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인터레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인터레이스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기술로, 각 프레임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 전송하는 인터레이스 방식의 영상을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인터레이스 방식은 제한된 대역폭 내에서 높은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움직임이 빠른 영상에서 화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디인터레이싱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필드 결합, 필드 확장, 모션 보상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디인터레이싱은 텔레비전, 셋톱 박스, DVD 플레이어 등 다양한 장치에서 수행되며, 그 품질은 주관적 및 객관적 평가를 통해 측정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디인터레이싱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고화질 방송 시대에 더욱 정교하고 효율적인 디인터레이싱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기술 용어 - 그리드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컴퓨터 자원을 연결하여 가상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기술이며, 유휴 자원을 활용하고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정보기술 용어 - 컴퓨터 클러스터
컴퓨터 클러스터는 여러 대의 상용 컴퓨터를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슈퍼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클러스터 미들웨어를 통해 시스템 관리, 부하 분산, 통신 방식, 데이터 공유 등을 지원하고 노드 장애 관리를 위한 펜싱 기술을 활용한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디인터레이스 | |
---|---|
개요 | |
종류 | 비월주사 방식 영상을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
활용 |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터레이스 비디오 신호를 표시할 때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프로그레시브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할 때 |
기술적 배경 | |
인터레이스 방식 | 텔레비전 방송의 대역폭 제한 때문에 개발됨. 한 번에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만 전송하여 프레임 속도를 높임 |
디인터레이싱 필요성 | 현대 디스플레이 장치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는 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을 사용 인터레이스 비디오 신호를 직접 표시하면 화질 저하 발생 |
디인터레이싱 방법 | |
기본적인 방법 | 라인 더블링 (Line Doubling): 단순히 각 라인을 복사하여 다음 라인에 삽입 블렌딩 (Blending): 인접한 라인의 픽셀 값을 평균내어 새로운 라인 생성 |
고급 방법 | 움직임 보상 (Motion Compensation):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여 더 정확한 보간 수행 에지 기반 (Edge-Based): 이미지의 에지 방향을 따라 보간하여 선명도 유지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
문제점 | 계단 현상 (Stepping Artifacts): 라인 더블링 시 발생 흐림 현상 (Blurring): 블렌딩 시 발생 움직임 아티팩트 (Motion Artifacts): 부정확한 움직임 추정 시 발생 |
해결 방안 | 적응적 디인터레이싱 (Adaptive Deinterlacing): 비디오 내용에 따라 다른 방법 적용 공간적/시간적 필터링 (Spatial/Temporal Filtering): 노이즈 감소 및 화질 개선 |
알고리즘 | |
종류 | Median filtering Weighted maximum frequent filter (WMFF) |
WMFF | 에지 방향 개선을 통해 디인터레이싱 효과를 향상 |
2. 역사적 배경
인터레이스 방식은 텔레비전 방송 초기에 대역폭을 절약하고 화면 깜빡임(플리커)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인 NTSC, PAL, SECAM 등이 모두 인터레이스 방식을 사용했다. 대한민국은 1960년대부터 흑백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여 1980년대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면서 NTSC 방식을 채택하였다.
2. 1. 인터레이스 방식의 원리
비디오와 사진 필름은 빠르게 연속된 일련의 프레임 (정지 이미지)을 캡처하지만, 텔레비전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를 라인(행)별로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캡처된 이미지를 읽는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각 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적인 필드로 나뉘며, 하나는 모든 짝수 라인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홀수 라인을 포함한다. 필드는 명목 프레임 속도의 두 배 속도로 연속적으로 캡처된다. 예를 들어, PAL 및 SECAM 시스템은 25프레임/초 또는 50필드/초의 속도를 가지며, NTSC 시스템은 29.97프레임/초 또는 59.94필드/초를 제공한다. 프레임을 프레임 속도의 두 배 속도로 반 해상도 필드로 나누는 이 프로세스를 ''인터레이스''라고 한다.인터레이스 신호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비디오 프레임의 두 필드를 포함하므로, 시청자의 움직임 인식을 향상시키고 플리커를 줄여 잔상 효과를 활용한다. 이는 비인터레이스 영상과 비교하여 시간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두 배로 증가시킨다(필드 속도와 동일한 프레임 속도의 경우). 그러나 인터레이스 신호는 개별 필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며, 전자 스캔과 고정 해상도의 부재로 인해 전통적인 CRT 기반 TV 세트만 인터레이스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필름으로 제작된 영화는 연속된 정지 이미지로 기록되지만,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촬영 소자가 수평 방향으로 한 줄씩 건너뛰어 주사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는 각 프레임은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구성되며, 필드는 공칭 프레임 레이트의 2배 속도로 기록된다. NTSC 방식에서는 29.97 프레임/초, 즉 59.94 필드/초, PAL 및 SECAM에서는 25 프레임/초, 50 필드/초로 기록된다. 이처럼 프레임 레이트의 2배 속도로 해상도를 절반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것을 인터레이스라고 한다.[1]
인터레이스 신호는 홀수와 짝수 필드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표시되므로, 시청자는 착각을 일으켜 플리커를 크게 의식하지 않고 한 장의 그림으로 인식한다. 프로그레시브 영상과 비교하여 같은 대역폭으로 2배의 시간 분해능(높을수록 움직임이 부드러워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인터레이스 신호는 홀수·짝수 필드를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전용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인 CRT 기반의 텔레비전 수신기가 바로 그것이다.[1]
3. 디인터레이싱 방식
디인터레이싱은 인터레이스 방식의 비디오 신호를 프로그레시브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인터레이스 방식은 한 번에 한 줄씩 번갈아 가며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움직임이 빠른 영상에서 "빗살무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디인터레이싱은 이러한 현상을 줄이고, 보다 부드러운 영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디인터레이싱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필드 결합 방식: 짝수 필드와 홀수 필드를 합쳐 하나의 프레임을 만든다. 시간 해상도(프레임 속도)는 절반으로 줄어들지만, 수직 해상도는 유지된다.
- 필드 확장 방식: 각 필드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프레임을 만든다. 수직 해상도는 절반으로 줄어들지만, 시간 해상도는 유지된다.
- 모션 보상 방식: 필드 간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보상하여 화질을 개선한다. 가장 복잡하고 계산량이 많지만, 가장 좋은 화질을 제공한다.
최신 디인터레이싱 시스템은 여러 필드를 버퍼링하고 엣지 감지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필드 간의 움직임을 찾는다. 이를 통해 원래 필드의 누락된 선을 보간하여 빗살무늬 효과를 줄인다.[2]

3. 1. 필드 결합 방식 (Field Combination Deinterlacing)
필드 결합 방식은 짝수 필드와 홀수 필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 방식은 시간 해상도(프레임 속도)를 절반으로 줄여 50i/60i를 24p/25p/30p로 변환하지만, 수직 해상도는 유지한다.[2] 움직임이 없는 장면에서는 좋은 화질을 제공하지만, 움직임이 있는 장면에서는 빗살무늬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필드 결합 방식에는 위빙, 블렌딩, 선택적 블렌딩 등이 있다.
3. 1. 1. 위빙 (Weaving)
위빙은 가장 간단하고 기본적인 디인터레이스 방법으로, 연속적인 필드를 함께 인터리빙("위빙")하여 단일 프레임으로 만든다.[3] 이 방법은 필드 간에 이미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움직임이 있으면 한 필드의 픽셀이 다른 필드의 픽셀과 일치하지 않아 들쭉날쭉한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빗살 무늬" 현상이 발생한다.[3]
위빙은 영상에 움직임의 변화가 적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움직임이 발생하면 재기나 코밍 노이즈가 발생한다.[3] 시간 분해능(모션)을 희생하여 원본의 수직 해상도를 얻는 기법이다.[3]
3. 1. 2. 블렌딩 (Blending)
블렌딩은 연속하는 두 필드를 '블렌딩'(평균화)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만드는 방식이다.[3] 빗살무늬 현상은 줄어들지만, 고스트 현상(잔상)이 발생하고 이미지의 선명도가 떨어진다.[3] 이 방법은 수직 해상도와 시간 해상도를 모두 희생한다.[3] 블렌딩된 비디오는 수직 픽셀 수가 절반만 필요하지만, 출력 시 수직 크기 조절과 결합하여 픽셀 손실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3] 보간법을 사용하면 이미지를 더 부드럽게 만들 수 있다.[3]
3. 1. 3. 선택적 블렌딩 (Selective Blending)
블렌딩과 위빙(Weaving)을 조합한 방식이다. 프레임 간에 변경되지 않은 영역은 위빙 방식으로 처리하고, 움직임이 있는 영역만 블렌딩 처리한다.[3] 이렇게 하면 전체 수직 해상도와 시간 해상도의 절반을 유지하며, 두 기술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위빙이나 블렌딩만 사용했을 때보다 아티팩트가 적게 발생한다. 움직임이 없는 부분은 위빙으로, 재기나 코밍 노이즈(Combing Noise)가 발생하는 부분은 블렌딩으로 처리하여 화질을 개선한다.[3]3. 2. 필드 확장 방식 (Field Extension Deinterlacing)
필드 확장 디인터레이싱은 각 필드(절반의 라인으로 구성됨)를 가져와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수직 해상도를 절반으로 줄이지만, 시간 해상도(원래 필드 속도, 50i 또는 60i가 50p 또는 60p로 변환됨)는 유지한다.[2] 필드 확장은 홀수, 짝수 중 하나의 필드를 확장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만든다.[18]3. 2. 1. 하프 사이징 (Half-sizing)
하프 사이징 (Half-sizing영어)은 각 필드를 그대로 출력하여 원래 크기의 절반 해상도를 가진 비디오를 만든다. 이 방식은 종횡비가 맞지 않아 일반적인 시청에는 부적합하지만, 비디오 필터 적용 등에 활용될 수 있다.3. 2. 2. 라인 더블링 (Line Doubling, Bob)
라인 더블링(Line Doubling) 또는 밥(Bob)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식은 각 필드의 주사선을 복제하여 두 배로 늘려 전체 프레임을 채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빗살무늬 현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수직 해상도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또한, 화면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3. 3. 모션 보상 방식 (Motion Compensation Deinterlacing)
모션 보상 디인터레이싱은 인접한 필드 간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보상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가장 복잡하고 계산량이 많지만, 가장 좋은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2]현재의 디인터레이스 시스템은 여러 필드를 버퍼링하고, 에지 감지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필드 간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원본 프레임에서 손실된 라인(필드)을 보간하고, 빗살무늬 현상(코밍)을 줄인다.[18]
영상 압축에 사용되는 모션 보상과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여러 필드의 정보를 참조하여 인터레이스 해제에 응용하는 기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전용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필드에 왼쪽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얼굴 정보가 있다고 가정할 때, 위빙에서는 빗살무늬 현상이 발생하고, 블렌딩에서는 고스트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고도화된 모션 보상에서는 여러 필드에 비치는 얼굴이 동일한 것임을 인식하고, 해당 얼굴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된 방향과 양의 정보에 따라 여러 필드에서 합성된 영상을 출력하여 얼굴의 완전한 디테일을 재현하려고 한다.
모션 보상은 장면 전환 감지와 조합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두 장면에서도 동체의 방향과 양을 감지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구현이 불충분한 모션 보상 알고리즘은 자연스러운 모션을 방해하거나, 정지된 물체나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가 갑자기 "점프"하는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3. 3. 1. 모션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모션 적응형 디인터레이싱(Motion Adaptive Deinterlacing)은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필드 결합 방식과 필드 확장 방식을 적응적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움직임이 적은 영역에서는 필드 결합 방식으로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고, 움직임이 많은 영역에서는 필드 확장 방식으로 화면 떨림을 줄인다.[2]- 선택적 블렌딩 (Selective Blending): '스마트 블렌딩' 또는 '모션 적응 블렌딩'이라고도 불리며, 위빙과 블렌딩을 조합한 방식이다. 프레임 간 변화가 없는 영역은 위빙하고, 필요한 영역만 블렌딩한다. 전체 수직 해상도와 시간 해상도의 절반을 유지하며, 위빙이나 블렌딩보다 영상 결함(아티팩트)이 적다.
고도화된 모션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시스템은 에지 감지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필드 간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원본 필드에서 손실된 선을 보간하여 빗살무늬 현상(코밍)을 줄인다.[18]
예를 들어, 두 개의 필드에 왼쪽으로 이동하는 사람 얼굴 정보가 있을 때, 위빙은 빗살무늬, 블렌딩은 고스트 현상을 유발한다. 하지만, 이상적인 모션 보상은 여러 필드의 얼굴을 인식하고 이동 방향과 양을 감지하여, 합성된 영상을 출력해 얼굴의 디테일을 재현하려 한다.
모션 보상은 장면 전환 감지와 조합되지 않으면, 서로 다른 두 장면에서도 움직임의 방향과 양을 감지하려 할 수 있다. 구현이 불충분한 경우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나 정지된 물체가 갑자기 "점프"하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3. 3. 2. 모션 보상 디인터레이싱 (Motion Compensated Deinterlacing, MCDI)
모션 보상 디인터레이싱(MCDI)은 인접한 필드 간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픽셀 값을 보간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식이다.[2] 이 방법은 가장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지만, 계산량이 매우 많고 복잡하다.[18]영상 압축에 사용되는 모션 보상과 유사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여러 필드에서 정보를 참조하여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필드에 왼쪽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얼굴 정보가 있다면, 모션 보상 알고리즘은 여러 필드에 비치는 얼굴이 동일한 것임을 인식하고, 해당 얼굴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방향과 양에 따라, 여러 필드의 영상을 합성하여 얼굴의 완전한 디테일을 재현한다.
하지만 모션 보상은 장면 전환 감지와 조합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두 장면에서도 움직임의 방향과 양을 감지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구현이 불충분한 모션 보상 알고리즘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정지된 물체나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가 갑자기 "점프"하는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4. 역 텔레시네 (Inverse Telecine, IVTC)
일부 인터레이스 비디오는 원래 프로그레시브 푸티지에서 만들어졌을 수 있으며, 디인터레이싱 과정에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인 영화는 초당 24프레임으로 촬영된다. 필름을 인터레이스 비디오로 변환하는 데는 텔레시네라는 과정이 사용된다.
50 필드 인터레이스 PAL/SECAM 또는 59.94/60 필드 인터레이스 NTSC 신호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풀다운" 기술을 사용하여 프레임 속도 변환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고급 TV는 역 텔레시네 과정을 사용하여 원래의 24 프레임/s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은 PAL/SECAM 변환을 위해 24 프레임 필름을 4% (25 프레임/s)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 방법은 PAL 시장의 DVD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방송 (SD 및 HD)에도 널리 사용된다.
DVD는 이러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영화를 인코딩하거나, 원래 24 프레임/s 프로그레시브 비디오를 저장하고 MPEG-2 디코더 태그를 사용하여 비디오 플레이어에 인터레이스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대부분의 블루레이 영화는 원래의 비 인터레이스 24 프레임/s 모션 필름 속도를 유지하며, 변환 없이 프로그레시브 1080p24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출력할 수 있다.
5. 디인터레이싱의 적용
디인터레이싱은 텔레비전 제작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수행된다.
방송 형식이나 미디어 형식이 인터레이스 방식일 경우, 셋톱 박스, 텔레비전, 외부 비디오 프로세서, DVD 또는 DVR 플레이어, TV 튜너 카드 내의 임베디드 회로에 의해 실시간 디인터레이싱이 수행되어야 한다. 소비자 가전 장비는 일반적으로 전문 장비에 비해 처리 능력이 낮고 단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디인터레이싱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고가 장비에서도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6]
컴퓨터를 사용하면 더 다양한 비디오 플레이어 및 편집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어, 재생 전에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프로그레시브 스캔으로 사전 변환하고 고급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더 높은 품질의 디인터레이싱이 가능하다.[6] 그러나 무료 및 상용 소프트웨어는 전문 소프트웨어 및 장비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비디오 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아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많은 코덱/플레이어는 자체적으로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하지 않고 그래픽 카드 및 비디오 가속 API에 의존한다.[6]
5. 1. 프로그레시브 미디어 환경
방송 형식이나 미디어 형식이 프로그레시브인 경우, 인터레이스 아카이브 프로그램에는 디인터레이싱이 필요하다. EDTV 576p, HDTV 720p50 방송, 모바일 DVB-H 방송 등이 그 예이다.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제작 단계: 프로그램 제작 과정에서 인터레이스 비디오 자료를 프로그레시브 스캔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고가의 고성능 디인터레이싱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각 프레임에 최적의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최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 방송 단계: 실시간 디인터레이싱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방송 직전에 인터레이스 프로그램을 프로그레시브 스캔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처리 시간은 프레임 속도에 의해 제한되며, 사람의 개입이 불가능하므로 변환 품질은 제작 단계보다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고가의 고성능 디인터레이싱 장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5. 2. 인터레이스 미디어 환경
방송 형식이나 미디어 형식이 인터레이스 방식인 경우, 셋톱 박스, 텔레비전, 외부 비디오 프로세서, DVD 또는 DVR 플레이어, TV 튜너 카드 내의 임베디드 회로에 의해 실시간 디인터레이싱이 수행되어야 한다. 소비자 가전 장비는 일반적으로 훨씬 저렴하고, 처리 능력이 훨씬 적으며, 전문 디인터레이싱 장비에 비해 더 단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디인터레이싱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고가 장비에서도 일반적인 결과는 종종 좋지 않다.[6]컴퓨터를 재생 및 처리에 사용하면 임베디드 소비자 가전 장치에서 제공하는 품질에 제한되지 않는 더 광범위한 비디오 플레이어 및 편집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재생 전에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프로그레시브 스캔으로 사전 변환하고 고급이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면 더 높은 디인터레이싱 품질이 가능하다.[6]
그러나 무료 및 상용 소비자 등급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전문 소프트웨어 및 장비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비디오 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디인터레이싱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프레임 속도가 필드 속도의 절반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종종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많은 코덱/플레이어는 자체적으로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하지 않고, 그래픽 카드 및 비디오 가속 API에 의존하여 적절한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한다.[6]
6. 디인터레이싱 품질 측정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의 품질은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7. 대한민국 방송 환경과 디인터레이싱
대한민국은 2001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면서 ATSC 방식을 채택했으며, 초기에는 1080i 인터레이스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2017년 지상파 UHD 방송을 시작하면서 ATSC 3.0 표준을 채택하여 4K UHD 해상도의 프로그레시브 방식(2160p60)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SD 및 HD 방송에서는 인터레이스 방식의 콘텐츠가 존재하며, 케이블 TV, IPTV 등 유료 방송에서도 인터레이스 방식의 채널이 상당수 존재한다.
7. 1. 과제 및 전망
유럽 방송 연합은 제작과 방송 모두에서 인터레이스 영상의 이용에 반대하며, 720p 50fps를 권장하고 있다. 장래에는 낮은 비트레이트에서 더 화질을 향상시키고, 720p 50fps나 1080i 50fps 등 다른 형식으로 쉽게 변환 가능한 "1080p 50fps"를 표준으로 목표하고 있다.[19][20]프레임 간에 손실된 정보는 어떤 디인터레이스 알고리즘이 복잡하더라도 완전히 보간할 수 없으며, 아티팩트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이 주요 주장이다.
영상 처리 알고리즘 회사인 Faroudja Labs사의 창설자이자 디인터레이스 기술로 에미상을 수상한 이브 파로우자도 인터레이스 이용에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21][22]
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CM
[2]
특허
Progressive Scan Display System Having Intra-field and Inter-field Process Modes
1987-10-06
[3]
웹사이트
PCMag Definition: Deinterlace
https://www.pcmag.co[...]
2017-08-26
[4]
웹사이트
Deinterlacing Challenge 2019
https://www.vegascre[...]
[5]
웹사이트
VEGAS Creative Software - Faster. More creative. Endless possibilities.
https://www.vegascre[...]
[6]
웹사이트
MSU Deinterlacer Benchmark
https://videoprocess[...]
2021-02-24
[7]
웹사이트
VirtualDub MSU Deinterlacer / Ïëàãèí äëÿ äåèíòåðëåéñèíãà ïîä VirtualDub
https://compression.[...]
[8]
웹사이트
Description
https://github.com/H[...]
2021-10-13
[9]
웹사이트
Dubhater/Vapoursynth-nnedi3
https://github.com/d[...]
2021-10-21
[10]
웹사이트
FFmpeg Filters Documentation
https://ffmpeg.org/f[...]
[11]
웹사이트
Description
https://github.com/H[...]
2021-06-24
[12]
arXiv
Real-time Deep Video Deinterlacing
[13]
웹사이트
EBU R115-2005: FUTURE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http://tech.ebu.ch/d[...]
EBU
2005-05
[14]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1080p/50
http://tech.ebu.ch/d[...]
EBU
2009-09
[15]
웹사이트
EBU Technical Review No. 301 (January 2005)
EBU
2005-01-26
[16]
웹사이트
EBU Technical Review No. 300 (October 2004)
EBU
2005-01-25
[17]
서적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http://dl.acm.org/ci[...]
ACM
[18]
특허
Progressive scan display system having intra-field and inter-field processing modes
[19]
웹사이트
EBU R115-2005: FUTURE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http://tech.ebu.ch/d[...]
EBU
2005-05
[20]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1080p/50
http://tech.ebu.ch/d[...]
EBU
2009-09
[21]
웹사이트
EBU Technical Review No. 300 (October 2004)
http://www.ebu.ch/en[...]
EBU
2005-01-25
[22]
웹사이트
EBU Technical Review No. 301 (January 2005)
http://www.ebu.ch/en[...]
EBU
2005-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