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소필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로소필룸(Drosophyllum lusitanicum)은 석죽목에 속하는 식충식물로, 드로소필룸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끈끈이귀개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분자생물학적 증거에 따라 드로소필룸과로 독립되었다. 포르투갈이 원산지이며, 잎에서 분비하는 점액으로 곤충을 잡는 특징을 갖는다. 여러해살이풀 또는 관목 형태로,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며, 잎은 선형으로 끈끈한 점액질 분비 샘을 가지고 있다. 꽃은 레몬색이며, 씨앗으로 번식한다. 재배 시에는 충분한 일조량이 중요하며, 과습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식물상 - 딜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모로코의 식물상 - 사리풀
사리풀은 유라시아 원산의 유독성 식물로, 전통 약초 의학에서 사용되었으나 강력한 향정신성 작용과 독성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히요스치아민, 스코폴라민 등의 트로판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환각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포르투갈의 식물상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포르투갈의 식물상 - 사리풀
사리풀은 유라시아 원산의 유독성 식물로, 전통 약초 의학에서 사용되었으나 강력한 향정신성 작용과 독성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히요스치아민, 스코폴라민 등의 트로판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환각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스페인의 식물상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스페인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드로소필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식물 분류 | |
![]()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석죽목 |
과 | 드로소필룸과 (Drosophyllaceae) |
과 명명 | Chrtek, Slaviková & Studnicka (1989) |
속 | 드로소필룸속 (Drosophyllum) |
속 명명 | Link |
종 | 드로소필룸 루시타니쿰 (D. lusitanicum) |
학명 | Drosophyllum lusitanicum |
학명 명명 | (L.) Link |
![]() | |
기타 | |
이명 | Drosera lusitanica L. Drosophyllum pedatum Dutailly nom.nud. Rorella lusitanica (L.) Raf. Spergulus droseroides Brot. ex Steud. nom.illeg. |
2. 분류
APG 분류 체계(1998년)와 APG II 분류 체계(2003년)는 드로소필룸과를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의 석죽목으로 분류했다. 포르투갈끈끈이귀개는 이전에는 항상 끈끈이귀개과에 포함시켜 왔는데, 그 이유는 이 식물이 다수의 끈끈이귀개과 식물이 곤충을 잡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적 증거([http://www.mobot.org/MOBOT/Research/APweb/welcome.html AP-웹사이트] 참조)들은 석죽목 내의 모든 식충식물성 분류(끈끈이귀개과, 드로소필룸과, 벌레잡이풀과, 트리피오필룸 펠타툼) 모두를 식충식물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닌 안키스트로클라투스과와 같은 일부 비-식충식물들도 함께 같은 분류군에 속하는 것으로 시사하고 있다.
줄기는 목질화되어 1m를 넘는다. 곁가지가 여러 개 나와 분기하지만, 뿌리 부분에서는 지름 1.5cm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상부가 무거워지면 쓰러지는 경우가 많다. 쓰러져서 땅에 접촉해도 발근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지하부가 새로운 줄기를 내는 일은 없다. 뿌리는 발아 직후에는 1개이지만 이윽고 가늘게 갈라져 땅속으로 뻗어 나간다.
일본에는 다이쇼 시대 말에 도입되었다. 재배가 어렵다는 것이 정설이었지만, 최근에는 쉽다는 견해도 많다. 옛 재배가들 중 몇몇은 포기하고 버린 화분에서 어느새 발아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경험을 기록하고 있다[3][4]。종자의 수명이 길고, 식충식물로서는 건조에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서적
The Carnivorous Plants
Academic Press
1989
학명은 Drosophyllum lusitanicumla(드로소필룸 루시타니쿰)이다. 속명은 '이슬' + '잎', 종소명은 '포르투갈산'을 의미한다. 린네의 『종의 식물』(1753년)에 기재된 원래의 명칭은 끈끈이주걱속의 ''Drosera lusitanica''였다.
크론키스트 체계 등에서는 끈끈이주걱과에 포함되었지만,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1속 1종으로 '''드로소필룸과'''를 이룬다. 이누이시모치소, 이시모치소모도키 등의 일본어 명칭이 있지만, 일본에서 재배해도 끈끈이주걱이나 긴잎끈끈이주걱보다 크게 자라기 때문에 실제와 맞지 않아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3. 형태
잎은 길이 30cm, 폭 0.5cm의 선형으로, 단면은 U자형 또는 현의 중심이 크게 움푹 들어간 반원형이며, 줄기에 밀생한다. 줄기 끝에서 중심의 반대쪽, 즉 바깥쪽에 작은 코일을 형성했던 잎은 차례로 커지면서 신장을 시작한다. 다 자란 직후에는 수직으로 서 있지만, 안쪽으로 차례로 새로운 잎이 생기면서 점차 밀려나 수평에서 아래를 향하게 된다. 말라죽어도 줄기에서 탈락하지 않고, 다수가 장기간 남아 허리 치마의 형상을 나타낸다. 살아있는 잎의 수는 한 줄기에 수십 개에 달한다. 곤충의 눈에는 점액을 띤 잎이 자외선을 흡수하는 마른 잎을 배경으로 더욱 빛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선모(유병선)는 끝이 반구형으로 붉고 코일 측(바깥쪽), 단면으로 말하면 원호 쪽에 늘어선다. 꽃대나 포, 꽃받침에도 다수의 선모가 있지만 아주 작다. 선모라고 부르기 어려운 무병선도 있으며, 이것은 잎 안쪽에서도 보이며, 자극을 받고 처음으로 산성 소화액을 분비한다. 곤충을 잡아도 끈끈이주걱속과 같은 잎몸이나 선모의 굴곡은 발생하지 않는다. 선과 점액에서 인간도 뚜렷하게 맡을 수 있는 달콤하고 시큼한 냄새를 풍기며, 다종다수의 곤충을 잡지만, 유인되는 중에 고양이도 포함된다는 보고가 있다. 고양이를 소화 흡수했다는 보고는 없다.
꽃대는 봄에 줄기 끝에서 올라와 여러 번 분기한다. 짧은 잎을 드문드문 몇 장 붙이는 경우가 있다. 꽃은 5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레몬색이며 지름 4cm 미만이고, 수술은 10개 이상이며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진다. 포를 동반하며 꽃대 끝에서 위를 향해 핀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3cm, 반투명의 가느다란 오각뿔이며, 익으면 끝이 찢어져 뒤집힌다. 꽃대는 말라 죽어도 쓰러지지 않고, 씨앗은 바람에 날릴 때 등에, 열매의 끝에서 떨어진 장소나 비탈의 높은 곳에 떨어져 흩어진다. 씨앗은 열매 하나에 20립 이하, 길이 3mm로 검고, 모양은 서양배나 무화과 열매에 비유된다.
4. 재배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조량 확보이다. 하루 5시간 이상 직사광선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5°C를 넘는 고온이나 영하의 저온에도 견디지만, 식물체는 손상을 입으므로, 이른 봄이나 늦여름에 파종하여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 가혹한 계절을 맞이하게 한다. 발아에는 최소 2주가 소요된다. 종자의 부푼 부분의 측면을 약간 깎아 습하게 한 물수태에 파종하여 수분 흡수를 돕는 경우도 있다. 용토의 과습이 수 주에 걸치면 웃자라서 고사하므로, 3cm 정도의 잎이 나왔을 때 기류사, 카누마토, 적옥토나, 그것들을 혼합한 용토에 심는다. 지피팟 종류를 사용하는 재배가도 있다. 뿌리가 가늘고 약하므로 이후에는 이식하지 않는다. 화분은 5호(직경 15cm) 이상으로 깊은 것을 사용한다. 결실 후에 고사하는 경우가 많아, 일본에서는 이년생 식물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5. 갤러리
참조
[2]
서적
食虫植物
誠文堂新光社
1979
[3]
서적
食虫植物 採り方殖し方
加島書店
1957
[4]
서적
食虫植物
保育社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