탄 실험 결과를 알고 난 후 회담을 개최하기 위해 회담을 연기했다고 한다.[8][9] 결국 회담은 7월 16일 베를린 근교 포츠담의 체칠리엔호프에서 시작하기로 결정되었다.

체칠리엔호프, 2014년에 촬영된 포츠담 회담 장소

4. 포츠담 협정

얄타 회담 이후 5개월 동안 지도자들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소련은 중부 유럽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고, 영국에는 클레멘트 애틀리가 새로운 총리로 취임했으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사망으로 해리 S. 트루먼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트루먼은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과 이오시프 스탈린의 의도에 대해 의심을 품고 있었다.[19]

포츠담 회담의 주요 의제는 독일 문제, 폴란드 문제, 배상 문제, 구 추축국 정부 처리 문제, 일본에 대한 항복 요구 등이었다.

'''1. 독일'''

독일 문제에 대해서는 연합군이 독일 점령의 목표를 군사화 해제, 나치즘 청산, 민주화, 분권화로 설정하고,[21]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4개 구역으로 분할하는 데 합의했다. 또한 나치 전범 재판,[22] 독일의 영토 축소, 독일 인구 추방, 독일의 생활 수준 및 전쟁 산업 잠재력 억제, 경제 재구성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2. 폴란드'''

폴란드 문제에 대해서는 소련폴란드 위성 정부를 인정하고 폴란드 망명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을 종식시켰다.[32] 또한 폴란드인들의 귀환 자유, 임시 서쪽 국경을 오데르-나이세 선으로 설정[26], 폴란드의 배상 청구 해결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3. 배상'''

배상 문제에 대해서는 소련의 배상 요구와 미국의 현물 배상 제안이 대립했으나, 제임스 F. 번즈의 제안에 따라 소련이 자국 점령 지역으로부터 징수하는 것 외에 서방 점령 지역으로부터 산업 시설의 일부를 인도받고, 폴란드에 대한 배상은 소련이 징수한 것으로부터 지불하기로 합의하였다.[39]

'''4. 기타 의제'''

이 외에도 외무장관 이사회 설치, 이탈리아령 리비아, 스페인, 이란, 쾨니히스베르크 문제 등이 논의되었다. 특히, 소련은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신탁통치 참여를 요구했으나, 이 문제는 9월 외무장관 이사회에서 협의하기로 했다.[43]

4. 1. 독일


  • 연합군은 독일 점령의 목표를 군사화 해제, 나치즘 청산, 민주화, 분권화로 설정했다.[21]
  •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각각 얄타에서 합의된 대로 4개의 점령 구역으로 분할되었고, 각국의 수도인 베를린도 4개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 나치 전범들은 재판을 받게 되었다.[22]
  • 주데텐란트, 알자스-로렌, 오스트리아, 폴란드 서부를 포함하여 유럽에서 독일에 의한 병합은 모두 취소되었다.[23]
  • 독일의 동부 국경은 오데르-나이세 선으로 변경되어 독일의 크기는 1937년에 비해 약 25% 감소했다. 새로운 국경의 동쪽 지역은 동프로이센, 실레시아, 서프로이센포메라니아의 2/3로 구성되었다.
  • 독일의 새로운 동쪽 국경 너머에 남아있는 독일 인구의 "질서 있고 인도적인" 추방이 합의되었다. 유고슬라비아를 제외한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에서 추방이 이루어졌다.[24]
  • 독일의 생활 수준이 유럽 평균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 독일의 전쟁 산업 잠재력을 군사 잠재력을 가진 모든 산업의 파괴 또는 통제를 통해 억제하기로 합의했다. 모든 민간 조선소 및 항공기 공장을 해체하거나 파괴하기로 했다.
  • 독일 경제는 농업과 경공업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 독일의 수출은 석탄, 맥주, 장난감, 섬유 등으로 이루어져 전쟁 전 독일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공업 제품을 대체하기로 했다.[30]

4. 2. 폴란드

미국, 영국, 소련소련폴란드 위성 정부를 인정함으로써 폴란드 망명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은 종말을 고했다.[32] 영국 군대에서 복무했던 폴란드인들은 폴란드로 돌아갈 자유가 보장되었으나, 공산주의 국가로 복귀할 때 안전을 보장받지는 못했다. 폴란드로 돌아온 모든 폴란드인에게는 개인적 권리와 재산권이 부여되었다.[32]

폴란드 임시 정부는 가능한 한 빨리 광범위한 참정권과 비밀 투표를 가진 자유 선거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민주적이고 반나치 정당은 참여할 권리가 있었고 연합군 언론의 대표자들은 선거 과정의 발전 상황을 자유롭게 보도할 수 있었다.[32]

임시 서쪽 국경은 오데르-나이세 선으로 합의되었다.[26] 실레시아, 포메라니아, 남부 동프로이센단치히 자유시를 폴란드 정부의 감독 하에 두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폴란드 서부 국경의 최종 획정은 45년 후인 1990년 독일과의 최종 정산에 관한 조약 체결 시까지 평화 협정을 기다려야 했다.[26] 소련은 폴란드의 배상 청구를 전반적인 배상금 중 자신의 지분에서 해결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26][33]

4. 3. 배상

얄타 회담에서는 현물로 200억 달러 상당의 배상이 합의되었고, 소련은 그중 절반을 수령하기로 하였다.[37] 그러나 전쟁으로 황폐해진 독일의 지불 능력이 없다고 여겨졌고, 영국미국은 독일의 전후 복구를 위해 독일을 지원하는 상황을 바라지 않았다. 얄타에서의 합의에 따라 모스크바에 설치된 배상 위원회는 배상 총액과 지불 방법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포츠담 회담에서 미국은 군수 공장 시설로부터 현물 배상을 제안하고, 일반 시민의 생활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고, 영국도 이에 동의했다. 그러나 소련은 얄타에서의 합의대로 배상을 요구했고, 감액하는 경우에도 배상 총액 결정을 요구했다. 1945년 7월 30일, 제임스 F. 번즈의 제안에 따라 소련은 자국 점령 지역으로부터 징수하는 것 외에, 서방 점령 지역으로부터 평시에 필요 없는 산업 시설의 25%를 인도받고, 소련은 서방으로부터 인도된 25%의 절반에 해당하는 식량과 자재를 서방에 제공하며, 폴란드에 대한 배상은 소련이 징수한 것으로부터 지불하기로 하였다.[39] 그러나 스탈린은 배상 총액 결정을 포기하는 대가로 무상 인도액 증가를 요구했고, 결국 소련은 인도액의 6할을 무상으로 인수하게 되었다.[39]

4. 4. 기타 의제

포츠담 회담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타 의제들이 논의되었다.

  • 외무장관 이사회 설치: 평화 조약 체결을 위한 준비 작업을 위해 외무장관 이사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35] 이 이사회는 이탈리아, 불가리아, 핀란드, 헝가리, 루마니아와의 평화 조약 체결 문제를 논의했다.
  • 이탈리아령 리비아: 소련은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신탁통치 참여를 요구했으나, 이 문제는 9월 외무장관 이사회에서 협의하기로 했다.[43] 소련은 다르다넬스 해협 부근에서 소련 군함이 손상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아프리카 북해안에 기항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스페인: 프랑코 정권 하의 스페인이 국제 연합에 참여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데 합의했다.[44]
  • 이란: 이란에 주둔하고 있던 연합군은 대일전 종전 6개월 후 철병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 쾨니히스베르크: 소련은 발트해의 무항구를 요구하며 쾨니히스베르크(현 칼리닌그라드)와 그 인접 지역의 영유를 요구했고, 미국과 영국은 이를 수용했다.[46]
  • 기타:
  • 탕헤르 문제에 대해서는 영국, 미국, 프랑스, 소련 4개국이 파리에서 협의하기로 합의했다.[44]
  • 시리아레바논 문제에 대해서는 프랑스 정부와 협의할 것을 제안했지만, 처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45]
  • 다르다넬스 해협·보스포루스 해협의 통행권을 정한 몽트뢰 조약에 대해서는 터키 정부와 3국이 각각 협의하기로 했다.[47]
  • 나치 독일 전범 기소에 대해서는 전범 기소의 방침이 재확인되고, 조기에 런던에서의 합의를 희망한다는 것이 표명되었다.[47]
  •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대규모 독일인 추방이 승인되었다.[47]
  • 당시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의 문제에 대해서는 트루먼의 중재로 양측의 제안은 모두 철회되었다.[48]

5. 포츠담 선언



1945년 7월 26일, 윈스턴 처칠, 해리 S. 트루먼, 장제스 주석 중국 국민당 정부포츠담 선언을 발표했다. (당시 소련은 일본과 전쟁 중이 아니었다.) 포츠담 선언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항복 조건을 명시했다.[42]

포츠담 회담에서 트루먼은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새롭고 강력한 무기에 대해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회담이 끝날 무렵인 7월 26일, 포츠담 선언은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즉각적이고 완전한 파괴"를 맞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선언에는 새로운 폭탄(원자폭탄)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42] "일본을 예속시키려는 의도는 없다"고 약속했다. 당시 일본과 전쟁 중이 아니었던 소련은 이 선언에 참여하지 않았다. 스즈키 간타로 일본 수상은 답변하지 않았는데,[43] 이는 일본이 최후통첩을 무시한 것으로 해석되었다.[44] 그 결과, 미국은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소련의 대일전 참전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부터 여러 차례 요청되었고, 소련은 대독전 종전 후 태도를 명확히 하겠다고 답변했었다. 미국은 일본 본토 상륙 작전을 검토했으나 예상되는 피해가 너무 커서 일본에 명확한 항복 권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일본 항복 권고안은 미국 육군 장관 헨리 루이스 스티슨, 미국 해군 장관 제임스 포레스터, 전 주일 대사 조셉 클루 등 3인 위원회에서 사전에 작성했다.

7월 15일, 회의 시작 전 정오 무렵, 트루먼은 스탈린으로부터 대일전 참전을 확약받았다. 그러나 다음 날 원자폭탄 실험 성공 소식이 전해지면서, 트루먼은 소련의 참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일본이 소련을 통해 평화 교섭을 진행 중이라는 정보를 얻은 스티슨은 이 회의에서 대일 항복을 권고하여 일본이 소련에 의존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 제임스 F. 번즈는 이 단계에서 성명 발표는 시기상조라고 반대했지만, 윌리엄 D. 리히 최고 사령관 부참모장이 지지했고, 트루먼도 이에 동의했다.

3인 위원회 안을 바탕으로 포츠담에서 수정 작업이 진행되었고, 천황제 유지 조항은 삭제되었다. 24일 영국에 성명 초안이 전달되었고, 25일 처칠은 성명이 호소하는 대상을 “일본 국민”에서 “일본”, “일본 정부”로 바꾸는 등의 수정을 제안했다. 트루먼은 영국의 수정을 전면 수용하고 성명 발표를 준비하는 동시에 원폭 투하 명령을 승인했다. 7월 26일 포츠담 선언이 발표되었으나, 당시 일본과 교전 중이 아니었던 소련의 개입은 거의 없었다. 선언문에 서명한 장제스중화민국 관계자들은 선언문 작성이나 발표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고, 처칠도 일시 귀국했기 때문에 선언 발표 당시 포츠담에 있던 서명자는 트루먼뿐이었다.

6. 회담의 평가 및 영향

포츠담 회담은 전후 세계 질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회담에서 합의된 내용은 일부에 불과했고, 많은 논쟁적인 문제들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41] 소련은 회담 결과를 자국에 유리하게 해석하고 동유럽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며, 미국과 영국은 소련의 팽창주의를 경계하며 대립 구도가 심화되었다.

신정원(Neuer Garten Potsdam)에 있는 회담 기념 화단. 중앙의 붉은색 별은 소련을 상징한다.


J.W. 프랫은 "분위기는 우호적이었고, 논의는 일반적으로 좋은 성격이었지만, 많은 논쟁적인 논의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즉, "포츠담에서 활기찬 우호적인 분위기였음에도 불구하고, 3대 강국 회담은 그 후 10년 동안 다시 열리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성과는 미흡했으며 외무장관 이사회 설립, 독일 점령 원칙 합의, 소련의 쾨니히스베르크 영유, 폴란드 망명 정부 해산 정도만 합의를 보았다. 소련 언론은 회담이 대성공이었다고 보도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수뇌부와 양국 언론은 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트루먼은 소련이 평화에 열심이지 않고 서방과의 대결 자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느꼈으며, 일본 점령 관리에 대해서는 소련에 한 치도 양보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처칠은 처음부터 소련에 대한 불만을 숨기지 않았고, 이후에도 소련과 그 점령 지역에 대한 정책 비판을 계속했다. 반면 소련 측은 미국과 영국의 독일에 대한 태도가 너무 관대하다고 생각했고, 소련이 승리의 결과로 얻어야 할 보상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강하게 품었다. 프랑스의 샤를 드골은 회담 참가를 요구했지만, 스탈린의 거부로 참가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는 포츠담 협정에 구속되지 않고, 독일 점령 정책에서 다른 연합국에 대한 반대를 계속했다. 이는 후에 소련 측의 협정 무시를 초래했고, 회담의 성과는 더욱 감소했다.

소련은 동유럽의 여러 국가를 폴란드 인민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48]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49]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50]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51] 등 위성국으로 만들었다.

(한국의 관점) 포츠담 회담과 그 결과는 한반도의 분단과 한국전쟁 발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은 포츠담 회담의 교훈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과 통일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scription of photograph http://www.trumanlib[...]
[2] 논문 Intelligence, espionage, and Cold War origins 1989
[3] 논문 Potsdam and its Legends 1970
[4] 서적 The Cold War Begins: Soviet-American Conflict Over East Europe 2015
[5] 서적 From Potsdam to the Cold War: Big Three Diplomacy, 1945-1947 Scholarly Resources 1990
[6] 웹사이트 The Potsdam Conference 1945: A Day-By-Day Account https://www.berlinex[...] 2021-05-13
[7] 웹사이트 Correspondence between the Chairman of the Council of Ministers of the USSR and the Presidents of the USA and the Prime Ministers of Great Britain during the Great Patriotic War of 1941–1945 https://www.marxists[...] 2023-01-02
[8] 웹사이트 Document Resume – The Last Act: The Atomic Bomb and the End of World War II https://files.eric.e[...] The Smithsonian Institution 1995-01
[9] 논문 Truman at Potsdam: His Secret Diary https://nsarchive2.g[...] 1980-07
[10] 서적 For the Soul of Mankind: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the Cold War, First Edition New York 2007
[11] 서적 2007
[12] 서적 2007
[13] 서적 American Presidents and the Middle East 1990
[14]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5] 서적 Another Such Victory: President Truman and the Cold War, 1945-1953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16] 서적 Memoirs, Vol. 1: Year of Decisions 1955
[17] 간행물 The Troublesome Polish Question Pearson Longman 2008
[18] 서적 The Perils of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9] 서적 The French Empire at War 1940-45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8
[20] 서적 Between War and Peace; the Potsdam Conferenc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0
[21] 서적 1968
[22] 서적 1968
[23] 서적 The German Question and the Origins of the Cold War IPOC 2008
[24] 서적 Nemesis at Potsdam Routledge 1977
[25] 서적 1968
[26]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The Conference of Berlin (The Potsdam Conference), 1945, Volume I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US State Department 2020-05-03
[27] 뉴스 Potsdam Conference World War II https://www.britanni[...] 2018-09-20
[28] 서적 1968
[29] 서적 1968
[30] 서적 All Honorable Men 1950
[31] 서적 The US Army and the Occupation of Germany 1944–1946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90
[32] 서적 1968
[33]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The Conference of Berlin (The Potsdam Conference), 1945, Volume I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0-04-15
[34] 서적 1968
[35] 서적 1968
[36] 서적 Narben bleiben die Arbeit der Suchdienste - 60 Jahre nach dem Zweiten Weltkrieg Dienststelle 2005
[37] 웹사이트 Deutschlandfunk on 29 November 2006 http://www.dradio.de[...] 2006-11-29
[38] 서적 Narben bleiben die Arbeit der Suchdienste - 60 Jahre nach dem Zweiten Weltkrieg Search Service of the German Red Cross 2005
[39] 서적 (페이지 1236–1237) https://books.google[...] 1968
[40] 서적 (페이지 1225–1226) https://books.google[...] 1968
[41] 서적 (페이지 1235–1236) https://books.google[...] 1968
[42] 웹사이트 How The Potsdam Conference Shaped The Future Of Post-War Europe https://www.iwm.org.[...] 2018-02-12
[43] 웹사이트 Mokusatsu: One Word, Two Lessons https://web.archive.[...] 2013-06-06
[44] 간행물 Mokusatsu, Japan's Response to the Potsdam Declaration 1950-11
[45] 웹사이트 What If the United States Had Told the Soviet Union About the Bomb? https://thediplomat.[...] 2016-05-18
[46] 서적 Now it Can be Told: The Story of the Manhattan Project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62
[47] 웹사이트 Soviet Atomic Program - 1946 https://www.atomiche[...] 2014-06-05
[48] 서적 The First Domino: International Decision Making during the Hungarian Crisis of 1956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4
[49] 서적 2005
[50]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New Dictionary of Cultural Literacy Houghton Mifflin Company 2005
[51] 서적 2001
[52] 서적 Die Oder-Neisse-Linie: Geschichte der Aufrichtung und Anerkennung einer problematischen Grenze Hänsel-Hohenhausen 1997
[53] 서적 Schloss Cecilienhof und die Konferenz von Potsdam 1945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