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조지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조지아는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한 국가로, 수도는 트빌리시이다. 국어는 조지아어이며,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러시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하며, 이슬람교와 아르메니아 사도교도 존재한다. 조지아는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 원수, 총리가 정부 수반이다.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독립했으나, 내전과 분쟁을 겪었다. 2000년대 초 경제 개혁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흑해 연안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국제 운송 회랑으로 발전하고 있다. 조지아는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 중이며, NATO 가입도 모색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오랜 역사를 통해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해 왔으며, 고유한 건축 양식, 요리, 음악, 와인 제조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 - 조지아의 국호
    조지아의 국호는 고대 이베리아에서 유래되었으며 유럽에서는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조지아로 불리지만, 러시아어로는 구르지야로 불렸으나, 1990년대 독립 이후 조지아 정부의 요청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자국어 명칭인 사카르트벨로에 가까운 조지아로 변경되었다.
  • 조지아 - 압하지야
    압하지야는 흑해 연안 캅카스 남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압하지야 공화국과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 정부가 병존하며 국제적으로는 조지아 영토로 간주되지만 일부 국가는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 조지아 - 남오세티야
    남오세티야는 조지아 영토로 주장되지만 사실상 독립국가이며, 조지아는 츠힌발리 지역으로 부르며 독립을 인정하지 않으나, 러시아의 지원하에 독자적인 체제를 유지하며 국제적 지위가 불안정하다.
  • 남캅카스 - 아르메니아
    남캅카스 내륙국인 아르메니아는 우라르투 왕국을 계승한 오랜 역사, 세계 최초 기독교 국교 채택,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 아르메니아어를 특징으로 하며, 지정학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한다.
  • 남캅카스 - 압하지야
    압하지야는 흑해 연안 캅카스 남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압하지야 공화국과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 정부가 병존하며 국제적으로는 조지아 영토로 간주되지만 일부 국가는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조지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조지아 국기
국기
조지아 국장
국장
공식 국명''
로마자 표기Sakartvelo
다른 표기''
표어' (힘은 단결에 있다)'
국가' (자유)'
수도트빌리시
최대 도시트빌리시
공용어조지아어
지역 공용어압하스어
사용 언어조지아어
압하스어
민족 구성86.8% 조지아인
6.2% 아제르바이잔인
4.5% 아르메니아인
0.7% 러시아인
2.1% 기타
종교87.3% 기독교
83.4% 조지아 정교회
3.9% 기타 기독교
10.7% 이슬람교
2% 기타 종교 / 무종교
데모님조지아인
면적69,700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119위
정치
정치 체제단일 국가, 의원내각제, 공화제
대통령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의회 의장샬바 파푸아슈빌리
총리이라클리 코바히제
입법부조지아 의회
역사
국가 형성콜키스이베리아 왕국: 기원전 13세기 - 서기 580년
압하지야 왕국 및 이베리아 왕국: 786년 - 1008년
조지아 왕국 통일: 1008년
조지아 왕국의 삼분화: 1463년 - 1810년
러시아 제국 합병1801년 9월 12일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1918년 5월 26일
적군 침공1921년 2월 12일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921년 2월 25일
소련으로부터 독립선언: 1991년 4월 9일
완료: 1991년 12월 26일
현재 헌법1995년 8월 24일
인구
2014년 인구 조사3,713,804명
2022년 추정 인구3,688,647명 (점령 지역 제외)
4,012,104명 (점령 지역 포함)
인구 순위126위
인구 밀도57.6명/제곱킬로미터
인구 밀도 순위137위
경제
GDP (PPP)940억 2천만 달러
GDP (PPP) 순위101위
1인당 GDP (PPP)25,248 달러
1인당 GDP (PPP) 순위72위
GDP (명목)328억 6천 5백만 달러
GDP (명목) 순위107위
1인당 GDP (명목)8,825 달러
1인당 GDP (명목) 순위84위
지니 계수34.2
지니 계수 변동감소
인간 개발 지수0.814
인간 개발 지수 순위60위
통화조지아 라리 (₾)
통화 코드GEL
기타 정보
시간대조지아 시간 (GET)
UTC 오프셋+4
자동차 주행 방향오른쪽
국제 전화 코드+995
ISO 3166 코드GE
국가 도메인.ge, .გე

2. 국호

"조지아"가 표기된 중세 지도, 서기 1320년


조지아인들이 자국을 부르는 명칭은 '''사카르트벨로'''(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ka, Sakartveloka)이다.[491] 이는 '카르트벨리인의 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이름은 조지아 중동부의 역사적 중심지인 카르틀리(Kartlika) 지역명에서 유래했으며, 9세기에 처음 기록되어 13세기 이전 중세 조지아 왕국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조지아어의 지리적 접사 `sa-X-o`는 'X가 사는 지역'을 나타내는 표준 형태이며, 여기서 X는 민족명인 카르트벨리인( ქართველებიka, Kartvelebika)을 가리킨다.[25] '카르트벨리인'이라는 명칭은 예루살렘 구시가지에서 발견된 움 레이순 비문에서 처음 확인된다. 중세의 ''조지아 연대기''는 카르트벨리인의 시조로 '카르틀로스'를 언급하며 그가 왕국 이름의 기원이라고 설명하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카르틀리'라는 지명이 고대에 이 지역을 지배했던 카르트족(Karts)에서 유래했다고 본다.[26]

오랫동안 국제 사회에서는 러시아어식 표기인 '''그루지야'''(Грузияru)가 통용되었다. 그러나 2008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조지아 정부는 국제 사회에 러시아어식 표기 대신 자국어 명칭인 '사카르트벨로'나 영어식 표기인 '''조지아'''(Georgia영어)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해왔다.

'조지아'라는 국명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고대 그리스로마의 기록에서는 현재 조지아 서부 지역 주민을 콜키스인으로, 동부 지역 주민을 이베리아인(Iberoigrc, Ἰβηροιgrc)으로 불렀다.[20] '조지아'라는 이름이 기록상 처음 나타난 것은 1320년 피에트로 베스콘테가 제작한 세계 지도( mappa mundila)에서 이탈리아어로 표기된 것이다.[21] 초기 라틴어 문서에서는 'Jorgia'로 표기되기도 했다.[22] 과거에는 조지아인들이 성 조지(Saint George)를 깊이 숭배했기 때문에 국명이 유래했다는 전설(자크 드 비트리 주장)[23]이나, 그리스어 γεωργόςgrc(게오르고스, '토지 경작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장 샤르댕 주장)이 있었으나, 현재 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가장 유력한 설은 페르시아어 '구르그/구르간'(gurğfa/gurğānfa, گرگfa, '늑대'[24])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이 페르시아어 어근은 이후 슬라브어와 서유럽 언어들에도 영향을 미쳐 비슷한 형태의 국명이 사용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조지아와 수교한 이후 '그루지야'라는 명칭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2010년 조지아 정부의 공식 요청이 있었고, 2014년 10월 정상회담에서 재차 요청함에 따라[394][395] 국명 표기를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2015년 4월 22일, 재외공관 명칭 관련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어 공식 국명이 '그루지야'에서 '조지아'로 변경되었고, 같은 날 외교부 웹사이트를 통해 공지되었다.[396][397][398] 이는 1986년 코트디부아르(과거 '상아해안')의 요청을 수용한 이후 한국 정부가 외국 정부의 요청으로 국명을 변경한 두 번째 사례이다.[399] 반면, 북한에서는 여전히 '그루지야'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국가의 경우, 리투아니아는 2018년부터 자국어 표기를 'Gruzia'에서 조지아어 명칭인 'Sakartvelo'로 변경했다.[391][392][393]

중화인민공화국(格鲁吉亚중국어)[401]홍콩( 格魯吉亞중국어)[402]에서는 여전히 '그루지야' 계열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타이완(중화민국)에서는 '조지아' 계열의 명칭인 '교지아'(喬治亞)를 사용한다.[400]

국가 조지아는 미국조지아주와 라틴 문자 철자 및 영어 발음이 동일하지만, 명칭의 유래(조지아주는 영국 국왕 조지 2세의 이름에서 유래)나 역사적 배경은 전혀 다르다. 양측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영어권에서는 국가를 "Country of Georgia", 미국 주를 "State of Georgia"로 구분하기도 하며,[382][383] 한국어에서도 간혹 "조지아'''국'''"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384][385] 두 지역 간의 직접적인 역사적 연관성은 없으나, 수도 트빌리시는 미국 조지아주의 주도인 애틀랜타와 1987년 자매 도시 관계를 맺었고,[381] 1994년에는 조지아 국가경비대와 조지아 주방위군(Georgia National Guard영어) 간의 상호 협력 협정이 체결되기도 했다.

3. 역사

조지아가 속한 캅카스 지역은 흑해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하여 아시아유럽을 잇는 중요한 길목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고대부터 여러 강대국의 침략과 영향을 받아 복잡한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 조지아 지역에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약 18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인 드마니시 호미닌 화석은 유라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의 흔적 중 하나이다.[34] 농업은 적어도 기원전 6천년기에 시작되었으며,[38] 세계 최초의 포도 재배(기원전 7천년기)[40] 및 금 채굴(기원전 3천년기)[41]의 증거도 발견되었다.

고대에는 서부 해안 지역에 콜키스가, 동부 내륙 지역에는 이베리아 왕국이 번성했다. 콜키스는 그리스 신화황금 양모의 전설로 유명하며, 실제로도 부유한 왕국이었다.[43] 이베리아 왕국은 기원전 4세기경 형성되어 로마 제국, 파르티아, 고대 아르메니아 등 주변 강대국들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45] 337년, 이베리아의 미리안 3세 왕은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였는데,[46] 이는 조지아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조지아는 사산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7세기 중반에는 이슬람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조지아 북서부 우슈굴리와 메스티아에 남아있는 중세 방어 시설인 스반 타워.


겔라티 수도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11세기 초, 바그라트 3세가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있던 조지아를 통일하여 조지아 왕국 시대를 열었다. 특히 12세기 다비드 4세와 13세기 타마르 여왕 통치 시기는 군사적 확장과 문화적 융성을 이룬 조지아 황금기로 불린다.[52] 다비드 4세는 셀주크 제국 세력을 몰아내고 트빌리시를 수도로 삼았으며,[56] 타마르 여왕 시대에는 캅카스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고 트라페준타 제국 건국을 지원하는 등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57] 이 시기 쇼타 루스타벨리의 서사시 『표범 가죽을 입은 기사』와 같은 뛰어난 문학 작품과 웅장한 수도원 건축물들이 남겨졌다.[54][55]

그러나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략을 시작으로 조지아는 다시 쇠퇴의 길을 걸었다. 이후 티무르 제국의 파괴적인 침공을 겪으며 왕국은 여러 개의 작은 왕국과 공국으로 분열되었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서부 지역은 오스만 제국, 동부 지역은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으며 두 제국의 각축장이 되었다.

18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다. 동조지아의 카르틀리-카헤티 왕국은 러시아와 기오르기예프스크 조약(1783년)을 맺고 보호국이 되었으나, 결국 1801년 러시아에 병합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19세기 동안 조지아 전역을 차례로 편입했다. 러시아 제국 통치 하에서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이 성장했으며, 이오시프 스탈린과 같은 혁명가도 배출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조지아는 1918년 조지아 민주 공화국으로 잠시 독립했으나, 1921년 소련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다시 소련에 편입되었다. 처음에는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일부였다가 1936년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독립적인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 시절 조지아 민족 운동은 억압되었지만,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와 같이 소련 중앙 정치 무대에서 활동하는 인물도 나왔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의 개혁, 개방 정책 속에서 민족 갈등이 심화되고 독립 요구가 거세졌으며, 1989년 트빌리시 유혈 사태는 독립 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1991년 4월 9일, 조지아는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고,[369] 같은 해 12월 25일 소련 해체로 완전한 독립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독립 직후 압하스, 남오세티야 등 소수민족 지역과의 분쟁 및 내전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초대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가 축출된 후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집권했으나, 부패와 정정 불안은 계속되었다. 2003년 장미 혁명으로 셰바르드나제 정권이 무너지고 미헤일 사카슈빌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친서방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에서 러시아에 패배하면서 영토 일부에 대한 통제권을 사실상 상실했다. 이후 조지아는 유럽 연합 및 NATO와의 관계 강화를 모색하는 한편, 러시아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복잡한 정치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1995년 채택된 조지아 헌법 제2조에 따라 이 나라의 공식 명칭은 '''조지아'''(Georgia)이다.[27] 조지아어로는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Sakartvelo''), 압하스어로는 Қырҭтәыла (''Kərttʷʼəla'')라고 부른다. 과거 소련 시절 및 독립 초기에는 러시아식 명칭인 '''그루지야'''(Gruzia)로 불렸으나, 조지아 정부는 국제 사회에서 '조지아'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대한민국은 2011년 공식 국명을 '조지아'로 변경했다.[31][32] 리투아니아는 2020년 조지아어 명칭인 ''Sakartvelas''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33]

3. 1. 고대

조지아 남동부의 드마니시 동굴에서는 180만~160만 년 전의 원인 유형 화석인류 인골이 발견되었다.[403] 이 인골은 기존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원인보다 더 원시적인 특징을 가지며,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403] 이 원인은 "호모 게오르기쿠스"로 명명되었고, 유적에서는 뗀석기인 올두바이형 석기군과 동물 화석 등도 다량 발견되었다.[403] 또한, 초기 구석기 시대의 아슐리안 문화와 중기 구석기 시대의 무스티에 문화 유물들이 조지아 각지의 동굴과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콜키스 분지와 프라미 계곡, 남오세티야 등지에서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6000년부터 기원전 5000년에 걸쳐 마제석기를 사용한 쟁기, 곡괭이, 돌 , 갈돌, 저장용 토기 등을 갖춘 정착 생활과 곡물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404] 호밀의 주요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지며,[405] 석재로는 현지산 차트흑요석이 사용되었다. 돼지목축포도를 포함한 과수 재배도 이루어졌다.[404]

조지아를 포함한 코카서스 지역은 선사 시대 금속 제련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404] 기원전 37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의 마이코프 문화와 기원전 34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까지의 쿠라-아락세스 문화의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는 다수의 금속기가 발견되었다.[406] 트리아레티(크베모 카르틀리주) 유적 조사에 따르면, 내륙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 유목 생활을 하는 부족들이 있었고, 지도자의 무덤에서는 제 용기가 부장되어 당시 사회가 족장에게 부와 권력을 집중시켰음을 보여준다.[404]

조지아인의 조상은 흑해 동해안에 분포하며 콜키스 왕국을 세운 콜키스인의 뿌리가 된 클루하족과, 남서 조지아 타오 지방에 정착한 타오호이족의 기원인 디아우히족으로 여겨진다.[404] 콜키스인의 부유함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도 알려져 그리스 신화메데이아 공주와 황금 양모 이야기에 나타나 있다.[404]

기원전 6세기 이후, 흑해 연안의 서조지아 지역에 콜키스 왕국(콜키다 왕국)이 성립하여 고대 그리스의 식민 도시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407][408][409] 흑해와 카스피해를 잇는 지협에는 교역로가 지나 지중해페르시아 지역 간 무역이 활발했다.

콜키스 왕국 동쪽 내륙부는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이어서 셀레우코스 왕조의 일부가 되었고,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 걸쳐 이베리아 왕국(카르틀리 왕국)이 성립했다.[408][409] 그 영역은 오늘날의 중부 조지아의 카르틀리,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남서 조지아의 삼츠헤 및 그 주변이었으며, 고대 그리스 문명의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았다.[404] 주민은 서쪽의 아나톨리아·콜키스에서 유입된 사람들과 토착민의 융합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04] 수도인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아라그비 강의 합류 지점 근처에 위치했다.

기원전 2세기, 콜키스 왕국은 흑해 남동 해안의 폰토스 왕국에 정복되었고, 기원전 65년 폰토스가 로마 공화정의 폼페이우스 군대에 패배하면서 콜키스(서조지아)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404] 같은 시기, 동조지아의 이베리아 왕국도 로마의 보호하에 들어갔다.[404]

1세기 기독교 창시 이후, 조지아에서는 열두 사도에 의한 복음 전파가 이루어졌다고 전해진다. 특히 로마 제국의 지배가 약화된 3세기부터 4세기에 걸쳐 신자가 크게 증가했다.[410] 이는 카파도키아 출신의 성녀 니노의 전도로 동조지아의 많은 사람이 개종한 덕분이라고 한다.[404]

로마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한 4세기, 서조지아의 옛 콜키스 왕국 일부(현재의 압하지야 지역)에는 라지카 왕국이 성립하여 고대 콜키스를 병합했다.[408][409] 라지카 왕국은 수도를 아르케오폴리스(현, 나칼라케비)에 두고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404][411] 이 왕국은 523년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562년 동로마에 병합되었다.[411]

이베리아 왕국에서는 330년대에 미리안 3세 왕에 의해 기독교가 국교로 채택되었다.[408][409] 이는 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기독교 국교화 사례이며, 이후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407][410] 조지아 교회는 처음에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관할 하에 있었으나 466년 독립 교회가 되었고, 카톨리코스(총대주교)의 자리는 므츠헤타에 두었다.[412] 조지아 문자(카르틀리 문자)는 4세기에서 5세기경 조지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독자적인 문자로, 그리스 문자와 같은 원리의 문자 체계를 이룬다.[413][414]

이베리아는 일시적으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나, 5세기 말 바흐탕 1세(바흐탕 고르가살리)에 의해 주권이 회복되었고, 트빌리시의 도시 발전이 시작되었다.[415] 6세기 초, 바흐탕 1세의 아들인 다치 왕이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므츠헤타에서 트빌리시로 천도했다.[415]

코카서스 지역의 아르메니아, 조지아, 알바니아(발칸 반도의 알바니아와는 무관) 3개 교회는 431년 에페소 공의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만을 인정하는 단성설 채택에 찬성했다.[410] 그러나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는 단성론이 부정되고,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모두 인정하는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여겨졌다.[410] 506년, 3개 교회 대표는 아르메니아의 드빈에 모여 칼케돈파에 반대하는 결의를 했지만, 이미 양성론에 기울었던 조지아 정교회7세기 초 명확하게 칼케돈 신조를 따르는 입장에 섰다.[410]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이에 반해 비칼케돈파 정교회로 남았다.[410]

3. 2. 중세와 근세

400년경 서조지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동부의 이베리아 왕국은 7세기 중반 이슬람 제국의 지배를 받기 전까지 사산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페르시아를 지배한 사산조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그 세력이 캅카스에 미치자 기독교와 조로아스터교 세력은 서로 항쟁을 되풀이했다.[416] 서부의 라지카 왕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삼자, 사산조는 군대를 파견하여 527년부터 533년까지 라지카 전쟁이 벌어졌다.[416] 결국 라지카 왕국은 비잔티움 제국에, 동쪽 이베리아 왕국은 사산조에 각각 병합되었고, 호스로 1세는 이베리아의 왕정을 폐지했다.[408] 7세기 초, 자립 움직임을 보인 이베리아에 대해 비잔티움 황제 헤라클리우스는 북쪽의 하자르와 동맹하여 원정을 갔다.[416] 627년부터 629년까지는 사산조·이베리아 연합군과 서돌궐·비잔티움 제국·라지카 연합군 사이에 제3차 페르시아-튀르크 전쟁인 트빌리시 공방전 (627년)이 일어나, 트빌리시는 일시 점령되었다.[420]

니하반드 전투 이후 사산조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7세기 후반부터는 이슬람을 신봉하는 아랍인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408] 트빌리시는 736년부터 738년에 걸쳐 마르완 2세의 조지아 침공을 받아 트빌리시 토후국이 성립되었다. 캅카스 지방에도 이슬람 교리가 전래되었지만, 넓은 산악 지대를 가진 조지아로의 유입은 제한적이었고 기독교 신앙은 지켜졌다. 750년, 조지아 정교회는 자치 교회가 되었고, 9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캅카스 지역 포교의 중심 역할을 했다.[410]

한때 라지카 왕국이 있던 조지아 서부에서는 비잔티움 황제의 직신이 된 압하스인이 점차 강성해져, 8세기 말에는 안차바제 가문의 압하스 공 레온 1세가 황제로부터 왕호를 허가받았다.[420] 조지아 동부에서는 이베리아 공국의 바그라티오니 왕조가 두각을 나타내, 9세기 초 아쇼트 1세가 등장했다.[404] 아르메니아에서는 바그라투니 왕조의 아쇼트 1세(이베리아의 아쇼트 1세와는 다른 인물)가 이슬람 제국인 아바스 왕조로부터 "아르메니아, 조지아, 캅카스의 대공" 지위를 인정받고, 885년에는 아르메니아 제후들에 의해 아르메니아 왕으로 추대되었다.[420] 이로써 이슬람 칼리프와 비잔티움 황제의 승인 아래 바그라트 왕조 아르메니아가 재흥했다.[420]

비잔티움과 이슬람의 항쟁 속에서 아르메니아 왕국은 소국 분립 상태가 되었고,[420] 아르메니아 왕 아쇼트 1세는 조지아 남서부의 타오에 본거지를 옮겨 비잔티움 황제로부터 '쿠로팔라테스'(궁전의 수호자) 칭호를 얻었다.[404] 10세기 후반, 아바스 왕조가 쇠퇴하면서 조지아에서는 이베리아 대공 구르겐이 아브하즈 공주 그란두흐트와 결혼했고, 두 사람의 아들 바그라트 3세에게 이베리아와 아브카시아 영역이 계승되었다.[420] 바그라트 3세는 아르메니아 왕 아쇼트 3세의 양자가 되어 975년 카르틀리 지방 종주권을 획득하고, 976년 바그라티오니 왕조의 조지아 왕국을 세웠다.[409] 1001년 의부로부터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남서부를, 1008년 친부 구르겐으로부터 조지아 남서부 잔여부를 계승하여 카헤티 지방을 제외한 전 조지아를 통일하고, 쿠타이시를 수도로 삼아 중세 조지아 왕국의 융성이 시작되었다.[404][408]

바그라트 3세는 쿠타이시에 바그라티 대성당을 창건하고, 1010년에는 카헤티 지방도 지배하에 두었다. 왕국 성립기에는 조지아 정교회가 바그라티오니 왕조를 지지했으며, 성인 이베리아의 요아네가 활약하고 레온티 므로벨리가 『카르틀리스 츠호브레바』를 저술한 것도 이 무렵이다.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조지아 왕가는 비잔티움 제국, 키예프 루스, 알라니아(북오세티야) 등과 활발히 혼인 관계를 맺으며 동유럽 각 지역과 유대를 강화했다.[410]

바그라트 3세의 아들 기오르기 1세는 므츠헤타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을 수리했고, 그의 아들 바그라트 4세는 1045년 아르메니아의 수도 아니를 제압했다. 1057년 안티오케이아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서 조지아 정교회의 자치 교회 자격이 공인되었다.[410] 11세기 후반, 튀르크족이 세운 셀주크 제국의 침략을 받아 1063년 조지아 남서부가, 1068년에는 동조지아가 제압되었다. 아랍과 비잔티움 제국의 다툼 속에 조지아는 1060년 아르메니아를 점령한 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건설자 다비드, 황금기의 건축가. 게라티 수도원의 프레스코화.


조지아 왕국은 12세기부터 13세기 초까지 전성기를 맞았다. 이 시기는 "건설왕"이라 불린 다비드 4세(재위 1089~1125년)와 그의 증손녀 타마르 여왕(재위 1184~1213년)의 통치 시대로, 조지아 황금기로 불린다.[52] 이 시기 조지아는 군사적 승리, 영토 확장, 건축, 문학, 철학, 과학 분야의 문화적 부흥을 이루었다.[53] 다비드 4세는 북캅카스의 킵차크인을 이주시켜 친위대를 조직하고 군제 개혁을 단행하여 셀주크 제국에 승리했다. 1096년 셀주크 제국에 대한 공납을 중단하고, 12세기 초 쿠타이시 교외에 게라티 수도원과 왕립 학교를 창립했다.[417] 1121년 디드고리 전투에서 대규모 튀르크 군대를 격파하고 트빌리시 토후국을 폐지했으며,[56] 1122년 트빌리시를 탈환하여 수도로 삼았다.[404] 이때 조지아 영토는 아제르바이잔 서부와 터키 동부까지 확장되었다.

타마르 여왕, 중세 조지아 최초의 여성 통치자.


12세기 후반 기오르기 3세는 1156년 셀주크 제국을 공격하여 승리하고, 1161-1162년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아니와 드빈을 점령했다. 그의 딸이자 조지아 최초의 여성 통치자인 타마르 여왕의 29년 통치는 조지아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대로 평가받는다. 타마르는 "왕중왕" 칭호를 얻고 반대 세력을 제압했으며, 셀주크와 비잔티움 제국의 쇠퇴를 틈타 활발한 대외 정책을 펼쳤다. 그녀는 캅카스를 지배하고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터키 동부, 이란 북부 대부분으로 영토를 확장했으며, 제4차 십자군 이후 트라페준타 제국 건국을 지원했다.[57][404] 타마르 시대는 문화적으로도 최성기로, 많은 수도원이 기증되었고 특히 문학 분야와 교회 건축 발전이 두드러졌다.[408] 『카르틀리스 츠호브레바』가 편찬되었고, 타마르 여왕을 섬긴 시인 쇼타 루스타벨리의 서사시 『표범 가죽을 입은 기사』는 국가 서사시로 여겨진다.[54][55][418]

조지아의 번영은 오래가지 못했다. 타마르 사후 호라즘 왕조의 잘랄 알딘 멩구베르디가 침입하여 1226년 트빌리시를 함락하고 약탈했으며,[58][420] 곧이어 몽골 제국의 파괴적인 몽골의 조지아 침공이 시작되었다. 1220년 수부타이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이 조지아군을 격파했고,[419] 1221년과 1222년의 전투에서도 패배했다.[420] 타마르의 아들 기오르기 4세는 몽골과의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1222년 사망했고, 여동생 루스단이 왕위를 계승했다. 1236년 초르마칸이 이끄는 몽골군이 다시 침공하자 루스단 여왕은 쿠타이시로 피신했고,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1243년, 조지아는 몽골 제국에 병합되어 속령이 되었다.[420] 몽골은 조지아와 남캅카스 전역을 관할하는 "조지아 주"를 설치하고 간접 통치했다.

몽골의 구유크 칸은 1247년 조지아 왕국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어, 동부 카르틀리는 기오르기 4세의 아들 다비드 7세에게, 서부 이메레티는 루스단의 아들 다비드 6세에게 맡겨 공동왕으로 인정했다.[421] 1259-1260년 다비드 6세가 이끈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켜 서부 조지아에 이메레티 왕국의 독립을 쟁취했지만, 동부 조지아는 계속 몽골 지배하에 남았다.[404][408] 일 칸국 지배 하에서 트빌리시는 역참 제도의 중요한 종점 역할을 했으며,[422] 몽골인들은 대체로 종교에 관대하여 조지아 정교회는 민중 통치에 활용되기도 했다. 1260년 이후 제노바 공화국과의 조약으로 흑해 무역이 활발해져 수후미 등 항구가 발전했다.[422]

몽골 지배는 오래 지속되었으나, "광휘왕"이라 불린 기오르기 5세가 동서로 분열된 조지아를 재통일하고 1335년 몽골 세력을 축출하여 사실상 독립을 달성했다.[404][408][409] 그러나 이듬해인 1336년 트빌리시에서 흑사병이 대유행하여 큰 타격을 입었다. 재통일 후에도 조지아는 자라이르 왕조와 추판 왕조의 영향 아래 있었다.[423]

1380년 차가타이 칸국에서 독립한 티무르가 침입하여 트빌리시를 점령하고 왕과 왕비를 포로로 잡았다.[420] 이후 1386년부터 1403년까지 총 8차례에 걸친 티무르 제국의 침입은 조지아 사회에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주었다.[404][408][409] 조지아는 이후 일시적으로 흑양 왕조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444년 트빌리시가 페르시아 군대에 의해 침략당하고, 1460년대에는 카헤티 왕국이 독립하는 등 분권화가 진행되어 1466년 조지아 왕국은 붕괴하고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조지아 왕국은 동부의 카르틀리 왕국과 카헤티 왕국, 서부의 이메레티 왕국이라는 바그라티오니 가문의 왕통을 잇는 3개의 왕국으로 분열했다. 1490년, 이 3왕국이 서로를 인정하면서 마침내 무정부 상태를 벗어날 수 있었다. 3왕국 외에도, 13세기 이래 조지아 남서부의 유력 호족 자켈리 가문이 공식적으로 지배한 삼츠헤 사아타바고가 있었고, 또 흑해 연안에 구리아 공국, 사메그렐로 공국, 압하지야 공국, 내륙부에 스바네티 공국이 독립한 군공국으로서 행동하여, 사실상 5개의 공국이 분립했다.[418]

16세기 초부터 18세기 전반에 걸친 조지아는, 이란 고원에 건국된 동쪽의 사파비 왕조와 신수도 이스탄불을 본거지로 세력을 확장하는 서쪽의 오스만 제국의 압력을 받고, 자주 양자의 분쟁지가 되었다.[408] 카르틀리 왕국과 카헤티 왕국은 사파비 왕조, 이메레티 왕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각각 받았고, 양자의 항쟁은 이슬람 내 수니파시아파의 종교 전쟁 성격도 띠고 있었다.[408] 이 시대, 특히 조지아 동부에서는 잇따른 전란과 주민의 강제 이주로 인구가 줄고 경제 활동도 침체되었다.[411]

이메레티 왕국은 빈번한 왕위 교체로 혼란이 계속되었다.[422] 사메그렐로 공국의 다디아니 가문은 17세기 레반 2세 때 최성기를 맞았지만, 17세기 후반 쇠퇴하여 공국 지배자의 혈통이 교체되었다.[422] 삼츠헤의 자켈리 가문은 조지아 왕가와의 혼인을 통해 독자적 지위를 쌓았으나, 나중에 오스만 제국의 직접 지배하에 들어가 파샤 칭호를 얻었고, 그 영역(현재의 아자리야 등)에서는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422]

카헤티 왕국에서는 16세기 전반 현명한 군주 레반이 나타나 왕권을 강화하고 비단 거래 등으로 왕국을 번영시켰다.[424] 한편 카르틀리 왕국에서는 16세기 중엽 시몬 1세 등이 페르시아에 저항한 이후 사파비 왕조의 종주권을 인정했다.[424]

1555년,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는 오랜 항쟁 끝에 아마시아 조약을 맺어 평화를 이루는 한편 캅카스에서의 상호 세력 범위를 정했고, 이는 이후 조지아 사회를 크게 규정하게 되었다.[418] 1578년 소강 상태가 깨지고 오스만 제국 세력이 캅카스 전역을 유린하여 트빌리시를 제압하자, 사파비 왕조 제5대 샤 압바스 1세가 반격했다. 그는 오스만 세력을 철수시켰지만, 카헤티에 대해 약탈 원정을 벌여 부를 상실하게 만들었다.[404][424]

사파비 왕조의 정치적 영향 하에 있던 카르틀리와 카헤티에서는, 이슬람 개종을 조건으로 바그라티오니 가계의 왕자가 선택되었고, 정치·경제·군사적으로 쇠퇴했으며 문화적으로도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18][424]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르메니아인이나 체르케스인 등과 함께 "굴람(왕의 노예)"이라 불리는 군인·관리로서 사파비 왕조를 지지하고, 이란인이나 튀르크인과 나란히 주요 국정 요직을 차지하는 조지아인 엘리트도 나타났다.[418][425] 사파비 왕조의 수도 이스파한의 장관직은 절반 정도 조지아 왕자에 의한 세습직이 되었고, 현재 이라크 국경에 가까운 슈슈타르 마을은 조지아 대귀족 출신 가계가 약 100년간 지배를 계속했다.[425] 조지아 고유의 전통 문화도 페르시아 지배 하에서 부흥을 이루어, 12세기 초 "황금 시대"에 대비해 "은의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418] 그중 카헤티 왕 테이무라즈 1세와 카헤티·이메레티 양쪽 왕위를 경험한 아르칠은 시인 왕으로 알려져 있다.[418] 또한 사파비 왕조 관리였던 파르사단 고르기자니제는 17세기 말 『조지아 연대기』를 저술했다.

18세기에 들어서 카르틀리 왕국에 바흐탕 6세가 나타났다. 그는 뛰어난 입법가였을 뿐 아니라, 1709년 조지아에 인쇄술을 도입하여 조지아어 인쇄를 시작하고 자국사 탐구에 관심을 가진 문화인이었다.[404][418] 고르기자니제가 저술한 『조지아 연대기』 속편 편찬을 위해 학자들을 모아 국내 사본·고문서 정서를 명하고, 그 성과를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공적 연대기로 간행했다.[418] 1722년, 파슈툰인이 이스파한을 함락시켜 사파비 왕조가 붕괴하자, 조지아는 오스만 제국의 새로운 침입을 받았다.[404] 페르시아에서는 정복자 나디르 샤가 나타나 러시아 제국과 반오스만 동맹을 맺고 아프샤르 왕조를 창시하여 오스만 제국에 빼앗긴 영토를 회복했다. 그는 카르틀리 왕위를 카헤티 왕이었던 테이무라즈 2세에게 주었다.[404][418] 18세기 후반 러시아예카테리나 대제는 군대를 이끌고 오스만 제국이 점령하던 조지아 서부 지역으로 진출하여 그 세력을 확대했고 페르시아가 점령했던 지역을 획득했다. 1870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조지아의 지배권을 완전히 얻었다.

3. 3. 러시아 제국 시대

18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캅카스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예카테리나 대제는 군대를 보내 오스만 제국이 점령하고 있던 조지아 서부 지역으로 진출했고, 페르시아가 차지했던 지역도 확보했다. 당시 동조지아의 카르틀리-카헤티 왕국을 다스리던 헤라클리우스 2세는 아프샤르 왕조를 물리치고 왕국을 통합(1762년)했으며, 경제 발전에 힘썼다.[404][408][407][424] 그는 1768년 시작된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 편에 섰고, 서부의 이메레티 왕국 역시 러시아를 도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1779년).[404]

헤라클리우스 2세는 북캅카스의 레즈긴족 침략과 페르시아,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같은 정교회를 믿는 러시아와의 동맹을 추진했다. 1783년, 그는 예카테리나 2세와 기오르기예프스크 조약을 맺어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는 길을 택했다.[404] 하지만 러시아는 조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결국 조지아는 1795년 신흥 가자르 왕조의 침공을 홀로 막아내야 했다. 이 전쟁에서 조지아는 크게 패했고 수도 트빌리시는 약탈당했으며 경제 성과도 물거품이 되었다.[404][424] 헤라클리우스 2세의 뒤를 이은 조지 12세는 러시아에 완전히 의존하기로 했으나 1800년 12월 사망했다.[404]

1801년 1월,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카르틀리-카헤티 왕국을 폐지하고 동조지아 병합을 선언했으며, 같은 해 9월 알렉산드르 1세 황제가 이를 최종 승인했다.[404] 트빌리시에는 카프카스 총독부가 설치되어 러시아 군정 장관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에 반발하는 백성들의 봉기가 곳곳에서 일어났다.[404][415][426] 러시아는 조지아를 거점으로 삼아 남캅카스 지역 전체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며, 이는 페르시아 배후의 영국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427]

러시아는 1810년 서조지아의 이메레티를 병합한 것을 시작으로, 19세기 동안 조지아 전역을 차례로 편입했다. 구리아는 1829년, 밍그레리아(사메그렐로)는 1857년, 스바네티는 1858년, 아브카지아는 1867년에 완전히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404][428] 러시아는 이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북부(1828년)와 아제르바이잔 북부(1828년)도 확보했다.[404][428] 한편, 러시아는 북캅카스의 체첸인, 레즈긴족 등 이슬람 산악 민족과의 코카서스 전쟁(1816년~1861년)에서 더욱 고전했으며, 이 전쟁에는 조지아 군대와 주민들도 러시아 편에서 참여했다.[428][429][430] 일부 조지아인들은 러시아 통치가 무슬림 세력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고, 러시아 주도의 캅카스 재기독교화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410][430]

그러나 러시아 통치는 조지아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도 미쳤다. 1811년, 유서 깊은 조지아 정교회는 독립성을 잃고 러시아 정교회에 흡수되었으며, 총주교(카톨리코스) 직위는 폐지되고 러시아 종무원에서 임명하는 대주교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410][412] 조지아어 사용이 금지되고 러시아어가 강제되면서 성직자와 신자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410]

미하일 세묘노비치 볼론초프 총독 재임기(1845년~1854년)에는 상업과 무역이 발전하고 트빌리시에 극장이 세워지는 등 도시 문화가 꽃피웠다.[404][431] 1861년 알렉산드르 2세 황제의 농노 해방령이 조지아에도 적용되어 1864년부터 농민들이 자유를 얻었고, 근대 교육 보급과 함께 전통적인 가부장적 관습이 약화되었다.[404] 이 시기 일리야 차브차바제, 아카키 체레텔리, 바자 프샤벨라와 같은 국민 문호들이 활동하여 조지아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431]

1872년 트빌리시와 흑해 항구 포티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이후 바투미, 트빌리시와 아제르바이잔바쿠를 연결하는 철도도 건설되었다.[404][415][427] 철도망 확충과 바쿠 유전 개발은 광업, 공업, 농업 등 여러 산업의 발전을 이끌었지만, 자본 대부분이 러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서구 자본가들에게 집중되어 조지아인들은 경제적 혜택에서 소외되었다.[404][415][427] 농노 해방 이후에도 토지 대부분이 지주나 교회 소유로 남아 많은 농민이 빈곤에 시달렸다.[427]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이후 즉위한 알렉산드르 3세(1881년)는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하며 소수 민족 동화를 강요했다.[404][426] 이에 대한 저항으로 농민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404][426] 초기 민족 부흥 운동은 문학과 사회 운동 중심이었으나, 점차 사회 민주주의 이념을 받아들인 그룹이 주도권을 잡았다. 특히 멘셰비키 세력이 노에 조르다니아, 니콜라이 치헤이제 등을 중심으로 성장했다.[404][408] 한편, 이후 소련의 지도자가 되는 이오시프 스탈린(본명 이오세브 주가슈빌리)도 이 시기 가장 진보적인 민족사회주의 그룹(제3그룹)에 속해 있었다.

멘셰비키의 영향력은 1902년 구리아 지방의 농민 운동('파종 파업')과 바투미 노동자 파업으로 이어졌다.[432][433] 1903년 트빌리시에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카프카스 연맹이 결성되면서 노동 운동의 조직화가 강화되었다.[432]

러일 전쟁(1904년~1905년)에서의 러시아 패배는 제국 전역의 불만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04년 말부터 조지아에서는 농민 위원회가 결성되어 광범위한 소요와 게릴라전이 전개되었다.[404] 특히 구리아 지방의 농민 봉기는 지역 권력을 장악하고 지주의 토지를 점거하는 등 "구리아 공화국"이라 불릴 정도로 격렬하게 전개되었다.[404][432] 이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지도한 세계 최초의 농민 반란"으로 평가받기도 한다.[432] 이러한 움직임은 1905년 혁명으로 이어져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트빌리시, 포티, 쿠타이시 등 주요 도시에서 파업과 군부 반란까지 일어났다.[434] 혁명 운동은 1906년 이후 점차 수그러들었지만, 이 과정에서 조지아 내 멘셰비키의 지지 기반은 더욱 공고해졌다.[432]

3. 4. 소련 시대와 독립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조지아는 1918년 5월 26일 조지아 민주 공화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했다. 이 공화국은 국제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고, 러시아도 이를 승인했다. 그러나 1921년 소련의 붉은 군대가 조지아를 침공하여 수도 트빌리시를 함락시키면서 공화국은 붕괴되었다.

1921년 트빌리시에서 열병식을 하는 붉은 군대


1922년, 조지아 문제를 거치며 필립 마하라제와 부두 무디바니 등 조지아의 온건파 공산주의 정권이 실각하고, 조지아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과 함께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구성국이 되어 소비에트 연방에 가입했다.

조지아 출신인 이오시프 스탈린이 소련의 권력을 장악한 후, 그는 조지아 민족주의자 십만 명 이상을 시베리아의 강제수용소로 보내는 등 탄압 정책을 펼쳤다. 1936년 자캅카스 연방이 해체되면서 조지아는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편되어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 전쟁 시기에는 나치 독일군이 조지아에 인접한 흑해 북부 해안과 북코카서스 지역까지 일시적으로 침공하기도 했다. 전후 냉전 시대 동안 소련 내에서 조지아의 민족 운동은 억압되었으나, 한편으로는 소련 중앙 정부와 타협하여 고위직에 오르는 조지아 출신 인물도 있었다.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를 지내다 1985년 고르바초프 정권 출범 후 소련 외무장관이 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가 대표적이다. 스탈린의 고향이라는 점 때문에 한때 조지아는 공산당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했다.

1970년대부터 소련 체제에 대한 반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공화국 내 소수민족인 압하스인과 남오세티야인과의 갈등도 표면화되었다. 이러한 민족 갈등은 1980년대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조지아인들은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하는 동시에 압하스의 분리 독립 운동을 저지하려 했다. 1989년 4월, 트빌리시에서 열린 평화 시위 도중 소련군이 발포하여 수십 명의 시민이 사망하는 사건(4월 9일 비극)이 발생했고, 이는 조지아의 독립 운동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 조지아 역사상 최초로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친러시아 성향의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지역에서는 소련 잔류를 원하며 분리 독립 움직임을 보였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도 조지아는 소련 해체 직전인 1991년 4월 9일 독립을 선언했다. 같은 해 12월 25일 소련이 공식적으로 해체되면서 조지아는 완전한 독립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독립 직후 조지아는 국내 정치 세력 간의 대립과 민족 문제로 인해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극심한 내전을 겪으며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독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민족주의적 정책으로 소수 민족과의 갈등을 심화시켰고, 결국 1992년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이후 소련 외무장관 출신으로 국제적 인지도가 높았던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가 국가원수직을 대행하며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감사후르디아 전 대통령은 망명 후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셰바르드나제는 1995년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하여 1997년 무렵부터 정국 안정을 시도했다.

하지만 고질적인 내부 갈등과 취약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조지아는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었고, 셰바르드나제 정권 역시 부패와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으로 비판받았다. 결국 2003년 총선 부정 의혹이 불거지면서 장미 혁명이라 불리는 대규모 시민 운동으로 실각하는 등 정정 불안이 계속되었다. 독립 이후 조지아는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서방과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1997년에는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와 함께 GUAM 창설에 참여했고, 2005년에는 우크라이나와 함께 민주주의 선택 공동체 (CDC)를 발족하여 가입했다. 2009년에는 독립국가연합 (CIS)에서 탈퇴했으며, 1999년부터는 유럽 평의회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3. 5. 독립 이후

1989년 트빌리시에서 소련군의 시위대 발포 사건을 계기로 독립 운동이 거세졌다. 1990년 11월,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국호를 조지아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1991년 4월 9일 독립을 선언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12월 25일 소련 해체로 조지아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으나, 감사후르디아 정권 하에서 구 공산당 출신 인사들이 요직을 차지하고 강권 통치가 이어지면서 정국 불안과 치안 악화가 심화되어 내전 상태에 이르렀다. 특히 압하스와 남오세티야 지역에서 분리 독립 움직임이 격화되었다.

1991년 11월 22일, 조지아 국가경비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군과 교전했다.[436] 1992년 1월 6일, 감사후르디아 대통령은 수도 트빌리시를 탈출했고,[436] 군사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 이후 군사평의회의 초청으로 전 소련 외무장관이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귀국하여, 같은 해 3월 10일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436] 10월 11일 최고회의 의장 선거에서 셰바르드나제는 96%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고,[437] 10월 17일 국가평의회는 해산하고 최고회의로 권력이 이관되었다.[438] 조지아는 1992년 7월 31일 국제연합에 가입했다. 셰바르드나제는 1995년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하여 1997년 무렵부터 어느 정도 정부를 안정시켰으나, 내전의 후유증과 분리주의 문제, 취약한 경제 사정으로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2003년 11월 총선에서 부정 선거 의혹이 제기되면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이는 장미 혁명으로 이어졌다. 결국 11월 23일 셰바르드나제 대통령은 사임했고, 야당 지도자였던 니노 부르자나제가 임시 대통령을 맡았다. 2004년 1월 4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운동의 미헤일 사카슈빌리가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되었다. 사카슈빌리 정부는 강력한 친서방, 반러시아 노선을 추진하며 개혁 정책을 펼쳤고, 2004년에는 아자리야의 분리주의 움직임을 제압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 하에 두었다. 3월 28일 실시된 총선에서도 사카슈빌리의 국민운동이 압승했다.

그러나 사카슈빌리 정부의 정책은 2007년 11월 야당 시위 강경 진압과 비상사태 선포 등으로 이어지며 민주주의 후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08년 남오세티야 분쟁


2008년 8월에는 남오세티야의 분리 독립 문제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전쟁을 벌였다. 조지아군은 러시아군의 개입으로 큰 패배를 겪었고, 러시아는 압하스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했다. 이 전쟁 이후 조지아는 러시아와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CIS에서도 탈퇴했으며, NATO와 EU 가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전쟁 패배의 책임론 등으로 사카슈빌리의 정치적 입지는 약화되었고, 2009년에는 그의 사퇴를 요구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와 군부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2년 10월 총선에서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내건 야당 연합 조지아의 꿈-민주 조지아가 승리하여, 재벌 출신인 비지나 이바니시빌리가 총리로 취임했다. 2013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도 '조지아의 꿈'이 지지한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시빌리가 당선되면서 사카슈빌리 시대는 막을 내렸다.[439] 새 정부는 EU 가입 목표는 유지하여 2014년 6월 27일 EU와 연합 협정을 체결했고,[440][441][442] 이 협정은 2016년 7월 1일 공식 발효되었다.[443]

2018년 대선에서는 프랑스 외교관 출신이자 과거 사카슈빌리 정부에서 외무장관을 지낸 살로메 주라비시빌리가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친서방 성향의 주라비시빌리 대통령은 대러시아 제재 동참을 요구했으나, 실권을 쥔 '조지아의 꿈' 정부는 중립 노선을 유지하며 러시아와의 경제 교류를 이어갔다. 이는 러시아 정부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조지아의 꿈' 창설자 이바니시빌리의 영향력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2023년 5월에는 2019년 이후 중단되었던 러시아와의 직항편 운항이 재개되어 국내외적으로 논란이 일었다.[453]

2024년 10월 26일 총선에서 여당 '조지아의 꿈'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고 발표되었으나, 야당과 국제 감시단은 광범위한 부정 행위 의혹을 제기했다. 주라비시빌리 대통령 역시 선거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444] 11월 28일, '조지아의 꿈' 정부는 2028년까지 EU 가입 협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445] 주라비시빌리 대통령은 임기 만료 후에도 직을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446] 12월 29일 '조지아의 꿈' 소속의 미헤일 카벨라시빌리가 의회 간선제를 통해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447]

4. 정치

미하일 카벨라슈빌리 조지아 현 대통령


이라클리 코바히제 조지아 현 총리


조지아는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대통령은 주로 상징적인 국가원수 역할을 하며,[176] 총리가 정부 수반으로서 실질적인 행정 권력을 행사한다. 행정부의 권력은 총리가 이끄는 장관들로 구성된 조지아 내각에 있으며, 내각은 의회의 승인을 통해 임명된다. 2024년 12월 29일, 여당 "조지아의 꿈" 소속의 미하일 카벨라슈빌리가 간접 선거를 통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취임했다.[447] 2024년 2월부터는 이라클리 코바히제가 총리직을 맡고 있다.



입법부조지아 의회로, 단원제이며 총 15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이 중 30명은 단일 선거구에서 다수대표제로, 120명은 정당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 2012년부터 의회는 수도 트빌리시가 아닌 서부 도시 쿠타이시에 있었으나, 2019년 다시 트빌리시로 이전했다.

조지아의 정치 체제는 1995년 헌법 제정 이후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대통령 중심제에 가까웠으나, 2010년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이 축소되었고, 2013년 11월부터 총리가 실권을 갖는 의원내각제로 이행했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는 총리직이 없었고, 국무장관이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소련 말기인 1989년, 트빌리시에서 발생한 반소련 시위 유혈 진압 사건은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90년 조지아는 국명을 조지아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1991년 4월 9일 독립을 선언했다. 초대 대통령으로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가 선출되었으나, 그의 강권 통치는 정국 불안과 내전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 압하지야남오세티야에서 분리 독립 운동이 격화되어 사실상 독립 상태에 이르렀다. 1991년 말에는 쿠데타가 발생하여 감사후르디아 대통령이 축출되고 군사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 1992년, 전 소련 외무장관이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귀국하여 국가평의회 의장을 맡았고, 같은 해 직선거를 통해 최고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어 2003년까지 최고 권력자로 군림했다.[436][437][438]

2003년 11월, 의회 선거 부정 의혹으로 촉발된 대규모 시위, 이른바 장미 혁명으로 셰바르드나제 대통령이 사임했다. 야당 지도자였던 니노 부르자나제가 임시 대통령을 맡았고, 2004년 1월 대선에서 미헤일 사카슈빌리가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되었다. 같은 해 3월 총선에서도 사카슈빌리가 이끄는 민주국가운동이 75%의 득표율로 압승했으며, 신우파와 산업당이 연합한 우파 야당만이 의석 획득 기준인 7% 득표율을 넘었다. 사카슈빌리 정부는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의 분리 움직임을 저지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회복시켰다. 그러나 2007년 반정부 시위를 강경 진압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민주주의 후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2008년 8월에는 남오세티야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전쟁을 치렀고, 이는 조지아의 독립 국가 연합(CIS) 탈퇴와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로 이어졌다.[492][493][494]

2012년 총선에서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표방한 야당 연합 조지아의 꿈-민주 조지아가 승리하여, 연합 대표인 재벌 비지나 이바니시빌리가 총리로 취임했다. 2013년 대선에서는 '조지아의 꿈' 소속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시빌리가 당선되면서 사카슈빌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439] 이바니시빌리와 '조지아의 꿈'은 친서방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러시아와의 실용적인 관계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2018년 대선에서는 프랑스 외교관 출신이자 사카슈빌리 정권에서 외무장관을 지낸 살로메 주라비슈빌리가 여당 '조지아의 꿈'의 암묵적 지지를 받아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친서방 성향의 주라비슈빌리 대통령과 대러 제재 동참을 거부하고 중립 노선을 유지하려는 '조지아의 꿈' 정부 사이에 갈등이 불거졌다.

2024년 10월 총선에서 '조지아의 꿈'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고 발표되었으나, 야당과 국제 감시단은 광범위한 부정 행위 의혹을 제기했다. 주라비슈빌리 대통령 또한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며 러시아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444] 이후 '조지아의 꿈' 정부는 2028년까지 유럽 연합(EU) 가입 협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여 대규모 항의 시위를 촉발했다.[445] 2024년 12월, 임기가 만료되는 주라비시빌리 대통령은 부정 선거로 선출된 의회가 새 대통령을 선출할 수 없다며 퇴임 거부 의사를 밝혔으나,[446] 12월 29일 '조지아의 꿈' 소속 미헤일 카베라시빌리가 의회 간선제를 통해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447]

조지아의 정치적 자유 수준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프리덤 하우스는 2023년 보고서에서 조지아를 "부분적으로 자유로운" 국가로 분류하며, 2012-13년 권력 이양 시기의 민주적 개선 이후 점진적인 후퇴가 관찰된다고 평가했다.[178]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2023년 민주주의 지수에서는 "혼합 정권"으로 분류되어, 권위주의와 민주주의 요소가 혼재된 불완전한 민주적 이행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179] 조지아에서는 다당제가 정착되어 있으나, 정당 간 대립과 정국 불안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인다.[498] 사법부로는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있으며,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의회가 선출한다.

4. 1. 외교 관계

NATO 지지 포스터(트빌리시)


조지아 대통령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몰도바 대통령 마이아 산두,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및 유럽 이사회 의장 샤를 미셸 (2021년 바투미 국제 회의). 2014년 EU는 세 국가 모두와 연합 협정을 체결했다.


독립과 소련 해체 이후 조지아는 꾸준히 이웃 국가 러시아와 거리를 두고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해왔다. 이러한 친서방·반러시아 노선은 2004년 출범한 사카슈빌리 정권 하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유럽 연합(EU) 가입 추진, 러시아어 대신 조지아어 사용 강화 및 영어 교육 의무화, 소련 및 러시아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반러시아 운동 역사' 기념관 건립, 우크라이나, 폴란드, 발트 3국 등 유사 노선 국가와의 연대 강화 등이 추진되었다. 또한 친미국·친유럽·친이스라엘민족주의 고양 정책을 폈다. 미국 내 네오콘과의 협력도 심화되었는데, 네오콘 성향의 랜디 셰이너먼(Randy Scheunemann)이 사카슈빌리의 외교 고문을 역임하기도 했다. 사카슈빌리 정권은 러시아군에 대항하기 위해 기존 러시아제 무기를 유럽 및 미국산으로 교체하고 미국군, 이스라엘 방위군과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등 군비 확장을 추진했으나, 군사 평론가 에바타 겐스케는 예산상 무리한 계획이라고 평가했다.[448]

조지아의 명백한 서방 지향, 특히 EU 및 NATO 가입 열망, 미국과의 정치·군사적 유대 강화(조지아 훈련 및 장비 프로그램), 바쿠-트빌리시-제이한 송유관 건설 등은 2000년대 초부터 러시아와의 관계를 긴장시켰다. 이라크 전쟁 당시 연합군 참여 결정도 중요한 행보였다.[180]
NATO와의 관계조지아는 NATO 정회원 가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04년 8월 개별 파트너십 행동 계획(IPAP)을 NATO에 제출했고, 같은 해 10월 NATO 북대서양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183] 2005년에는 NATO와의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연락 장교 임명 합의 및 NATO군 주둔 지원/통과 합의가 체결되었다.[183] 2009년부터는 조지아-NATO 의회 협의회가 연 2회 개최되고 있다.[183] 2017년 미국 NGO 국가민주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조지아 국민과 정치인 대다수가 NATO 가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4]

2011년 북대서양 이사회는 조지아를 '가입 열망국'(aspirant country)으로 지정했다.[185] 2014년부터는 NATO-조지아 합동 훈련 및 평가 센터 설립, 다국적 군사 훈련 촉진 등을 포함하는 '실질적 NATO-조지아 패키지'(SNGP)를 통해 협력이 진행 중이다.[186]

그러나 러시아는 NATO의 동진(東進)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019년 9월,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NATO의 국경 접근은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라며, NATO가 조지아의 분쟁 지역인 압하지야남오세티야를 제외한 영토만 집단 방위 조항에 포함하는 조건으로 가입을 받아들인다 해도 이는 NATO 및 관련국과의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187][188]
EU 및 미국과의 관계조지아는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2006년 10월, 유럽 이웃 정책(ENP)의 일환으로 조지아-EU 행동 계획에 합의했다.[191] 2014년 6월에는 EU와 연합 협정을 체결하여 2016년 7월 1일 발효되었다.[192] 2017년부터 조지아 국민은 180일 중 90일간 솅겐 지역을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다.[193][194]

조지 W. 부시는 조지아를 방문한 최초의 현직 미국 대통령이었으며,[189] 이를 기념하여 트빌리시 국제공항 진입로는 조지 W. 부시 애비뉴로 명명되었다.[190]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2022년 3월 3일, 조지아는 EU 가입을 신청했다.[195] 2023년 12월 유럽 이사회로부터 EU 후보국 지위를 부여받았다.[196][197][198][199] 그러나 2024년 11월, 이라클리 코바히제 총리가 이끄는 조지아의 꿈-민주 조지아 정부는 2028년까지 EU 가입 절차를 중단한다고 발표하여 국내외적 논란과 시위를 촉발했다.[200][445]
러시아와의 관계조지아와 러시아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복잡하며, 조지아 독립 이후 긴장이 지속되었다. 러시아는 조지아를 카스피해 원유 파이프라인 경로이자 흑해로 이어지는 전략적 요충지로 간주하며 영향력 유지를 시도해왔다. 또한 체첸 문제와 관련하여 조지아와의 협력을 중요하게 여겼다.

1990년대 초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분리 독립 운동은 러시아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2008년 8월, 조지아가 남오세티야에 군대를 투입하면서 2008년 남오세티야 분쟁이 발발했다. 러시아는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를 지원하며 군사적으로 개입했고, 조지아군은 큰 피해를 보고 철수했다. 전쟁 후 러시아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했고, 조지아는 이에 항의하며 러시아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이 분쟁은 사카슈빌리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켰고, 2009년에는 그의 사퇴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2년 총선에서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조지아의 꿈-민주 조지아 연합이 승리하며 정권이 교체되었다. 비지나 이바니시빌리가 총리가 되었고, 2013년 대선에서는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시빌리가 당선되어 사카슈빌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439] 그러나 EU 가입을 목표로 하는 친서방 노선 자체는 유지되었다.[440][441][442][44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조지아 내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동정 여론과 반러 감정이 높아졌으나, 조지아 정부는 대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하지 않고 중립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제재를 피해 러시아를 떠나는 사람들을 비자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452] 이러한 정책 배경에는 러시아 정부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여당 창설자 비지나 이바니시빌리의 영향력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2023년 5월에는 러시아와의 직항편 운항이 4년 만에 재개되어[453] 친EU 성향의 살로메 주라비시빌리 대통령과 야당, 시민 사회의 반발을 샀다. 한편, 일부 조지아 국민은 조지아 군단 등의 형태로 우크라이나 측에서 자원병으로 참전하고 있다.

2024년 10월 총선에서 여당 '조지아의 꿈'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다고 발표되었으나, 야당과 국제 감시단은 부정 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주라비시빌리 대통령 역시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며 러시아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444] 이후 '조지아의 꿈' 정부가 EU 가입 협상 중단을 선언하면서 정치적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445] 주라비시빌리 대통령은 임기 만료 후에도 직을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446] 12월 29일 '조지아의 꿈' 소속 미헤일 카베라시빌리가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447]

5. 행정 구역

수도트빌리시이다. 조지아는 행정적으로 9개 주, 1개의 수도 지역(트빌리시), 그리고 2개의 자치 공화국(압하지야, 아자리야)으로 나뉜다. 이들은 다시 67개의 지방 자치체와 5개의 자치시로 세분된다.[247]

압하지야와 쓰킨발리 지역(남오세티야)의 분쟁 지역을 강조한 조지아 지도. 이 두 지역은 조지아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있다.


조지아 내에는 공식적으로 두 개의 자치 지역이 있으나, 이들의 지위는 국제적으로 논란이 있다.

  • 압하지야: 공식적으로 조지아 내 자치 공화국이지만,[248] 1999년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포한 후[249] 조지아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사실상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남오세티야: 조지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츠힌발리 지역' 등으로 칭하며, 이는 시다 카르틀리 주 등의 일부에 해당한다. 조지아는 '남오세티야'라는 명칭이 러시아의 북오세티야와의 정치적 연관성을 암시한다고 간주한다.[250]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는 남오세티야 자치주였으나, 1990년 조지아 정부에 의해 자치권이 박탈되었다. 이후 사실상 분리 상태였으며, 2006년에는 분리 독립을 위한 자체적인 주민투표가 실시되기도 했다.[250]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주민 다수는 러시아 당국에 의해 러시아 여권을 발급받았으며,[251] 이는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당시 러시아가 조지아를 침공하는 명분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전쟁 이후 러시아는 이 지역들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승인했다.[252] 조지아는 이 두 지역을 러시아에 의해 점령된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123][253]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는 러시아 등 극소수 국가로부터만 제한적인 국제적 승인을 받았으며,[457] 대부분의 국가는 이들을 러시아 점령 하의 조지아 영토로 간주한다.[254]

조지아의 행정 구역별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압하지야와 시다 카르틀리(남오세티야 포함 지역)의 인구는 추정치이다.

지역중심지면적 (km2)인구[255]인구 밀도 (/km2)
압하지야수후미8660km2242,862추정28.04
아자리야바투미2880km2333,953115.95
구리아오주르게티2033km2113,35055.75
이메레티쿠타이시6475km2533,90682.45
카헤티텔라비11311km2318,58328.16
크베모 카르틀리루스타비6072km2423,98669.82
므츠헤타-므티아네티므츠헤타6786km294,57313.93
라차-레크후미-크베모스바네티암브롤라우리4990km232,0896.43
사메그렐로-제모스바네티주그디디7440km2330,76144.45
삼츠헤-자바케티아할트시헤6413km2160,50425.02
시다 카르틀리고리5729km2300,382추정52.43
트빌리시트빌리시720km21,108,7171,539.88


6. 지리

조지아 전도


조지아는 흑해의 동쪽 해안, 캅카스산맥 남쪽 기슭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러시아, 동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남동쪽으로는 아르메니아, 남쪽으로는 터키와 국경을 접한다. 지리적으로는 동유럽[370][371] 또는 서아시아[454]로 분류된다. 독립 이후 유럽 연합(EU) 가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올림픽위원회(EOC)에 가입하는 등 정치 및 스포츠 관련 국제기구에서는 동유럽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tz database에서는 표준시(UTC+4)를 "Asia/Tbilisi"로 설정하고, 아시아개발은행에는 "지역 내 회원"으로 가입하는 등 아시아로 분류되는 사례도 있다.[455]

국토 대부분이 산악 지대이다. 북쪽 국경에는 대 캅카스산맥이, 남쪽 국경에는 소 캅카스산맥이 뻗어 있으며, 두 산맥 사이에는 흑해로 이어지는 약 330km 길이의 평지가 있다. 최고봉은 슈하라 산(해발 5201m)이며, 두 번째로 높은 카즈베기 산(해발 5074m)은 유일한 화산이다. 이 산맥들 사이에는 약 2,100개의 빙하가 존재한다. 중부의 리히 산맥은 국토를 동서로 나누는데, 동부는 역사적으로 이베리아, 서부는 콜키스로 불렸다. 북부의 스바네티 지역도 산맥으로 구분된다. 주요 하천으로는 리오니 강과 쿠라 강(므트크바리)이 있으며, 쿠라 강변에는 고대 수도였던 므체타와 현재 수도인 트빌리시 등 여러 도시가 발달했다. 아브카지아에 있는 보로니아 동굴은 깊이 2140m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동굴이다.

작은 영토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의 영향으로 식생이 풍부하다. 산맥이 북쪽의 차가운 공기를 막아주어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독특한 생태계가 발달했다. 산림 면적은 약 270만 헥타르로 국토의 38%를 차지하며, 100여 종의 동물, 330여 종의 조류, 48종의 파충류, 11종의 양서류, 160여 종의 물고기가 서식한다.

기후는 지역별로 다양하다. 국토 대부분은 쾨펜의 기후 구분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구 소련 구성국 중 유일하게 감귤류를 수확할 수 있었다. 흑해 연안은 가장 온난하여 조지아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산악 지대는 강수량이 많아 연간 4000mm 이상 내리며, 겨울철에는 눈이 2m까지 쌓이기도 한다. 수도 트빌리시 등이 위치한 동부는 상대적으로 대륙성 기후에 가까워 연간 강수량이 400mm~1600mm 정도로 서부보다 건조하며 겨울 추위가 더 심하다.

캅카스산맥을 따라 러시아 연방과 723km의 국경을 접하며, 크라스노다르 지방,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카바르다-발카르 공화국, 북오세티아-알라니아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등 러시아의 여러 공화국과 인접해 있다. 이 때문에 예로부터 분쟁의 영향을 받기 쉬웠으며, 아브카지아, 남오세티아, 판키시 계곡 등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이 존재한다. 특히 체첸 공화국과 접한 판키시 계곡은 과거 체첸 반군의 근거지가 되어 중앙 정부의 통치가 미치지 못한 시기도 있었다.[456] 아브카지아와 남오세티아는 내전 이후 사실상 조지아로부터 독립한 상태이며, 2015년 10월 기준으로 러시아,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나우루 4개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승인받았다.[457]

정부 명칭수도면적인구민족종교2016년 현황
조지아트빌리시70000km2430.5만 명
아자리아 자치공화국바투미2900km239.3만 명이슬람교조지아의 직할 통치
아브카지아 자치 공화국수후미8665km224.0만 명기독교, 수니파 이슬람교사실상 조지아로부터 독립
(4개국이 국가 승인)
남오세티아 자치주츠힌발리3900km25.1만 명오세티아인은 기독교(정교) 중심사실상 조지아로부터 독립
(4개국이 국가 승인)



=== 환경 문제 ===

조지아는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 있다. 다른 구소련 구성국들과 마찬가지로, 환경 영향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추진된 중공업화 경제 정책으로 인해 소련 시대부터 환경 악화가 심화되었다.[458]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경제 침체로 산업폐기물 배출량은 줄었지만, 처리 시설 미비로 폐기물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자연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1980년대 소련 시절 연간 최대 30000ton의 농약이 사용되는 등 과도한 농약과 비료 사용으로 인한 토양오염도 심각하다.

토지 침식으로 상당량의 경작지가 유실되었고, 관리가 부실한 매립지에 쓰레기가 쌓이거나, 2.5ton 이상의 유해 화학물질이 산간 지역에 매장된 채 방치되는 등 환경보전 의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대기오염은 주요 도시, 특히 대규모 제철소와 금속 가공, 화학약품 공장이 있는 루스타비에서 심각하다. 자동차 배기가스 역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다. 쿠라 강과 흑해는 산업 폐기물로 심각하게 오염되었으며, 수질오염과 상수 처리 부족으로 인해 소화기 질환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458] 조지아 환경천연자원보호부는 국내 경작지의 35%가 훼손되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 주요 도시 ===

7. 경제

조지아의 자유무역협정(FTA) 및 일반특혜관세제도(GSP) 현황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조지아는 흑해 연안에 위치하고 이후 역사적인 실크로드에 자리 잡았기 때문에 고대부터 많은 지역과 제국과 교역해 왔다. 금, 은, 구리, 이 카프카스 산맥에서 채굴되었다. 조지아 와인 제조는 매우 오래된 전통이며 국가 경제의 핵심 부문 중 하나이다. 조지아는 상당한 수력발전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256] 조지아의 현대사를 통틀어 농업과 관광은 기후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주요 경제 부문이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조지아의 경제는 계획경제의 소비에트 모델 내에 있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조지아는 자유시장 경제로 이행하기 위한 대규모 구조 개혁에 착수했다. 다른 모든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와 마찬가지로 조지아는 심각한 경제 붕괴를 겪었다. 남오세티야와 아브카지아의 내전과 군사 분쟁은 위기를 악화시켰다. 농업 및 산업 생산량이 감소했으며, 1994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이 1989년의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257] 1994년까지 조지아는 빵 배급과 전기, 물, 난방 부족으로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86]

독립 전후 내전 등의 혼란으로 경제는 막대한 타격을 입었지만, IMF와 세계은행의 지원을 받아 시장경제 도입이 진행되었고, 1995년 이후 GDP는 증가세로 돌아섰으며 인플레이션 억제와 실질적인 경제 수익을 얻었다. 21세기 초부터 조지아 경제에서 눈에 띄는 긍정적인 발전이 관찰되었다. 2007년 조지아의 실질 GDP 성장률은 12%에 달하여 동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세계은행은 조지아가 기업 환경 지수 순위에서 1년 만에 112위에서 18위로 개선되었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경제 개혁 국가"라고 평가했으며,[261] 2020년까지 세계 6위로 순위를 더욱 높였다.[262] 2021년 기준 세계 경제 자유 지수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019년 조지아는 인간개발지수(HDI)에서 61위를 차지했으며,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조지아의 HDI 점수는 17.7% 향상되었다.[263] HDI에 기여하는 요인 중 교육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264] 조지아는 교육 측면에서 상위 5분위수에 속한다.

조지아는 세계 무역 네트워크에 더욱 통합되었다. 2015년 수입과 수출은 각각 GDP의 50%와 21%를 차지했다.[258] 조지아의 주요 수입품은 차량, 광석, 화석 연료, 의약품이며, 주요 수출품은 광석, 페로합금, 차량, 와인, 광천수, 비료이다.[259][260]

BTC 파이프라인과 남 코카서스 가스 파이프라인


조지아는 바투미포티 항구,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 바쿠에서 트빌리시를 거쳐 세이한까지 이어지는 송유관인 바쿠-트빌리시-세이한 파이프라인(BTC)과 병행하는 가스 파이프라인인 남부 코카서스 파이프라인을 통해 국제 운송 회랑으로 발전하고 있다.[265] 조지아는 아제르바이잔에 있어 원유와 천연가스의 중요한 수출 루트이다. 바쿠-수프사 파이프라인 역시 조지아로의 원유 공급 파이프라인이며, 수프사에는 아제르바이잔이 흑해에서 수출하는 기지가 있다. 정부는 장기적인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를 이러한 국제적인 수송 회랑 개발에 걸고 있다.

사카슈빌리 정부가 집권한 이후 세수 개선을 목표로 일련의 개혁을 단행했다. 그중에서도 2004년에는 단일 소득세가 도입되었다.[266] 그 결과 예산 수입이 4배 증가했고 한때 심각했던 예산 적자가 흑자로 전환되었다.[267][268] 그러나 조지아 경제는 세수 실패로 인해 상당한 재정 적자를 계속 겪기도 했다.

2001년 기준으로 인구의 54%가 국가 빈곤선 이하였지만 2006년에는 34%로, 2015년에는 10.1%로 감소했다.[269] 2015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022.3(약 426USD)였다.[270] 2015년 계산에 따르면 조지아의 명목 GDP는 139.8억달러였다.

8. 사회

남오세티아의 러시아 기갑부대.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조지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지아 사회는 소련 해체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었으며, 특히 러시아와의 관계는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남오세티아와 압하지아 지역의 사실상 분리 독립 상태를 고착화시키고, 수많은 난민을 발생시키는 등 깊은 상처를 남겼다.[114][115] 이 전쟁 중에는 남오세티아 내 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정화 행위도 보고되었다.[112][113] 러시아는 전쟁 이후 이들 지역을 독립국으로 승인했으며[119], 조지아는 이 지역들을 러시아가 점령한 조지아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123][124]

정치적 변화 역시 사회 갈등의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장미 혁명 이후 집권한 미헤일 사아카슈빌리 정부는 서구 지향 정책을 추진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과 2011년 조지아 시위 당시 시위대에 대한 과도한 공권력 사용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226][227][228][229] 2012년 총선에서 비지나 이바니시빌리가 이끄는 조지아의 꿈 연합이 승리하며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지만[126], 이후 정치적 양극화는 심화되었다. 최근 몇 년간 조지아의 꿈 정부가 추진한 '외국 대리인법'(외국 영향력 투명성 법안)은 시민 사회와 야당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147][150][151][152] 시위대는 이 법안이 러시아의 유사 법안을 모방한 것으로,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를 위협한다고 비판했다.[150] 2024년 총선 이후에도 선거 부정 의혹으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으며[153], 정부의 강경 진압과 야당 지도자 체포 등으로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157][158][159]

8. 1. 인구



카르트벨리어족 사용자 분포도


조지아는 다민족 국가이다. 대부분의 코카서스 원주민처럼 조지아인들은 유럽이나 아시아의 주요 민족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조지아어인도유럽어족, 튀르크어족, 셈어족에 속하지 않는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한다. 현재의 조지아 민족은 고대에 아나톨리아에서 남 코카서스로 이주한 다양한 이민자들과 원주민들이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293]

2022년 기준 조지아의 인구는 3,688,647명(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 제외)으로[294], 2014년 인구 조사에서 기록된 3,713,804명(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 제외)[295]보다 감소한 수치이다. 2021년에는 인구가 4만 명 줄어 지난 10년간의 안정화 추세가 꺾였고, 독립 이후 처음으로 인구가 370만 명 아래로 내려갔다. 2014년 인구 조사는 유엔인구기금(UNFPA)과 공동으로 진행되었는데, 이전 2002년 인구 조사 자료를 누적하여 산출한 추정치와 약 70만 명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2002년 인구 조사가 약 8~9% 과다 계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이민 간 가족들이 특정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거주자로 등록했거나, 출생 및 사망 등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UNFPA의 지원으로 1994년부터 2014년까지의 인구 통계 자료가 역추계되어 수정되었다.[298]

조지아의 민족 구성 (2014년)[464][295]
민족비율 (%)
조지아인86.8
아제르바이잔인6.3
아르메니아인4.5
러시아인0.7
기타1.7



2014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조지아인이 인구의 약 86.8%를 차지한다.[295] 주요 소수 민족으로는 아제르바이잔인(6.3%), 아르메니아인(4.5%), 러시아인(0.7%) 등이 있다.[464] 그 외에도 압하지아인, 아시리아인, 그리스인, 유대인(그루짐), 키스트인, 오세티아인, 우크라이나인, 예지디인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한다.[295] 특히 조지아 유대인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대인 공동체 중 하나로, 1970년대에는 10만 명에 달했으나 대부분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현재는 1~2만 명 정도로 감소했다. 조지아에는 한때 상당한 규모의 독일계 주민들도 거주했으나(1926년 11,394명[296]),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중 강제 이주당했다.[297] 또한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의 아자르인처럼 이슬람교를 믿는 조지아인들도 있다.

조지아의 인구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순이민으로 100만 명 이상 감소했다.[300] 이는 소련 해체 이후의 경제난과 정치적 불안정, 특히 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에서의 분리주의 갈등과 관련이 깊다. 1989년 인구 조사 당시에는 러시아인 34만 1,000명(6.3%)[299], 우크라이나인 5만 2,000명, 그리스인 10만 명[300]이 거주했으나, 이후 비조지아계 민족의 이주가 두드러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적 이유로 조지아인들의 이민도 증가했다. 러시아는 조지아 출신 이민자를 가장 많이 받아들였으나(2000년 62만 5천 명, 2019년 45만 명[301]),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약 15만 8,000명의 조지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2] 한편, 2014년 조지아에는 러시아(51.6%), 그리스(8.3%), 우크라이나(8.11%) 등에서 온 18만 4천 명의 이민자가 있었다.[304]

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 분쟁으로 인해 많은 난민이 발생했다. 압하지아 전쟁 이후 최소 16만 명의 조지아인이 압하지아를 떠났으며, 남오세티아에 거주하던 많은 오세티아인들은 러시아의 북오세티아로 이주했다.[305] 2008년 남오세티아 전쟁 당시에는 남오세티아 내 조지아인에 대한 민족 정화가 발생하기도 했으며,[112][113] 전쟁으로 19만 2천 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1년 후에도 약 3만 명의 조지아계 주민들이 돌아가지 못했다.[114][115] 또한, 1944년 강제 이주당한 메스헤트 튀르크인 중 극소수만이 조지아로 돌아왔다.[306] 최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러시아로부터의 이주가 급증하여 2022년 한 해 동안 11만 명이 넘는 러시아인이 조지아로 이주했다. 이는 러시아인들이 비자 없이 최소 1년간 조지아에 체류할 수 있기 때문이지만, 많은 조지아인들은 이를 안보 위협으로 여기기도 한다.[145][146]

조지아의 공용어는 조지아어이며, 압하지아 자치 공화국 내에서는 압하지아어도 공식 지위를 갖는다. 인구의 87.7%가 조지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그 다음으로 아제르바이잔어(6.2%), 아르메니아어(3.9%), 러시아어(1.2%), 기타 언어(1%) 순이다.[308] 조지아어 외에도 같은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스반어, 밍그렐리아어, 라즈어 등이 사용된다.

조지아 내 민족 문제는 정치적 긴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조지아인 내에서도 밍그렐인, 스반인, 라즈인, 아자르인 등은 독자적인 정체성이 강하며, 압하지아인, 오세티아인,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등 비(非)카르트벨리계 민족과의 관계도 복잡하다.[449] 일부에서는 조지아 정부의 반러시아 정책이 카르트벨리인 민족주의와 결합되어 소수 민족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450][451]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소수 민족 집단은 언어 및 문화 보호를 위해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하며, 러시아는 이를 조지아 견제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남오세티아에서는 러시아와의 합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2024년 세계 기아 지수에서 조지아는 기아 수준이 낮은 국가(GHI 점수 5 미만) 중 하나로 평가되었다.[307]

8. 2. 언어

조지아의 공용어는 남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조지아어로, 인구의 약 71%가 사용한다. 그 외에도 러시아어(9%), 아르메니아어(7%), 아제르바이잔어(6%)가 주요 소수 언어로 사용되며,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압하스어, 오세트어 등도 쓰인다. 조지아는 다언어 국가의 특징을 보이는데, 통계적으로 조지아어 사용자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지만 언어학적으로는 구별되는 카르트벨리어족의 스반어, 메그렐어, 라즈어 사용자도 존재한다.

러시아어소련 시절 주요 외국어로 교육되었으나,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어 교육이 폐지되면서 사용자가 감소했다. 특히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이후에는 한 곳을 제외한 모든 방송국 채널에서 러시아어 더빙을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504]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소련의 영향과 일부 지역에서 여러 민족 간 공통어로 기능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반러 정서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러시아어가 광범위하게 통용되는 측면이 있다.

한편, 조지아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8. 3. 종교

바르지아 석굴 도시의 예배당, 아래에는 쿠라 강 계곡이 있다.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른 조지아의 주요 종교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309][310]

종교비율 (%)
동방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83.4
이슬람교10.7
아르메니아 사도교회2.9
로마 가톨릭0.5
기타 종교0.7
응답 거부 / 무응답1.2
무종교0.5



조지아 인구의 대다수인 83.4%는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이들 대부분은 국가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는 조지아 정교회에 속한다.[310] 조지아 정교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교회 중 하나로, 사도 안드레아가 세웠다고 전해진다.[311] 4세기 전반, 카파도키아 출신의 성 니노의 선교 활동을 통해 기독교는 당시 이베리아(현재 조지아 동부)의 국교로 채택되었다.[312][313] 조지아 정교회는 중세 초기에 자치권을 얻었으나, 러시아 제국의 지배 기간 동안 폐지되었다가 1917년에 복원되었고, 19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성을 인정받았다.[314] 조지아 정교회의 특별한 지위는 조지아 헌법과 2002년 조지아 정부와 정교회 간에 체결된 협약(콘코르다트)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종교 기관은 국가와 분리되어 있다.

조지아의 주요 종교 소수 집단으로는 이슬람교 신자(10.7%),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신자(2.9%),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0.5%) 등이 있다.[310] 조지아의 이슬람교는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동부에는 아제르바이잔계 시아파 무슬림이 거주하며, 아자리야 자치 공화국에는 조지아계 수니파 무슬림이 많다. 또한 판키시 계곡에는 수니파 키스트인(체첸계 소수 민족)이, 터키 국경 지대에는 라즈어를 사용하는 수니파 무슬림과 수니파 메스케티 튀르크인이 거주한다. 압하지아의 압하스인 중 일부도 수니파 무슬림이다. 이 외에도 소수의 그리스 정교회 신자(폰토스 그리스인 후손)와 아르메니아인 무슬림(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이들의 후손) 공동체가 존재한다. 조지아 유대인 공동체는 그 역사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315], 이스라엘로의 이주가 늘면서 2000년대 초에는 그 수가 수천 명 수준으로 감소했다.[316][317]

조지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가 비교적 조화롭게 공존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여호와의 증인과 같은 일부 소수 종교 집단에 대한 종교적 차별과 폭력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이는 파문된 정교회 사제 바실 므칼라비슈빌리의 추종자들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알려졌다.[318]

한편, 조지아 사회에는 세속주의자나 무종교인(0.5%)도 존재하며[319], 특정 종교에 소속되어 있더라도 신앙생활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320]

8. 4. 교육

엘리자베스 오르벨리아니(Elizabeth Orbeliani), 1918년 트빌리시 주립대학교의 공동 설립자이자 조지아 최초의 여성 교수.


2004년 이후 조지아의 교육 시스템은 광범위한 현대화를 거쳤으나, 이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321][322] 조지아에서는 만 6세부터 14세까지의 교육이 의무이다.[323] 학교 시스템은 구 소련의 10년제에서 12년제로 변경되었으며,[466] 초등 교육(6년; 만 6세~12세), 기본 교육(3년; 만 12세~15세), 중등 교육(3년; 만 15세~18세) 또는 직업 교육(2년)으로 나뉜다.[323][466] 1학년부터 제1외국어로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며, 5학년부터 제2외국어 학습이 시작된다.[466] 조지아 헌법은 교육이 무상으로 제공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중등 교육(10-12학년)을 이수하고[466] 통합 국가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시험 점수 순위에 따라 주 정부가 인가한 고등 교육 기관에 입학할 수 있다.[324]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은 학사(3~4년), 석사(2년), 박사(3년)의 3단계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또한 3년에서 6년 과정의 공인 전문가 프로그램도 운영된다.[323][325] 2016년 기준으로 75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조지아 교육과학부의 인가를 받았다.[326]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초등 총등록률은 117%로, 스웨덴 다음으로 유럽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327]

트빌리시는 조지아 교육 시스템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특히 1918년 제1 조지아 공화국 수립 이후 현대적인 조지아어 교육 기관 설립이 가능해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트빌리시에는 조지아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들이 모여 있다. 대표적으로 1918년 트빌리시 의과대학으로 설립된 트빌리시 주립 의과대학교와 같은 해 설립되어 코카서스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인 트빌리시 주립대학교(TSU)가 있다.[328] TSU는 약 5,000명의 교수진 및 직원과 35,000명 이상의 학생을 보유하고 있다. 이 외에도 조지아의 주요 기술 대학인 조지아 공과대학교,[329] 조지아 대학교(트빌리시),[330] 코카서스 대학교,[331] 그리고 트빌리시 자유 대학교[332] 등이 트빌리시에 위치한다.

9. 문화

13세기 중세 조지아의 공예 서적인 모크비 복음서


조지아 문화는 고대 이베리아와 콜키스 문명을 기반으로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왔다.[333] 특히 11세기 조지아 황금기에는 고전 문학, 예술, 철학, 건축, 과학 등이 크게 번성하며 문화적 르네상스를 맞이했다.[334] 이후 조지아 문화는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을 비롯해 여러 이란계 제국(아케메네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사산 제국, 사파비 왕조, 카자르 왕조)[335][336][337][338], 그리고 19세기 이후에는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을 받았다.[339]

이러한 오랜 역사 속에서 조지아는 외부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지켜왔다. 특히 기독교 신앙조지아어는 조지아인의 국가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340] 이러한 문화적, 종교적 특징은 주변 강대국들과 차별화되는 조지아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럽 및 서구 지향성을 강화하는 기반이 되었다.[339][340][341][342]

조지아는 풍부한 민속, 전통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미술 등으로 유명하다. 20세기에는 니코 피로스마니, 라도 구디아시빌리, 엘레네 아흐블레디아니와 같은 뛰어난 화가들이 활동했으며, 발레 분야에서는 조지 발란신, 바흐탕 차부키아니, 니노 아나니아시빌리 등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문학에서는 갈락티온 타비드제, 라도 아사티아니, 무흐란 마차바리아니와 같은 시인들이, 연극 및 영화계에서는 로베르트 스투루아, 텡기즈 아불라제, 기오르기 다넬리아, 오타르 이오셀리아니와 같은 감독들이 주목받았다.[344] 19세기에는 오랜 침체기를 벗어나 조지아어 문학이 부흥했으며, 시인 쇼타 루스타벨리의 고전 작품을 바탕으로 그리고리 오르벨리아니, 니콜로즈 바라타슈빌리, 일리아 차브차바제, 아카키 체레텔리, 바자-프샤벨라 등 낭만주의 및 근대 소설가들이 등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344] 조지아어는 전통적으로 기원전 3세기 파르나바즈 1세가 창제했다고 전해지는 세 종류의 고유한 조지아 문자로 표기된다.[345][346]

헤르트비시 요새, 중세 조지아 건축의 한 예


조지아 건축은 여러 문명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양식을 보여준다. 성, 탑, 요새, 교회 등 다채로운 건축물이 남아 있으며, 특히 스바네티 지역의 방어 시설과 헤브수레티의 샤틸리 성곽 도시는 중세 조지아 성곽 건축의 뛰어난 예시로 꼽힌다. 수도 트빌리시의 루스타벨리 거리와 구시가지에서도 조지아 건축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조지아 교회 건축은 고전적인 양식과 독창적인 바실리카 양식을 결합한 '조지아식 십자형 돔 양식'으로 유명하다. 이 양식은 9세기에 발전했으며, 그 이전에는 대부분 바실리카 양식이었다. 조지아의 교회 건축 양식은 불가리아의 바흐코보 수도원(1083년 조지아 군 지휘관 그리고리 바쿠리아니 건설), 그리스의 이비론 수도원(10세기 조지아인 건설), 예루살렘의 십자가 수도원(9세기에 조지아인에 의해 건설됨) 등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지아의 미디어(텔레비전, 잡지, 신문)는 모두 국영 및 영리 기업이 운영하며, 광고, 구독, 기타 판매 관련 수익에 의존하고 있다. 조지아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 조지아의 미디어 환경은 장기간의 정치화와 양극화에도 불구하고 남캅카스 지역에서 가장 자유롭고 다양한 편이다.[347] 2014년에도 공영 방송에 대한 정치적 주도권 다툼으로 방향성을 잃었다.[348]

조지아는 오랜 음악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초기 다성음악 발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지아 다성음악은 세 개의 성부, 완전 5도에 기반한 독특한 조율 시스템, 그리고 평행 5도와 불협화음이 풍부한 화성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조지아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다성음악이 발전했다. 스바네티 지역의 복잡한 버전, 카헤티 지역의 베이스 배경 위의 대화 형태, 그리고 서부 조지아의 3성부 부분즉흥 버전이 그것이다.[349] 조지아 민요 "차크룰로"는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에 실려 우주로 보내진 보이저 황금 레코드에 포함된 27개의 음악 작품 중 하나였다.[350]

코스 형태로 음식을 제공하기보다는, 전통적인 ''수프라''는 주인이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함께 내놓는 경우가 많다.


조지아 요리와 와인은 여러 세기를 거치면서 각 시대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발전해 왔다. 가장 특이한 식사 전통 중 하나는 수프라(supra) 또는 ''조지아 식탁''으로, 친구 및 가족과 교류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수프라의 책임자는 타마다(tamada)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매우 철학적인 건배를 주도하고 모두가 즐거운 시간을 보내도록 한다. 조지아의 여러 역사적 지역은 특정 요리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동부 산악 지방의 힌칼리(khinkali)(고기 만두)와 주로 이메레티(Imereti), 사메그레로(Samegrelo), 아자리아(Adjara) 지방의 하차푸리(khachapuri)가 있다.[351]

르카치텔리 ''크베브리'' 와인. 와인 제조는 조지아 경제의 전통적인 부분이다.


조지아의 와인 공장


조지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국 중 하나입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조지아와 그 주변의 비옥한 계곡과 산비탈은 수천 년 동안 포도 재배와 신석기 시대 와인( ღვინო|ɣvinoka) 생산의 중심지였습니다.[352][353][354] 와인과 관련된 지역 전통은 조지아의 국가 정체성과 깊게 얽혀 있습니다.[352] 2013년 유네스코는 크베브리 항아리를 이용한 고대 조지아 전통 와인 제조법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했습니다.[352][355]

흑해의 영향을 받는 조지아의 온화한 기후와 습한 공기는 포도 재배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포도밭의 토양은 매우 집약적으로 경작되어 포도나무가 과일 나무의 줄기를 따라 자라며, 익으면 과일과 함께 아래로 드리워집니다. 이러한 재배 방식을 ''마글라리''라고 합니다.[356] 가장 잘 알려진 조지아 와인 지역으로는 카헤티(텔라비와 크바렐리 소지역으로 세분됨), 카르틀리, 이메레티, 라차-레치후미 및 크베모 스바네티, 아자리야, 압하지야가 있습니다. 세미스위트 레드 와인인 '''흐반츠카라'''(Khvanchkara)가 유명하다. 스파클링 와인은 '''츠쿠리알라'''(Cqriala)라고 불린다. 흐반츠카라의 츠쿠리알라도 있으며, 희소성이 높다.

조지아 와인은 최근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였습니다. 러시아와의 정치적 긴장은 2006년 러시아의 조지아 와인 수입 금지로 이어졌습니다. 러시아는 조지아가 위조 와인을 생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공식적인" 이유였지만, 러시아와의 경제 관계 불안정성은 러시아가 정치적 목적으로 경제적 유대를 이용하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357] 위조 문제는 외국 생산자의 잘못된 라벨링과 조지아 이외 지역에서 생산되어 조지아산으로 위장되어 러시아로 수입된 와인의 허위 "조지아 와인" 라벨에서 비롯됩니다.[357] 위조 와인의 운송은 주로 러시아가 관리하는 러시아 검문소를 통해 러시아가 점령한 조지아 영토인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곳에서는 검사와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357] 이 금수 조치는 2013년 비지나 이바니시빌리 정권 수립 이후 해제되었다.

=== 스포츠 ===

바투미의 아자라베트 경기장에서 조지아 국가 라그비 유니온 팀이 이탈리아 국가 라그비 유니온 팀과 라그비 경기를 하고 있다.


조지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 농구, 럭비 유니온, 레슬링, 유도, 그리고 역도이다. 럭비는 조지아의 국가 스포츠로 여겨진다.[358] 역사적으로 조지아는 체육으로 유명했으며, 고대 이베리아의 훈련 기술을 본 로마인들은 조지아인들의 체격에 매료되었다.[359] 레슬링은 조지아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스포츠이며, 일부 역사가들은 그레코로만 레슬링이 많은 조지아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한다.[360][477] 조지아 내에서 가장 대중화된 레슬링 스타일 중 하나는 카케티안 스타일이다. 과거에는 오늘날처럼 널리 사용되지 않는 여러 다른 스타일이 있었다. 예를 들어 조지아의 헤브수레티 지역에는 세 가지 레슬링 스타일이 있다. 19세기 조지아의 다른 인기 스포츠로는 폴로와 렐로가 있는데, 렐로는 럭비와 매우 유사한 전통적인 조지아 게임이다.[361]

축구는 조지아에서 매우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수도 트빌리시에 있는 FC 디나모 트빌리시는 실적과 명성 모두 조지아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축구 클럽이다. 2001년부터 약 10년간 AC 밀란에서 활약한 카하 칼라제는 오랫동안 조지아인들의 동경의 대상이었으며, 최근에는 SSC 나폴리에 소속되어 있는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가 유명하다.[476]

농구는 항상 조지아에서 주목할 만한 스포츠 중 하나였으며, 조지아는 소비에트 연방 국가 대표팀의 매우 유명한 멤버 몇 명을 배출했는데, 예를 들어 오타르 코르키아, 미케일 코르키아, 주랍 사칸델리제, 레반 모세슈빌리가 있다. BC 디나모 트빌리시는 1962년에 권위 있는 유로리그 대회에서 우승했다. 조지아는 NBA에 다섯 명의 선수를 배출했는데, 블라디미르 스테파니아, 제이크 차칼리디스, 니콜로즈 치키티슈빌리, 토르니케 쉔겔리아, 그리고 전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 센터 자자 파출리아가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농구 선수로는 두 번의 유로리그 챔피언 기오르기 셰르마디니와 유로리그 선수 마누차르 마르코이슈빌리, 빅토르 사니키제가 있다. 최근 이 스포츠는 다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조지아 국가 농구 팀은 2011년 첫 출전 이후 5번 연속 유로바스켓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많은 세계적인 수준의 조지아 종합격투기(MMA) 파이터들이 있다. 일리아 토푸리아, 메랍 드발리슈빌리, 기가 치카제, 로만 돌리제는 현재 UFC와 계약한 높은 순위의 파이터들이다.

코카서스 지역 최초이자 유일한 경주 서킷이 조지아에 위치해 있다. 1978년에 처음 건설된 루스타비 국제 모터파크는 전면적인 재건축[362] 후 2012년에 다시 문을 열었으며, 2000만달러가 소요되었다.[478] 이 트랙은 FIA 2등급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현재 레전즈 카 레이싱 시리즈와 알파 포뮬러 경기를 개최한다.[363][479]

조지아 선수들은 총 40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부분 레슬링, 유도, 역도에서 획득했다.[364] 유럽 IFBB이 승인한 경쟁 보디빌딩도 조지아에서 인기가 있다.[365]

=== 세계유산 ===

조지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 3건이 있다.

  • 므츠헤타의 역사적 건축물들 (1994년)
  • 겔라티 수도원 (1994년, 2017년 축소)
  • 상스바네티 (1996년)


=== 공휴일 ===

날짜한국어 표기현지어 표기비고
1월 7일크리스마스조지아 정교회의 크리스마스, 율리우스력 12월 25일.
3월 3일어머니의 날
3월 8일세계 여성의 날
4월 9일국민 단결의 날1989년 트빌리시에서 반소 폭동이 발생한 날
5월 9일전승기념일대독일 전쟁에서 독일 항복을 기념.
5월 12일성 안드레의 날전승에 따르면 사도 성 안드레아가 최초로 조지아에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함.
5월 26일독립기념일1918년 독립 선언을 한 날
8월 28일성모 승천 대축일율리우스력 8월 15일
10월 14일스베티츠호벨리 교회 기념일
11월 23일성 조지의 날"계몽자" 조지는 조지아의 수호 성인.


참조

[1] 간행물 Constitution of Georgia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http://parliament.ge[...]
[3]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მოსახლეობის საყოველთაო აღწერის საბოლოო შედეგები http://geostat.ge/c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16-04-28
[4] 웹사이트 Demographic Portal https://www.geostat.[...] 2022-05-07
[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Georgi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6]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 Georg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7]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022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2-09-08
[8] 서적 Encyclopedic World Atlas George Philip & 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서적 Histories
[10] 웹사이트 Caucasus https://www.britanni[...] 2021-06
[11] 서적 National Atlas of Georgia Steiner Verlag 2018
[1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mography https://www.geostat.[...]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Geostat
[13] 뉴스 'World's oldest wine' found in 8,000-year-old jars in Georgia https://www.bbc.com/[...] BBC News 2017-11-13
[14] 논문 The Origins of Inebriation: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Consumption of Fermented Beverages and Drugs in Prehistoric Eurasia 2004
[15] 논문 The establishment of Soviet power in Transcaucasia: The case of Georgia 1921–1928 2020-10-27
[1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https://matsne.gov.g[...] The Legislative Herald of Georgia 2020-06-29
[17] 웹사이트 Consolidating Parliamentary Democracy in Georgia https://www.ge.undp.[...] UNDP Georgia
[18] 웹사이트 Georgia https://www.state.go[...]
[19]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https://www.consiliu[...]
[20] 서적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Countries South of the Caucasus in Medieval Maps: Armenia, Georgia and Azerbaijan 2007
[22] 서적 Philology, typology and language structure Peter Lang 2002
[23] 논문 The Pilgrims' derivation of the name Georgia 1937
[24] 서적 Historical, Indo-European, and Lexicographical Studies Walter de Gruyter 1997
[25]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2003
[26]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2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Legislative Herald of Georgia
[28] 웹사이트 Tbilisi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3-07-11
[29] 웹사이트 'By Georgia! Don't call us Gruzia' https://www.jpost.co[...] 2006-05-17
[30] 웹사이트 Japan intends to officially use 'Georgia' instead of 'Gruzia' https://en.trend.az/[...] 2014-10-21
[31] 웹사이트 Georgia: Stop Calling Me "Gruzia" https://eurasianet.o[...] 2011-06-28
[32] 웹사이트 Georgia Asks Friends To Stop Calling It 'Gruzia' https://rferl.org/a/[...] 2011-07-13
[33] 웹사이트 Lithuania approves Sakartvelo as official name for Georgia https://www.lrt.lt/e[...] 2021-01-11
[34] 웹사이트 Georgian archaeologists find 1.8-million-year-old human tooth https://www.reuters.[...] 2022-09-09
[35] 서적 The Earliest Occupation of Europe Modderman Stichting / Faculty of Archaeology – Leiden University
[36] 서적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ისტორია Saunje
[37] 학술지 Filling the gaps: Late Upper Palaeolithic settlement in Gvardjilas Klde, Georgia https://www.scienced[...] 2021-06-20
[38] 학술지 Rethinking architectural techniques of the Southern Caucasus in the 6th millennium BC: A re-examination of former data and new insights https://journals.ope[...] 2019
[39] 웹사이트 Oldest-known fibers to be used by humans discovered https://news.harvard[...] 2009-09-10
[40] 웹사이트 Discover the Secret Birthplace of Wine https://www.national[...] 2018-05-21
[41] 학술지 Bronze Age gold in Southern Georgia https://journals.ope[...] 2009
[42] 서적 Historical-Ethnological problems of Georgia, the Caucasus and the Near East Tbilisi State University
[43] 웹사이트 Archaeologists discover 14th–12th centuries BCE Colchis artefacts in western Georgia https://agenda.ge/en[...] 2022-05-13
[44] 학술지 Geoarchaeology of Phasis (Georgia) https://journals.ope[...] 2016
[45] 서적 Lives and Legends of the Georgian Saints St. Vladimir's Seminary Press
[46]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47] 서적 (Asatiani 2009, pp. 48–50)
[48] 서적 (Asatiani 2009, pp. 54–61)
[49] 서적 (Asatiani 2009, pp. 47–48)
[50] 서적 (Asatiani 2009, pp. 67–70)
[51] 서적 Nation-building in the post-Soviet borderland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Modern History of Soviet Georgia Greenwood Press
[53] 서적 Trust and Conflict: Representation, Culture and Dialogue
[54] 서적 Georgian Literature and Culture Slavica
[55] 서적 Armenia, Azerbaijan, and Georgia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6
[56] 서적 k'art'veli eris istoria Tbilisi State University Press
[57] 서적 Imagining history at the crossroads: Persia, Byzantium, and the architects of the written Georgian past, Volume 2 p 65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58]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59] 서적 ნ. ტოლჩანოვის იმერეთში ელჩობის მუხლობრივი აღწერილობა, 1650–1652 ი. ცინცაძემ
[60] 서적 ბედნიერებისა და სათნოების საუნჯე http://dspace.nplg.g[...] საბჭოთა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61] 서적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მოსახლეობა XVIII-XX საუკუნეებში: დემოგრაფიულ-გეოგრაფიული გამოკვლევა მეცნიერება 1984
[62] 웹사이트 Treaty of Georgievsk http://www.hist.msu.[...] Moscow State University 1783-07-24
[63] 웹사이트 Relations between Tehran and Moscow, 1797–2014 https://www.academia[...]
[64] 웹사이트 Peter Bagration: The Best Georgian General of the Napoleonic Wars http://www.napoleon-[...] 2009
[65]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66] 서적 An Atlas of Russian History: Eleven Centuries of Changing Borders Yale University Press
[67] 웹사이트 Georgia Celebrates Independence Day http://georgiatoday.[...]
[68] 서적 Recognition of Governments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9] 웹사이트 Наша маленькая Хоста – Исторический очерк http://www.sss-tmas.[...] SSS-TMAS
[70] 서적 Beria: Stalin's First Lieutena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71] 뉴스 Ethnic tensions: War in the Caucasus is Stalin's legacy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8-08-17
[72] 웹사이트 Soviet Georgia: A Detailed Historical Analysis of the 20th Century Georgia https://georgia.to/s[...] 2024-07-21
[73] 뉴스 Georgian World War II hero's remains return home https://agenda.ge/en[...] 2015-09-30
[74] 서적 Autonomy and Conflict: Ethnoterritoriality and Separatism in the South Caucasus: Cases in Georgia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75] 서적 Problems of Communism: November—December 1991 https://books.google[...] Documentary Studies Section, International Information Administration
[76] 뉴스 Georgia Votes for Change https://www.tampabay[...] 1990-10-30
[77] 웹사이트 Government of Georgia:About Georgia http://gov.ge/index.[...] gov.ge 2016-08-09
[78] 서적 New Tribalisms: The Resurgence of Race and Ethnic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3-29
[79] 서적 Coming Together Or Falling Apart?: Regionalism in the Former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Centr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Queen's University 1997-08-28
[80]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
[81] 웹사이트 Georgia: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pesd.princet[...] Encyclopedia Princetoniensis 2019-03-16
[82] 뉴스 Shevardnadze Named Head of New Government https://greensboro.c[...] News & Record 1992-03-10
[83] 뉴스 Obituary: Eduard Shevardnadze https://www.bbc.com/[...] 2014-07-07
[84] 웹사이트 Georgia/Abchasia: Violations of the laws of war and Russia's role in the conflict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5-03-01
[85] 웹사이트 Russia – The Ingush–Ossetian conflict in the Prigorodnyi region http://hrw.org/repor[...] Human Rights Watch/Helsinki 1996-05-01
[86] 뉴스 Bread, water, fuel shortages in Georgia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94-11-22
[87] 웹사이트 EurasiaNet Eurasia Insight – Georgia's Rose Revolution: Momentum and Consolidation http://eurasianet.or[...] Eurasianet.org
[88] 웹사이트 არჩევნების ისტორია http://www.tabula.ge[...] Tabula 2016-08-17
[89] 뉴스 Georgia moves to rein in Ajaria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5-05
[90] 뉴스 Duma prepares for Georgia strike http://news.bbc.co.u[...] 2002-09-19
[91] 웹사이트 Russia, Georgia strike deal on bases https://old.civil.ge[...] Civil Georgia, Tbilisi 2005-05-30
[92] 웹사이트 Russia Hands Over Batumi Military Base to Georgia https://old.civil.ge[...] Civil Georgia, Tbilisi 2007-11-13
[93] 웹사이트 Russia's retention of Gudauta base – An unfulfilled CFE treaty commitment http://www.leader.vi[...] The Jamestown Foundation 2006-05-22
[94] 웹사이트 Is The Clock Ticking For Saakashvili? http://www.rferl.org[...] 2008-09-12
[95] 뉴스 Russia criticised over Abkhazia http://news.bbc.co.u[...] 2008-04-24
[96] 뉴스 Countdown in the Caucasus: Seven days that brought Russia and Georgia to war http://www.ft.com/cm[...] 2008-08-26
[97] 뉴스 Smoldering Feud, Then War http://online.wsj.co[...] 2008-08-16
[98] 뉴스 Georgia calls on EU for independent inquiry into war https://www.theguard[...] 2008-11-19
[99] 학술지 Russia resurgent? Moscow's campaign to 'coerce Georgia to peace' http://commonweb.uni[...]
[100] 웹사이트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Georgia http://www.parl.gc.c[...] Parliament of Canada 2009-02-13
[101] 웹사이트 Saakashvili Appeals for Peace in Televised Address https://old.civil.ge[...] Civil.Ge 2008-08-07
[102] 웹사이트 The Goals Behind Moscow's Proxy Offensive in South Ossetia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08-08-08
[103] 웹사이트 Georgian conflict puts U.S. in middle https://www.chicagot[...] 2008-08-09
[104] 뉴스 A Two-Sided Descent into Full-Scale War https://www.washingt[...] 2008-08-17
[105] 웹사이트 The Russian-Georgian War was Preplanned in Moscow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08-08-14
[106] 뉴스 Georgia Offers Fresh Evidence on War's Start https://www.nytimes.[...] 2008-09-15
[107] 웹사이트 http://www.newsru.co[...] NEWSru.com 2008-09-11
[108]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Legal Aspects of War in Georgia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09] 뉴스 Abkhaz separatists strike disputed Georgia gorge https://www.reuters.[...] 2008-08-09
[110] 뉴스 I got my children out minutes before the bombs fell https://www.theguard[...] 2008-08-11
[111] 뉴스 Russia opens new front, drives deeper into Georgia http://ap.google.com[...] 2008-08-11
[112] 간행물 Report. Volume I http://www.ceiig.ch/[...] Independent International Fact-Finding Mission on the Conflict in Georgia 2009-09
[113] 뉴스 Amnesty International Satellite Images Reveal Damage to South Ossetian Villages After... https://www.reuters.[...] 2008-10-09
[114] 웹사이트 Civilians in the line of fire http://www.refworld.[...] Amnesty International 2008-11
[115] 뉴스 Georgia Marks Anniversary of War http://news.bbc.co.u[...] 2009-08-07
[116] 웹사이트 http://www.kommersan[...] Kommersant 2008-08-15
[117] 웹사이트 Rights Groups Say South Ossetian Militias Burning Georgian Villages http://www.rferl.org[...] RFE/RL 2008-09-30
[118] 뉴스 Russia Endorses Six-Point Plan https://old.civil.ge[...] Civil.Ge 2008-08-12
[119] 웹사이트 Statement by President of Russia Dmitry Medvedev http://kremlin.ru/en[...] The Kremlin 2008-08-26
[120] 뉴스 Georgia breaks ties with Russia http://news.bbc.co.u[...] 2008-08-29
[121] 뉴스 Russia Completes 'Most of Withdrawal' – EU Monitors https://civil.ge/arc[...] Civil Georgia 2008-10-08
[122] 뉴스 Moscow Says EU Monitors Fully Control 'Buffer Zones' https://civil.ge/arc[...] Civil Georgia 2008-10-09
[123]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Parliament of Georgia on the Occupation of the Georgian Territories by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parliamen[...] 2008-08-29
[124] 뉴스 Abkhazia, S.Ossetia Formally Declared Occupied Territory https://old.civil.ge[...] Civil.Ge 2008-08-28
[125] 뉴스 Georgia's Constitutional Changes https://www.crisisgr[...] 2012-03-01
[126] 뉴스 Saakashvili Concedes Defeat in Parliamentary Election https://old.civil.ge[...] 2012-10-02
[127] 뉴스 Georgian tycoon Ivanishvili confirmed as prime minister https://www.reuters.[...] 2012-10-25
[128] 뉴스 Georgia: Conflict Rather than Cohabitation https://eurasianet.o[...] 2013-02-08
[129] 뉴스 Georgia's Historic Transition Faces Crucial Tests In 2013 https://www.rferl.or[...] 2012-12-16
[130] 뉴스 Georgia PM ally Giorgi Margvelashvili 'wins presidency' https://www.bbc.com/[...] 2013-10-27
[131] 뉴스 Irakli Garibashvili Named as Georgia's Next Prime Minister https://jamestown.or[...] 2013-11-04
[132] 뉴스 Did Georgia's 'Informal Leader' Pressure Prime Minister To Resign? https://www.rferl.or[...] 2015-12-24
[133] 뉴스 Mikheil Saakashvili: Georgian ex-president arrested returning from exile https://www.bbc.com/[...] 2021-10-01
[134] 뉴스 Ruling party in Georgia decisively wins parliament vote https://www.reuters.[...] 2016-10-07
[135] 뉴스 Constitutional Amendments Initiated https://old.civil.ge[...] 2017-05-03
[136] 뉴스 Georgian government offers concessions to end crisis https://eurasianet.o[...] 2019-06-24
[137] 뉴스 Transparency International urges dialogue with civil society during political crisis in Georgia https://www.transpar[...] 2019-11-30
[138] 일반
[139] 뉴스 Georgia elects Salome Zurabishvili as first woman president https://www.bbc.com/[...] 2018-11-29
[140] 뉴스 Georgian Dream, Opposition Reach Consensus over Electoral Reform https://civil.ge/arc[...] 2020-03-08
[141] 뉴스 Georgia protests: Tbilisi police fire water cannon at demonstrators https://www.bbc.com/[...] 2020-11-08
[142] 뉴스 New EU Proposal: Amnesty for Rurua, Melia, 2022 Snap Polls if GD Gets Less than 43% in Locals https://civil.ge/arc[...] 2021-04-18
[143] 뉴스 President Michel to Start Consultations after GD's EU-Brokered Deal Withdrawal https://civil.ge/arc[...] 2021-07-29
[144] 뉴스 Georgia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m/[...] 2021-02-22
[145] 뉴스 Russian exiles get a chilly reception in Georgia – VoxEurop https://voxeurop.eu/[...] 2022-05-22
[146] 뉴스 90 დღე 366-ის წინააღმდეგ -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რუსეთის უვიზო მიმოსვლის მოკლე ისტორია https://www.radiotav[...] 2023-05-20
[147] 웹사이트 Law on "Transparency of Foreign Funding" Passes 76-13 in the First Reading https://civil.ge/arc[...] 2023-03-07
[148] 웹사이트 Georgia withdraws 'foreign influence' bill but opposition vows more protests https://www.cnn.com/[...] 2023-03-09
[149] 웹사이트 Ruling party to resubmit bill on transparency of foreign influence to Parliament {{!}} AGENDA.GE https://agenda.ge/en[...]
[150] 뉴스 Protesters demand Georgia government withdraw proposed 'Russian law' https://www.bbc.com/[...] 2024-04-15
[151] 웹사이트 Massive Tbilisi protest marks historic turnout https://tvpworld.com[...]
[152] 웹사이트 Tens of Thousands Protest Against Foreign Agents Law https://civil.ge/arc[...] 2024-05-12
[153]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by High Representative Josep Borrell and European Commission on Parliamentary elections https://1tv.ge/lang/[...]
[154] 웹사이트 President: Parliament Meeting Unconstitutional https://civil.ge/arc[...] 2024-11-25
[155] 웹사이트 PM Kobakhidze: No EU accession negotiations until 2028, rejecting grants to avoid blackmail https://1tv.ge/lang/[...]
[156] 웹사이트 Protesters in Georgia throw Molotov cocktails at security forces https://newsukraine.[...]
[157] 웹사이트 Georgian police accused of torturing pro-EU protesters https://www.france24[...] 2024-12-03
[158] 웹사이트 Georgian police briefly detain opposition leader Zurab Japaridze https://oc-media.org[...] 2024-12-02
[159] 뉴스 Georgian opposition leader violently detained by police, his party says https://www.reuters.[...] 2024-12-04
[160] 웹사이트 Caucasus (region and mountains, Eurasia) https://www.britanni[...] 2010-04-27 #archive date
[161] 웹사이트 CESWW – Definition of Central Eurasia http://cesww.fas.har[...] Cesww.fas.harvard.edu
[162] 웹사이트 Georgia:Geography http://www.cac-biodi[...] Cac-biodiversity.org
[163] 서적 National Atlas of Georgia – Nationalatlas von Georgien Steiner Verlag 2018
[164] 웹사이트 Endemic Species of the Caucasus http://www.endemic-s[...] Endemic-species-caucasus.info 2009-01-07
[165] 웹사이트 Georgi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166] 웹사이트 Eucariota, Animalia, Chordata http://www.biodivers[...] Institute of Ecology 2015
[167] 웹사이트 Caucasian Spiders " Checklists & Maps http://caucasus-spid[...] Caucasus-spiders.info
[168] 웹사이트 Dramatic Double Sturgeon Discovery in Georgia https://wwf.panda.or[...] WWF 2020-06-15
[169] 서적 Flora of Spore Producing Plants of Georgia (Summary) Academy of Science of the Georgian SSR 1986
[170] 웹사이트 Cybertruffle's Robigalia – Observations of fungi and their associated organisms http://www.cybertruf[...] cybertruffle.org.uk
[171] 서적 Dictionary of the Fungi CABI 2008
[172] 웹사이트 Fungi of Georgia – potential endemics http://www.cybertruf[...] cybertruffle.org.uk
[173] 웹사이트 Georgia – a haven for biodiversity https://www.iucn.org[...] 2012-12-07
[174]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75]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76] 뉴스 Georgia elects Salome Zurabishvili as first woman president https://www.bbc.com/[...] 2018-11-29
[177] 뉴스 Georgia Leader: Country on Right Track http://www.foxnews.c[...] Fox News 2008-10-17
[178] 웹사이트 Georgia: Freedom in the World 2022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3-02-05
[179]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1: the China challenge https://pages.eiu.co[...]
[180] 웹사이트 U.S. Announces New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or Georgia https://old.civil.ge[...] Civil.Ge 2021-12-29
[181] 간행물 Resolution 2014/2717(RSP) http://www.europarl.[...] 2014-07-17
[182] 뉴스 Why was Georgia not granted EU candidate status? https://www.euronews[...] 2022-11-24
[183] 웹사이트 Georgia's way to NATO http://www.mfa.gov.g[...] Mfa.gov.ge 2010-11-02
[184] 웹사이트 NDI Poll: Economy Still Top Concern for Georgians; Support for NATO and EU Stable https://www.ndi.org/[...] National Democratic Institute 2017-02-27
[185] 간행물 Press Release (2011) 145 http://www.nato.int/[...] 2011-01-03
[186] 웹사이트 Substantial NATO-Georgia Package (SNGP) https://www.nato.int[...] NATO 2019-02-10
[187] 뉴스 Lavrov: If Georgia Joins NATO, Relations Will Be Spoiled http://georgiatoday.[...] 2019-10-02
[188] 웹사이트 Russian FM Lavrov supports resumption of flights to Georgia as Georgians 'realised consequences' of June 20 https://agenda.ge/en[...] Agenda.ge 2019-09-29
[189] 뉴스 Europe | Bush praises Georgian democracy http://news.bbc.co.u[...] 2009-05-05
[190] 뉴스 Bush Heads to Europe for G – 8 Summit https://www.nytimes.[...]
[191] 웹사이트 EU, Georgia Sign ENP Action Plan https://old.civil.ge[...] Civil.Ge 2021-12-29
[192] 웹사이트 EU/Georgia Association Agreement https://eeas.europa.[...] EEAS 2017-02-27
[193] 웹사이트 Visas: Council confirms agreement on visa liberalisation for Georgia http://www.consilium[...] European Council –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7-02-27
[194] 웹사이트 Visas: Council adopts regulation on visa liberalisation for Georgians http://dsms.consiliu[...] European Council –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7-02-27
[195] 뉴스 Georgia's PM Signs Application to Join the EU https://civil.ge/arc[...] Civil.ge 2022-03-03
[196] 웹사이트 Civil Georgia {{!}} BREAKING: Georgia Granted EU Candidate Status https://civil.ge/arc[...] 2023-12-14
[197]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grants EU candidate status to Georgia – Council President https://agenda.ge/en[...] 2023-12-14
[198] 뉴스 Deal reached to open EU accession talks with Ukraine and Moldova – Europe live https://www.theguard[...] 2023-12-14
[199] 뉴스 EU to open membership talks with Ukraine and Moldova https://www.bbc.com/[...] 2023-12-14
[200] 웹사이트 Police and protesters clash in Tbilisi after PM suspends Georgia’s EU bid https://www.upi.com/[...] 2024-11-29
[201] 간행물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n Europe https://ebco-beoc.or[...] 2024-05-15
[202] 뉴스 Budget https://mod.gov.ge/u[...] 2021-08-06
[203] 뉴스 Delta History http://delta.gov.ge/[...] 2016-07-21
[204] 뉴스 Delta Products http://delta.gov.ge/[...] 2016-07-21
[205] 뉴스 Georgia to double troops in Iraq http://news.bbc.co.u[...] 2016-07-21
[206] 뉴스 MoD Releases Details on Georgian Troops Wounded in May 13 Helmand Attack https://old.civil.ge[...] 2013-05-14
[207] 뉴스 Georgia deploying 750 soldiers to Afghanistan http://www.hurriyetd[...] 2010-08-04
[208] 뉴스 Why Georgia sends troops to Afghanistan https://www.telegrap[...] 2016-07-21
[209] 웹사이트 Georgian Army ends mission in Helmand http://www.isaf.nato[...] 2014-07-16
[210] 뉴스 Georgian Soldier Killed in Afghanistan https://www.old.civi[...] 2017-08-04
[211] 뉴스 Georgian Troops End Mission in Helmand https://old.civil.ge[...] 2014-07-17
[212] 뉴스 Georgian Soldier Succumbs to Injuries Suffered in Afghanistan https://old.civil.ge[...] 2015-06-08
[213] 웹사이트 Firing of traffic police force stands as a symbol of hope in Georgia | McClatchy http://www.mcclatchy[...] Mcclatchydc.com
[214] 웹사이트 Georgia's National Police Corruption Project https://www.npr.org/[...] NPR 2005-09-15
[215] 웹사이트 Building security in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archive.toda[...] 2007-06-01
[216]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Saakashvili at the CIS Summit in Tbilisi http://www.president[...] President of Georgia 2005-06-03
[217] 웹사이트 Security Notice http://georgia.usemb[...] American Embassy Tbilisi
[218] 웹사이트 How Georgia Stamped Out Corruption on Campus https://foreignpolic[...] 2015-09-03
[219] 뉴스 Lessons from Georgia's fight against graft https://www.economis[...] 2012-02-07
[220] 웹사이트 Georgia's Fight Against Corruption in Public Services Wins Praise http://www.worldbank[...] 2012-01-31
[221] 웹사이트 Fourth Evaluation Round on Georgia https://rm.coe.int/C[...] 2017-01-17
[222] 웹사이트 Georgia's anti-corruption reforms stall amid political crisis and allegations of state capture https://www.transpar[...] 2021-01-28
[223]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 Index 2020 https://www.transpar[...] 2021-01-28
[224] 웹사이트 Georgia's public defender http://www.ombudsman[...] Ombudsman.ge
[225] 웹사이트 Alternative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by Georgia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in the region of Kvemo Kartli – Tbilisi, 2008 – p. 58–59 http://www.minelres.[...]
[226] 웹사이트 US, Britain, call for probe into May 26 events in Georgia http://www.news.az/a[...] News.Az 2011-05-28
[227] 웹사이트 Georgia: Police Used Excessive Force on Peaceful Protest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1-05-26
[228] 웹사이트 Tbilisi Mayor's Offers Protesters Alternative Venues for Rally https://old.civil.ge[...] Civil.ge
[229] 뉴스 Georgian Police Say 2 Killed in Protest Dispersal https://abcnews.go.c[...] 2011-05-26
[230] 웹사이트 Audio, Video Recordings Implicate Protest Leaders to 'Plotting Violence' https://old.civil.ge[...] Civil.ge
[231] 뉴스 Thousands gather for street protests against Georgian president Mikheil Saakashvili https://www.theguard[...] 2009-04-09
[232] 뉴스 PM Strongly Against of Marijuana Decriminalization https://old.civil.ge[...] 2015-06-04
[233] 웹사이트 Fighting back against Georgia's war on drugs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2016-12-15
[234] 웹사이트 Berlin is Out, Tbilisi is In https://www.forbes.c[...] 2018-09
[235] 뉴스 Georgian Court Abolishes Fines For Marijuana Consumption https://www.rferl.or[...] 2018-07-30
[236] 뉴스 Smoking Marijuana Legalized in Georgia http://georgiatoday.[...] 2018-07-30
[237] 웹사이트 ISHR Georgia Report 2010: Prison Conditions in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ISHR)
[238] 웹사이트 2008 Human Rights Report: Georgi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39] 웹사이트 LGBT Rights in Georgia https://www.equaldex[...]
[240] 웹사이트 Press Review - Georgia transgender model murdered as lawmakers pass anti LGBTQ bill https://www.france24[...] 2024-09-20
[241] 웹사이트 Trans model found dead in Georgia's capital Tbilisi https://www.thepinkn[...] 2024-09-19
[242] 뉴스 Well-Known Georgian Transgender Model Stabbed To Death https://www.rferl.or[...]
[243] 뉴스 EU foreign policy chief urges Georgia to retract bill restricting LGBTQ+ rights https://www.lemonde.[...] 2024-09-18
[244] 웹사이트 Georgia: Halt legislative assault on LGBTI rights https://www.amnesty.[...] 2024-03-26
[245] 웹사이트 ‘A sobering call’: Transgender woman killed in Georgia day after anti-LGBTQ+ law passed https://www.politico[...] 2024-09-19
[246] 뉴스 კესარია აბრამიძე დაკრძალეს https://mtavari.tv/n[...] Mtavari Arkhi 2024-09-22
[247] 웹사이트 Registry of Municipalities http://mreg.reestri.[...] National Agency of Public Registry 2022-10-07
[248] 웹사이트 Government of Georgia – Abkhazia http://www.governmen[...] Government.gov.ge 2011-07-03
[249]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Abkhazia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2-08
[250]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South Ossetia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2-08
[251]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the Occupied Territories of Georgia http://www.osce.org/[...] Osce.org 2012-10-30
[252] 뉴스 Russian Passportization http://topics.blogs.[...] The New York Times 2008-09-10
[253] 뉴스 Abkhazia, S. Ossetia Formally Declared Occupied Territory https://old.civil.ge[...] Civil Georgia 2008-08-28
[254] 웹사이트 The Law of Georgia on Occupied Territories (431-IIs) http://www.smr.gov.g[...] State Ministry for Reintegration 2008-10-23
[255] 웹사이트 2014 General Population Census Main Results General Information —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http://census.ge/fil[...] 2022-10-07
[256] 웹사이트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World Hydroelectricity Installed Capacity" http://www.eia.doe.g[...] Eia.doe.gov 2012-10-30
[257] 웹사이트 The World Bank in Georgia 1993–2007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13-08-14
[258] 웹사이트 World Integrates Trade Solution – Country Snapshot Georgia https://wits.worldba[...] World Bank 2022-10-07
[259] 웹사이트 Georgia Imports https://wits.worldba[...] World Bank 2022-10-07
[260] 웹사이트 External Merchandise Trade https://www.geostat.[...]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Geostat 2022-10-07
[261] 웹사이트 World Bank Economy Rankings http://www.doingbusi[...] 2008-09-15
[262] 서적 Doing Business 2019 http://www.worldbank[...] World Bank Publications 2018-11-02
[263] 간행물 Briefing note for countries on the 2020 Human Development Report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2020
[264] 간행물 Briefing note for countries on the 2020 Human Development Report: Figure 1: Trends in Georgia's HDI component indices 2000–2019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2020
[265] 웹사이트 South Caucasus Pipeline http://www.bp.com/en[...] 2017-09-21
[266] 뉴스 Flat taxes could be a flash in the pan, IMF research says http://search.ft.com[...] The Financial Times 2010-11-00
[267]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8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010-04-18
[26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I. Macroeconomic Environment http://www.investing[...]
[269] 웹사이트 Living conditions http://www.geostat.g[...] GeoStat 2017-01-26
[270] 웹사이트 Households Income http://www.geostat.g[...] GeoStat 2017-01-26
[271]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GDP) http://www.geostat.g[...] GeoStat 2017-01-26
[272] 웹사이트 Services, value added (% of GDP) – Georg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2-10-07
[273] 웹사이트 Employment and Unemployment https://www.geostat.[...]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1-08-08
[274] 웹사이트 Georgia Poll Reflects Widespread Concern over Economic Issues https://www.iri.org/[...] International Republican Institute 2019-07-18
[275] 웹사이트 Networked Readiness Index 2016 http://reports.wefor[...] World Economic Forum 2016-12-21
[276] 웹사이트 Networked Readiness Index 2015 http://reports.wefor[...] World Economic Forum 2017-01-26
[277]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24-10-06
[278] 웹사이트 Georgian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 Researches http://gnta.ge/stati[...] Georgian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2017-01-26
[279]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gnta.ge/stat[...] MIA 2018-05-03
[280] 웹사이트 Georgia Tourism Strategy http://www.economy.g[...]
[281] 웹사이트 Invest in Georgia: Tourism http://www.investing[...]
[282] 뉴스 Russian Flight Ban Could Cost Georgia $300M, Experts Say https://www.themosco[...] 2019-06-24
[283]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Georgia 2021 http://www.geostat.g[...]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1-12-28
[284] 웹사이트 Georgian Railway http://www.railway.g[...] Railway.ge
[285] 웹사이트 Georgian Railway http://www.railway.g[...] Railway.ge
[286] 웹사이트 Georgian Railway http://www.railway.g[...] Railway.ge
[287] 웹사이트 Georgian Railway http://www.railway.g[...] Railway.ge
[288] 뉴스 Baku-Tbilisi-Kars Railway Line Officially Launched https://www.rferl.or[...] 2017-10-30
[289] 웹사이트 Kutaisi's airport: Georgia's opportunity http://www.evolutsia[...] Evolutsia.Net 2012-01-18
[290] 웹사이트 Varna – Batumi http://www.ukrferry.[...] Ukrferry
[291] 웹사이트 Schedules http://www.ukrferry.[...] Ukrferry
[292] 웹사이트 ECMI – European Centre For Minority Issues Georgia http://www.ecmicauca[...]
[293] 서적 History of Modern Georgia 2022-06
[29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mography – Population by cities and boroughs (daba), as of 1 January https://www.geostat.[...] 2021-01-01
[295] 웹사이트 Main Results of the 2014 Census (Publication) http://census.ge/fil[...] 2016-04-28
[296] 웹사이트 1926 ethnic composition http://www.ethno-kav[...]
[297] 웹사이트 Deutsche Kolonisten in Georgien http://einung.org.ge[...] Einung
[298] 웹사이트 Retro-projection of main demographic indicators for the period 1994–2014 https://www.geostat.[...] 2018-05-18
[299] 웹사이트 Georgia: Ethnic Russians Say, "There's No Place Like Home" http://www.eurasiane[...] EurasiaNet.org 2009-04-30
[300] 웹사이트 Ethnic minorities in Georgia http://www.fidh.org/[...] 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Ligues des Droits de l'Homme
[301] 웹사이트 International migrant stock 2019, 'by destination and origin' https://www.un.org/e[...] 2019
[302]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10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http://www.gks.ru/fr[...] 2014-06-18
[303] 웹사이트 Georgians in Russia https://www.rbth.com[...] 2014-06-18
[304] 웹사이트 Immigrants by previous country of residence and usual place of residence http://census.ge/fil[...]
[305] 웹사이트 Russia: The Ingush–Ossetian Conflict in the Prigorodnyi Region http://hrw.org/repor[...] Human Rights Watch/Helsinki 1996-05
[306]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Uzbekistan: Meskhetian Turks http://www.unhcr.org[...]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307]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308]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 by native languages and fluently speak Georgian language http://census.ge/fil[...]
[309] 웹사이트 2014 General Population Census – Main Results http://geostat.ge/c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Geostat) 2016-04-28
[310] 웹사이트 Immigrants by previous country of residence and usual place of residence http://census.ge/fil[...]
[3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eorgian Orthodox Church http://www.patriarch[...]
[312]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http://rbedrosian.co[...] Georgetown
[313]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John Wiley & Sons
[314] 웹사이트 მართლმადიდებელი ავტოკეფალური ეკლესიები http://patriarchate.[...]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პატრიარქო
[315] 서적 The Wellspring of Georgian Historiography: The Early Medieval Historical Chronicle The Conversion of Katli and The Life of St. Nino Bennett and Bloom
[316] 서적 Studies of the Third Wave: Recent Migration of Soviet Jews to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VNR AG 1981-01-01
[317] 웹사이트 statistics.ge http://www.statistic[...]
[318] 웹사이트 Memorandum to the U.S. Government on Religious Violence in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08-29
[319]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მოსახლეობის საყოველთაო აღწერის საბოლოო შედეგები http://netgazeti.ge/[...] Netgazeti 2016-04-28
[320] 간행물 Caucasus Analytical Digest No.20 http://www.css.ethz.[...] Heinrich Böll Stiftung 2010-10-11
[321] 뉴스 Georgia purges education system http://news.bbc.co.u[...] 2005-07-29
[322] 웹사이트 Education reform rocks Georgia http://www.eurasiane[...] Eurasianet 2005-05-13
[323] 웹사이트 Education system in Georgia http://www.tempus.ge[...] National Tempus Office Georgia
[324] 웹사이트 Centralize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http://naec.ge/#/en/[...] National assessment and examinations center
[325] 웹사이트 Education institutions http://www.mes.gov.g[...]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Georgia
[326] 웹사이트 Authorized institutions http://mes.gov.ge/co[...]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Georgia
[327] 웹사이트 Gross enrollment ratio, primary, both sexes http://data.worldban[...] The World Bank
[328] 웹사이트 New Tbilisi.Gov.Ge – თბილისის მერიის ოფიციალური ვებ გვერდი http://www.tbilisi.g[...] Tbilisi.gov.ge
[329] 웹사이트 Contact http://gtu.ge/Contac[...] gtu.ge
[330] 웹사이트 Contact https://www.ug.edu.g[...] ug.edu.ge
[331] 웹사이트 Contact http://cu.edu.ge/en/[...] cu.edu.ge
[332] 웹사이트 Contact http://freeuni.edu.g[...] freeuni.edu.ge
[333] 서적 Georgia : in the mountains of poetry
[334]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2003
[335] 논문 The Achaemenid influence in Iberia 1996
[336] 서적 Encyclopædia Iran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agan Paul 2001
[337] 서적 Vagabond Life: The Caucasus Journals of George Kenn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338] 서적 Iran and the World in the Safavid Ag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2-09-15
[339] 학술지 The role of cultural paradigms in Georgian foreign policy 2003-09-01
[340] 서적 Memory and Political Change Palgrave Macmillan UK 2012
[341] 학술지 Go West: Georgia's European identity and its role in domestic politics and foreign policy objectives https://www.cambridg[...] 2014-11
[342] 웹사이트 Georgia's Unfinished Search for Its Place in Europe https://carnegieeuro[...] Carnegie Europe 2021-04-06
[343] 웹사이트 Niko Pirosmani – Short Biographical Information http://www.pirosmani[...] Steele Communications
[344] 서적 Georgians
[345] 서적 Georgia
[346] 웹사이트 Georgian Alphabet http://www.101langua[...] 101languages.net
[347] 웹사이트 Media freedom in Eastern Partnership countries: Georgia tops list, Ukraine improves position http://www.enpi-info[...] 2014-09-29
[348] 웹사이트 Georgia 2015 Press Freedom report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349] 뉴스 Georgian Polyphonic Singing, "Chakrulo" http://www.unesco.or[...] 2008
[350] 뉴스 The Untold Story of How "Chakrulo" Ended Up in Space http://www.georgianj[...] 2014-09-25
[351] 서적 Supra: A feast of Georgian cooking https://books.google[...] Pavilion 2017-07-13
[352] 서적 Georgia: A guide to the cradle of wine http://www.vinologue[...] Vinologue
[353] 웹사이트 Traditional winemaking in Georgia – the oldest wine in the world http://cycloscope.we[...] 2014-02-03
[354] 웹사이트 Unearthing Georgia's wine heritage http://edition.cnn.c[...] CNN
[355] 웹사이트 UNESCO – Ancient Georgian traditional Qvevri wine-making method https://ich.unesco.o[...]
[356] 서적 The Georgian feast: the vibrant culture and savory food of the Republic of Georg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7] 뉴스 Position Unchanged On Russian WTO Negotiations https://www.rferl.or[...] 2012-02-02
[358] 웹사이트 Claude Saurel: "Georgia's rugby revolution is only just starting" https://web.archive.[...] 2019-08-30
[359] 서적 Roman History
[360] 서적 Georgia in my Heart
[361] 서적 The Complete Book of Rugby Seven Oaks Ltd
[362] 웹사이트 Rustavi 2 Broadcasting Company http://rustavi2.com/[...] Rustavi2.com 2012-04-29
[363] 웹사이트 Georgian National Broadcaster http://www.1tv.ge/ne[...] 1tv.ge 2012-04-30
[364] 웹사이트 Olympia – Georgia (GEO) http://www.olympedia[...]
[365] 웹사이트 Photos & Results: 2022 IFBB Georgia Grand Prix https://www.evolutio[...] 2022-06-18
[36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連
[36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368] 웹사이트 旧ソ連諸国の国名をめぐるモヤモヤが止まらない https://globe.asahi.[...] 2019-08-06
[369] 웹사이트 ジョージ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370] 서적 International Geographic Encyclopaedia and Atla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79-11-24
[371] 간행물 Resolu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2014/2717(RSP): Text http://www.europarl.[...] 欧州議会 2014-07-17
[372] 웹사이트 GEORGIA https://www.cia.gov/[...] CIA
[373]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s, geographical sub-regions, and selected economic and other groupings http://unstats.un.or[...] 국제연합
[374] 웹사이트 Sakartveloとは https://kotobank.jp/[...]
[375] 웹사이트 グルジアの国名表記、ジョージアに変更 https://www.nikkei.c[...] 2015-04-21
[376] 웹사이트 グルジアを英語読みのジョージアにする不可思議 ロシア語由来でもなく、脱ロシアは理由にならない http://jbpress.ismed[...] JBPress 2014-10-23
[377] 서적 条約彙纂 外務省条約局
[378] 서적 海外消費組合事情 産業組合中央
[379] 뉴스 百万弗を支出してジョルジアの油田復活に腐心する労農政府 : 南米の石油に手を出す米国 0100210177 1922-06-22
[380] 웹사이트 グルジアを英語読みのジョージアにする不可思議 ロシア語由来でもなく、脱ロシアは理由にならない http://jbpress.ismed[...] JBPress 2014-10-23
[381] 웹사이트 駐日グルジア大使館「グルジア5都市による姉妹都市提携の希望」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382] 백과사전 Flag of Georgia - National flag of the country of Georgia
[383] 뉴스 Is the Country of Georgia the Next Great Wine Destination? http://www.wsj.com/a[...] 2016-04-07
[384] 웹사이트 外務大臣政務官 薗浦健太郎氏が、ジョージア国を訪問した http://japan.mfa.gov[...] 在日ジョージア大使館
[385] 웹사이트 猛暑を克服!ジョージア国ワインパーティー 8月14日 http://www.georgiadr[...] Georgia Dragon Wines 2015-08
[386] 간행물 国際特許分類、FI、Fタームの概要とそれらを用いた先行技術調査 : 平成20年度知的財産権制度説明会(実務者向け)テキスト https://dl.ndl.go.jp[...] 2008-00-00
[387] 웹사이트 《合田泰子のワイン便り》再び、グルジア、でなく、ジョージアへ http://www.racines.c[...] (株)ラシーヌ 2013-07-00
[388] 뉴스 「グルジア」改め「ジョージア」 政府、表記変更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4-10-24
[389] 뉴스 【宮家邦彦のWorld Watch】嫌露のグルジア 「ジョージア」と呼んで https://web.archive.[...] 2013-12-12
[390] 웹사이트 グルジア、国名を英語読み「ジョージア」と呼ぶよう世界に要請 http://japanese.ruvr[...] 2014-10-08
[391] 뉴스 Lithuania Moves to Stop Calling Georgia by its Russian Name http://www.eurasiane[...] 2017-09-26
[392] 뉴스 Lithuania willing to call Georgia «Sakartvelo» http://bnn-news.com/[...] 2017-09-27
[393] 뉴스 Lithuania Moves To Change Official Name For Georgia To Sakartvelo From Gruzia https://www.rferl.or[...] 2017-09-27
[394] 뉴스 「国名変えてください」グルジア要請に政府苦慮 https://web.archive.[...] 2009-03-21
[395] 뉴스 グルジア「ジョージア」に政府、変更へ…首脳会談で要望 https://web.archive.[...] 2014-10-24
[396] 간행물 https://kanpou.npb.g[...] 2015-04-22
[397] 서적 世界地名大事典 5 ヨーロッパ・ロシアII サ-ハ 朝倉書店
[398] 웹사이트 国名呼称の変更(グルジア) https://www.mofa.go.[...]
[399] 웹사이트 1981-00-00
[400] 웹사이트 喬治亞 http://www.mofa.gov.[...] 2016-08-27
[401] 웹사이트 格鲁吉亚国家概况 http://www.fmprc.gov[...] 2016-08-27
[402] 뉴스 格魯吉亞國家舞蹈團載譽重臨 http://www.news.gov.[...] 2015-10-15
[403] 서적 ドマニシ遺跡
[404] 서적
[405]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06]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07] 서적 国際情報大事典
[408] 서적 世界各国便覧
[409] 서적 データブック2016
[410] 서적
[411] 서적
[412]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413]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414]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15]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16]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17] 서적 世界遺産の旅
[418] 서적
[41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1
[420] 서적 コーカサスを知るための60章
[421] 書籍 モンゴル帝国史2 1968
[422] 書籍 コーカサスのパックス・モンゴリカ 2006
[423] 書籍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6
[424] 書籍 コーカサスという磁場 2006
[425] 書籍 マイノリティ・エリートの世紀 2006
[426] 書籍 アジアからヨーロッパへ? 2006
[427] 書籍 1970
[428] 書籍 2002
[429] 書籍 2002
[430] 書籍 2006
[431] 書籍 客人歓待のロマンティシズム 2006
[432] 書籍 コーカサスの1905年 2006
[433] 書籍 1988
[434] 書籍 1999
[435] 書籍 2002
[436] 간행물 III年表 国際主要事項 https://www.mofa.go.[...] 大蔵省印刷局 1993-06
[437] 뉴스 グルジア議長信任96% 1992-10-15
[438] 뉴스 国家評議会が解散 議会が機能を継承 グルジア 1992-10-17
[439] 뉴스 グルジア大統領にロシア融和派 現内閣の副首相 http://www.asahi.com[...] 2013-10-28
[440] 웹사이트 ウクライナ・グルジア・モルドバとEUのDCFTAを含む連合協定署名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2020-05-16
[441] 웹사이트 EU、旧ソ連3カ国と「連合協定」 経済発展後押し https://www.nikkei.c[...] 2014-06-27
[442] 웹사이트 EU、旧ソ連3ヵ国とFTAを含む連合協定に調印−欧州理事会でウクライナに関する総括も取りまとめ−(EU、ウクライナ、アルバニア、ジョージア、モルドバ) {{!}} ビジネス短信 - ジェトロ https://www.jetro.go[...] 2020-05-16
[443] 웹사이트 Georgia - Trade - European Commission https://ec.europa.eu[...] 2020-05-16
[444] 웹사이트 「不規則な事態はどの国の選挙でも起きる」 東欧ジョージアの首相が批判に反論 https://www.bbc.com/[...] BBC 2024-10-28
[445] 웹사이트 ジョージアでデモ隊と警察が衝突、政府のEU加盟交渉延期決定受け https://jp.reuters.c[...] 2024-11-29
[446] 뉴스 ジョージア 大規模抗議デモ続く EU加盟への取り組み中断決定で https://www3.nhk.or.[...] 2024-12-01
[447] 웹사이트 ジョージアで新大統領就任、退任の親EU派は自身の「正統性」主張 https://www.cnn.co.j[...] CNN 2024-12-31
[448] 간행물 軍事研究 2008-12
[449] 웹사이트 南コーカサス地方への政治経済的影響に関する一考察 http://oilgas-info.j[...]
[450] 웹사이트 グルジア問題の背景(上) http://www.business-[...] フジサンケイビジネスアイ 2008-08-13
[451] 웹사이트 グルジア民族主義の台頭に、「南北統一」を訴えて独立 https://web.archive.[...]
[452] 뉴스 焦点:侵略反対でも「白い目」、在外ロシア人の苦難と不安 https://www.reuters.[...] ロイター 2022-04-09
[453] 웹사이트 ロシア、ジョージア国民への短期滞在ビザを廃止、2国間の直行便を再開へ https://www.jetro.go[...] ジェトロ 2023-05-23
[45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s, geographical sub-regions, and selected economic and other groupings http://unstats.un.or[...] 国際連合
[455] 웹사이트 About ADB > Members http://www.adb.org/a[...] アジア開発銀行
[456] 논문 グルジア・パンキスィ渓谷問題の種族・信仰的背景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2004-09
[457] 서적 ジョージア データブック2016 2016
[458] 웹사이트 Environmental issues in Georgia https://naturvernfor[...]
[459] 서적 ユーラシア最古の人類の里 明石書店 2006
[460] 뉴스 ジョージア、10年間で観光客6倍/景観活用とビザ緩和奏功 日経産業新聞 2019-05-27
[461] 웹사이트 Su-25KM SCORPION (It is made in Georgia). https://www.youtube.[...] 2007-11-17
[462] 웹사이트 Su-25 Close Air Support Aircraft - TAM Management - https://tammanagemen[...] 2024-08-07
[463] 웹사이트 TAM Management LLC SU25 modernization program. https://www.youtube.[...] 2021-06-30
[464] 웹사이트 ジョージ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19-02-16
[465] 뉴스 გვარის შეცვლას აპირებთ? ახალი კანონპროექტით მოგიწევთ დაასაბუთოთ, რატომ აკეთებთ ამას https://netgazeti.ge[...] NetGazette Digest 2018-06-03
[466] 웹사이트 国際交流基金 - ジョージア(2020年度) https://www.jpf.go.j[...] 2021-11-26
[467] 웹사이트 Safest Countries In The World 2021 https://worldpopulat[...]
[468] 웹사이트 安全対策基礎データ ジョージア https://www.anzen.mo[...]
[469] 웹사이트 ジョージア在留邦人安全の手引き https://www.ge.emb-j[...]
[470] 간행물 Alternative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by Georgia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in the region of Kvemo Kartli http://www.minelres.[...] minelres.lv 2008
[471] 서적 世界年鑑2016 共同通信 2016
[472] 웹사이트 Georgia-tops-list,-Ukraine-improves-position https://web.archive.[...] 2016-03-03
[473] 웹사이트 Georgia 2015 Press Freedom report https://freedomhouse[...]
[474] 뉴스 百万本のバラの故郷へ 毎日新聞 2009-11-24
[475] 서적 Roman History
[476] 웹사이트 Georgian football player Khvicha Kvaratskhelia signs 5-year contract with Napoli https://agenda.ge/en[...] Agenda.ge 2022-07-01
[477] 서적 Georgia in my Heart 1999
[478] 웹사이트 Rustavi 2 Broadcasting Company http://rustavi2.com/[...] Rustavi2.com 2012-04-29
[479] 웹사이트 Georgian National Broadcaster http://www.1tv.ge/ne[...] 1tv.ge 2012-04-30
[480] 백과사전
[481] 백과사전
[482] 백과사전
[483] 백과사전
[484] 백과사전
[485] 백과사전
[486] 백과사전
[487] 서적 International Geographic Encyclopaedia and Atla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979-11-24
[488] 서적 Identities and Foreign Polic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The Other Europ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4-10-22
[489]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2014/2717(RSP) http://www.europarl.[...] 2014-07-17
[490] 백과사전 그루지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91] 뉴스 그루지야는 러시아명… 조지아로 불러줘요 https://news.naver.c[...]
[492] 뉴스 조지아, 러와 외교 관계 단절 선언… 전환점 될까? https://news.naver.c[...]
[493] 뉴스 조지아, 자치共과 휴전 중단…러 독립승인에 보복 https://news.naver.c[...]
[494] 웹인용 조지아, 공식적으로 러시아와 외교관계 파기 https://web.archive.[...] 2010-06-21
[495] 뉴스 조지아, 러 정찰기 격추 주장…러시아 부인 https://news.naver.c[...]
[496] 뉴스 그루지야軍, 남오세티아서 전쟁 범죄 저질러 https://news.naver.c[...]
[497] 뉴스 그루지야, 니카라과와 외교관계 단절 https://news.naver.c[...]
[498] 뉴스 그루지야 정국불안 고조 https://news.naver.c[...]
[499] 뉴스 러-조지아 전쟁 2주년..긴장은 여전 https://news.naver.c[...]
[500] 뉴스 조지아 총선, 친러시아 야당 승리 https://news.naver.c[...]
[501] 뉴스 옛 소련 조지아 총선 親러시아 야당 승리 https://news.naver.c[...]
[502] 뉴스 친러시아 성향 총선 승리 조지아 야당 지도자 "첫 방문국은 미국" https://news.naver.c[...]
[503] 뉴스 조지아, 옛 소련권 CIS 복귀 생각없다 https://news.naver.c[...]
[504] 웹인용 그루지야에서 러시아어 더빙 금지예정 https://web.archive.[...] 2018-11-01
[505] 웹사이트 Georgia’s 10 Most Popular Sports https://www.finchann[...]
[506] 웹사이트 http://www.sisain.co[...]
[507] 일반
[508] 일반
[509] 일반
[510]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