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4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K-47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StG 44 소총의 영향을 받아 소련의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가 개발한 자동 소총이다. 1947년 설계를 거쳐 1949년 소련군에 제식 채용되었으며, 7.62 × 39mm 탄을 사용한다. AK-47은 단순하고 견고한 설계로 인해 높은 신뢰성과 생산성을 갖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총이 되었다.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냉전 시기 공산주의 국가와 제3세계 혁명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소총 - AK-74
AK-74는 AKM을 기반으로 5.45x39mm 탄약을 사용하는 소련제 돌격소총으로, 향상된 성능과 다양한 변형, 현대화된 모델을 거쳐 널리 사용되고 대중매체에도 등장한다. - 러시아의 소총 - AK-101
AK-101은 AK-74를 기반으로 5.56x45mm NATO 탄약을 사용하여 서방 국가 수출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돌격소총으로, AK-201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이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높은 신뢰성으로 분쟁 지역과 범죄 사건에 연루되기도 한다. - 러시아의 무기 - 샤슈카
샤슈카는 북캅카스에서 유래하여 코사크를 통해 널리 보급된 짧은 사브르 형태의 검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에 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의례용, 격투술 훈련 도구, 수집품 등으로 활용된다. - 러시아의 무기 - AGS-17
AGS-17은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분쟁에서 사용된 30mm 자동 유탄 발사기로, 보병 지원 화기로서 삼각대나 차량에 장착되어 운용되며 현대 전장 환경에 맞춰 발전하고 있다. -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 AK-74
AK-74는 AKM을 기반으로 5.45x39mm 탄약을 사용하는 소련제 돌격소총으로, 향상된 성능과 다양한 변형, 현대화된 모델을 거쳐 널리 사용되고 대중매체에도 등장한다. -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 AK-101
AK-101은 AK-74를 기반으로 5.56x45mm NATO 탄약을 사용하여 서방 국가 수출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돌격소총으로, AK-201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이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높은 신뢰성으로 분쟁 지역과 범죄 사건에 연루되기도 한다.
AK-47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AK-47 |
로마자 표기 | Avtomat Kalashnikova |
설계자 |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
설계 년도 | 1947년 |
제조사 | 칼라시니코프 콘체른 및 노린코 포함 다양한 제조사 |
생산 년도 | 1948년–현재 |
생산 수량 | 약 7,500만 정의 AK-47, 1억 정의 칼라시니코프 계열 무기 |
사용 년도 | 1949–1974년 (소련), 1949년–현재 (다른 국가) |
종류 | 돌격소총 |
사용 국가 | 사용국 참조 |
실전 | 실전 참조 |
파생형 | 파생형 참조 |
제원 (AK-47 3형 기준) | |
무게 | 탄창 없이: 3.47 kg |
탄창 무게 | 초기형: 0.43kg, 강철: 0.33kg, 플라스틱: 0.25kg, 경합금: 0.17kg |
전체 길이 | 고정 목재 개머리판: 880 mm, 접이식 개머리판 펼쳤을 때: 875 mm, 접이식 개머리판 접었을 때: 645 mm |
총열 길이 | 415 mm |
강선 길이 | 369 mm |
구경 | 7.62×39mm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롱 스트로크 피스톤, 폐쇄 회전 노리쇠 |
발사 속도 | 분당 600발 (연사 속도), 분당 40발 (반자동), 분당 100발 (연발/자동) |
총구 속도 | 715 m/s |
유효 사거리 | 350 m |
급탄 방식 | 20발, 30발, 50발 분리형 탄창, 40발, 75발 드럼형 탄창도 사용 가능 |
조준 장치 | 100-800 m 조절 가능한 기계식 조준기, 조준선 길이: 378 mm |
기타 |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StG 44 소총은 소련군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08][109] StG 44는 중간탄약인 7.92×33mm Kurz 탄을 사용하여 기관단총의 화력과 소총의 사거리 및 정확성을 결합한 것이었다.[110] 1943년 소련은 StG 44에 깊은 인상을 받아 자체적인 중간구경 완전자동 소총 개발에 착수했다.[108][109][112]
소련은 SKS 소총과 덱탸료프 휴대기관총에 사용되는[111] 7.62 × 39mm M43 탄약을 개발했다.[113]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부상으로 입원 중이던 1942년부터 소화기 설계에 참여했다. 그는 전문적인 설계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AK 설계 당시 정확한 설계도를 그릴 수 없었고, 그의 아내가 된 에카테리나 빅토로브나 모이세예바가 도면을 그렸다.[67]
소련은 1940년대 초부터 M1/M2 카빈과 MKb42(H) 및 그 탄약을 연구했고, 1943년에는 중간탄약과 그것을 사용하는 총기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7.62x39mm 보통탄인 "7.62mm PS"(7,62-мм ПСru)가 완성되었다.
1943년 말부터 칼라시니코프를 포함한 여러 설계자들이 신형 탄약 개발과 병행하여 소화기 설계에 착수했다. 소련 당국은 StG44와 같은 종류의 "돌격소총" 개발을 계획했다. 1946년 칼라시니코프의 자동소총(AK-46[68])도 테스트에 참가했지만, 요구 사항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칼라시니코프는 1년간 개량을 진행하여 1947년 테스트에서 최종적으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68]만이 합격했다.
1948년 1월 21일,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을 7.62x39mm 탄으로 변경하여 '''AK-47'''(일명: AK-48[68])로 한정 선행 양산하기로 결정되었다.[65]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1941년 브랸스크 전투에서 부상당한 후 회복 중에 무기 설계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106] 그는 병원에서 자동화기 개발을 결심했다.[116] AK-47은 이전 소총들의 혁신적인 기술들을 결합한 것이었다. 칼라시니코프는 M1 개런드와 StG 44의 장점을 결합한 자동 소총을 설계하고자 했다.[117]
1947년 11월, 새로운 프로토타입(AK-47)이 완성되었다. 1949년, 이 소총은 소련군에 "7.62mm 칼라시니코프 소총 (AK)"으로 채택되었다.[68] 초기 생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최초 생산 모델은 금속판 프레스 가공된 판금 수신기를 사용했으나, 가이드 레일과 배출 레일 용접에 어려움이 있어 불량률이 높았다. 생산 중단 대신 판금 수신기 대신 무거운 기계 가공된 수신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문제로 소련은 1956년까지 새 소총을 병사들에게 대량 배포하지 못했고, 임시 SKS 소총 생산이 계속되었다.
비밀링 수신기의 제조 어려움이 극복되자, 1959년에 AKM으로 지정된 재설계 버전이 도입되었다. 새 모델은 프레스 가공된 판금 수신기를 사용했고, 총열 끝에 경사진 소염기를 장착했다. 또한, 해머 지연 장치가 추가되었다. 이 소총은 이전 모델보다 약 1/3 가벼웠다.
수신기 유형 | 설명 |
---|---|
Type 1A/B | AK-47용 최초 금속판 프레스 가공 수신기는 1948년 처음 생산[3]되어 1949년에 채택되었다. |
Type 2A/B | 최초 밀링 수신기는 강철 단조로 만들어졌다. 1951년에 생산에 들어갔고 1957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
Type 3A/B | 강철 막대에서 만들어진 AK 밀링 수신기의 "최종" 버전이다. 1955년에 생산에 들어갔다. |
Type 4A/B | 핀과 리벳으로 광범위하게 지지되는 매끄러운 판금 강철로 프레스 가공된 AKM 수신기이다. 1959년에 생산에 들어갔다. |
해외 라이선스 및 비라이선스 생산 대부분은 프레스 가공 수신기의 쉬운 생산으로 인해 AKM 변형이었다.
2. 1. 기원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군이 사용한 StG 44 소총은 소련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08][109] StG 44는 새로운 중간탄약인 7.92×33mm Kurz 탄을 사용했고, 소총의 사거리와 정확성에 기관단총의 화력을 결합한 것이었다.[110] 1943년 7월 15일, StG 44의 초기 모델이 소련 인민무력위원회에서 시연되었고,[111] 소련은 이 무기에 깊은 인상을 받아 PPSh-41 기관총과 구식 모신나강 볼트 액션 소총을 대체할 중간 구경의 완전 자동 소총 개발에 착수했다.[108][109][112]소련은 곧 반자동 SKS 소총과 덱탸료프 휴대기관총에 사용되는[111] 7.62 × 39mm M43 탄약을 개발했다.[113]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원래 소련군 전차병이었으나, 부상으로 입원 중 화기 설계에 관심을 갖게 되어 1942년부터 소화기 설계에 참여했다. 전차병 하사관이었던 칼라시니코프는 전문적인 설계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AK 설계 당시 정확한 설계도를 그릴 수 없었다. 대신 그의 아내가 된 여성 기술자 에카테리나 빅토로브나 모이세예바(Ekaterina Viktorovna Moiseyeva)가 도면을 그렸다.[67]
소련은 1940년대 초부터 렌드리스법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받은 M1/M2 카빈과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MKb42(H) 및 그 탄약을 연구했고, 1943년에는 중간탄약과 그것을 사용하는 총기 연구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말, 새로운 중간탄약인 7.62x41mm 탄이 "7.62mm 1943년형 탄"(7,62-мм патрон образца 1943 годаru) (GAU: 57-N-231)으로 개발, 채용되었다. 이후 탄약 개량이 계속되어 탄피 길이를 약 2.5mm 단축하고 납 절약을 위해 탄심에 강철을 사용하는 등 개량이 이루어져 1947년경에는 7.62x39mm 보통탄인 "7.62mm PS"(7,62-мм ПСru) (GAU: 57-N-231S)가 완성되었다.
한편, 1943년 말부터 칼라시니코프를 포함한 여러 설계자들이 신형 탄약 개발과 병행하여 소화기 설계에 착수했다. 소련 당국은 나치 독일이 2차 세계 대전에서 투입한 StG44와 같은 종류의 "돌격소총" 개발을 계획하고 있었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알렉세이 수다예프가 제작한 자동소총이었지만, 1946년 수다예프의 사망으로 중단되었다. 1945년에는 토카레프, 데그차레프, 콜로빈 등 유명 설계자의 자동소총이 설계되어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종전 후인 1946년, 칼라시니코프가 제작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ru) (일명: AK-46[68])도 테스트에 참가했지만, 어떤 총도 요구 사항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칼라시니코프는 1년을 더 보내 개량을 진행하여 1947년 테스트에서 칼라시니코프, 발킨, 데멘티예프 3명의 자동소총이 최종 심사에 남았고, 최종적으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68]만이 합격했다.
1948년 1월 21일, 최우수 설계안인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을 7.62x39mm 탄으로 변경하여 '''AK-47'''(일명: AK-48[68])로 한정 선행 양산하기로 결정되었다.[65]
2. 2. 구상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1941년 브랸스크 전투에서 어깨 부상을 입고 회복하던 중 무기 설계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106] 그는 병원에 있을 때, 옆 침대의 병사가 독일군은 자동화기를 사용하는데 소련군은 그렇지 못함을 지적하는 것을 듣고 자동화기 개발을 결심했다.[116]AK-47은 이전 소총들의 혁신적인 기술들을 결합한 것이었다. 칼라시니코프는 미국의 M1 개런드와 독일의 StG 44의 장점을 결합한 자동 소총을 설계하고자 했다.[117] 그의 팀은 이미 이러한 무기들을 접할 수 있었기에,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할 필요가 없었다. 칼라시니코프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것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06]
일부에서는 칼라시니코프가 불킨의 TKB-415[118]나 시모노프의 AVS-31[119]을 모방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군의 StG 44 소총은 소련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43년, 소련은 이 무기에 깊은 인상을 받고 즉시 자체 중간구경 완전자동 소총 개발에 착수했다.
칼라시니코프는 1942년 기관단총 설계를, 1943년에는 경기관총 설계를 시작했다. 1944년 초, 그는 7.62×39mm M43탄을 지급받고 새로운 소총 개발에 착수했다. 그는 M1 개런드의 영향을 받은 반자동 카빈 소총 설계 경쟁에 참가했지만, 시모노프의 설계에 밀렸다.
1946년, 새로운 소총 설계 경쟁이 시작되었고, 칼라시니코프는 AK-1과 AK-2를 제출하여 2차 경쟁에 진출했다. 이 프로토타입(AK-46)은 StG 44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다.[6] 1946년 말, 칼라시니코프의 조수 알렉산더 자이체프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주요 재설계를 제안했고, 칼라시니코프는 이를 받아들였다.
1947년 11월, 새로운 프로토타입(AK-47)이 완성되었다. 1949년, 이 소총은 소련군에 "7.62mm 칼라시니코프 소총 (AK)"으로 채택되었다.[68]
2. 3. 초기 디자인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1941년 브랸스크 전투에서 부상당한 후 회복 중에 무기 설계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942년에 기관단총, 1943년에 경기관총 설계를 시작했다. 1944년 초, 칼라시니코프는 7.62×39mm M43탄을 지급받고 다른 설계자들이 새 소련 소형 무기 탄약을 위한 무기를 개발 중이라는 정보를 얻었다. 그는 새 소총 개발에 착수했고, M1 개런드 소총의 영향을 받은 7.62×39mm 반자동 가스 작동식 장총신 피스톤 카빈 소총으로 설계 대회에 참가했다. 이 소총은 고정 탄창과 총열 위 가스튜브를 가진 SKS-45 카빈과 유사했지만, 칼라시니코프의 설계는 시모노프의 설계에 밀렸다.1946년, 새 소총 개발을 위한 설계 대회가 다시 시작되었다. 칼라시니코프는 총열 위쪽에 단축 가스 피스톤을 사용하는 가스 작동식 소총을 제출했는데, 이는 1944년 카빈과 유사한 약실 메커니즘과 30발들이 곡선형 탄창을 가지고 있었다. 칼라시니코프의 소총인 AK-1(밀링 수신기)과 AK-2(스탬핑 수신기)는 신뢰성이 높아 다른 설계들과 함께 2차 경쟁에 진출했다.
이 프로토타입(AK-46)은 회전 볼트, 분리된 방아쇠 장치 하우징이 있는 2부분 수신기, 이중 조작 장치(별도의 안전장치와 사격 선택 스위치), 무기 왼쪽에 위치한 비왕복식 총열 개방 손잡이를 가졌다. 이 설계는 StG 44와 많은 유사점을 보였다.[6] 1946년 말, 소총 테스트 중 칼라시니코프의 조수 알렉산더 자이체프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재설계를 제안했고, 칼라시니코프는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결국 자이체프의 설득으로 재설계를 진행했다.
1947년 11월, 새 프로토타입(AK-47)이 완성되었다. 총열 위쪽에 장총신 가스 피스톤을 사용했고, 상부 및 하부 수신기는 단일 수신기로 결합되었다. 선택기와 안전장치는 소총 오른쪽에 있는 단일 조작 레버/먼지덮개로 결합되었고, 볼트 손잡이는 볼트 캐리어에 부착되었다. 이는 소총 설계와 생산을 단순화했다. 1948년 초, 최초 군 시험 시리즈가 시작되었고, 새 소총은 다양한 조건에서 신뢰성이 높고 다루기 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1949년, 소련군은 이 소총을 "7.62mm 칼라시니코프 소총 (AK)"으로 채택했다.
초기 생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최초 생산 모델은 금속판 프레스 가공된 판금 수신기에 밀링된 트러니언과 개머리판 삽입물, 프레스 가공된 본체를 사용했다. 가이드 레일과 배출 레일 용접에 어려움이 있어 불량률이 높았다. 생산 중단 대신 판금 수신기 대신 무거운[7] 기계 가공된 수신기를 사용했다. 이 밀링 소총 생산은 1951년에 시작되었지만, 개발 시작 연도를 기준으로 공식적으로 AK-49로 불렸다. 그러나 수집가들과 현재 상업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Type 2 AK-47"로 알려져 있다. 이는 더 비싼 공정이었지만, 기계 가공된 수신기를 사용해 모신나강 소총의 기계 가공된 수신기 공구와 인력을 활용하여 생산을 가속화했다. 이러한 문제로 소련은 1956년까지 새 소총을 병사들에게 대량 배포하지 못했고, 임시 SKS 소총 생산이 계속되었다.
비밀링 수신기의 제조 어려움이 극복되자, 1959년에 AKM(M은 "Modernizirovanniy"(현대화됨) 또는 "업그레이드됨")으로 지정된 재설계 버전이 도입되었다. 새 모델은 프레스 가공된 판금 수신기를 사용했고, 반동으로 인한 총열의 총구 상승을 보상하기 위해 총열 끝에 경사진 소염기를 장착했다. 또한, 빠른 사격이나 자동 사격 중 약실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머 지연 장치가 추가되었다. 이는 "순환 속도 감속기" 또는 "속도 감속기"라고도 불리며, 자동 사격 중 분당 발사 탄환 수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 소총은 이전 모델보다 약 1/3 가벼웠다.
수신기 유형 | 설명 |
---|---|
Type 1A/B | AK-47용 최초 금속판 프레스 가공 수신기는 1948년 처음 생산[3]되어 1949년에 채택되었다. 1B는 접이식 개머리판을 위해 개조되었으며, 접이식 개머리판 하드웨어를 수용하기 위해 양쪽에 큰 구멍이 있다. |
Type 2A/B | 최초 밀링 수신기는 강철 단조로 만들어졌다. 1951년에 생산에 들어갔고 1957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Type 2A는 개머리판을 수신기에 연결하는 독특한 소켓형 금속 "부트"와 총열과 평행하게 측면에 밀링된 번개 모양 절단 부분을 가지고 있다. |
Type 3A/B | 강철 막대에서 만들어진 AK 밀링 수신기의 "최종" 버전이다. 1955년에 생산에 들어갔다. AK 밀링 수신기의 가장 흔한 예이다. 측면에 밀링된 번개 모양 절단 부분은 총열 축에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
Type 4A/B | 핀과 리벳으로 광범위하게 지지되는 매끄러운 판금 강철로 프레스 가공된 AKM 수신기이다. 1959년에 생산에 들어갔다. 전반적으로 AK 계열 소총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
해외 라이선스 및 비라이선스 생산 대부분은 프레스 가공 수신기의 쉬운 생산으로 인해 AKM 변형이었다. 이 모델은 더 많은 양이 생산되어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칼라시니코프 설계를 기반으로 한 모든 소총은 서구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AK-47"로 통칭되지만, 이는 원래 세 가지 수신기 유형을 기반으로 한 소총에만 적용될 때 정확하다. 대부분 전 동구권 국가에서는 "칼라시니코프" 또는 "AK"라고 부른다. 밀링 수신기와 프레스 가공 수신기의 차이점에는 프레스 가공 수신기의 용접 대신 리벳 사용, 탄창 안정성을 위해 탄창 삽입구 위에 작은 홈 배치가 있다.
2. 4. 추가 개발
AK-47 생산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첫 생산 모델은 절삭 가공된 포이와 개머리판 출입구가 있는 압착식 철제 리시버와 프레스식 총열을 사용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과 배출기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많이 발생했다.[127] 생산 중단 대신, 무거운 기계식 리시버가 판금 리시버로 대체되었다. 이 프레이즈반 소총은 1951년에 생산이 시작되었고, 개발 시작 날짜를 기준으로 공식적으로는 AK-49로 불렸지만, 수집가들과 현재 상업 시장에서는 "AK-47 Type 2"로 널리 알려져 있다.[128][129] 이는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과정이었지만, 초기 모신나강 리시버의 도구와 작동방식이 적용되어 생산 속도가 빨라졌다.[129]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소련은 1956년까지 많은 수의 새로운 소총을 군인들에게 분배할 수 없었고, 이 기간 동안 임시 SKS 소총 생산이 계속되었다.
절삭 공정을 거치지 않은 리시버 제조의 어려움을 극복한 후, 1959년 AKM이라는 재설계된 버전이 도입되었다.[127] AKM의 'M'은 '현대화된' 또는 '업그레이드된'이라는 의미로, 러시아어로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아브토마트 칼라시니코바 마데르니지로반니ru라고 명명되었다. AKM은 압착식 리시버를 사용했고, 반동시 제동기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총열 끝에 기울어진 포구제동기를 장착했다. 또한, 신속 또는 완전 자동 사격 중에 무기가 총포 밖으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이 억제기가 추가되었다. 소총은 이전 모델보다 3분의 1 정도 가벼웠다.[127]
리시버 형태 | 설명[129] |
---|---|
Type 1A/B | 1948년 첫 생산된 AK-47에 장착된 프레스 공법을 사용한 첫 리시버.[103] 1B는 접이식 개머리판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커다란 구멍이 있는 접이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 |
Type 2A/B |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강철 단조 리시버. 1951년부터 생산을 시작했고, 1957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
Type 3A/B |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철제 개머리판을 단 AK 소총의 마지막 판. 1955년 생산에 들어갔으며, 프레이즈반 리시버를 장착한 AK의 아주 흔한 예시이다. |
Type 4A/B | 리벳과 핀으로 여러 차례 고정한 1mm 철제 판금을 프레스한 AKM 리시버. 1959년부터 생산에 들어갔으며, AK 계열 소총의 제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
AK-47은 1940년대 후반 소련에서 개발된 돌격소총으로,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저렴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130] 열악한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는 롱 스트로크 가스 시스템을 채택했다.[122][131][132] 넉넉한 부품 간 간격, 테이퍼형 탄피 설계 덕분에 이물질과 오염에 강하며, 극한의 추위나 사막 지대에서도 작동하여 군인들에게 신뢰를 받았다.
프레스 공법을 사용한 리시버의 생산이 훨씬 쉬웠기 때문에 해외에서 칼라시니코프 돌격소총의 대부분의 허가 및 무허가 생산은 AKM 계열이었다. 칼라시니코프 설계에 기초한 모든 소총은 서구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구어체로 "AK-47s"로 불리기도 하지만, 원래의 3개의 리시버 유형에 기초한 소총에 적용될 때만 이 용어가 정확하다.
3. 설계
롱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며, 총열 위에 가스 피스톤을 배치하고, 긴 바나나형 탄창과 피스톨 그립을 가진다. 7.62x39mm탄을 사용하며, 30발들이 박스형 탄창 또는 75발들이 드럼형 탄창을 사용한다. 발사 시 발생하는 고압 가스를 이용하여 무거운 피스톤·볼트 캐리어를 후퇴시키고, 다시 전진시키면서 다음 탄을 장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볼트 캐리어는 가스 피스톤과 일체형이며, 볼트와 함께 전후로 움직인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강한 충격은 명중 정확도에 불리하지만, 진흙이나 오물에도 견디는 작동성을 제공한다. 총열과 약실 내부, 가스 피스톤, 가스 실린더 내부는 크롬 도금되어 부식과 마모를 억제한다.
레시버 우측면에는 먼지 덮개 겸 안전장치 겸 조정간이 있다. 안전 위치에서는 방아쇠가 잠기고 볼트 후퇴가 제한된다. 안전 해제 후에는 전자동, 더 내리면 반자동 위치가 된다. 갈릴은 AK와 유사한 대형 조정간 외에 레시버 좌측면에 소형 레버를 추가했다.
탄창 장착은 삽입구가 아닌, 탄창 전방 상부의 홈을 총 본체 하부 개구부 전방에 걸고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식이다. 탄창 제거 시에는 고정 레버를 누른 채 탄창을 총구 쪽으로 밀어낸다.
가늠자는 볼트액션 소총과 같은 탄젠트 사이트이다. 횡방향 수정은 전용 공구로 가늠쇠를 조절한다. 사거리는 800m까지 대응한다. 개머리판 내에는 정비 도구를 수납할 수 있다.
1955년에는 56-Kh-212 총검이 채용되었다. 총검 링을 머즐넛에 끼우고, 총검 후단 링을 배럴에 끼워 고정한다.
칼라시니코프는 전문 교육을 받지 않은 신병도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AK-47의 주요 부품:리시버 형태 설명[129] Type 1A/B 1948년 첫 생산된 AK-47에 장착된 프레스 공법을 사용한 첫 리시버.[103] 1B는 접이식 개머리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큰 구멍이 있는 접이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 Type 2A/B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강철 단조 리시버.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되었다. Type 3A/B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철제 개머리판을 단 AK 소총의 마지막 판. 1955년 생산에 들어갔으며, 프레이즈반 리시버를 장착한 AK의 매우 흔한 예시이다. Type 4A/B 리벳과 핀으로 여러 차례 고정한 1mm 철제 판금을 프레스한 AKM 리시버. 1959년부터 생산되었으며, AK 계열 소총 제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생산 초기에는 압착식 철제 리시버와 프레스식 총열의 가이드 레일 및 배출기 용접 문제로 불량품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거운 기계식 리시버가 판금 리시버로 대체되었다. 이 프레이즈반 소총 생산은 1951년에 시작되었고, 개발 시작 날짜를 기준으로 공식적으로는 AK-49로 불렸지만, "AK-47 Type 2"로 널리 알려져 있다.[127][128]
1959년에는 AKM이라는 재설계된 버전이 도입되었다. AKM은 압착식 리시버를 사용했고, 총열 끝에 기울어진 포구제동기를 장착했으며, 공이 억제기가 추가되었다. 이전 모델보다 3분의 1 정도 가벼웠다.[127]
AK-47은 원래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진 개머리판, 손보호대 및 상부 열덮개를 장착했다. Type 3 리시버 도입으로 개머리판, 하부 손보호대 및 상부 열덮개는 자작나무 합판 라미네이트로 제조되었다.[129]
탄약:
AK는 7.62 × 39mm 탄환을 사용하며, 715m/s의 탄속을 가진다.[107] 탄환 중량은 16.3g, 발사체 중량은 7.9g이다.[133] 7.62×39mm M43 발사체는 일반적으로 상대를 타격할 때 파편화되지 않으며 뼈와 접촉한 후에도 손상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탄창:
AK-47의 표준 30발 탄창은 뚜렷한 곡선형 디자인과 중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손상에 매우 강하다. 초기 강철 탄창(0.43kg)에서 AKM 강철 탄창(0.33kg), 알루미늄 탄창(0.19kg, 내구성 문제로 단종), 철제 강화 플라스틱 탄창(0.24kg)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ABS 수지 화합물을 사용한 철제 강화 30발 탄창(0.25kg)이 사용된다.[107]
부속품:
AK-47에는 200mm 길이의 창 끝 날이 특징인 387mm 길이의 6H3 총검이 제공된다.[154]
AKM 소총은 GP-25 유탄 발사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최대 400m 유효 사거리를 가진다.[155]
3. 1. 작동 방식
사격을 하려면 장전된 탄창을 삽입하고 장전 손잡이를 뒤로 당겼다가 놓은 다음 방아쇠를 당긴다. 반자동 사격에서는 한 번만 발사되며, 다음 사격을 위해서는 방아쇠를 풀고 다시 눌러야 한다. 완전 자동 사격의 경우, 소총은 탄창이 비거나 방아쇠에서 손을 뗄 때까지 자동으로 약실에 새 탄환을 넣어 발사한다. 안전전폭약과 추진제 점화 후, 빠르게 팽창하는 추진제 가스는 총구 근처의 환기구를 통해 총열 위의 가스 실린더로 들어간다. 가스 실린더 내부에 가스가 축적되면 롱 스트로크 가스 시스템의 피스톤 및 노리쇠 뭉치가 뒤로 밀려나고, 가스는 노리쇠 뭉치의 레일 가이드의 배기구와 함께 가공된 캠 가이드가 볼트를 약 35° 회전시키고 노리쇠의 무게추를 통해 총열 연장부에서 잠금을 해제한다. AK-47에는 가스 밸브가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의 가스는 가스 실린더의 일련의 방사형 포트를 통해 환기된다.[141]
AK-47은 1940년대 후반 소련의 최첨단 대량 생산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완전 자동 소총으로 설계되었다. 큰 가스 피스톤, 움직이는 부품 사이의 넉넉한 간격, 그리고 테이퍼형 탄피 설계는 총이 많은 이물질과 오염에도 작동에 실패하지 않고 견딜 수 있게 해준다.
폐쇄·격발 기구는 미국의 M1 카빈 등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기본 구조는 독자적인 것이다. AK 계열 소총은 롱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며, 총열 위에 가스 피스톤을 위치시킨 설계를 계승하고, 긴 바나나형 탄창과 피스톨 그립을 가진 공통적인 설계로 구성되어 있다.
AK는 7.62x39mm탄을 사용하며, 탄약은 바나나형이라고도 불리는 30발들이 박스형 탄창 또는 75발들이 드럼형 탄창에 수납되어 있다. 탄약을 넣고 발사하면, 총구를 향해 밀어내는 고압 가스를 총열 위에 평행하는 가스 튜브로 끌어들여 무거운 피스톤·볼트 캐리어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다시 전진할 때 다음 탄을 약실로 밀어넣어 자동적으로 재장전한다. 이 사격과 송탄을 연속적으로 함으로써 연사가 가능해지며, AK는 1분에 600발 이상의 속도로 사격할 수 있다.
볼트를 개방/후퇴시키는 볼트 캐리어는 가스 피스톤과 일체형 디자인이며, 볼트와 함께 전후로 움직이는 총 중량의 크기는 전진단과 후퇴단에서 멈출 때 강한 충격을 주기 때문에 명중 정확도에는 불리하다. 다른 한편 그 관성력과 어울려 진흙이나 오물에도 견디는 확실한 작동성을 실현하고 있다. 더욱이, 총열과 약실의 내부, 가스 피스톤, 가스 실린더 내부는 내식성·내마모성이 뛰어난 크롬으로 도금되어 부식이나 마모를 억제하고 있다.
볼트는 볼트 캐리어 내측의 캠 홈에 의해 전후 이동과 함께 약 35도 회전되어 볼트 선단의 돌기가 총열 기부의 절개와 끼워 맞춤/해제함으로써 약실의 폐쇄/해제를 행한다. 볼트 캐리어를 전진시키는 복귀 스프링은 후방에 위치하며, 분해 시 튀어나와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구부린 스토퍼를 내장하여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유닛은 레시버 커버의 고정 장치를 겸하고 있다.
레시버 커버는 총의 기능에는 관계없는 부품이기 때문에, 제거된 상태에서도 사격은 가능하다. 한편, 구조상 강력한 고정이 되지 않아 각종 조준기를 장착할 수 없다.
격발 기구는 크게 여유 있는 레시버(기관부)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진흙이 침입해도 작동에 지장이 생기기 어렵도록 설계되어 있다. 해머(격철) 등을 작동시키는 스프링은 혹한의 북극권에서부터 혹서의 사막 지대까지, 변화가 풍부한 소련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MG42를 참고하여 3개의 피아노선을 꼬아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다.
레시버 우측면에는 더스트 커버를 겸한 대형 세이프티 레버 겸 셀렉터가 있다. 커버를 닫은 상태는 안전 위치가 되며, 방아쇠가 잠겨 발사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볼트도 불완전한 위치까지밖에 후퇴할 수 없게 된다. 세이프티 해제에는 오른손을 그립에서 떼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내리는 조작이 필요하며, 해제 후에는 전자동 위치가 되고, 더 내리면 반자동 위치가 된다.
탄창의 장착은 M16이나 많은 기관단총, 권총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삽입구에 똑바로 삽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탄창의 전방 상부(총구 쪽)에 있는 홈 또는 돌기를 총 본체 하면의 개구부 전방에 걸고, 그곳을 지지점으로 탄창을 앞쪽으로 회전시키듯이 끌어당기면, 탄창 후방 상부에 있는 돌기가 총 본체 측의 고정 레버(트리거 가드 전방에 있으며, 릴리스 스위치를 겸하고 있다)를 밀어내고 홈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딸깍하는 금속 소리가 난다. 삽입식에 비해 탄창 장착에 요령이 필요하지만, 삽입 불충분에 의한 발사 불량 트러블이 적다. 또한 삽입구에 쓰레기가 쌓이는 트러블도 적다. 탄창을 제거할 때는 고정 레버를 누른 채 탄창을 총구 쪽으로 회전시키듯이 밀어낸다.
레시버·탄창 어느 쪽에도 볼트 스톱·홀드 오픈 기능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잔탄을 다 쏘고 탄창을 교환한 경우에는 코킹을 할 필요가 있다.
총열과 총열 기부의 접합은 나사 조임 고정으로 되어 있다. 총열 중간에는 가스 포트가 뚫려 있으며, 가스 튜브를 제거하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전 행동 중에 가스 포트가 막히더라도 병사가 직접 대처할 수 있다.
상기 각 작동 부품은 서로 딱 맞게 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틈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격 시의 미세 진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명중 정확도에는 불리하지만, 먼지나 이물질이 침입해도 작동 불량에 이를 가능성이 낮고, 청소도 용이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가늠자는 볼트액션 방식 소총과 같은 탄젠트 사이트라고 불리는 종류이다. 횡방향 수정은 전용 공구로 가늠쇠를 조절하여 행한다. M16 등의 상하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피프 사이트에 비해 조준 시의 정확도는 낮고, 사용 시의 미세 조정이 어렵지만, 시야가 넓고 빠르게 조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거리는 800m까지 대응하고 있다.
개머리판 내에 정비 도구를 수납 가능하며, 버트 플레이트 중앙에 뚜껑이 있다.
1955년에는 '''56-Kh-212'''(56-Х-212ru)가 채용되었다. 총 본체에는 총검 부착용 러그가 없기 때문에, 총검의 鍔에 있는 링을 머즐넛에 끼운 후, 총검 후단에 있는 개구부가 있는 링을 배럴에 직접 끼워 고정한다.
칼라시니코프는 설계에 있어서 개발 당시 전문 교육·고등 교육을 받지 않은 신병들도 취급이 용이하도록 그들의 입장이 되어 여러 가지로 고안했다고 말하고 있다.
3. 2. 탄약
AK는 7.62 × 39mm 탄환을 발사하며, 715m/s의 탄속을 가진다.[107] 탄환의 중량은 16.3g, 발사체 중량은 7.9g이다.[133] 원래 소련의 M43 탄환은 123개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보트테일 탄환으로, 구리로 도금된 강철 덮개, 큰 철제 핵심부, 그리고 핵심부와 덮개 사이의 일부 납으로 구성되어 있다. AK는 두꺼운 나뭇잎, 벽 또는 일반 차량의 금속 차체를 통과하여 이러한 것들을 보호구로 사용하려는 상대를 향해 사격할 때 뛰어난 침투력을 발휘한다. 7.62×39mm M43 발사체는 일반적으로 상대를 타격할 때 파편화되지 않으며 뼈와 접촉한 후에도 손상되지 않는 특이한 경향이 있다. 7.62 x 39mm 탄창은 조직에서 총알이 뒹구는 경우(편주)에 상당한 상처를 입히지만,[134] 편주를 시작하기 전에 총알이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비교적 가벼운 상처를 입힌다.[135][136][137] 편주(偏走)가 없는 경우 M43 라운드는 비교적 적은 부상을 입힌 채 조직을 관통할 수 있다.[135][138]
오늘날 발견된 7.62×39mm 탄약의 대부분은 M67 개량형이다. 이 개량형은 철제 부속품을 제거하여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M43 라운드보다 조직에서 거의 17cm 빠른 약 8.4cm에서 발사체가 불안정 (또는 편주)할 수 있도록 했다.[139]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M67 라운드의 경우 최대 64cm로 탄도 젤라틴을 감소시키는 반면, 구형 M43 탄환의 경우 최대 74cm로 탄도 젤라틴을 감소시킨다.[139][140] 그러나 M67의 부상 잠재력은 특히 탄환이 편주할 때 대부분 총알 자체가 만드는 작고 영구적인 흠집 같은 상처로 제한된다.[139]
3. 3. 사격 선택
AK 소총은 7.62x39mm탄을 사용하며, 탄약은 바나나형이라고도 불리는 30발들이 박스형 탄창 또는 75발들이 드럼형 탄창에 수납된다. 탄약을 넣고 발사하면, 총구를 향해 밀어내는 고압 가스를 총열 위에 평행하는 가스 튜브로 끌어들여 무거운 피스톤·볼트 캐리어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다시 전진할 때 다음 탄을 약실로 밀어넣어 자동적으로 재장전한다. 이 사격과 송탄을 연속적으로 함으로써 연사가 가능해지며, AK는 1분에 600발 이상의 속도로 사격할 수 있다.[69]
레시버 우측면에는 더스트 커버를 겸한 대형 세이프티 레버 겸 셀렉터가 있다. 커버를 닫은 상태는 안전 위치가 되며, 방아쇠가 잠겨 발사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볼트도 불완전한 위치까지밖에 후퇴할 수 없게 된다. 세이프티 해제에는 오른손을 그립에서 떼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내리는 조작이 필요하며, 해제 후에는 전자동 위치가 되고, 더 내리면 반자동 위치가 된다. 그립에서 손을 떼지 않고 모든 조작이 가능한 서구 여러 국가의 돌격 소총에 비해 인위적인 폭발의 위험성이 낮아지는 반면, 세이프티 해제부터 발사까지 시간이 걸리고, 조작 시 큰 금속 소리가 나는 약점이 있다. AK에서 파생된 이스라엘제 갈릴은 AK와 마찬가지로 대형 셀렉터에 더하여 같은 축에 연결된 소형 레버를 레시버 좌측면에도 설치하고 있다.
3. 4. 조준
AK-47은 100m에서 800m까지 100m 단위로 보정된 노치가 있는 후방 접선 기계식 조준기를 사용한다.[143] 조준선 요소는 보어 축 위로 약 48.5mm 떨어져 있다. 7.62×39mm AK-47 후방 접선 조준 요소에서 표적 거리의 영점 설정 "П"는 300m 영점에 해당한다. 이 설정은 AK-47이 대체한 모신나강 소총과 SKS 소총의 영점을 반영한다.[143] AK-47은 300m 전투 영점 설정을 통해 조준선을 기준으로 약 -5cm에서 +31cm 내로 외탄도를 제한한다. 병사들은 이 범위 내의 모든 목표물에 조준기를 적 목표물의 질량 중심에 배치하여 사격하도록 지시받는다. 조준 사격이 잘 되면 적병의 몸통에 명중하기 때문에 거리 추정 오류는 전술적으로 무관하다. 일부 AK형 소총은 야간 전투를 개선하기 위해 50m로 보정된 탈부착 야광 가늠쇠가 있는 전방 조준기를 가지고 있다.[143]
AKM의 조준기는 AK-47의 800m에서 1,000m로 사거리 눈금이 증가되었다.
3. 5. 부품
리시버 형태 | 설명[129] |
---|---|
Type 1A/B | 1948년 첫 생산된 AK-47에 장착된 프레스 공법을 사용한 첫 리시버.[103] 1B는 접이식 개머리판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커다란 구멍이 있는 접이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 |
Type 2A/B |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강철 단조 리시버.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되었다. |
Type 3A/B | 절삭 공법을 사용하여 만든 철제 개머리판을 단 AK 소총의 마지막 판. 1955년 생산에 들어갔으며, 프레이즈반 리시버를 장착한 AK의 아주 흔한 예시이다. |
Type 4A/B | 리벳과 핀으로 여러 차례 고정한 1mm 철제 판금을 프레스한 AKM 리시버. 1959년부터 생산되었으며, AK 계열 소총 제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
생산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첫 번째 생산 모델에는 절삭 공법으로 가공된 포이와 개머리판 출입구가 달린 압착식 철제 리시버와 프레스식 총열이 있었다. 가이드 레일과 배출기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많은 불량품이 발생했다. 생산을 중단하는 대신 무거운 기계식 리시버가 판금 리시버로 대체되었다. 이 프레이즈반 소총 생산은 1951년에 시작되었고, 개발 시작 날짜를 기준으로 공식적으로는 AK-49로 불렸지만, 수집가들과 현재 상업 시장에서는 "AK-47 Type 2"로 널리 알려져 있다.[127][128] 이것은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과정이었지만, 초기 모신나강 리시버의 도구와 작동방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생산 속도를 가속화시켰다.[129] 부분적으로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소련은 1956년까지 많은 수의 새로운 소총을 군인들에게 분배할 수 없었고, 이 기간 동안 임시 SKS 소총의 생산은 계속되었다.
절삭 공정을 거치지 않은 리시버 제조의 어려움을 극복한 후, 1959년 AKM이라는 재설계된 버전이 도입되었다.[127] AKM의 'M'은 '현대화된', 또는 '업그레이드된'이라는 의미로, 러시아어로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라고 명명되었다. AKM은 압착식 리시버를 사용했고, 반동 시 제동기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총열 끝에 기울어진 포구제동기를 장착했다. 또한, 신속 또는 완전 자동 사격 중에 (볼트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무기가 총포 밖으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이 억제기가 추가되었다. 소총은 이전 모델보다 3분의 1 정도 가벼웠다.[127]
해외에서 칼라시니코프 돌격소총의 대부분의 허가 및 무허가 생산은 프레스 공법을 사용한 리시버 생산이 훨씬 쉬운 AKM 계열이었다. 칼라시니코프 설계에 기초한 모든 소총은 서구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구어체로 "AK-47s"로 불리기도 하지만, 원래의 3개의 리시버 유형에 기초한 소총에 적용될 때만 이 용어가 정확하다.
AK-47은 원래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진 개머리판, 손보호대 및 상부 열덮개를 장착했다. Type 3 리시버 도입으로 개머리판, 하부 손보호대 및 상부 열덮개는 자작나무 합판 라미네이트로 제조되었다.[129] 이렇게 공정된 목재는 기존의 단일 패턴보다 더 강하고 뒤틀림에 더 잘 견디며, 오랜 시간 숙성이 필요하지 않고, 더 저렴하다. 목재 부품은 러시아제 호박 셸락 마감 공정을 거쳐 완료되었다.[144]
AK-47의 표준 30발 탄창에는 탄약을 원활하게 약실에 공급할 수 있는 뚜렷한 곡선이 있다. 이 제품의 중강 구조는 단일 강철 빌렛에서 가공된 "피드-립"(탄약이 약실로 들어가는 각도를 제어하는 탄창 상단의 표면)과 결합되어 있어 손상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이 탄창들은 너무 강해서 "군인들은 그들의 탄창을 망치로 사용하고 심지어 병따개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5][146]
측면이 평평한 초기의 강철 AK-47 30들이 탈부착형 탄창은 1mm 철제 판금 몸통을 가지고 있었고 비어 있을 때의 무게는 0.43kg이었다.[132] 후기 강철 AKM 30들이 탄창은 두드러진 보강 리브가 있는 더 가벼운 철제 판금 몸통을 가지고 있었고, 비어있을 때의 무게는 0.33kg이었다.[132][147] 무게를 더욱 줄이기 위해, 비어있을 때 0.19kg이 나가는 두드러진 강화 격자무늬 패턴의 알루미늄 몸체를 가진 경량 탄창이 AKM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너무 취약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소량 발행된 이 탄창들은 신속하게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었다.[148] 이에 대한 대체품으로 철로 강화된 30들이 플라스틱 탄창이 도입되었고, 이 녹빛 탄창은 비어있을 때 0.24kg이 나갔다. 새로 도입된 탄창은 베이클라이트(페놈 폼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한 것으로 잘못 인식되기도 했는데, 실제로는 AG-S4 성형화합물(유리강화 페놀-알데히드 결합제 함침 복합체)의 두 부분을 추출한 것으로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한 것과 닮았다.[149][150][151] 그러나 내구성으로 유명한 이 탄창들은 소총의 위장을 드러냈고, 모든 후기 플라스틱 탄창들에 추가된 전면 근처의 탄창 본체의 양쪽으로 이어지는 작은 수평 보강 리브가 없었다.[151] ABS 수지에서 추출한 화합물을 사용한 철제로 강화된 30들이 7.62×39mm 탄창 2세대는 1980년대 초에 도입되었고, 3세대는 2세대와 유사했으나 무광 무반사 표면 마감이 되어 있었다. 현재 AK-47의 탄창은 ABS 수지에서 추출한 화합물을 사용한 철제로 강화된 30들이 7.62×39mm 탄창으로, 무광 무반사 표면 마감이 되어 있고 무게는 비어있을 때 0.25kg이다.[107]
초기 강철 AK-47 탄창의 길이는 248mm이며, 후기의 AKM 및 최신 플라스틱 7.62x39mm 탄창의 길이는 약 25mm 짧다.[152][153]
AK-47은 1940년대 후반 소련의 최첨단 대량 생산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완전 자동 소총으로 설계되었다.
사격모드 선택기는 소총 오른쪽에 위치한 큰 레버로, 먼지덮개 역할을 하며 안전장치가 걸렸을 때 볼트핸들을 완전히 뒤로 당기는 것을 방지한다. 사수의 오른쪽 집게손가락으로 조작하며, 안전(위), 자동사격(중앙), 단발사격(아래)의 세 가지 설정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스트레스를 받는 병사가 선택 레버를 상당한 힘으로 아래로 밀어 자동사격 단계를 건너뛰고 단발사격으로 설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AK-47을 자동사격으로 설정하려면 선택 레버를 중앙에 맞추는 의도적인 동작이 필요하다. 사격모드 선택 레버를 작동하려면 오른손잡이 사수는 오른손을 피스톨 그립에서 잠시 떼어야 하는데, 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최적이 아니다. 일부 AK 계열 소총에는 피스톨 그립 바로 위 수신기 왼쪽에 보다 전통적인 선택 레버가 있다. 이 레버는 사수의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며, 안전(앞), 자동사격(중앙), 단발사격(뒤)의 세 가지 설정이 있다.
폐쇄·격발 기구는 미국의 M1 카빈 등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기본 구조는 독자적인 것이다.
AK 계열 소총은 롱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며, 총열 위에 가스 피스톤을 위치시킨 설계를 계승하고, 긴 바나나형 탄창과 피스톨 그립을 가진 공통적인 설계로 구성되어 있다.
AK는 7.62x39mm탄을 사용하며, 탄약은 바나나형이라고도 불리는 30발들이 박스형 탄창 또는 75발들이 드럼형 탄창에 수납되어 있다. 탄약을 넣고 발사하면, 총구를 향해 밀어내는 고압 가스를 총열 위에 평행하는 가스 튜브로 끌어들여 무거운 피스톤·볼트 캐리어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다시 전진할 때 다음 탄을 약실로 밀어넣어 자동적으로 재장전한다. 이 사격과 송탄을 연속적으로 함으로써 연사가 가능해지며, AK는 1분에 600발 이상의 속도로 사격할 수 있다.
볼트를 개방/후퇴시키는 볼트 캐리어는 가스 피스톤과 일체형 디자인이며, 볼트와 함께 전후로 움직이는 총 중량의 크기는 전진단과 후퇴단에서 멈출 때 강한 충격을 주기 때문에 명중 정확도에는 불리하다. 다른 한편 그 관성력과 어울려 진흙이나 오물에도 견디는 확실한 작동성을 실현하고 있다. 더욱이, 총열과 약실의 내부, 가스 피스톤, 가스 실린더 내부는 내식성·내마모성이 뛰어난 크롬으로 도금되어 부식이나 마모를 억제하고 있다.
볼트는 볼트 캐리어 내측의 캠 홈에 의해 전후동과 함께 약 35도 회전되어 볼트 선단의 돌기가 총열 기부의 절개와 끼워 맞춤/해제함으로써 약실의 폐쇄/해제를 행한다. 볼트 캐리어를 전진시키는 복귀 스프링은 후방에 위치하며, 분해 시 튀어나와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구부린 스토퍼를 내장하여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유닛은 레시버 커버의 고정 장치를 겸하고 있다.
레시버 커버는 총의 기능에는 관계없는 부품이기 때문에, 제거된 상태에서도 사격은 가능하다. 한편, 구조상 강력한 고정이 되지 않아 각종 조준기를 장착할 수 없다. 개량형이나 파생형에서는 레시버 측면에 레일(사이드 레일)을 리벳으로 고정하여 마운트 베이스로 하거나, 레시버 커버의 고정 방식을 강화하여 조준기의 직접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격발 기구는 크게 여유 있는 레시버(기관부)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진흙이 침입해도 작동에 지장이 생기기 어렵도록 설계되어 있다. 해머(격철) 등을 작동시키는 스프링은 혹한의 북극권에서부터 혹서의 사막 지대까지, 변화가 풍부한 소련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MG42를 참고하여 3개의 피아노선을 꼬아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다.
레시버 우측면에는 더스트 커버를 겸한 대형 세이프티 레버 겸 셀렉터가 있다. 커버를 닫은 상태는 안전 위치가 되며, 방아쇠가 잠겨 발사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볼트도 불완전한 위치까지밖에 후퇴할 수 없게 된다. 세이프티 해제에는 오른손을 그립에서 떼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내리는 조작이 필요하며, 해제 후에는 전자동 위치가 되고, 더 내리면 반자동 위치가 된다. 그립에서 손을 떼지 않고 모든 조작이 가능한 서구 여러 국가의 돌격 소총에 비해 인위적인 폭발의 위험성이 낮아지는 반면, 세이프티 해제부터 발사까지 시간이 걸리고, 조작 시 큰 금속 소리가 나는 약점이 있다. AK에서 파생된 이스라엘제 갈릴은 AK와 마찬가지로 대형 셀렉터에 더하여 같은 축에 연결된 소형 레버를 레시버 좌측면에도 설치하고 있다.
탄창의 장착은 M16이나 많은 서브머신건, 권총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삽입구에 똑바로 삽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탄창의 전방 상부(총구 쪽)에 있는 홈 또는 돌기를 총 본체 하면의 개구부 전방에 걸고, 그곳을 지지점으로 탄창을 앞쪽으로 회전시키듯이 끌어당기면, 탄창 후방 상부에 있는 돌기가 총 본체 측의 고정 레버(트리거 가드 전방에 있으며, 릴리스 스위치를 겸하고 있다)를 밀어내고 홈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딸깍하는 금속 소리가 난다. 삽입식에 비해 탄창 장착에 요령이 필요하지만, 삽입 불충분에 의한 발사 불량 트러블이 적다. 또한 삽입구에 쓰레기가 쌓이는 트러블도 적다. 탄창을 제거할 때는 고정 레버를 누른 채 탄창을 총구 쪽으로 회전시키듯이 밀어낸다.
레시버·탄창 어느 쪽에도 볼트 스톱·홀드 오픈 기능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잔탄을 다 쏘고 탄창을 교환한 경우에는 코킹을 할 필요가 있다. 탄창 측의 개조로 간이적인 볼트 스톱 기능을 탑재한 유고슬라비아의 자스타바 M70 등의 예외를 제외하고 후년의 파생형이나 개량형에도 탑재되어 있지 않다.
총열과 총열 기부의 접합은 후기 AKM 이후의 모델과 달리 AK에서는 나사 조임 고정으로 되어 있다.
총열 중간에는 가스 포트가 뚫려 있으며, 가스 튜브를 제거하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전 행동 중에 가스 포트가 막히더라도 병사가 직접 대처할 수 있다.
상기 각 작동 부품은 서로 딱 맞게 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틈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격 시의 미세 진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명중 정확도에는 불리하지만, 먼지나 이물질이 침입해도 작동 불량에 이를 가능성이 낮고, 청소도 용이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리어사이트(조준구)는 볼트액션 방식 소총과 같은 탄젠트 사이트라고 불리는 종류이다. 횡방향 수정은 전용 공구로 프런트 사이트(조준점)를 조절하여 행한다. M16 등의 상하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피프 사이트에 비해 조준 시의 정확도는 낮고, 사용 시의 미세 조정이 어렵지만, 시야가 넓고 빠르게 조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거리는 800m까지 대응하고 있다.
개머리판 내에, 정비 도구를 수납 가능하며, 버트 플레이트 중앙에 뚜껑이 있다.
1955년, AK 전용 총검으로서, SVT-40에 사용되던 56-Kh-223S 총검의 개량형인 '''56-Kh-212'''가 채용되었다. 총 본체에는 총검 부착용 러그가 없기 때문에, 총검의 鍔에 있는 링을 머즐넛에 끼운 후, 총검 후단에 있는 개구부가 있는 링을 배럴에 직접 끼워 고정한다.
3. 6. 탄창
AK-47의 표준 30발 탄창은 탄약을 원활하게 약실로 공급하기 위해 뚜렷한 곡선형으로 디자인되었다. 이 탄창은 단일 강철 빌렛으로 가공된 "피드-립"(탄약이 약실로 들어가는 각도를 제어하는 탄창 상단의 표면)과 결합된 중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손상에 매우 강하다. 이러한 내구성 덕분에 "군인들은 탄창을 망치나 병따개로 사용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145][146]초기 강철 AK-47 30발 탄창은 1mm 철제 판금 몸통을 가졌으며, 빈 탄창의 무게는 0.43kg이었다.[132] 이후 AKM 30발 탄창은 보강 리브가 있는 더 가벼운 철제 판금 몸통을 사용하여 빈 탄창의 무게가 0.33kg으로 줄었다.[132][147] 무게를 더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몸체를 가진 경량 탄창(빈 탄창 무게 0.19kg)이 AKM용으로 개발되었으나, 내구성이 약해 소량만 생산된 후 빠르게 일선에서 제외되었다.[148]
이를 대체하기 위해 철로 강화된 30발 플라스틱 탄창이 도입되었으며, 이 녹빛 탄창은 빈 상태에서 0.24kg이었다. 이 탄창은 베이클라이트(페놈 폼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AG-S4 성형 화합물(유리 강화 페놀-알데히드 결합제 함침 복합체)의 두 부분을 에폭시 접착제로 결합한 것이다.[149][150][151] 그러나 이 탄창은 소총의 위장을 방해했고, 전면 근처 탄창 본체 양쪽에 작은 수평 보강 리브가 없었다는 특징이 있다.
1980년대 초에는 ABS 수지 화합물을 사용한 2세대 철제 강화 30발 7.62×39mm 탄창이 도입되었고, 이후 무광 무반사 표면 마감을 가진 3세대 탄창이 나왔다. 현재 AK-47 탄창은 ABS 수지 화합물을 사용한 철제 강화 30발 7.62×39mm 탄창으로, 무광 무반사 표면 마감 처리가 되어 있으며 빈 탄창의 무게는 0.25kg이다.[107]
초기 강철 AK-47 탄창의 길이는 248mm이며, 후기 AKM 및 최신 플라스틱 7.62x39mm 탄창은 이보다 약 25mm 짧다.[152][153]
3. 7. 부속품
AK-47 소총과 함께 제공되는 부속품에는 200mm 길이의 창 끝 날이 특징인 387mm 길이의 6H3 총검이 있다.[154] 총검 고리를 총검 주변으로 미끄러뜨리고 손잡이를 전방 조준대 아래 총검 걸이에 걸쇠로 고정하면 총검을 설치할 수 있다.[154]
모든 현재 모델의 AKM 소총은 GP-25 및 그 변형과 같은 40mm 유탄 발사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분당 최대 20발을 발사할 수 있고 최대 400m의 유효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155] 주요 수류탄은 치사 반경이 각각 6m와 9m인 VOG-25과 VOG-25M 세열수류탄이다. VOG-25P/VOG-25PM("점프") 변형은 지상 0.5~1m 상공에서 폭발한다.[156]
이 외에도 컵형 유탄발사기인 표준 RGD-5 소련제 수류탄을 발사하는 칼라시니코프 유탄발사기를 탑재할 수도 있으며, 최대 유효 범위는 약 150m이다.[157] 최루탄 발포나 폭동 진압 또는 근거리 사격을 할 때 사용한다.
AK-47을 비롯한 현재의 모든 AK(100 시리즈)와 일부 구형 모델에는 스코프나 PSO-1 광학 저격수 조준기와 같은 조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사이드 레일이 있다.[158] 측면 레일은 광학 부품의 영점 조정을 방해하지 않고 광학 부품을 탈착할 수 있다.
4. 수명
AK-47과 그 변형들은 다양한 품질로 생산되어, 발사 가능 탄수가 약 6,000발에서[159] 최대 10,000발,[160] 또는 15,000발[161]까지 차이가 난다. AK-47은 저렴하고 단순하며 제조하기 쉬운 소총으로 설계되었는데,[162] 이는 장비를 일회용품으로 취급하는 소련 군사주의와 잘 맞았다.[163] 무기를 수리하는 것보다 교체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었다.[163]
AK-47은 수천 발 사격 후 교체가 필요한 작은 부품과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장 스트리핑 단계를 넘어 분해될 때마다 일부 부품이 제 기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은 무기를 발사할 때 느슨해지고 빠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AK-47 몸통의 일부는 함께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다. 노리쇠의 끝을 접지하고 부품을 교체한 후 새 노리쇠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수리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다."[143]
AK 소총 계열은 신뢰성이 높고, 가혹한 환경에서도 잘 작동한다. 부품 간 간격이 커서 진흙이나 모래, 고온/저온 환경에서의 금속 변형, 부품 정밀도 저하에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극한의 추위나 사막 지대의 군인들에게도 신뢰를 받는다. 기관부는 내부에 진흙이나 모래가 들어가도 가볍게 물로 씻으면 사격이 가능할 정도였다. 내부 부품은 최대한 모듈화되어 야외 분해 시 부품 분실이나 고장 위험을 줄였다.
하지만 부품 간 간격이 크다는 것은 G3나 M16 계열에 비해 탄환의 산포율(MOA 값)이 높아 사격 정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5. 파생형
AK-47의 파생형은 매우 다양하며, 소련/러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생산되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AKS: AK-47의 개머리판을 MP38/40와 유사하게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접는 접이식으로 변경하여 휴대성을 높인 모델이다. 소련군 제식 명칭은 "7.62mm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금속제 개머리판 부착형"이며, 약칭은 AKS이다. 탄창에 걸리지 않도록 U자형으로 디자인되었다. 공수부대나 스키 부대 등 특수부대에 주로 지급되었고, 차량이나 헬리콥터의 장비 화기로도 사용되었다. KGB 국경 경비 부대에도 지급되었다.
- AKN: 야간 전투를 위해 야간투시경 장착용 레일과 NAP1 또는 NSP-2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모델이다. "N"은 야간투시경이 장착된 경우에만 붙는 약호이며, 레일만 있는 경우에는 일반 AK와 동일하게 명칭한다.
- AKML: AKM에 레일과 NSP-3 또는 NSP-3A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NSP-3 사용 시에는 총구 화염 감소를 위해 소염기나 PBS-1 소음기 병용이 권장된다.
- AKMN-1: AKM에 레일과 NSPU(GRAU: 1PN34) 또는 NSPU-3(GRAU: 1PN51) 야시경 장치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 AKMN2: AKM에 레일과 NSPUM 야시장치(GRAU: 1PN58)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 6P1V/6P1/V: AKM의 전시 생산 사양이다. 부품 단순화, 제조 공정 단축 등을 통해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나,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개발이 종료되었다.
- AKMSB: AKMS에 PBS-1 소음기와 아음속탄인 7.62mm US탄과 일반탄인 7.62mm PS탄 모두에 대응하는 조준기 및 총열 후부에 소음 수류탄 발사기 부착용 돌기를 장착한 모델이다.
- RPK: AKM의 경기관총 사양이다. 총열을 두껍게 하고 길이를 늘렸으며, 이족을 추가하고, 개머리판을 장시간 사격에 견딜 수 있도록 변경했다.
- AKMSU: AKMS 기반 단축형 카빈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련/러시아에서 공식 생산/채용된 적 없는 비공식 모델이다. 파키스탄 카이베르 고개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AK-47에는 길이 387mm의 6H3 총검이 제공되며, 200mm 길이의 칼날을 가지고 있다. 총검은 소총구 링(지름 17.7mm)을 총구에 끼우고 손잡이를 총검 걸쇠에 걸어 장착한다.
AKM 소총에는 GP-25와 같은 40mm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다. 분당 최대 20발을 발사할 수 있으며, 최대 400미터의 유효 사거리를 가진다. 주요 유탄은 VOG-25(VOG-25M) 파편 수류탄으로, 6m의 치명 반경을 가진다. VOG-25P/VOG-25PM("점프형") 변형은 지상 0.5m에서 1m 위에서 폭발한다.
AK-47에는 컵형 소총 수류탄 발사기인 칼라시니코프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표준 RGD-5 수류탄을 발사한다.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150미터이다. 이 발사기는 최루탄과 진압용 수류탄 발사에도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생산되는 모든 AK(100 시리즈) 및 일부 구형 모델에는 PSO-1 광학 조준경과 같은 다양한 조준경과 조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측면 레일이 있다.
외국 파생형:
AK-47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생산 또는 무단 복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수많은 국가에서 다양한 AK 계열 소총이 생산되었으며, 아래 표에 간략히 정리되어 있다.
국가 | 명칭 | 비고 |
---|---|---|
중국 | 56식 자동보총 | AK III형 복제품. 스파이크 바요넷 장착. |
56-1식 자동보총 | AKS. | |
56-2식 자동보총 | AKS. 오리지널 측면 접이식 총열 | |
56-3식 자동보총 | AKM 복제품. 소폭 개량. | |
56-C식 자동보총 | 56-2식을 기반으로 한 카빈 | |
56-S식 자동보총 | 민간용 수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56-SS식 자동보총 | AKMS의 총렬을 제거하고, 더욱 단총신화한 모델. | |
56S-1식 자동보총 | 56-1식의 민간용 수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56S-7식 반용기총 | 56식을 기반으로 한 RPK. | |
74식 경기총 | 56S-7식을 기반으로 독자 개발한 경기관총. | |
84식 자동보총 | 56식을 5.56mm NATO탄 사양으로 변경. | |
84-2식 자동보총 | 측면 접이식 총렬. 5.56mm NATO탄 사용. | |
84-S식 자동보총 | 민간용 56-S식의 파생형. 5.56mm NATO탄 사용. | |
84SS-1식 자동보총 | 민간용 AKMS 카빈. 5.56mm NATO탄 사용. | |
86S식 자동보총 | 56식을 불펍 방식으로 변경. | |
88-S식 자동보총 | AK74 복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북한 | 58식 소총 | AK III형. |
68식 소총 | AKM. | |
88식 소총 | AK74. 금속제 탄창 사용. | |
98식 소총 | 88식의 플라스틱 부품을 금속제로 교체. | |
한국 | 차산 DAK-47 | AK III형. |
S.A.M. 센티넬 | 84식. 5.56mm NATO탄 사용. | |
Emerk-3 | 갈릴 AR. 고정 총렬. | |
MA-1 | 갈릴 AR. | |
AKN | AK. | |
STL-1A | AKM. | |
STV-215·380 | 갈릴 에이스 31·32. | |
STV-410·416 | AK-15·AK103. | |
동독 | MPi-K | AK III형. |
MPi-K SSG | MPi-K 저격소총 모델. 스코프와 전용 사이드 레일. | |
MPi-KmS | AKS. | |
MPi-KM | AKM. | |
MPi-KMS-72 | AKMS. 측면 접이식 총렬. | |
MPi-AK-74N | AK74. 야시장치용 사이드 레일. | |
MPi-AKS-74N | AKS74. 측면 접이식 총렬. 야시장치용 사이드 레일. | |
MPi-AKS-74NK | MPi-AKS74N의 카빈 모델. | |
KK-MPi 69 | MPi-KM을 기반으로 한 훈련용 모델. .22LR탄 사용. | |
STG AK-47 (K31.031, 910) | MPi-K. | |
STG AKS-47 (K31.032, 910) | MPi-KmS. | |
STG AKM (910M, 911) | MPi-KM. | |
STG AKMS (912) | MPi-KMS-72. | |
STG AKM-Z | MPi-KM의 이족 장비 모델. | |
STG AKMS-Z | MPi-KMS-72의 이족 장비 모델. | |
STG AKMS-K (913) | MPi-KMS-72의 배럴 단축 모델. 후기형은 MPi-AKS74NK와 유사. | |
LMG K 500 (914) | MPi-KM의 이족 장비 배럴 연장 모델. | |
LMG K 500 S (914) | MPi-KMS-72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 |
PG 500 (G 500) (915) | MPi-KM의 배럴 연장 모델. | |
PG 500 Spezial (915) | MPi-KM의 배럴 연장 모델. 썸홀 스톡. 10발 탄창.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SG 500 (917) | PG 500 Spezial을 개조하여 외관을 더 사냥총에 가깝게 한 모델. | |
슈페거 (917) | 구칭: Jagdkarabiner 986. SG 500을 그립 일체형 총렬로 한 사냥총 모델. 5발 탄창. | |
STG K 90 (921) | MPi-AK-74N. | |
STG K 90 S (922) | MPi-AKS-74N. | |
STG K 90 Z | MPi-AK-74N의 이족 장비 모델.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총렬. | |
STG K 90 R (923) | MPi-AKS-74NK. | |
LMG K 500 (924) | MPi-AK-74N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총렬. | |
PG 500 (925) | MPi-AK-74N의 배럴 연장 모델. | |
STG 985 | 5.56mm NATO탄 사양의 시제품. 각 부분에 갈릴 SAR의 부품 사용. | |
STG 941 | MPi-AK-74N을 기반으로 개발. 5.56mm NATO탄 사양. | |
STG 942 | STG 941의 측면 접이식 총렬 모델. | |
STG 943 | STG 942의 카빈 모델. | |
LMG 944 | STG 941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 |
PG 945 | STG 941의 배럴 연장 모델.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STG 951 | STG 941의 5.45x39mm탄 사양. | |
STG 952 | STG 942의 5.45x39mm탄 사양. | |
STG 953 | STG 943의 5.45x39mm탄 사양. | |
LMG 954 | LMG 944의 5.45x39mm탄 사양. | |
PG 955 | PG 945의 5.45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1 | STG 941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2 | STG 942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3 | STG 943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LMG 974 | LMG 944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PG 975 | PG 945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알바니아 | ASh-78 tip1 | AK. 공식적으로는 56식의 복제품. |
ASh-78 tip2 | RPK. | |
ASh-78 tip3 | AKM. | |
ASh-82 | AKS. | |
폴란드 | Kbk AK(PMK) | AK. |
Kbk AKS(PMKS) | AKS. | |
Kbk AKM(PMKM) | AKM. | |
Kbk AKMS(PMKMS) | AKMS. | |
Kbkg wz. 1960(PMK-PGN-60) | AK. 라이플 그레네이드 발사 가능. | |
WG-GS-4 라이엇 컨트롤 | AK의 기관부를 이용한 그물 발사기. | |
Kbk wz. 1988 탄탈 | AKS74. | |
Skbk wz. 1989 오닉스 | AKS74U. | |
Kbs wz. 1996 베릴 | AKS74의 현대화 모델.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1996 미니베릴 | wz. 1996의 단축형.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1997 보조 | wz. 1996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2002 빈 | wz. 1997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Kbs wz. 2004 베릴 | wz. 1996의 현대화 모델.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2005 얀타르 | wz.2002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유고슬라비아 | 자스타바 M70 | AK·AKM. |
자스타바 M70A | AKS·AKMS. | |
자스타바 M72 | RPK. | |
자스타바 M76 | M70 저격소총. 7.92x57mm탄 사양. | |
자스타바 M77 | M70. 7.62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80 | M70.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90A | M70A.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85 | AKS74U.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92 | AKS74U. 7.62x39mm탄 사양. | |
자스타바 M21 | M70의 현대화 카빈. 측면 접이식 총렬.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마스터FLG | AK 기반의 서브머신건. 9x19mm 파라벨럼탄 사양. | |
자스타바 마스터FLG-K | 마스터FLG를 소형화. | |
루마니아 | PM md.63(AIM) | AKM. 포어그립 부착. |
PM md.65(AIMS) | AKMS. 포어그립 부착. 하부 접이식 총렬. | |
PA md.86(AI-74) | AK74. 포어그립 부착. | |
PA md.86(AIMS-74) | AKS74.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0(AIMS) | AKMS.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0 카빈(AIMR) | PM md.90의 카빈 모델.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7 | AKS74. 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WASR | AK100. 목재 부품 사용. | |
FPK(PSL) | 저격소총. 7.62x54mmR탄 사양. | |
헝가리 | AK-55 | AK. |
AKM-63 | AKM. 포어그립 부착. | |
AMD-65 | AKMS 카빈.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AMP-69 | AMD-65의 간이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FEG-NGM | AKM. 5.56mm NATO탄 사양. | |
불가리아 | AKK | AK III형. |
AKKS | AKS. | |
아르세날 AR | AK.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F | AKS.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1 | AK. 플래시 서프레서 장비.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1F | AKS. 플래시 서프레서 장비.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1 | AK74.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1F | AKS74.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2F | AK102·AK104.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4SF | AKS74U. 5.56mm NATO탄과 7.62x39mm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SF | AKS74U. 5.56mm NATO탄과 7.62x39mm탄 사양.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7F | AK101·AK103.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M9 | AK74. 5.56mm NATO탄 사양.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M9F | AKS74·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SLR-100 시리즈 | AK100 시리즈에 상당. | |
ISD 불가리아 BSR-47 | 민간용. 레시버는 AKM에 준한 프레스 가공[84]. | |
우크라이나 | 베프르 | AK74의 불펍 사양. 5.45x39mm탄 사양. |
말류크 | 베프르의 개량판. 5.45x39mm탄 사양. | |
이스라엘 | 칼라시니코프 시제 소총 | 갈릴의 시제품 중 하나. 5.56mm NATO탄 사양. 외관은 AK. |
갈릴 ARM | 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핀란드의 발메 기반. | |
갈릴 AR | ARM의 간이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SAR | AR의 카빈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MAR | AR의 단축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ARM 308 | ARM.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AR 308 | AR.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SAR 308 | SAR.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저격총(갈라츠) | 저격소총.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사르디우스 M26 | 갈릴 기반의 저격소총. | |
갈릴 에이스 21·22·23 | 5.56mm NATO탄 사양의 개량형 MAR·SAR·AR | |
갈릴 에이스 31·32 | 7.62x39mm탄 사양의 개량형 MAR·AR. | |
갈릴 에이스 52·53 | 7.62mm NATO탄 사양의 개량형 SAR·AR. | |
CAA AK 알파 | 독자 개량 AK. 복수 구경 대응. | |
터키 | SAR-308 | AKM. |
이란 | KL-7.62mm | AKM·AKMS. |
이라크 | 타부크 | M70B1(AKM)·M70AB1(AKMS). 형식 번호에 따른 구분 없음. |
타부크 저격소총 | M70 저격소총. 7.62x39mm탄 사양. | |
이집트 | MPi-KMS-72 | 동독제 이집트향 수출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MISR | AKM의 현대화 모델. | |
인도 | INSAS | AK 기반. 5.56mm NATO탄 사양. |
핀란드 | 발메 Rk 62 | 고정 총렬. |
발메 Rk 76 | 측면 접이식 총렬. | |
발메 M82 |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발메 M90 | 현대화 모델. | |
발메 Rk 95 TP | M90의 개량형.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R4 | 갈릴 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R5 | 갈릴 S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
R6 | 갈릴 M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
벡터 CR21 | 강화 수지 외장.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트루벨로 랩터 | R4 기반. 트루벨로사 설계. | |
이탈리아 | 예거 AP80 | AK III형. .22LR탄 사양. |
예거 AP84 | 갈릴 AR. 외관이 다른 .22LR탄 사양. | |
베르날델리 VB-STD | M16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갈릴 AR. | |
베르날델리 VB-SR | M16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갈릴 SAR. | |
FFV-890C | 갈릴 AR. 핸드가드 변경. | |
네덜란드 | NM-1 | 갈릴 ARM. |
D.NM-1·M2 | NM-1을 기반으로 개발. | |
독일 | GSG-AK47 | AKM의 외관을 모방한 프린킹건. .22LR탄 사양. |
미국 | 인터오디너낸스 AK47 | 폴란드제 PMK의 민간용 복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BHI SOPMOD AK | 군사 강사 회사의 자사 브랜드 총기. | |
센추리온 AK39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KCI KTR-08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K-VAR AKU94 | 불펍 사양.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칼라시니코프 KR103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테러리스트나 용병이 사용하는 AK 소총은 대부분 비정규 복제품이다. 일본 옴진리교의 자동소총 밀제조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정밀한 기술 없이 제작된 복제품은 성능과 안전성이 떨어진다. 파키스탄 다라 마을에서 제작되는 AK 소총 역시 품질이 낮아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5. 1. 초기형 (7.62×39mm)
AK-47의 초기형은 생산 시기와 수신기(레시버)의 특징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분류는 주로 수집가나 연구자들이 사용하며, 당시 소련군에서는 공식적으로 구분하지 않았다.[66]; I형
: 1949년부터 생산된 I형은 StG44처럼 수신기를 프레스 가공으로 만들었다. 1.3mm 두께의 강판을 U자형으로 구부리고, 강도가 필요한 부분은 강철 부품을 리벳으로 고정했다.[66] 그러나 당시 소련의 기술 부족으로 강도 부족, 명중률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리벳 고정과 열처리 과정에서 수신기가 변형되거나, 트라니온(총열과 수신기를 연결하는 부품)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프레스 가공은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었지만, 오히려 절삭 가공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었다. I형은 1951년까지 생산되었다.

; II형
: 1951년부터 생산된 II형은 I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신기를 절삭 가공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강도가 높아져 수신기 측면의 리벳이 사라졌다. 절삭 가공으로 인해 무게가 약 0.18kg 증가했다. 수신기 양쪽 탄창 삽입구 근처의 직사각형 오목한 부분은 무게를 줄이기 위한 디자인이다. 개머리판 부착 방식과 권총 손잡이 모양도 변경되었다. 그러나 개머리판 부착 방식의 변경으로 인해 측면 충격에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II형은 1955년까지 생산되었다.
; III형
: 1955년부터 생산된 III형은 II형을 더욱 개선한 모델이다. 개머리판 부착 방식을 다시 변경하여 수신기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이로써 개머리판과 수신기 사이의 강철 블록이 사라지고, 측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슬링(멜빵) 고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개머리판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였다. 개머리판, 핸드가드, 권총 손잡이는 자작나무 원목에서 자작나무 합판으로 변경하여 내구성을 높였다. 수신기와 탄창 등 금속 부품의 표면 처리는 산화 피막 처리(흑색 도금)에서 인산염 피막 처리(파커라이징)로 변경되었다. III형은 절삭 가공 공정이 늘어나 생산 비용이 저렴하지는 않았다. 1959년 생산이 종료될 때까지 이 모델이 주로 생산되었다. 탄창은 초기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강판(무게 0.42kg)을 사용했지만, 1955년부터는 얇은 강판에 리브(rib)를 넣어 강도를 높인 경량 탄창(무게 0.33kg)으로 변경되었다. 동구권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된 것은 III형부터이며, 일반적으로 'AK'라고 하면 이 III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각 유형별 무게는 I형 4,085g, II형 4,125g, III형 3,900g이다. 1949년부터 1953년 사이에 약 50만~100만 정이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 AKS
: AKS는 AK의 개머리판을 금속제 접이식으로 변경하여 휴대성을 높인 모델이다. 소련군 제식 명칭은 "7.62mm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금속제 개머리판 부착형"(러시아어: 7,62-мм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 прикладом, 약칭 AKS)이다. AKS-47이라는 명칭은 후대에 여러 AK 개량형이 등장하면서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통칭이다. 개머리판은 MP38/40와 유사하게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접는 방식이지만, 탄창에 걸리지 않도록 U자형으로 디자인되었다. 개머리판을 접은 상태에서도 사격은 가능하지만, 선택 레버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AKS는 공수부대나 스키 부대 등 특수부대에 주로 지급되었고, 차량이나 헬리콥터의 장비 화기로도 사용되었다. KGB 국경 경비 부대에도 지급되었다.
; AKN
: AKN(GAU: 56-A-212N)은 야간 전투를 위해 야간투시경 장착용 레일과 NAP1 야간투시경(GAU: 51-IK-614) 또는 NSP-2 야간투시경(GRAU: 1PN9)을 장착한 모델이다. "N"은 야간투시경이 장착된 경우에만 붙는 약호이며, 레일만 있는 경우에는 일반 AK와 동일하게 명칭한다.
; AKM 기반 야간투시경 장착 모델
AKM을 기반으로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모델은 다음과 같다.
- AKML(GRAU: 6P1L): NSP-3(GRAU: 1PN27) 또는 NSP-3A 야간투시경 장착. 총구 화염 감소를 위해 소염기나 PBS-1 소음기 병용 권장.
- AKMN-1(GRAU: 6P1N-1): NSPU 야간투시경(GRAU: 1PN34) 또는 NSPU-3 야간투시경(GRAU: 1PN51) 장착.
- AKMN2: NSPUM 야간투시경(GRAU: 1PN58) 장착.

AK-47에는 길이 387mm의 6H3 총검이 제공되며, 200mm 길이의 칼날을 가지고 있다. 총검은 소총구 링(지름 17.7mm)을 총구에 끼우고 손잡이를 총검 걸쇠에 걸어 장착한다.
AKM 소총에는 GP-25와 같은 40mm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다. 분당 최대 20발을 발사할 수 있으며, 최대 400미터의 유효 사거리를 가진다. 주요 유탄은 VOG-25(VOG-25M) 파편 수류탄으로, 6m(9m)의 치명 반경을 가진다. VOG-25P/VOG-25PM("점프형") 변형은 지상 0.5m에서 1m 위에서 폭발한다.
AK-47에는 컵형 소총 수류탄 발사기인 칼라시니코프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표준 RGD-5 수류탄을 발사한다.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150미터이다. 이 발사기는 최루탄과 진압용 수류탄 발사에도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생산되는 모든 AK(100 시리즈) 및 일부 구형 모델에는 PSO-1 광학 조준경과 같은 다양한 조준경과 조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측면 레일이 있다. 측면 레일을 통해 광학 장비를 제거하고 다시 장착해도 영점 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100 시리즈의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은 광학 장비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을 수 없다.
5. 2. 현대화 (7.62×39mm)
AK-47의 현대화는 주로 1950년대에 걸쳐 이루어졌다.- '''AKM''': AK-47의 경량화 및 단순화된 버전이다. 프레스 공법을 사용하여 합금으로 만들어진 Type 4 리시버를 사용한다.
- '''RPK''': 더 길어진 총열과 양각대가 달린 경기관총이다. 리시버가 더 강화되었다.[164]
AK-47 소총에는 길이 387mm의 6H3 총검이 제공되며, 200mm 길이의 창날 형태 칼날이 특징이다. AK-47 총검은 지름 17.7mm의 소총구 링을 소총구에 끼우고 손잡이를 전방 조준기 기부 아래의 총검 걸쇠에 걸어 장착한다.
현재 생산되는 모든 AKM 소총에는 GP-25 및 그 변형과 같은 40mm 유탄 발사기를 소총 밑에 장착할 수 있으며, 분당 최대 20발을 발사할 수 있고 최대 400미터의 유효 사거리를 가진다. 주요 유탄은 VOG-25(VOG-25M) 파편 수류탄으로, 6m(9m)의 치명 반경을 가지고 있다. VOG-25P/VOG-25PM("점프형") 변형은 지상 0.5m에서 1m 위에서 폭발한다.
AK-47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컵형 유탄 발사기인 칼라시니코프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표준 RGD-5 소련 수류탄을 발사한다.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150미터이다. 이 발사기는 최루탄과 진압용 수류탄 발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현재의 모든 AK(100 시리즈) 및 일부 구형 모델에는 PSO-1 광학 저격 조준경과 같은 다양한 조준경과 조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측면 레일이 있다. 측면 레일을 통해 광학 부속품을 제거하고 다시 장착할 수 있으며, 광학 장비의 영점 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100 시리즈의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은 광학 장비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을 수 없다.
AK-47 및 그 변종은 수십 개국에서 제조되었으며, "정밀하게 제작된 무기부터 조잡한 제작 수준의 무기까지 다양한 품질"을 보인다. AK-47의 사용 수명은 약 6,000발,[10] 10,000발, 15,000발 정도이다. AK-47은 저렴하고 간단하며 제조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장비와 무기를 일회용품으로 취급하는 소련 군사 교리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부대가 종종 적절한 물류 지원 없이 배치되고 재보급을 위해 "전장에서 부품을 가져다 쓰는 것"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기를 수리하기보다는 교체하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이다.
AK-47에는 수천 발 발사 후 교체해야 하는 작은 부품과 스프링이 있다. 그러나 "야전 분해 단계를 넘어 분해할 때마다 일부 부품이 제자리에 맞춰지는 데 시간이 걸리고, 일부 부품은 무기를 발사할 때 느슨해져서 빠질 수 있다. AK-47 계열의 일부 부품은 리벳으로 조립된다. 리벳의 끝을 갈아내고 부품을 교체한 후 새 리벳을 설치해야 하므로 이를 수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소련군 전차병이었던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부상으로 입원 중에 화기 설계에 대한 관심을 강화하여 1942년부터 소화기 설계에 참여하게 된다. 전차병 하사관이었던 칼라시니코프는 설계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AK 설계 당시에도 정확한 설계도를 그릴 수 없었다. 그를 대신하여 도면을 그린 사람은 후에 그의 아내가 된 여성 기술자인 에카테리나 빅토로브나 모이세예바였다.
소련은 1940년대 초부터 미국으로부터 렌드리스법에 따라 받은 M1/M2 카빈과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MKb42(H) 및 그 탄약을 연구하고 있었고, 1943년에는 중간탄약과 그것을 사용하는 총기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말, 새로운 중간탄약인 7.62x41mm 탄이 "7.62mm 1943년형 탄"으로 개발, 채용되었다. 이후에도 탄약의 개량은 계속되어 탄피의 길이를 약 2.5mm 단축하고 납 절약을 위해 탄심에 강철을 사용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져 1947년경에는 현재에도 알려진 7.62x39mm 보통탄인 "7.62mm PS"가 완성되었다. 탄약의 설계 변경 후에도 "7.62mm 1943년형 탄"이라는 제식 명칭은 변경되지 않고 계속 사용되었다.
1943년 말부터 칼라시니코프를 포함한 여러 설계자들은 이 신형 탄약의 개발과 병행하여 여러 종류의 소화기 설계에 착수했다. 이때 소련 당국은 나치 독일이 2차 세계 대전에서 투입한 StG44과 같은 종류의 "돌격소총" 개발을 계획하고 있었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기관단총 설계자로 유명한 알렉세이 수다예프가 제작한 자동소총이었지만, 1946년 수다예프의 사망으로 중단되었다. 1945년에는 토카레프, 데그차레프, 콜로빈 등 유명 설계자의 자동소총이 설계되어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종전 후인 1946년, 칼라시니코프가 제작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도 테스트에 참가했지만, 참가한 어떤 총도 요구 사항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없었다. 칼라시니코프는 1년을 더 보내 개량을 진행하여 1947년 테스트에서는 칼라시니코프, 발킨, 데멘티예프 3명의 자동소총이 최종 심사에 남았고, 최종적으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만이 합격했다.
1948년 1월 21일, 최우수 설계안인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을 사용 탄약을 7.62x39mm 탄으로 변경하여 AK-47로 한정 선행 양산하기로 결정되었다. 양산 준비 중인 1948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그리고 같은 해 여름 군에서의 운용 시험 후 등에, 풀 오토 사격 시 명중률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개량형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이 실험적으로 제작되었다. 프런트 사이트 후부의 총열 좌우에 3개씩 구멍을 뚫은 컴펜세이터를 갖춘 것, 상자형으로 좌우에 개구부가 있는 2실식의 대형 컴펜세이터를 총구에 갖춘 것, 프런트 사이트 베이스 일체형 컴펜세이터를 갖춘 것, 총열 끝의 나사 부분을 생략한 것 등이 제작되었지만, 어느 것도 AK-47 및 그 이후의 AK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1948년 여름에 최초의 AK-47 양산형이 부대에 보내져 군에서의 운용 시험에도 합격했다. 다음 해인 1949년 6월 18일자 소련 각료회의 포고에 따라 마침내 소련군의 주력 소총으로 AK 및 AKS라는 명칭으로 제식 채용되었다.
서방에서는 AK 소총을 생산 시기와 수신기(레시버) 특징에 따라 I형부터 III형까지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다만, 이러한 분류 명칭은 후대 수집가나 연구자들이 편의상 붙인 것이며, 당시 소비에트 연방 군 및 정부에서는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다. 또한, 수신기 이외의 부품도 수시로 개량되거나 수리에 의해 기존 부품이 개조·교체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아래에 제시하는 각 형의 특징은 어디까지나 대표적인 것이며, 다른 형의 특징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다.
; I형
: 1949년에 제조가 시작된 I형은 StG44와 마찬가지로 수신기(레시버)를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했다. 수신기는 1.3mm 두께의 U자형 강판으로 프레스 가공되었고, 강도가 필요한 부분에는 강철 부품이 리벳으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당시 소련에는 프레스 가공과 리벳 가공에 필요한 기술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강도 부족이나 명중률 저하와 같은 결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리벳 고정과 열처리에 의한 수신기 변형, 트라니온이 수신기에 적절히 고정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또한, 생산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한 프레스 가공도 기술 부족으로 인해 종래의 절삭 가공 이상의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I형의 제조는 1951년까지 계속되었다.[66]
; II형
: 1951년에 제조가 시작된 II형은 I형의 교훈을 바탕으로 수신기(레시버)의 제조법이 종래의 절삭 가공으로 변경되었다.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 일체형 부분에서는 수신기 측면의 리벳이 없어졌다. 절삭 가공을 채용함으로써, 총 전체에서 약 0.18kg의 무게 증가가 있었다. 수신기 양쪽의 탄창구멍 근처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오목한 부분은 경량화를 목적으로 한다. 그 밖에, 개머리판의 부착 방법이나 피스톨 그립의 형상 등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공정 수를 줄이기 위해 실시한 개머리판 부착 방법의 개량에 문제가 있어, 측면의 힘이나 응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II형의 제조는 1955년까지 계속되었다.
; III형
: 1955년에는 II형을 더욱 개량한 III형의 제조가 시작되었다.[66] III형에서는 II형의 교훈을 바탕으로 개머리판의 부착 방식이 다시 변경되었고, 스톡과 수신기 사이의 강철 블록 부분이 없어지고, 수신기에 직접 고정하게 되었다. 그 밖에, 슬링 부착에 의한 개머리판에 대한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후부 슬링 스위블이 개머리판 하부에서 수신기 왼쪽 측면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전부 슬링 스위블이 포어엔드 왼쪽 전면에서 가스 블록 부분 왼쪽으로 이동되었다. 또한, 스톡, 핸드가드, 그립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자작나무 원목에서 자작나무 합판으로 변경되었고, 수신기나 탄창 등의 금속 부품의 표면 마무리를 산화 피막 처리(흑색 도금)에서 인산염 피막 처리(파커라이징)으로 변경하는 등 세부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III형에서는 절삭 공정이 증가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저렴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1959년 생산 종료까지 이 모델이 제조되었다. 탄창은 I형, II형에서는 소위 「슬래브 사이드(slab-side)」라고 불리는 1mm 두께의 강판을 사용한 표면이 매끄러운 것(무게 0.42kg)이었지만, 1955년부터 0.7mm 두께의 강판을 사용하고, 강도 확보를 위해 가는 리브가 다수 시공된 것(무게 0.33kg)으로 변경되어 약간 경량화되었다. 동구권을 중심으로 보급이 시작된 것은 III형부터이며, AK라고 하면 대개 이 III형을 가리킨다.
총 본체의 무게는 각 형에 따라 달라 I형은 4,085g, II형은 4,125g, III형은 3,900g이다. 또한 1949년~1953년 사이에 50만 정~100만 정 정도가 양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산 라인의 확대에 따라 II형 이후의 수신기(레시버) 생산성의 악화가 문제가 되었다. 수신기의 절삭 가공은 약 2.7kg의 강철 블록이 120공정에 이르는 기계 가공을 거쳐 최종적으로 약 630g의 수신기가 완성된다는 매우 손이 많이 가는 것이었다. 따라서, 더욱 개량이 이루어져 AKM으로 발전한다.
'''AKS'''는 AK의 개머리판을 금속제 접이식으로 변경하여 휴대성을 높인 형태이다.
소비에트 연방군에서의 제식명칭은 "7.62mm 칼라슈니코프 자동소총 금속제 개머리판 부착형"(GAU: 56-A-212M)이며, 약칭은 '''AKS'''이다.
AKS-47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후대에 여러 AK 개량형이 등장하면서 이들과 구분하기 위해 후세의 수집가나 연구자들이 편의상 AKS에 붙인 통칭이다.
이 개머리판은 레시버 후단의 지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접는 방식으로, 나치 독일의 MP38/40의 것과 비슷하지만, 개머리판 끝 부분의 모양이 탄창에 부딪히지 않도록 고려되어 있다. 개머리판을 접은 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하지만, 그 상태에서는 소총 측면의 선택레버를 조작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었다.
AKS는 공수부대나 스키 부대 등의 특수부대에 지급되었고, 차량 부대나 헬리콥터의 장비 화기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국경 경비의 KGB 부대에도 지급되었다.
'''AKN'''(GAU: 56-A-212N)은 AK에 야간투시경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과 NAP1 야간투시경(GAU: 51-IK-614) 또는 NSP-2 야간투시경(GRAU: 1PN9)을 장착한 야간 전투용 AK이다. 참고로 "N"은 상기 야간투시경이 AK에 장착되었을 때만 추가되는 약호이며, 야간투시경이 장착되지 않고 레일만 있는 경우에는 "N"이 추가되지 않고 일반 AK와 같은 명칭이 된다.
'''AKML'''(GRAU: 6P1L)은 AKM에 레일과 NSP-3 야간투시경(GRAU: 1PN27) 또는 NSP-3A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NSP-3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즐플래시(총구 섬광)에 의한 눈부심이나 야간투시경의 손상 방지를 위해 전용 플래시 서프레서 또는 PBS-1소음기와의 병용이 권장된다.
'''AKMN-1'''(GRAU: 6P1N-1)은 AKM에 레일과 NSPU 야시경 장치(GRAU: 1PN34)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후에, AKM에 NSPU-3 야시경 장치(GRAU: 1PN51)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에도 같은 명칭이 부여되었다.
'''6P1V''' 또는 '''6P1/V'''는 AKM의 전시 생산 사양이다. 1968년 소련 국방성 명령에 따라 "7.62mm AKM 자동소총을 기반으로 한 전시 자동소총 개발"이라는 주제로 2년 계획으로 개발 작업이 승인되었다. AKM의 총기 본체(6P1), 총검(6Kh4), 부속품(6Yu4) 각 부품의 단순화, 단조 부품의 일부 주조화, 탄창 수 감소(30발×4개에서 40발×3개로) 등 제조 공정의 노력 절감을 통해 AKM을 가능한 한 단시간에 대량 생산하기 위해 설계를 변경한 모델이다. 계획은 1968년부터 1970년까지, 그리고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최소 2회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모두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개발이 종료되었다. 1970년 12월에는 이러한 전시 생산 모델에 대해 국가 발명 발견 위원회에서 특허가 부여되었으며, 각각 6P1/V, 6Kh4/V, 6Yu4/V의 인덱스로 표시되어 있다.[82]
'''AKMSB'''(GRAU: 6P14)는 AKMS에 '''PBS-1'''소음기(GRAU: 6Ch12)와 아음속탄인 7.62mm US탄과 일반탄인 7.62mm PS탄 모두에 대응하는 조준기 및 총열 후부에 소음 수류탄 발사기 부착용 돌기를 장착한 모델이다. 이 총에 GSN-19(BS-1)(GRAU: 6G16) 소음 수류탄 발사기와 GSN-19 전용 접이식 조준기 및 하부 가드를 추가한 사양은 7.62/30mm SGK «티시나» ("7.62/30mm 자동소총·수류탄 발사기 시스템 «침묵»")(GRAU: 6P15) 또는 SSK-1라고 불리며, 스페츠나츠 등의 특수부대에서 운용되었다.
AKM의 전시 생산 사양인 6P1V와 함께 연구되었던 AKMS의 전시 생산 사양이지만, 시제품만 제작되고 개발은 종료되었다. 이 모델의 제식 명칭은 불명이며, 6P4V 또는 6P4/V와 같은 모델명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도 불명이다.[82]
'''RPK'''(GRAU: 6P2)는 AKM의 경기관총 사양이다. 총열을 두껍게 하고 길이를 늘렸으며, 이족을 추가하고, 개머리판을 장시간 사격에 견딜 수 있도록 두껍고 크게 변경했고, 핸드가드도 더 잡기 쉬운 형태로 변경했다. 그 외에도 수신기 강판 두께 증가 및 각 부품 강화 등, 자동 사격을 주로 하는 경기관총에 맞춰 각 부분의 강화가 이루어졌다. RPK는 1959년 AKM과 함께 제식 채용되어 이전 제식의 RPD 경기관총을 대체했다.
'''AKMSU'''는 과거 AKMS를 기반으로 총열을 단축한 단총신 카빈으로 여겨졌던 모델이다. 하지만 소련 및 러시아에서 공식적으로 생산 또는 제식 채용된 적이 없으며, AKMSU라는 명칭 자체도 나중에 붙여진 비공식적인 것이다.
총열을 270mm까지 단축하고, 이에 맞춰 가스 피스톤과 실린더도 포어엔드(forend) 바로 앞까지 단축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개량이 이루어졌다.
- 조준선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경첩식으로 고정을 강화한 수신기 커버 상단에 고정식 조준기를 장착.
- 가스압 작동 기구의 작동을 안정시키고, 발사 섬광으로 사수의 눈이 부시지 않도록 총구 부분에 대형 플래시 하이더를 장착.
-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포어엔드에 하부 접이식 개머리판과 간섭하지 않도록 형태를 고안한 수직 그립을 장착.
경위는 불명확하지만, 1986년 6월 영국 국방부 패턴 룸(Pattern Room)에 1정이 기증된 것이 확인되었다. 패턴 룸이 폐쇄되고 로열 아머리스의 소장품이 된 2005년 9월까지 일반에 공개되었다. 1991년경, 도코이 마사미가 저서 『AK-47&칼라시니코프 베리에이션』에서 소개한 것을 계기로 이 총의 존재는 전 세계에 알려졌다. 하지만 소비에트 연방이 AKMSU로 알려진 총을 개발·채용했다는 기록이 전혀 없고, 또한 수신기가 중국의 56식 자동소총의 것이며, 그 외에도 수제 부품이나 시리얼 넘버가 다른 부품이 조합되어 있다는 점, 영국의 소장품 외에는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 등으로부터 현재는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고개에서 무명의 총기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일점물이라고 추측되고 있다.[85]
존재가 알려진 후, 중국과 일본에서는 AKMSU를 모방한 에어소프트 건이 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실제로 사격 가능한 레플리카도 제작되었다.[85] 또한,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제 자스타바 M92나 불가리아제 아르세날 AR-SF 및 아르세날 AR-M4SF처럼, 7.62x39mm탄을 사용하면서도 포어엔드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AKMSU와 유사한 파생형도 생산되고 있다.
5. 3. 외국
- 중화인민공화국 노린코 및 폴리 테크놀로지스에서 생산 중인 AK-47 및 AKM의 변형이자 수출용 소총인 56식 공격소총이 있다.[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AK-47을 라이선스받아 생산한 기관총인 58식 자동보총이 있다.
- 핀란드에서 생산 중인 AK-47의 파생형으로, 총열과 조준기 등의 질이 훨씬 높아진 RK 62가 있다.[165]
- 핀란드 RK 62의 영향을 받아 만든 이스라엘의 공격 소총으로 발멧 사로부터 부품을 구입해 제조한 갈릴 소총이 있다.[166][167] 최초의 갈릴 소총은 RK 62의 총열을 사용하기도 했다.[168] 갈릴 소총을 업그레이드시킨 갈릴 ACE도 있다.
- 유고슬라비아에서 1960년대 라이선스를 받지 않고 만든 파생형으로,[169] 1970년대부터 유고슬라비아군의 표준 보병무기로 채택되었고[170] 오늘날에도 많은 국가에서 사용 중인 자스타바 M70 공격소총이 있다.
AK뿐만 아니라, AKM이나 RPK, AK74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도 있으며, SVD이나 PKM의 복제품은 포함되지 않는다. 아래 표는 각국에서 생산된 AK 계열 소총을 정리한 것이다.
국가 | 명칭 | 비고 |
---|---|---|
중국 | 56식 자동보총 | AK III형 복제품. 스파이크 바요넷 장착. |
56-1식 자동보총 | AKS. | |
56-2식 자동보총 | AKS. 오리지널 측면 접이식 총열 | |
56-3식 자동보총 | AKM 복제품. 소폭 개량. | |
56-C식 자동보총 | 56-2식을 기반으로 한 카빈 | |
56-S식 자동보총 | 민간용 수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56-SS식 자동보총 | AKMS의 총렬을 제거하고, 더욱 단총신화한 모델. | |
56S-1식 자동보총 | 56-1식의 민간용 수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56S-7식 반용기총 | 56식을 기반으로 한 RPK. | |
74식 경기총 | 56S-7식을 기반으로 독자 개발한 경기관총. | |
84식 자동보총 | 56식을 5.56mm NATO탄 사양으로 변경. | |
84-2식 자동보총 | 측면 접이식 총렬. 5.56mm NATO탄 사용. | |
84-S식 자동보총 | 민간용 56-S식의 파생형. 5.56mm NATO탄 사용. | |
84SS-1식 자동보총 | 민간용 AKMS 카빈. 5.56mm NATO탄 사용. | |
86S식 자동보총 | 56식을 불펍 방식으로 변경. | |
88-S식 자동보총 | AK74 복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북한 | 58식 소총 | AK III형. |
68식 소총 | AKM. | |
88식 소총 | AK74. 금속제 탄창 사용. | |
98식 소총 | 88식의 플라스틱 부품을 금속제로 교체. | |
한국 | 차산 DAK-47 | AK III형. |
S.A.M. 센티넬 | 84식. 5.56mm NATO탄 사용. | |
Emerk-3 | 갈릴 AR. 고정 총렬. | |
MA-1 | 갈릴 AR. | |
AKN | AK. | |
STL-1A | AKM. | |
STV-215·380 | 갈릴 에이스 31·32. | |
STV-410·416 | AK-15·AK103. | |
동독 | MPi-K | AK III형. |
MPi-K SSG | MPi-K 저격소총 모델. 스코프와 전용 사이드 레일. | |
MPi-KmS | AKS. | |
MPi-KM | AKM. | |
MPi-KMS-72 | AKMS. 측면 접이식 총렬. | |
MPi-AK-74N | AK74. 야시장치용 사이드 레일. | |
MPi-AKS-74N | AKS74. 측면 접이식 총렬. 야시장치용 사이드 레일. | |
MPi-AKS-74NK | MPi-AKS74N의 카빈 모델. | |
KK-MPi 69 | MPi-KM을 기반으로 한 훈련용 모델. .22LR탄 사용. | |
STG AK-47 (K31.031, 910) | MPi-K. | |
STG AKS-47 (K31.032, 910) | MPi-KmS. | |
STG AKM (910M, 911) | MPi-KM. | |
STG AKMS (912) | MPi-KMS-72. | |
STG AKM-Z | MPi-KM의 이족 장비 모델. | |
STG AKMS-Z | MPi-KMS-72의 이족 장비 모델. | |
STG AKMS-K (913) | MPi-KMS-72의 배럴 단축 모델. 후기형은 MPi-AKS74NK와 유사. | |
LMG K 500 (914) | MPi-KM의 이족 장비 배럴 연장 모델. | |
LMG K 500 S (914) | MPi-KMS-72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 |
PG 500 (G 500) (915) | MPi-KM의 배럴 연장 모델. | |
PG 500 Spezial (915) | MPi-KM의 배럴 연장 모델. 썸홀 스톡. 10발 탄창.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SG 500 (917) | PG 500 Spezial을 개조하여 외관을 더 사냥총에 가깝게 한 모델. | |
슈페거 (917) | 구칭: Jagdkarabiner 986. SG 500을 그립 일체형 총렬로 한 사냥총 모델. 5발 탄창. | |
STG K 90 (921) | MPi-AK-74N. | |
STG K 90 S (922) | MPi-AKS-74N. | |
STG K 90 Z | MPi-AK-74N의 이족 장비 모델.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총렬. | |
STG K 90 R (923) | MPi-AKS-74NK. | |
LMG K 500 (924) | MPi-AK-74N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총렬. | |
PG 500 (925) | MPi-AK-74N의 배럴 연장 모델. | |
STG 985 | 5.56mm NATO탄 사양의 시제품. 각 부분에 갈릴 SAR의 부품 사용. | |
STG 941 | MPi-AK-74N을 기반으로 개발. 5.56mm NATO탄 사양. | |
STG 942 | STG 941의 측면 접이식 총렬 모델. | |
STG 943 | STG 942의 카빈 모델. | |
LMG 944 | STG 941의 이족 장비·배럴 연장 모델. | |
PG 945 | STG 941의 배럴 연장 모델.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STG 951 | STG 941의 5.45x39mm탄 사양. | |
STG 952 | STG 942의 5.45x39mm탄 사양. | |
STG 953 | STG 943의 5.45x39mm탄 사양. | |
LMG 954 | LMG 944의 5.45x39mm탄 사양. | |
PG 955 | PG 945의 5.45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1 | STG 941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2 | STG 942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STG 973 | STG 943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LMG 974 | LMG 944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PG 975 | PG 945의 7.62x39mm탄 사양. 계획만. | |
알바니아 | ASh-78 tip1 | AK. 공식적으로는 56식의 복제품. |
ASh-78 tip2 | RPK. | |
ASh-78 tip3 | AKM. | |
ASh-82 | AKS. | |
폴란드 | Kbk AK(PMK) | AK. |
Kbk AKS(PMKS) | AKS. | |
Kbk AKM(PMKM) | AKM. | |
Kbk AKMS(PMKMS) | AKMS. | |
Kbkg wz. 1960(PMK-PGN-60) | AK. 라이플 그레네이드 발사 가능. | |
WG-GS-4 라이엇 컨트롤 | AK의 기관부를 이용한 그물 발사기. | |
Kbk wz. 1988 탄탈 | AKS74. | |
Skbk wz. 1989 오닉스 | AKS74U. | |
Kbs wz. 1996 베릴 | AKS74의 현대화 모델.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1996 미니베릴 | wz. 1996의 단축형.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1997 보조 | wz. 1996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 2002 빈 | wz. 1997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Kbs wz. 2004 베릴 | wz. 1996의 현대화 모델. 5.56mm NATO탄 사양. | |
Kbk wz.2005 얀타르 | wz.2002의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rowspan="12" | | 자스타바 M70 | AK·AKM. |
자스타바 M70A | AKS·AKMS. | |
자스타바 M72 | RPK. | |
자스타바 M76 | M70 저격소총. 7.92x57mm탄 사양. | |
자스타바 M77 | M70. 7.62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80 | M70.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90A | M70A.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85 | AKS74U.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M92 | AKS74U. 7.62x39mm탄 사양. | |
자스타바 M21 | M70의 현대화 카빈. 측면 접이식 총렬. 5.56mm NATO탄 사양. | |
자스타바 마스터FLG | AK 기반의 서브머신건. 9x19mm 파라벨럼탄 사양. | |
자스타바 마스터FLG-K | 마스터FLG를 소형화. | |
rowspan="9" | | PM md.63(AIM) | AKM. 포어그립 부착. |
PM md.65(AIMS) | AKMS. 포어그립 부착. 하부 접이식 총렬. | |
PA md.86(AI-74) | AK74. 포어그립 부착. | |
PA md.86(AIMS-74) | AKS74.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0(AIMS) | AKMS.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0 카빈(AIMR) | PM md.90의 카빈 모델. 측면 접이식 총렬. | |
PM md.97 | AKS74. 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WASR | AK100. 목재 부품 사용. | |
FPK(PSL) | 저격소총. 7.62x54mmR탄 사양. | |
rowspan="5" | | AK-55 | AK. |
AKM-63 | AKM. 포어그립 부착. | |
AMD-65 | AKMS 카빈. 포어그립 부착. 측면 접이식 총렬. | |
AMP-69 | AMD-65의 간이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FEG-NGM | AKM. 5.56mm NATO탄 사양. | |
rowspan="16" | | AKK | AK III형. |
AKKS | AKS. | |
아르세날 AR | AK.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F | AKS.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1 | AK. 플래시 서프레서 장비.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1F | AKS. 플래시 서프레서 장비.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1 | AK74.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1F | AKS74.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2F | AK102·AK104.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4SF | AKS74U. 5.56mm NATO탄과 7.62x39mm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SF | AKS74U. 5.56mm NATO탄과 7.62x39mm탄 사양. 하부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AR-M7F | AK101·AK103.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M9 | AK74. 5.56mm NATO탄 사양.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M9F | AKS74·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절삭 가공 레시버. | |
아르세날 SLR-100 시리즈 | AK100 시리즈에 상당. | |
ISD 불가리아 BSR-47 | 민간용. 레시버는 AKM에 준한 프레스 가공[84]. | |
rowspan="2" | | 베프르 | AK74의 불펍 사양. 5.45x39mm탄 사양. |
말류크 | 베프르의 개량판. 5.45x39mm탄 사양. | |
이스라엘 | 칼라시니코프 시제 소총 | 갈릴의 시제품 중 하나. 5.56mm NATO탄 사양. 외관은 AK. |
갈릴 ARM | 5.56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핀란드의 발메 기반. | |
갈릴 AR | ARM의 간이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SAR | AR의 카빈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MAR | AR의 단축형.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ARM 308 | ARM.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AR 308 | AR.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SAR 308 | SAR.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갈릴 저격총(갈라츠) | 저격소총. 7.62mm NATO탄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
사르디우스 M26 | 갈릴 기반의 저격소총. | |
갈릴 에이스 21·22·23 | 5.56mm NATO탄 사양의 개량형 MAR·SAR·AR | |
갈릴 에이스 31·32 | 7.62x39mm탄 사양의 개량형 MAR·AR. | |
갈릴 에이스 52·53 | 7.62mm NATO탄 사양의 개량형 SAR·AR. | |
CAA AK 알파 | 독자 개량 AK. 복수 구경 대응. | |
터키 | SAR-308 | AKM. |
이란 | KL-7.62mm | AKM·AKMS. |
이라크 | 타부크 | M70B1(AKM)·M70AB1(AKMS). 형식 번호에 따른 구분 없음. |
타부크 저격소총 | M70 저격소총. 7.62x39mm탄 사양. | |
rowspan="2" | | MPi-KMS-72 | 동독제 이집트향 수출 사양. 측면 접이식 총렬. |
MISR | AKM의 현대화 모델. | |
인도 | INSAS | AK 기반. 5.56mm NATO탄 사양. |
rowspan="5" | | 발메 Rk 62 | 고정 총렬. |
발메 Rk 76 | 측면 접이식 총렬. | |
발메 M82 |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발메 M90 | 현대화 모델. | |
발메 Rk 95 TP | M90의 개량형.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R4 | 갈릴 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R5 | 갈릴 S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
R6 | 갈릴 MAR. 벡터사의 라이선스 생산. | |
벡터 CR21 | 강화 수지 외장. 불펍 사양. 5.56mm NATO탄 사양. | |
트루벨로 랩터 | R4 기반. 트루벨로사 설계. | |
이탈리아 | 예거 AP80 | AK III형. .22LR탄 사양. |
예거 AP84 | 갈릴 AR. 외관이 다른 .22LR탄 사양. | |
베르날델리 VB-STD | M16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갈릴 AR. | |
베르날델리 VB-SR | M16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갈릴 SAR. | |
FFV-890C | 갈릴 AR. 핸드가드 변경. | |
네덜란드 | NM-1 | 갈릴 ARM. |
D.NM-1·M2 | NM-1을 기반으로 개발. | |
독일 | GSG-AK47 | AKM의 외관을 모방한 프린킹건. .22LR탄 사양. |
미국 | 인터오디너낸스 AK47 | 폴란드제 PMK의 민간용 복제품. 반자동 사격만 가능. |
BHI SOPMOD AK | 군사 강사 회사의 자사 브랜드 총기. | |
센추리온 AK39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KCI KTR-08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K-VAR AKU94 | 불펍 사양. 반자동 사격만 가능. | |
칼라시니코프 KR103 | 민간용. 반자동 사격만 가능. |
테러리스트나 용병(비전투원)이 사용하는 것은 대부분 AK의 비정규·카피품이다.
일본에서도 옴진리교가 발전형인 AK74를 기반으로 총기 밀제조를 시도했던 사건(자동소총 밀제조 사건)이 발각되었지만, 외관만 모방했을 뿐 총신 내경을 정확하게 절삭하지 못해 발사에 위험이 따르는 수준이었고, 경찰의 추적도 있어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파키스탄의 연방 직할 부족 지역에 있는 다라 마을에서는 선반 등 간단한 공작 기계만 가지고 있는 "마을 대장장이"와 같은 공방에서 제조되고 있지만, 정규품과 다른 재질의 강재를 사용하고 열처리·표면 처리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연사로 총신이 가열되면 부재가 녹기 시작하는 수준의 제품이다.
6. 생산
AK-47의 생산은 여러 국가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변형 또한 다양하다. 러시아의 민간기업 칼라시니코프 콘체른(옛 이즈마시)은 외국 제조업체 대다수가 허가 없이 AK형 소총을 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87][188]
다음은 AK-47 및 그 변종의 제조국과 군용 변종을 정리한 표이다.
국가 | 원형 및 계열형 | 군용 변종 |
---|---|---|
알바니아 | ||
아제르바이잔 | 카즈리(AK-74M)[172] | Khazri (AK-74M)[13] |
쿠바 | AKM[173] | AKM |
동독[174] | ||
에티오피아 | AK-47, AK-103 (국영 Gafat Armament Engineering Complex에서 Et-97/1로 현지 생산) | |
헝가리 | ||
인도 | ||
이란 | KLS/KLF (AK-47/AKS), KLT (AKMS) | KLS/KLF (AK-47/AKS), KLT (AKMS) |
나이지리아 | OBJ-006[180][181] | DICON에서 OBJ-006으로 생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8식A/B (Type 3 AK-47/w, 프레스 공법을 가한 합금 리시버)[182][183] | 58식A/B (3형 AK-47/스탬프 강철 접이식 개머리판), 68식A/B (AKM/AKMS), 88식A/B-2 (AK-74/AKS-74/상단 접이식 개머리판) |
파키스탄 | ||
폴란드 | PmK (kbk AK) / PmKS (kbk AKS), Kbk AK, 칼라시니코프 소총 (AK-47/AKS); kbk AKM / kbk AKMS (AKM/AKMS)[185] | |
베네수엘라 | 라이선스 허용, 공장 건설 중[186] | 라이선스 허가, 공장 건설 중 |
아르메니아 | K-3 (불펍, 5.45×39mm) | |
방글라데시 | 중국 56식 | |
불가리아 | ||
캄보디아 | 중국 56식, 소련 AK-47, AKM | |
중국 | 56식 | |
콜롬비아 | 갈릴 ACE, 갈릴 코르도바 | |
크로아티아 | APS-95 | |
이집트 | AK-47, 미스르 소총 (AKMS), 마아디 ARM (AKM) | |
핀란드 | Rk 62, 발메트 M76 (다른 이름 Rk 62 76, M62/76), 발메트 M78 (경기관총), Rk 95 Tp | |
이라크 | 타부크 저격 소총, 타부크 소총 (고정형 또는 언더폴딩 개머리판, 유고슬라비아 M70 소총 시리즈의 완전 복제품), 타부크 단축형 소총 (카빈) | |
이스라엘 | ||
이탈리아 | 베르나르델리 VB-STD/VB-SR (갈릴 AR/SAR) | |
루마니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R4 소총, 트루벨로 랩터, 벡터 CR-21 (불펍) | |
수단 | MAZ (56식 기반) | |
튀르키예 | SAR 15T,[14] SAR 308[15] | |
우크라이나 | 베프르 (불펍, 5.45×39mm), 말류크 (불펍) | |
미국 | ||
베트남 | AKM-1 (AKM), TUL-1 (RPK), 갈릴 ACE 31/32, STV 소총 | |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 M64, M70, M72, M76, M77, M80, M82, M85, M90, M91, M92, M99, M21 |
이 외에도, 일본의 오움진리교가 AK-74를 기반으로 총기 밀제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자동소총 밀제조 사건)
2006년 당시, AK의 제조 라이선스를 보유한 곳은 이즈마시뿐이었지만, 과거 라이선스 생산을 했던 국가들 대부분이 제조를 계속하고 있으며, 밀제품도 많아 정확한 생산 규모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AK가 수입되었으며, 1995년에 판매가 금지되었다가 2004년에 재개되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대러시아 경제 제재로 인해 AK 재고가 바닥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2016년에는 미국 기업 칼라시니코프USA가 미국 내에서 AK-47 제조를 시작했다.[100]
7. 사용국
AK 소총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총으로, 정부군, 반군, 테러 단체, 민간인 등 다양한 집단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는 암시장에서 매우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기도 한다.
AK 소총은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생산 또는 불법 복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와 수는 매우 다양하다.
AK 소총이 사용된 주요 분쟁은 다음과 같다:
- 1950년대
- 1956년 헝가리 혁명[47]
- 베트남 전쟁 (1955년-1975년)[47]
- 1960년대
- 콩고 위기 (1960년-1965년)[48]
- 포르투갈 식민 전쟁 (1961년-1974년)
- 로드지아 부시 전쟁 (1964년-1979년)[49]
- 북아일랜드 분쟁 (1960년대 후반-1998년)[49]
- 1970년대
-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 에티오피아 내전 (1974년-1991년)[50]
- 2000년대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이라크 전쟁 (2003년-2011년)
- 2010년대
- 시리아 내전 (2011년-현재)[34][40]
- 말리 전쟁 (2012년-현재)[38]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현재)
- 2020년대
- 미얀마 내전 (2021년-현재)[35][36]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현재)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현재)[33]
국가 | 제식명칭 | 비고 |
---|---|---|
아프가니스탄 | ||
알바니아 | ||
알제리 | ||
앙골라 | ||
아르메니아 | ||
아제르바이잔 | ||
방글라데시 | ||
벨라루스 | ||
베냉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보츠와나[20] | ||
불가리아 | ||
부르키나파소 | ||
부룬디 | ||
캄보디아 | ||
카보베르데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
차드 | ||
칠레 | ||
중국 | 56식 | |
코모로 | ||
콩고 공화국 | ||
쿠바 | ||
콩고 민주 공화국 | ||
지부티 | ||
이집트 | ||
적도 기니 | ||
에리트레아 | ||
에티오피아 | ||
핀란드[21] | ||
가봉 | ||
조지아 | ||
그리스 | 헬레닉 경찰의 대테러부대 EKAM에서 사용 | |
기니 | ||
기니비사우 | ||
가이아나 | ||
헝가리 | ||
인도 | ||
인도네시아[22] | ||
이란 | ||
이라크 | ||
이스라엘[23] | ||
카자흐스탄 | ||
키르기스스탄 | ||
라오스 | ||
레바논 | ||
레소토 | ||
라이베리아 | ||
리비아 | ||
마다가스카르 | ||
말리 | ||
몰도바 | ||
몽골 | ||
모로코 | ||
모잠비크 | ||
나미비아[24] | ||
니카라과[25] | ||
북한 | 58식 | |
북마케도니아 | ||
파키스탄 | 육군에서 사용[26] | |
페루 | ||
카타르 | ||
루마니아 | ||
상투메 프린시페 | ||
사우디아라비아[27] | ||
세르비아 | ||
세이셸 | ||
시에라리온 | ||
소말리아 | ||
수단 | ||
수리남 | ||
시리아 | ||
타지키스탄 | ||
탄자니아 | ||
태국 | 타한 프란에서 사용[28] | |
토고 | ||
터키 | ||
투르크메니스탄 | ||
우크라이나 | ||
미국[29][30] | ||
우즈베키스탄 | ||
베트남 | ||
예멘 | ||
잠비아 | ||
짐바브웨 |
8. 문화적 영향
냉전 시기, 소련과 중국은 물론 미국과 다른 NATO 국가들도 전 세계 여러 나라와 반군 세력에 무기와 기술을 제공했다. 이 시기 서방 국가들은 FN FAL, HK G3, M14, M16과 같은 비교적 값비싼 자동 소총을 사용한 반면, 러시아와 중국은 AK-47을 사용했다. AK-47의 저렴한 생산 비용과 쉬운 제조 방식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1]
친공산 국가에서 AK-47은 제3세계 혁명의 상징이 되었다. 이들은 캄보디아 내전과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되었다.[58] 1980년대 소련은 서방 국가들의 금수 조치를 받는 국가들, 특히 리비아와 시리아와 같은 중동 국가들에게 주요 무기 공급국이 되었으며, 이들 국가는 이스라엘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환영했다. 소련 붕괴 이후 AK-47은 마약 카르텔과 독재 국가를 포함한 현금을 가진 모든 집단에 공개적으로 그리고 암시장에서 판매되었으며, 최근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의 알카에다, ISIL, 탈레반과 같은 이슬람 단체와 콜롬비아의 FARC, 콜롬비아 혁명군 게릴라의 손에 들려 있는 것이 목격되었다.
러시아에서 칼라슈니코프는 엄청난 국가적 자부심의 원천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칼라슈니코프 보드카는 AK-47 칼라슈니코프 모양의 기념품 병으로 판매되었다. 또한 칼라슈니코프 시계, 우산, 그리고 칼도 있다.
칼라슈니코프 박물관(AK-47 박물관이라고도 함)은 2004년 11월 4일 우드무르트 공화국의 이제프스크에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칼라슈니코프 장군의 전기를 기록하고 AK-47의 발명을 기록한다. 칼라슈니코프 소형 무기의 박물관 단지, 일련의 홀, 멀티미디어 전시회는 AK-47 소총의 진화에 전념하며 매달 1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
2017년 9월 19일 모스크바 중심부에 9m 높이의 칼라슈니코프 기념비가 공개되었다. 나중에 경찰에 체포된 시위대는 "무기 제조자는 죽음의 창조자"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펼치려고 시도했다.[59]
이 무기의 확산은 단순한 숫자 이상을 반영한다. AK-47은 모잠비크 국기와 모잠비크 국장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모잠비크가 AK-47의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동티모르 국장, 짐바브웨 국장, 그리고 혁명 시대 부르키나파소 국장의 국장, 그리고 헤즈볼라 국기, 시리아 저항, FARC-EP, 신인민군, TKP/TIKKO, 국제혁명인민게릴라부대의 깃발에도 있다.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은 AK-47을 냉전 시대와 현재의 적과 자주 연관짓는다. 예를 들어 서구의 허구 작품(영화, 텔레비전, 소설, 비디오 게임)은 종종 범죄자, 갱단원, 반군, 테러리스트가 AK-47을 선택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묘사한다. 반대로 개발도상국 전역에서 AK-47은 외세 점령, 제국주의, 또는 식민주의에 맞선 혁명가들과 긍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AK-47이 이 기간 동안 공화파 준군사 조직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북아일랜드 분쟁과 관련이 있다.[60] 2013년, 폐기된 AK-47이 "''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아일랜드 역사''" 컬렉션에 포함되었다.[61]
AK-47은 미국 대중 문화에서 니콜라스 케이지 영화 ''로드 오브 워''(2005)에서 반복적으로 주목받는 무기로 등장했다. 영화의 수많은 독백은 무기와 세계 분쟁 및 무기 밀매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영국 및 다른 국가의 민간 군사 기업 계약자들은 AR-15와 같은 서구 화기를 함께 AK-47과 그 변형을 사용했다.[62]
2006년 콜롬비아 음악가이자 평화 운동가인 세사르 로페즈는 AK를 기타로 개조한 ''에스코페타라''를 고안했다. 하나는 대인 지뢰 피해자를 돕기 위해 열린 모금 행사에서 17000USD에 팔렸고, 다른 하나는 유엔 군축 회의에 전시되었다.
멕시코에서는 AK-47을 곡선형 탄창 디자인 때문에 "쿠에르노 데 치보"(말 그대로 "염소의 뿔")라고 부른다. 멕시코 마약 카르텔의 선택 무기 중 하나이다. 때때로 멕시코 민속 음악 가사에서 언급되기도 한다.
금속 재료의 품질이나 열처리, 가공 정밀도·표면 처리가 다소 나빠도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품질의 것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는 해적판이 다수 유통되고 있으며, 국제앰네스티 등의 단체에 의한 “컨트롤 암즈 캠페인”은 생산 설비가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세계 전역에서 불법적인 무기상이나 무장 민병, 범죄자가 AK-47을 쉽게, 대량살상무기로서 분쟁과 빈곤을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컨트롤 암즈가 2006년에 발표한 보고서 The AK-47: the world's favourite killing machine영어 ('''AK-47: 세계 최강의 살인 기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500만~700만 정 정도의 AK 계열 소총이 유통되고 있다.[93][94]
소비에트 연방은 냉전기, 동구권 우방국에 대해 대량의 AK를 제공했다. 또,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라이선스 생산도 인정했다. 이 때문에 7.62mm 구경의 AK는 막대한 수가 생산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소총이 되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소련으로부터 구입한 생산 라이선스의 기한이 만료된 후에도 제조를 계속하여, 제3국의 군대에 제공하거나, 또는 매각하여, 중국제 AK 생산량은 소련제 AK를 넘어서게 되었다.[95] 2004년 85세 생일을 앞두고, 개발자 미하일 칼라슈니코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라이선스 만료에도 불구하고 AK 제조를 계속하고 있다. 그것이 분쟁 지역에 유통되어 AK의 평가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은 슬픈 일이다”라고 아사히신문의 취재에 언급하고 있다.[96]
칼라슈니코프는 이러한 사용은 본의가 아니며, “컨트롤 암즈” 캠페인에 보낸 성명에서 “무기의 매매에 관한 국제적인 규제가 부족하기 때문에 소형 무기는 쉽게 세계에 확산되어 국방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침략자나 테러리스트 등, 모든 범죄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나는 텔레비전에서 범죄자가 칼라슈니코프를 손에 들고 있는 것을 볼 때, 어떻게 그들은 이 무기를 손에 넣었을까 하고,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하고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94] 칼라슈니코프는 AK를 어디까지나 국방을 위해 설계했던 것이며, 범죄나 분쟁에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자주 우려했다.[97]
참조
[1]
웹사이트
AK47 assault rifle designer Kalashnikov dies at 94
https://www.bbc.com/[...]
2013-12-23
[2]
웹사이트
Mikhail Kalashnikov, inventor of AK-47, dies at 94
https://edition.cnn.[...]
2013-12-23
[3]
서적
The AK47 Story, Evolution of the Kalashnikov Weapons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1986
[4]
서적
The AK-47 and AK-74 Kalashnikov Rifles and Their Variations
https://books.google[...]
North Cape Publications Inc.
2004
[5]
뉴스
For Patriotism and Profit: An interview with Mikhail Kalashnikov
http://www.worldpres[...]
2001-04-22
[6]
웹사이트
AK and StG – Kissing Cousins
https://www.forgotte[...]
2012-12-12
[7]
문서
2.6 lb milled from 6 lb stock. This was about 2.2 lb heavier than the stamped receiver.
[8]
웹사이트
Rifle 101: Replicating True Soviet/Russian Shellac Finish
https://internationa[...]
2020-01-31
[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Kalashnikov Magazine Part 1: Metal Magazines
https://www.thefirea[...]
2016-09-17
[10]
웹사이트
Instruction Manual Model MAK-90 Semi-Automatic Rifle
http://www.mouseguns[...]
null
[11]
서적
The Illustrated Directory of 20th Century Guns
Salamander Books Ltd
2001
[12]
웹사이트
Albanian Small Arms
http://aftermathgunc[...]
2015-04-20
[13]
웹사이트
Azerbaijan began serial production of AK-74M rifles under Russian license
http://www.armstrade[...]
Centre for Analysis of World Arms Trade
2011-07-08
[14]
웹사이트
SAR 15T
https://www.sarsilma[...]
Sarsılmaz Arms
null
[15]
웹사이트
SAR 308
https://www.sarsilma[...]
Sarsılmaz Arms
null
[16]
서적
НСД. 7,62-мм автомат АКМ (АКМС)
1983
[17]
웹사이트
System Error Budgets, Target Distributions and Hitting Performance Estimates for General-Purpose Rifles and Sniper Rifles of 7.62 × 51 mm and Larger Calibers
http://apps.dtic.mil[...]
U. S. Army Materiel Systems Analysis Activity
1990-05
[18]
서적
Instruction on small business 7,62- mm Kalashnikov (AK)
Military Publishing House of the Ministry of Defense of the USSR
1967
[19]
문서
Manual on small business. 7.62-mm modernized Kalashnikov assault rifle (AKM and AKMS). – 3rd ed. – Moscow: Military Publishing, 1983. – 160 p., Ill.
[20]
서적
Botswana's Search for Autonomy in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21]
웹사이트
Small Arms Manual 2019
https://puolustusvoi[...]
Finnish Defence Forces
2019
[22]
웹사이트
Komando Pasukan Khusus (Kopassus)
https://www.shadowsp[...]
2009-01-28
[23]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https://books.google[...]
Jane's Information Group
2009
[24]
뉴스
Namibia: Soldier Claims Ignorance About AK-47 Used to Murder Farmer
http://allafrica.com[...]
2002-12-18
[25]
서적
Central American Wars 1959–89
Osprey Publishing
1990
[26]
웹사이트
Darra Adam Khel: Pakistan's dying gun bazaar
http://www.aljazeera[...]
2019-02-04
[27]
웹사이트
UAE, Saudi Arabia Dispatch Troops to Syria
https://syrianobserv[...]
2018-11-22
[28]
웹사이트
Newly recruited Rangers practice with their AK-47 rifles during a training session at a military camp in Thailand's restive southern Narathiwat province.
https://www.gettyima[...]
2009-05-21
[29]
웹사이트
AKs among U.S. Police Departments
https://www.thefirea[...]
2016-04-12
[30]
웹사이트
Why U.S. Commandos Loved the AK-47 Rifle
https://nationalinte[...]
2019-02-18
[31]
웹사이트
Violence, Crime And Illegal Arms Trafficking In Colombia
https://www.unodc.or[...]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06-11
[32]
뉴스
Meet the secretive Colombian guerrillas who could deal final blow to peace plan
https://www.reuters.[...]
2024-08-21
[33]
뉴스
Hamas fights with a patchwork of weapons built by Iran,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https://apnews.com/a[...]
2024-01-15
[34]
웹사이트
Islamic State Captures Masses of Iranian-supplied Weaponry Near Khanasir
https://www.bellingc[...]
2016-04-16
[35]
뉴스
Myanmar's Anti-Junta Protesters Turning to Rebel Armies for Military Training
https://www.voanews.[...]
2021-04-27
[36]
뉴스
In the jungle with Myanmar's oldest rebel group amid new threat to junta
https://www.washingt[...]
2023-11-24
[37]
뉴스
PKK fighters face life after Turkey withdrawal
https://www.bbc.com/[...]
2013-04-25
[38]
뉴스
Mali fights rebels in north as army officers protest in south
https://www.reuters.[...]
2013-10-01
[39]
뉴스
Another NPA arms cache unearthed in Samar
https://www.pna.gov.[...]
2024-09-06
[40]
뉴스
Here's a look at the weapons the US is sending to Syrian rebels
https://www.business[...]
2016-04-11
[41]
뉴스
Myanmar's hidden war
https://edition.cnn.[...]
2015-11-11
[42]
서적
Illustrated Directory of Twentieth Century Guns
https://books.google[...]
Salamander
[43]
뉴스
Hundreds of foreign fighters join pro-Russian rebels in eastern Ukraine
https://www.abc.net.[...]
2015-09-21
[44]
웹사이트
Violations Of The Laws Of War By The Khmer Rouge
https://www.hrw.org/[...]
1990-04
[45]
잡지
Sri Lanka's Tamil Tigers
https://time.com/arc[...]
1991-09-16
[46]
웹사이트
Vigorous Burmese Student Warriors
https://irp.fas.org/[...]
2000-01-24
[47]
잡지
The Most Influential Weapon of Our Time
http://www.nybooks.c[...]
2011-02-10
[48]
웹사이트
Simba uprising 1964–1965; mercenary with captured AK-47, December 1964
https://www.akg-imag[...]
[49]
서적
Modern African Wars (1): Rhodesia 1965–8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986
[50]
잡지
Ethiopian Military Rifle Cartridges: Part 2: from Mauser to Kalashnikov
https://www.thefreel[...]
2009-03-01
[51]
학술지
Proxy War in Kashmir: Jehad or State-Sponsored Terrorism?
https://ciaotest.cc.[...]
1999-04
[52]
웹사이트
Soviet made AK-47 assault rifles seized during Operation Urgent Fury. On the top of the pile of weapons is the barrel attachment to a 7.62 mm machine gun
https://nara.getarch[...]
1983-10-25
[53]
서적
The Small Arms Survey 2007: Guns and the City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서적
Small Arms Survey 2005: Weapons at War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Small Arms Survey 2007: Guns and the City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Small Arms Survey 2003: Development Denied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7]
뉴스
Centrafrique : le Soudan a-t-il armé les ex-Séléka ?
https://www.jeuneafr[...]
2013-12-17
[58]
뉴스
In The Land Of The Khmer Rouge
https://www.nytimes.[...]
1981-12-20
[59]
뉴스
30ft-high statue of Mikhail Kalashnikov unveiled in Moscow
https://www.theguard[...]
2017-09-19
[60]
서적
IRA: The Bombs and The Bullets. A History of Deadly Ingenuity
Irish Academic Press
2009
[61]
뉴스
A History of Ireland in 100 Objects: Decommissioned AK-47 assault rifle, 2005
https://www.irishtim[...]
[62]
웹사이트
The Privatization of Warfare, Violence and Private Military & Security Companies
http://novact.org/wp[...]
[63]
웹사이트
Weaponomics: The Global Market for Rifles
http://www-wds.world[...]
오ックス포드대학교
2007-04
[64]
웹사이트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70 лет на страже мира
https://kalashnikov.[...]
Kalashnikov Media
[65]
웹사이트
Весьма редкий документ по АК-47
https://ak-info.live[...]
[66]
웹사이트
Клейма и маркировки автоматов и ручных пулеметов Калашникова, произведенных в СССР/России. Описания, фотографии
http://www.ak-info.r[...]
[67]
웹사이트
Biography
http://en.museum-mtk[...]
M.T. Kalashnikov Museum and Exhibition Small Arms Complex
[68]
웹사이트
От АК-46 до АК-48 через АК-47. Описани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фотографии опытных автоматов Калашникова.
http://www.ak-info.r[...]
[69]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ver knew about AK47 Kalashnikov rifle that has killed more people than any other gun
http://www.mirror.co[...]
デイリー・ミラー
[70]
문서
ゴードン・ロットマン(Gordon L. Rottman)
http://www.namiki-sh[...]
[71]
웹사이트
カラシニコフ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9-29
[72]
웹사이트
Voloknit
https://encyclopedia[...]
Farlex, Inc.
2024-05-24
[73]
웹사이트
Фенопласт (Волокнит)
http://stailgroup.ru[...]
ООО "Стайл групп"
2024-05-24
[74]
웹사이트
ВОЛОКНИТЫ
https://xumuk.ru/enc[...]
XuMuK.ru
2024-05-24
[75]
웹사이트
Боевые полимеры для АК
https://warspot.ru/2[...]
2024-05-24
[7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легких магазинов к автомату Калашникова
https://dzen.ru/a/Yl[...]
2024-05-24
[77]
웹사이트
Магазин из легкого сплава к автомату Калашникова
https://dzen.ru/a/ZD[...]
2024-05-24
[78]
웹사이트
Ижевский штык-нож 6Х4 из полиамида-6 для АК. Описание, история, фотографии
http://www.ak-info.r[...]
2024-05-24
[79]
웹사이트
Прессматериалы АГ-4В, АГ-4С
https://dmc-20-pm.ru[...]
2023-06-15
[80]
서적
Weapons Tests And Evaluations: The Best Of Soldier Of Fortune
Paladin Press
[81]
웹사이트
Магазин пластмассовый к АКМ (6Л10). Комплект заводских чертежей. 1968 г.
http://www.ak-info.r[...]
2024-05-24
[82]
웹사이트
Автомат военного времени 6П1В (модель 1970 г.). Статья Павла П. 2021 г.
http://www.ak-info.r[...]
2023-07-05
[83]
웹사이트
Приказ Министра обороны СССР №232 от 7 сентября 1962 г. О принятии на вооружение Советской Армии авт
https://ak-info.live[...]
2023-06-15
[84]
간행물
月刊Gun Professionals 2024年3月号
株式会社ホビージャパン
2024-01-27
[85]
웹사이트
The legend of AKMSU – mysterious AK that never was
https://www.thefirea[...]
2022-02-07
[86]
웹사이트
ARCUS Co. - Products
http://www.arcus-bg.[...]
2015-04-08
[87]
웹사이트
40x46mm ARSENAL Underbarrel Grenade Launcher - UBGL-M6
http://www.arsenal-b[...]
2015-04-08
[88]
웹사이트
40mm granatniki jednostrzałowe
http://dezamet.com.p[...]
2015-04-08
[89]
웹사이트
Элементы и батареи для малогабаритных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ов, радиоприемников, аппаратуры связи и другой аппаратуры
https://electro.mash[...]
Mashinform.ru
2023-07-17
[90]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11-2012
Janes Information Group
2011-01-27
[91]
서적
幻の自動小銃―六四式小銃のすべて
光人社
[92]
서적
The Small Arms Problem in Central Asia: Features and Implications
United Nations Publications UNIDIR
2000-01-01
[93]
웹사이트
The AK-47: the world's favourite killing machine
http://www.oxfam.de/[...]
controlarms.org
2011-10-12
[94]
웹사이트
AK-47:世界で最も野放しになっている武器
http://www.amnesty.o[...]
2015-04-08
[95]
뉴스
中国対ロシア:どちらのAKが優れているか
https://jp.rbth.com/[...]
2019-07-16
[96]
뉴스
「紛争地に自分の銃、悲しい」自動小銃AK47の開発者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04-09
[97]
뉴스
カラシニコフ氏が死去 自動小銃「AK47」を開発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04-09
[98]
뉴스
車のおまけは自動小銃?米自動車店が仰天キャンペーン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4-07-20
[99]
뉴스
米国でAK-47の売り上げ増加、ロシア制裁で駆け込みか
https://www.cnn.co.j[...]
CNN
2014-07-20
[100]
웹사이트
ロシア生まれのカラシニコフ、米フロリダ州で製造開始へ
https://www.cnn.co.j[...]
2020-02-17
[101]
웹사이트
American-Made AK-47 Rifles Compete - Gun Tests Article
https://www.gun-test[...]
2020-02-17
[102]
harvnb
[103]
서적
The AK47 Story, Evolution of the Kalashnikov Weapons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1986
[104]
서적
The AK-47 and AK-74 Kalashnikov Rifles and Their Variations
https://books.google[...]
North Cape Publications Inc.
2004
[105]
웹사이트
Weaponomics: The Global Market for Rifles
http://www-wds.world[...]
옥스퍼드 대학교
2007-04
[106]
웹사이트
AK-47 Inventor Doesn't Lose Sleep Over Havoc Wrought With His Invention
http://www.foxnews.c[...]
2007-07-06
[107]
웹사이트
AKM (AK-47) Kalashnikov modernized rifle, caliber 7.62mm
http://www.izhmash.r[...]
[108]
웹사이트
M16 Rifle Case Study. Prepared for the Presidents Blue Ribbon Defense Panel
http://pogoarchives.[...]
1970-03-16
[109]
웹사이트
The AK-47: Questions About the Most Important Weapon Ever
http://www.popularme[...]
2010-10-12
[110]
저널
Machine Carbine Promoted: M.P.43 Is Now "Assault Rifle 44"
http://www.lonesentr[...]
U.S.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1945-04-01
[1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alashnikov Gun
http://english.pravd[...]
2003-08-02
[112]
웹사이트
Mikhail Kalashnikov: The Father of 100 Million Rifles
http://www.fieldands[...]
2006-02-01
[113]
서적
Small Arms Identification and Operations Guide - Eurasian Communist Countries
http://www.virginia1[...]
U.S. Army Foreign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of the U.S. Army Materiel Command
1973-09-01
[114]
뉴스
Mikhail Kalashnikov: 'I sleep soundly'
https://www.theguard[...]
2003-10-10
[115]
뉴스
Russia celebrates Mikhail Kalashnikov's 90th birthday – the designer who armed the world
https://www.telegrap[...]
Rossiyskaya Gazeta
2009-10-28
[116]
뉴스
For Patriotism and Profit: An interview with Mikhail Kalashnikov
http://www.worldpres[...]
2001-04-22
[117]
웹사이트
AK-47 Inventor Doesn't Lose Sleep Over Havoc Wrought With His Invention. An interview with Mikhail Kalashnikov
http://www.foxnews.c[...]
2007-07-06
[118]
웹사이트
AK-47 AKM
http://world.guns.ru[...]
2011-01-24
[119]
서적
Kraft+
[120]
저널
(harvnb 참조)
[121]
웹사이트
Mikhail Kalashnikov
http://www.powercust[...]
[122]
서적
The Gun Digest Book of The AR-15 (Vol. 3.)
Gun Digest Books
2010-01-01
[123]
저널
(harvnb 참조)
[124]
웹사이트
Kalashnikov AK (AK-47) AKS, AKM and AKMS rifles (USSR)
http://world.guns.ru[...]
2015-11-25
[125]
서적
Assault Rifle
https://books.google[...]
Crowood Press
[126]
웹사이트
AK and StG – Kissing Cousins
https://www.forgotte[...]
2012-12-12
[127]
서적
The AK47 story: Evolution of the Kalashnikov Weapons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1986-01-01
[128]
웹사이트
Russian AK-49
https://www.forgotte[...]
2018-05-23
[129]
웹사이트
Type 2 & Type 3 AK-47
http://browningmgs.c[...]
[130]
웹사이트
An AK for Every Market
http://www.strategyp[...]
2003-04-23
[131]
서적
The Battle Rifle: Development and Use Since World War II
McFarland
2014-01-01
[132]
서적
Future Weapons
https://archive.org/[...]
Berkley Caliber
[133]
서적
Land Forces Weapons: Export Catalogue
https://www.scribd.c[...]
Rosoboronexport
[134]
서적
Textbook of Military Medicine, Part I: Warfare, Weaponry, and the Casualty, Vol. 5, Conventional Warfare: Ballistic, Blast, and Burn Injuries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the Army
1990-01-01
[135]
웹사이트
Patterns of Military Rifle Bullets
http://www.ciar.org/[...]
[136]
웹사이트
Time for a Change: U.S. Military Small Arms Ammunition Failures and Solutions
http://www.dtic.mil/[...]
2008-05-21
[137]
저널
Wounding effects of the AK-47 rifle used by Patrick Purdy in the Stockton, California, schoolyard shooting of January 17, 1989
https://apps.dtic.mi[...]
1990-09-01
[138]
서적
Textbook of Military Medicine, Part I: Warfare, Weaponry, and the Casualty, Vol. 5, Conventional Warfare: Ballistic, Blast, and Burn Injuries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the Army
1990-01-01
[139]
웹사이트
Military rifle bullet wound patterns
http://www.uthr.org/[...]
University Teachers for Human Rights (Jaffna), Sri Lanka
[140]
웹사이트
Military rifle bullet wound patterns comparison charts
http://www.frfrogspa[...]
[141]
서적
AK-47 Operator's Manual
U.S. Department of the Army
[142]
잡지
Kalashnikovs – 3 of the best
http://www.arsenalin[...]
2015-11-25
[143]
웹인용
AK 47 Technical Manual
https://www.scribd.c[...]
2014-10-02
[144]
웹인용
Rifle 101: Replicating True Soviet/Russian Shellac Finish
https://internationa[...]
2023-03-31
[145]
웹인용
Identifying & Collecting the 7.62×39 AK-47/AKM Magazine
http://sadefensejour[...]
2014-10-02
[146]
웹인용
The many uses of an AK-47 magazine
https://www.youtube.[...]
2015-11-25
[147]
웹인용
AK 47 Technical Description – Manual
https://www.scribd.c[...]
2012-08-23
[148]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the Kalashnikov Magazine Part 1: Metal Magazines
https://www.thefirea[...]
2020-01-28
[149]
저널
Kalashnikovs - 3 of the best
http://www.arsenalin[...]
2012-06-15
[150]
논문
Elastic characteristics of AG-4S glass-reinforced plastic under short-time and long-time loads
[151]
문서
Kokalis, p.49.
[152]
보고서
ADA046961: Rifle Evaluation Study
https://apps.dtic.mi[...]
United States Army, Combat Development Command
2015-11-25
[153]
웹인용
Are Kalashnikov magazines as robust as their reputation? He tormented a selection of AR magazines last year, now he takes on the AK. The results you may find surprising.
http://www.thefreeli[...]
2014-10-02
[154]
웹인용
AK Bayonets 101 – The Four Basic Types
http://worldbayonets[...]
2015-11-25
[155]
웹인용
40 mm underbarrel grenade launcher GP-34
http://www.izhmash.r[...]
2012-10-20
[156]
서적
Russian Close Combat Weapon
Association "Defense Enterprises Assistance League"
[157]
서적
Operator's Manual for AK-47 Rifle
https://www.ar15.com[...]
Department of the Army
2015-11-25
[158]
웹인용
7.62 mm Kalashnikov assault rifles AK103, АК104
http://www.izhmash.r[...]
2012-06-08
[159]
웹인용
Instruction Manual Model MAK-90 Semi-Automatic Rifle
http://www.mouseguns[...]
2016-01-12
[160]
웹인용
wz.88 Tantal
http://www.forgotten[...]
2014-10-02
[161]
웹인용
Arsenal 7.62mm "Arsenal" Rifle AR-M1 and with Folding Butt AR-M1F
http://www.arsenal-b[...]
2014-10-02
[162]
저널
The Most Popular Gun in the World
http://www.thenewatl[...]
2014-07-01
[163]
웹인용
Soviet Weapon-System Acquisition
https://www.scribd.c[...]
Technical Information Department
2017-09-08
[164]
서적
Gun Digest Shooter's Guide to AKs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16-06-15
[165]
웹인용
Dictionary - Definition of RK 62
http://www.websters-[...]
2022-02-03
[166]
웹인용
Modern Firearms
http://world.guns.ru[...]
2014-10-25
[167]
웹인용
Konetuliaseet ja automaattipistoolit
http://www.students.[...]
2007-09-02
[168]
뉴스
Galil ACE: IWI Brings the AK Into the Modern Era.
https://www.american[...]
2017-12-28
[169]
서적
Kalashnikov AK47 Series: The 7.62 x 39mm Assault Rifle in Detail
The Crowood Press
2013-06-01
[170]
웹인용
History of Zastava Arms 1945–1970
http://www.zastava-a[...]
2014-11-16
[171]
웹인용
Albanian Small Arms
http://aftermathgunc[...]
2015-04-20
[172]
웹인용
http://www.armstrade[...]
Centre for Analysis of World Arms Trade
2011-07-08
[173]
웹인용
Kalashnikov Arms Versions
http://kalashnikov.g[...]
[174]
웹인용
Автомат (штурмовая винтовка) серии MPi-K / MPi-AK
http://weapon.at.ua/[...]
2013-02-19
[175]
웹인용
Advertisement flyer for manufacturing capabilities of the Gafat Armament Engineering Complex
http://ethiopiabook.[...]
2014-01-23
[176]
웹사이트
Венгрия – Штурмовые винтовки / Автоматы
http://weapon.at.ua/[...]
2014-10-02
[177]
웹사이트
Why General Kalashnikov couldn't sell the AK in India
http://indiatoday.in[...]
2013-12-30
[178]
웹사이트
Assault Rifle 7.62 mm
http://ofbindia.nic.[...]
[179]
웹사이트
Bernardelli company profile and history
http://www.bernardel[...]
2013-02-20
[180]
뉴스
Nigeria to mass-produce Nigerian version of AK-47 rifles
http://english.peopl[...]
2014-10-02
[181]
웹사이트
Military Products
http://www.dicon.gov[...]
2014-10-02
[182]
서적
North Korea Country Handbook
U.S. Department of Defense
1997
[183]
서적
North Korea Country Handbook
U.S. Department of Defense
1997
[184]
웹사이트
Russia confronts Pakistan, China over copied weapons
http://www.upiasia.c[...]
2009-11-16
[185]
웹사이트
Poland: Assault Rifles
http://weapon.at.ua/[...]
2013-02-19
[186]
뉴스
Defense Focus: Venezuela's Kalashnikovs
http://www.upi.com/I[...]
2008-10-19
[187]
웹사이트
Восточная Европа захватила рынок продаж автоматов Калашникова
http://www.lenta.ru/[...]
2006-06-13
[188]
웹사이트
'Ижмаш' подсчитал контрафактные автоматы Калашникова
http://lenta.ru/news[...]
2006-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