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는 1992년 미국에서 설립된 단체로, 동성애를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과학적 근거 부족과 윤리적 문제로 인해 학계와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2011년 캘리포니아 행동 과학 위원회에서 퇴출되고, 2012년에는 미국 국세청으로부터 세제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미국 심리학회 등 주요 학계는 NARTH의 입장이 비과학적이며 편견과 차별을 조장한다고 비판하며, 동성애 전환 치료의 효과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환 치료 - 탈동성애 운동
탈동성애 운동은 동성애 성향의 변화나 감소를 추구하는 다양한 단체들의 활동을 의미하며, 동성애 치료, 보수적 성 역할 추종, 내면의 평화 추구 등을 목표로 하지만, 효과와 윤리성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증가하고 있고, 과거 참여자 중 일부는 입장을 바꾸거나 사과하기도 한다. - 탈동성애 운동 - 아이 앰 마이클
기독교 목사가 된 게이 활동가 마이클 글래츠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아이 앰 마이클은 제임스 프랭코, 재커리 퀸토, 엠마 로버츠 등이 출연했으며 선댄스 영화제와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 초청된 후 제한 상영 및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 탈동성애 운동 - 스콧 라이블리
스콧 라이블리는 미국의 작가이자 활동가, 정치인으로, 기독교 개종 후 반동성애 운동에 적극 참여하며 《분홍색 卍자》를 통해 동성애와 나치즘의 연관성을 주장하고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미국의 비영리 단체 -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은 앤드루 카네기가 국제 평화 증진을 위해 1910년 설립한 미국의 싱크탱크로, 세계 주요 도시에 센터를 운영하며 국제 협력과 분쟁 해결을 위한 연구 및 활동을 수행한다. - 미국의 비영리 단체 - 후버 연구소
후버 연구소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기부금으로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 소속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이자 기록 보관소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저명 인사들과 관련을 맺고 미국 정계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당파성과 보수적 입장으로 비판받고 있다.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 |
---|
2. 역사
1992년 미국에서 조셉 니콜로시와 찰스 소카라이즈, 벤자민 카우프먼에 의해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가 설립되었다.[1] 이 단체는 과학적 근거 부족과 윤리적 문제로 인해 학계와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2011년 캘리포니아 행동 과학 위원회에서 퇴출되었고, 2012년에는 미국 국세청에 의해 세제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
2. 1. 국제적 상황
1992년 미국에서 조셉 니콜로시와 찰스 소카라이즈, 벤자민 카우프먼에 의해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가 설립되었다.[1] 이 단체는 과학적 근거 부족과 윤리적 문제로 인해 학계와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2011년 캘리포니아 행동 과학 위원회에서 퇴출되었고, 2012년에는 미국 국세청에 의해 세제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2. 2. 한국의 상황
3. 학계 입장
2009년 미국 심리학회는 '종교적으로 편향된 단체가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학계와 충돌하고 있으나, 오랜 전문적인 합의에 의하면 동성애는 건강한 성적 지향의 하나이며, 전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어떤 연구도 존재하지 않고, 동성애가 인격적 결함 내지 실패의 징후이며 치료될 수 있다고 여기는 자들은 보수 기독교 정치 운동에 관련된 사람들로, 동성애자들에게 낙인을 찍으려 시도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2]
국제적으로 모든 주요 학계는 전환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에 대해 경고하는 정책과 지침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 정신의학회와 미국 심리학회, 미국 상담협회, 미국사회사업가협회,[3] 영국 왕립 정신과의사 학회,[4] 호주심리학회등이 포함된다.[5]
미국 심리학회와 왕립 정신과의사 학회는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의 입장이 비과학적이며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우려를 표명하였다.[4][6]
3. 1. 주요 학술 단체의 입장
2009년 미국 심리학회는 '종교적으로 편향된 단체가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학계와 충돌하고 있으나, 오랜 전문적인 합의에 의하면 동성애는 건강한 성적 지향의 하나이며, 전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어떤 연구도 존재하지 않고, 동성애가 인격적 결함 내지 실패의 징후이며 치료될 수 있다고 여기는 자들은 보수 기독교 정치 운동에 관련된 사람들로, 동성애자들에게 낙인을 찍으려 시도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2]국제적으로 모든 주요 학계는 전환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에 대해 경고하는 정책과 지침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 정신의학회와 미국 심리학회, 미국 상담협회, 미국사회사업가협회,[3] 영국 왕립 정신과의사 학회,[4] 호주심리학회등이 포함된다.[5]
미국 심리학회와 왕립 정신과의사 학회는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의 입장이 비과학적이며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우려를 표명하였다.[4][6]
3. 2. 한국 학계의 입장
4. 비판 및 윤리적 문제
4. 1. 인권 침해
4. 2. 유사과학
5. 한국 사회의 대응
5.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5. 2. 시민 사회의 움직임
6. 관련 단체
참조
[1]
웹인용
IRS Exempt Organizations Select Check for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https://web.archive.[...]
2015-04-18
[2]
웹사이트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
http://www.apa.org/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
웹인용
Expert affidavit of Gregory M. Herek, PhD
https://www.webcitat[...]
2010-08-24
[4]
간행물
Statement from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Gay and Lesbian Mental Health Special Interest Group
http://www.rcpsych.a[...]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5]
웹사이트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
http://www.psycholog[...]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6]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apa.org/p[...]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