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카인 (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카인은 1885년부터 1889년까지 사용된 베트남의 연호이다. 1885년 9월 19일에 연호가 제정되었고, 이듬해 2월 4일에 원년으로 개원되었다. 동카인 연호는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동경제가 함응이제를 존중하며 사용을 시작했으며, 1889년 2월 1일에 타인타이로 개원되었다. 동카인 연호가 사용되던 시기는 프랑스 식민 지배와 함응이제의 저항, 동카인제의 즉위와 정치적 혼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카인 (연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묘호 | 익종 (翼宗) |
휘 | 완보정 (阮福暪, Nguyễn Phúc Mãn) |
시호 | 체천목운성철예황제 (體天穆運聖哲睿皇帝) 폐지 후: 홍휴공황제 (弘休恭皇帝) |
연호 | 동카인 (同慶, Đồng Khánh) |
성년식 | 1884년 |
재위 기간 | |
즉위 | 1885년 9월 19일 |
사망 | 1889년 1월 28일 (향년 25세) |
장지 | 사릉 (思陵) |
가족 관계 | |
부황 | 기엔푹티에우 |
모후 | 레티응이어 (黎氏宜) |
황후 | 부반티에우 (武氏紹) 호티킨 (胡氏勤) |
자녀 | 3명의 옹주 (公主) |
2. 연호 제정
함응이 원년 음력 8월 11일(1885년 9월 19일)에 동카인으로 연호를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1886년 2월 4일)에 원년으로 개원했다.[1][2][3][4][5] 함응이 원년 음력 10월 1일(1885년 11월 7일) 이후부터 동카인 을유년(乙酉年)으로 개칭했다.[6][7][4][5]
1885년 7월 4일 (함응이 원년 음력 5월 22일) 함응이 황제의 격문에 의한 항불 근왕 대반란으로 황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동경제는 함응이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에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응이제는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함응이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강해졌고,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원년으로 했다. 동카인 4년(1889년 2월 1일, 음력 1월 2일[8])에 연호를 타인타이로 개원했다.[9][5]
2. 1. 함응이 원년 (1885년)
함응이 원년 음력 8월 11일(1885년 9월 19일)에 연호를 동카인(同慶)으로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1886년 2월 4일)에 원년으로 개원했다.[1][2][3][4][5]함응이 원년 음력 10월 1일(1885년 11월 7일) 이후부터 동카인 을유년(乙酉年)으로 개칭했다.[6][7][4][5]
1885년 7월 4일(함응이 원년 5월 22일) 함응이 황제의 격문에 기인한 항불 근왕 대반란으로 황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동경제는 함응이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응이제는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함응이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강해졌고,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원년으로 했다.
2. 2. 동카인 원년 (1886년)
1885년 7월 4일(함응이 원년 음력 5월 22일) 함의제의 격문으로 인한 항불 근왕 대반란으로 황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동경제는 함의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 함응이 원년 음력 8월 11일(1885년 9월 19일)에 연호를 동카인으로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1886년 2월 4일)에 원년으로 개원했다.[3][4][5]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의제는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함의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강해졌고,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원년으로 했다.2. 3. 동카인 4년 (1889년)
1889년 2월 1일(음력 1월 2일[8])에 연호를 타인타이로 개원함.[9][5]3. 연대 대조표
동카인 | 서기 (西紀) | 간지 (干支) | 청나라 연호 | 일본 연호 |
을유년 | 1885년 | 을유 (乙酉) | 광서 11년 | 메이지 18년 |
---|---|---|---|---|
원년 | 1886년 | 병술 (丙戌) | 광서 12년 | 메이지 19년 |
2년 | 1887년 | 정해 (丁亥) | 광서 13년 | 메이지 20년 |
3년 | 1888년 | 무자 (戊子) | 광서 14년 | 메이지 21년 |
4년 | 1889년 | 기축 (己丑) | 광서 15년 | 메이지 22년 |
3. 1. 동카인 을유년 (1885년)
1885년 7월 4일 (함의 원년 5월 22일), 함의제의 격문에 기인한 항불 근왕 대반란으로 황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동경제는 함의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의제는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함의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강해졌고,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원년으로 했다.
동경 | 을유년 | 원년 | 2년 | 3년 |
서력기원 | 1885년 | 1886년 | 1887년 | 1888년 |
육십간지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황기 | 2545년 | 2546년 | 2547년 | 2548년 |
청 | 광서 11년 | 광서 12년 | 광서 13년 | 광서 14년 |
일본 | 메이지 18년 | 메이지 19년 | 메이지 20년 | 메이지 21년 |
3. 2. 동카인 원년 (1886년)
원년(1886년)은 병술년()이다.[2] 청나라는 광서 12년, 일본은 메이지 19년이었다.[2]
3. 3. 동카인 2년 (1887년)
3. 4. 동카인 3년 (1888년)
4. 동시대 다른 국가의 연호
4. 1. 중국
4. 2. 일본
메이지 (1868년 ~ 1912년)동경 | 을유년 | 원년 | 2년 | 3년 |
---|---|---|---|---|
서력기원 | 1885년 | 1886년 | 1887년 | 1888년 |
육십간지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황기 | 2545년 | 2546년 | 2547년 | 2548년 |
일본의 연호 | 메이지 18년 | 메이지 19년 | 메이지 20년 | 메이지 21년 |
5. 베트남 역사에서의 동카인 연호
1885년 7월 4일(함의 원년 5월 22일) 함의제의 격문으로 프랑스에 대항하는 근왕 대반란이 일어나 함의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동경제가 옹립되었다. 동경제는 함의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의제는 이에 따르지 않아 함의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커졌고,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동경 원년으로 했다.
5. 1. 프랑스 식민 지배와 함응이제의 저항
1885년 7월 4일(함의 원년 5월 22일)에 함의제가 항불 근왕 대반란을 일으켜 후에 왕궁을 탈출하자, 프랑스는 동경제를 옹립하였다. 동경제는 함의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새해 개원 예정으로 연호를 공포했다. 그러나 지방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의제는 이에 따르지 않아 함의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커졌다. 이에 따라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동경 원년으로 삼았다.[1]5. 2. 동카인제의 즉위와 정치적 혼란
1885년 7월 4일(함의 원년 5월 22일) 함의제의 격문에 기인한 항불 근왕 대반란으로 황제가 후에 왕궁을 탈출한 후, 프랑스에 의해 동경제가 옹립되었다. 동경제는 함의제를 존중하며 귀순을 종용했고, 연호도 새해 개원할 예정으로 공포했다.[1] 그러나 지방의 항불 세력을 등에 업은 함의제는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함의 연호 사용에 대한 위화감이 강해졌다.[1] 부득이 구력 10월부터 12월까지를 '''동경 을유년'''이라 칭하고, 1886년부터 원년으로 했다.[1]참조
[1]
문서
을유년(乙酉年) 8월 정축일(丁丑日)
[2]
문서
병술년(丙戌年) 1월 을미일(乙未日)
[3]
서적
《대남식록정편》(大南寔錄正編) 제6기 〈경종식록〉(景宗寔錄) 권1
[4]
웹사이트
《국조정편촬요》(國朝正編撮要) 권6 - 경종순황제(景宗純皇帝)
https://zh.wikisourc[...]
[5]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
[6]
문서
을유년(乙酉年) 10월 병인일(丙寅日)
[7]
서적
《대남식록정편》(大南寔錄正編) 제6기 〈경종식록〉(景宗寔錄) 권2
[8]
문서
기축년(己丑年) 1월 무신일(戊申日)
[9]
서적
《대남식록정편》(大南寔錄正編) 제6기 〈부편〉(附編) 권1 - 성태폐제(成泰廢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