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들염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들염소는 소과 염소속에 속하는 야생 동물로, 1777년 요한 크리스티안 폴리카프 에르크슬레벤에 의해 학명이 처음 제안되었다. 현재 마카르, 신드아이벡스, 칠탄아이벡스, 투르크멘 야생염소 등의 아종이 존재하며, 크리크리는 가축화된 염소의 야생화된 후손으로 간주된다. 몸길이는 120~160cm, 어깨 높이는 70~100cm이며, 반달 모양의 뿔이 특징이다. 터키, 코카서스, 이란, 파키스탄 등 유라시아 지역의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무리 생활을 한다. 밀렵, 서식지 감소, 가축과의 경쟁 등으로 개체 수가 위협받고 있으며, 가축 염소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시아의 포유류 - 유라시아늑대
    유라시아늑대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등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는 늑대의 아종으로, 과거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보호 정책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으며, 인간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가축 공격 등의 갈등 사례도 있다.
  • 유라시아의 포유류 - 쇠족제비
    쇠족제비는 족제비속의 작은 포유류로,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설치류를 주로 먹고 겨울에는 흰색 털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한다.
  • 초식성 - 고릴라
    고릴라는 아프리카 중서부 및 중동부의 열대 우림과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서부고릴라와 동부고릴라 두 종으로 나뉘는 대형 유인원으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네발로 이동하며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소리와 행동으로 의사소통하는 온순하고 섬세한 성격을 지닌 동물이다.
  • 초식성 -
    양은 기원전 1만 년 전후 메소포타미아에서 가축화되어 고기 생산을 시작으로 젖, 가죽, 양모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전 세계로 퍼져나간 200종 이상의 품종으로 개량된 작은 반추동물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포유류 - 코사크여우
    코사크여우는 중앙아시아 스텝 및 반사막 지대에 서식하며 붉은여우와 비슷하지만 다리가 길고 귀가 큰 잡식성 동물로, 모피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포유류 - 페르시아표범
    페르시아표범은 표범 아종 중 가장 크고 긴 털과 옅은 몸 색깔, 검은 반점을 가지며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으로,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들염소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위석아이벡스, Capra aegagrus aegagrus
위석아이벡스 (C. a. aegagrus)
학명Capra aegagrus
명명자에르슬레벤, 1777
한국어 이름파산, 노야기 (野山羊)
영어 이름Wild goat, Bezoar, Pasang
멸종 위기 등급취약종(NT)
IUCN 멸종 위기 등급 기준IUCN3.1
IUCN 참고 자료https://www.iucnredlist.org/species/3786/10076632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 - 현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아목소아목
소과
아과양아과
양족
염소속
들염소
아종

2. 분류

요한 크리스티안 폴리카프 에르크슬레벤은 1777년에 코카서스 산맥과 타우루스 산맥의 야생 염소 개체군에 대해 ''Capra aegagrus''라는 학명을 처음으로 제안했다.[3] 1874년 앨런 옥테이비안 휴머는 신드에서 발견된 야생 염소 뿔에 대해 ''Capra blythi''라는 학명을 제안했다.[4]

현재 마카르, 신드아이벡스, 칠탄아이벡스, 투르크멘 야생염소 등이 야생 염소의 아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크리크리는 한때 야생 염소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가축화된 염소가 야생화된 후손으로 간주된다.

2. 1. 아종

3. 형태

몸길이는 120cm~160cm, 꼬리 길이는 15cm~20cm, 어깨 높이는 70cm~100cm이다[16]. 몸무게는 수컷 80kg~110kg, 암컷 32kg~50kg이다[14][16]. 목과 어깨의 털이 길다[15][16]. 배와 허벅지 안쪽의 털은 흰색이다[15][16]. 네 다리의 뒷면과 앞다리 안쪽, 그리고 손목은 흰색 또는 탁한 흰색 털로 덮여 있다[15].

뿔은 반달 모양이며, 끝이 안쪽으로 향한다[14][15][16]. 뿔 길이는 58cm~138cm이다[14][15][16]. 뿔의 단면은 편평한 삼각형이다[15][16]. 뿔의 기부에서 위쪽 뒤쪽으로 능선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끝쪽 능선에는 혹이 있다[15][16]. 뿔 표면에는 약간의 가로 주름이 있다[15].

여름에는 털이 적갈색이다[15][16]. 겨울에는 목과 어깨의 털이 더 길어지고, 털은 회갈색이다[15][16].

수컷 성체는 턱의 털이 매우 길며, 노령 개체에서는 아래턱 전체를 덮는다[15][16]. 또한, 얼굴과 목의 뒷면, 턱과 목, 어깨에서 가슴, 등의 정중선, 네 다리 앞면은 검정색 또는 흑갈색 털로 덮여 있다[15].

4. 분포 및 서식지

야생 염소는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산악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터키에서는 에게 해, 지중해, 흑해 지역, 동남아나톨리아 지역, 그리고 동아나톨리아 지역의 타우루스 산맥과 안티타우루스 산맥 최대 4500m 고도까지 서식한다.

카우카서스 지역에서는 다게스탄, 체첸, 조지아의 안디 코이수 강 유역과 그 지류의 산악림에 최대 2700m 고도까지 서식한다.[5][6]

아르메니아에서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의 현장 조사에서 잔게주르 산맥, 호스로프 주립보호구역, 그리고 스유닉 주 고지대에서 야생 염소가 관찰되었다.[7]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오르두바드 국립공원, 다랄라야즈, 그리고 나흐츠바르 자치공화국의 무로브다그 산악 지역에서 서식한다.[8]

이란의 하프타드 콜레 보호구역에서는 야생 염소 떼가 도로에서 멀리 떨어진 서쪽을 향한 암석 지반, 수원, 그리고 가파른 경사면이 있는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9]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울리 발칸[1]과 코페트다그[10] 산맥에서 야생 염소 개체군이 서식한다. 파키스탄에서는 키르타르 국립공원[11]에서 야생 염소 떼가 서식한다.

키르타르 국립공원의 신드아이벡스


보르조미-하라가울리 국립공원의 야생 염소 새끼
]

야생 염소 떼, 베흐바한
베흐바한의 야생 염소 떼
]

해발 4200m 이하의 산림 사이에 있는 바위지대나 습성 초원, 산림 등에 서식하며, 험준한 절벽을 좋아한다.[15][16]

5. 생태

키르타르 국립공원에서는 1986년 10개월 동안 283마리의 야생 염소 무리를 관찰했는데, 무리의 크기는 2마리에서 131마리까지 다양했지만 계절에 따라 변화했으며, 평균적으로 수컷 한 마리당 암컷 두 마리의 비율을 보였다.[11] 다게스탄에서는 수컷 야생 염소가 12월 중순부터 암컷에게 구애를 시작하며, 발정기는 1월 셋째 주까지 지속된다. 암컷은 6월 말부터 7월 중순 사이에 새끼 1~3마리를 낳는다.[6]

나이 든 수컷은 어린 수컷을 어미 무리에서 몰아낸다. 임신 기간은 평균 170일이다. 새끼는 출생 직후 거의 즉시 이동이 가능하다. 새끼는 6개월 후 이유된다. 암컷 염소는 1.5~2.5년에 성적 성숙에 이르고, 수컷은 3.5~4년에 이른다. 염소의 수명은 12년에서 22년까지 될 수 있다.

해발 4200미터 이하의 산림 사이에 있는 바위지대나 습성 초원, 산림 등에 서식하며, 험준한 절벽을 좋아한다.[15][16] 수컷은 단독 또는 어린 수컷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16] 암컷과 새끼들로 이루어진 5~25마리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지만, 100마리에 달하는 대규모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16] 식성은 초식성으로, 나무의 가지와 잎, 등을 먹는다.[16]

번식 방법은 태생이다. 번식기에는 수컷끼리 서로 직립하여 뿔을 과시하며 위협하거나, 뿔을 서로 부딪쳐 싸운다.[16] 겨울에 교미를 하며, 임신 기간은 150~170일이다.[16] 4~6월에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6] 암컷은 생후 3년에 첫 출산을 하는 경우가 많다.[16]

6. 위협 요인

들염소 개체 수는 밀렵, 벌목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가축과의 먹이 경쟁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1] 뿔이나 고기를 얻기 위한 남획, 가축 염소와의 경쟁과 교잡 등도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다.[16]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6.25 전쟁 이후 무분별한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야생 염소가 거의 사라졌다. 기후 변화 또한 야생 염소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인간과의 관계

야생 염소는 가축화된 염소의 조상으로 여겨진다.[15][16][17] 뿔과 고기를 얻기 위해 남획되고, 가축 염소와의 경쟁 및 교잡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6]

참조

[1] IUCN Capra aegagrus 2022-02-09
[2] 저널 Mitochondrial DNA reveal that domestic goat (Capra hircus) are genetically affected by two subspecies of bezoar (Capra aegagurus)
[3] 서적 Systema regni animalis per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varietates cvm synonymia et historia animalivm. Classis I. Mammalia Weygandt
[4] 저널 Note on two apparently undescribed species of Goat from Northern India and a new species of Dove from the Nicobar Islands https://archive.org/[...]
[5] 서적 Status and Protection of Globally Threatened Species in the Caucasus https://www.cepf.net[...] CEPF, WWF
[6] 저널 On the status and biology of the wild goat in Daghestan (Russia) http://www.mountaine[...]
[7] 서적 Status and Protection of Globally Threatened Species in the Caucasus https://www.cepf.net[...] CEPF, WWF
[8] 서적 Status and Protection of Globally Threatened Species in the Caucasus https://www.cepf.net[...] CEPF, WWF
[9] 저널 Habitat associations of wild goat in central Iran: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http://www.academia.[...] 2022-07-00
[10] 서적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urkmenistan Springer
[11] 저널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Group Composition of Capra aegagrus in Kirthar National Park, Pakistan
[12]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13] 저널 Bezoar (Capra aegagrus) is a matriarchal candidate for ancestor of domestic goat (Capra hircus): evidence from the mitochondrial DNA diversity
[14]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5]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7 (偶蹄目III) 東京動物園協会
[16]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 講談社
[17] 뉴스 古代家畜ヤギのDNA系統を解析 8千年前頃に肥沃な三日月地帯から家畜ヤギが拡散した証拠を示す 名古屋大学プレスリリース 2016-05-30
[18] IUCN Capra aegagrus https://www.iucnredl[...] IUCN 2019-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