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리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리커는 루디코프가 2004년에 시작한 사진 공유 서비스로, 야후!에 인수된 후 버라이즌을 거쳐 스머그머그에 매각되었다. 사용자는 사진에 태그를 달아 분류하고, 다른 사용자와 소통하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통해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플리커는 사진의 조직화, 접근 제어, 상호 작용 기능 등을 제공하며, 다양한 운영 체제 및 웹 브라우저와 호환된다. 플리커는 검열, 저작권 침해, DMCA 정책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는 무료 계정의 사진 업로드 수에 제한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웹사이트 - Canoe.ca
    Canoe는 캐나다의 포털 사이트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서비스가 중단 또는 폐쇄되었고 메인 도메인 canoe.ca는 도박 웹사이트에 점유되어 과거 사용자들을 유입하는 문제를 겪고 있다.
  • 캐나다의 웹사이트 - 500px
    500px는 예브게니 체보타레프가 시작한 사진 공유 플랫폼으로, 초기에는 사진 크기가 500픽셀로 제한되었고 커뮤니티 큐레이터의 검토를 거쳐 고품질 사진만 게시되었으나, 비주얼 차이나 그룹에 인수된 후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자체 평점 시스템을 통해 사진의 인기도를 측정한다.
  • 이미지 호스팅 - 구글 포토
    구글 포토는 사진 및 동영상 저장, 공유,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자동 분류, 얼굴 인식,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만 2021년부터 무료 무제한 저장 용량 제공 정책이 변경되었고, 2024년에는 기술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있었다.
  • 이미지 호스팅 - 포토버킷
    포토버킷은 2003년 설립된 이미지 및 비디오 호스팅 플랫폼으로, 투자 유치와 인수 과정을 거쳐 트위터와 제휴했으나, 2017년 유료 정책 도입과 2024년 개인 정보 보호 정책 변경으로 논란을 겪었다.
  • 야후! - 야후! 검색
    야후! 검색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야후!가 제공했던 웹 검색 엔진 기술이며, 인크토미, 알타비스타 등의 기술을 통합 개발하여 기계 학습 랭킹, 오픈 플랫폼 전략 등을 핵심 기술로 사용했다.
  • 야후! - 데이비드 파일로
    미국의 기업가 데이비드 파일로는 제리 양과 함께 야후! Inc.를 공동 설립했으며, 툴레인 대학교에 거액을 기부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도 활발히 펼치는 인물이다.
플리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Flickr (플리커)
유형이미지 및 비디오 호스팅 서비스
상업적 여부
등록필수
사용 가능 언어중국어 (번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웹사이트플리커 공식 웹사이트
개발 및 소유
창립자스튜어트 버터필드
캐터리나 페이크
설립일2004년 2월 10일
설립 장소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현재 위치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소유자SmugMug
이전 소유자Ludicorp (2004–2005)
Yahoo! Inc. (2005–2017)
Oath (2017–2018)
기술 정보
프로그래밍 언어PHP
사용자 정보
사용자 수1억 1200만 명 (2016년 기준)
앱 정보
아이폰 앱아이튠즈 앱 스토어
안드로이드 앱플리커 안드로이드 앱

2. 역사

플리커는 2002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스튜어트 버터필드, 카테리나 페이크 등이 설립한 회사 루디코프( Ludicorp영어)에 의해 개발되었다. 원래 루디코프가 개발하던 온라인 게임 Game Neverending영어의 부속 도구로 시작했으나, 플리커 자체의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되어 2004년 2월 독립적인 서비스로 출시되었다.[13] 초기에는 실시간 사진 공유 채팅방인 FlickrLive영어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후 개인 사용자의 사진 업로드 및 관리에 초점을 맞추며 발전했다.[16][17]

2005년 3월, 야후!가 루디코프와 플리커를 2200만달러에서 2500만달러 사이의 금액으로 인수했다.[20][21] 인수 후 모든 데이터는 캐나다에서 미국 서버로 이전되었고, 서비스는 미국 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22] 야후! 산하에서 플리커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2006년에는 무료 계정의 업로드 용량을 늘리고 유료 계정의 용량 제한을 없앴으며,[27] 2008년에는 동영상 업로드 기능을 도입했다.[28] 2009년에는 게티 이미지와 제휴하여 스톡 사진 판매 기능을 선보였다.[29]

2013년에는 대대적인 디자인 개편과 함께 모든 사용자에게 1TB의 무료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발표했으나,[31][32] 이는 일부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34] 이후에도 인터페이스 개선과 업로드 도구(Uploadr) 출시 등 변화를 이어갔다.[35][36]

2017년 6월,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가 모회사 야후!를 인수하면서 플리커는 버라이즌 소유가 되었고, 야후!와 AOL 사업부를 통합한 Oath(이후 버라이즌 미디어) 산하로 편입되었다.[44][45][105][106]

2018년 4월, 사진 호스팅 서비스 스머그머그(SmugMug)가 버라이즌으로부터 플리커를 인수했다.[37] 스머그머그는 플리커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무료 사용자에게 제공되던 1TB 저장 공간 정책을 폐지하고 사진 1,000장 제한 정책을 도입했다(이후 정책 변경됨).[46][47][48][49] 2019년에는 방대한 플리커 데이터를 야후! 서버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AWS)로 이전하는 작업을 완료했다.[38] 2023년에는 사진 작가가 인쇄물을 판매할 수 있는 'Print Shop' 기능 개발을 발표하는 등 서비스를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39]

플리커는 출시 초기 웹 2.0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며 큰 인기를 누렸으나,[84][85] 이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 기반 사진 공유 서비스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경쟁 속에서 과거만큼의 지배력을 유지하지는 못하고 있다.[87]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진 호스팅 및 공유 플랫폼 중 하나이다.[88]

2. 1. 루디코프와 플리커의 탄생 (2002년 ~ 2005년)

플리커는 스튜어트 버터필드, 카테리나 페이크, 제이슨 크라슨이 2002년 캐나다 밴쿠버에 설립한 회사 Ludicorp|루디코프영어가 개발했다. 루디코프는 2004년 2월 10일 플리커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원래 루디코프가 개발하던 웹 기반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MMOG)인 Game Neverending|게임 네버엔딩영어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에서 파생되었다. 플리커가 더 실현 가능한 프로젝트로 판단되면서, Game Neverending|게임 네버엔딩영어의 개발은 결국 보류되었다.[13]

초기 플리커는 실시간 사진 교환 기능을 갖춘 채팅방인 FlickrLive|플리커라이브영어에 중점을 두었다.[16] 이후 개발은 개별 사용자의 사진 업로드와 파일 관리를 위한 백엔드 시스템에 집중되었고, 채팅방은 점차 중요도가 낮아졌다. 결국 플리커의 백엔드 시스템이 Game Neverending|게임 네버엔딩영어의 코드베이스에서 분리되면서 채팅방 기능은 삭제되었다.[17] 태그, 사진 즐겨찾기, 그룹 사진 풀과 같은 현재 플리커의 주요 기능들은 서비스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18]

2005년 3월 20일, 야후!는 루디코프와 플리커를 인수했다.[20] 인수 금액은 2200만달러에서 2500만달러 사이로 추정된다.[21] 같은 해 6월 26일부터 7월 2일 사이에 모든 콘텐츠가 캐나다 서버에서 미국 서버로 이전되었고, 그 결과 모든 데이터는 미국 연방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22]

2. 2. 야후! 인수와 성장 (2005년 ~ 2017년)

2005년 3월 20일, 야후!는 루디코프(Ludicorp)와 플리커를 인수했다.[20] 인수 비용은 2200만달러에서 2500만달러 사이로 추정된다.[21] 같은 해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에 모든 콘텐츠가 캐나다 서버에서 미국 서버로 이전되었으며, 이로 인해 모든 데이터는 미국 연방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22]

야후! 인수 이후, 기존 야후! 계정으로 플리커 이용이 가능해졌으며, 신규 가입 시 야후! ID 생성이 필수가 되었다. 2007년 1월, 플리커는 야후! 인수 이전에 가입한 기존 회원들에게 3월 15일까지 계정을 야후! ID와 연동하도록 요구했다.[24] 이는 일부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았다.[25] 같은 해 5월, 야후!는 자사의 야후! 사진 서비스를 9월 20일에 종료한다고 발표하며 사용자들에게 플리커로 사진을 이전할 것을 권장했다.[23]

서비스 개선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2006년 5월, 플리커는 서비스 상태를 베타에서 감마로 변경했으며,[26] 같은 해 12월에는 무료 계정의 월 업로드 용량을 20MB에서 100MB로 늘리고, 유료 프로 계정의 업로드 용량 제한을 없앴다.[27] 2008년 4월부터는 유료 회원을 대상으로 동영상 업로드(최대 90초, 150MB)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28] 2009년 3월에는 HD 비디오 업로드 및 보기 기능을 추가하고 무료 사용자에게도 일반 화질 동영상 업로드를 허용했다.[28] 또한 2009년에는 게티 이미지와 제휴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스톡 사진으로 제공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2010년 6월부터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사진을 스톡용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29]

플리커 공개 업로드 그래프는 구글 포토 출시 전인 2013–2015년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3년 5월, 플리커는 대대적인 사이트 개편을 단행하여, 사진 중심의 새로운 디자인과 함께 모든 사용자에게 1 TB의 무료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등 큰 변화를 시도했다.[31][32] 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일부 사용자들의 강한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34] 이 새로운 인터페이스는 2014년 3월 정식으로 적용되었다.[35] 2015년 5월에는 카메라 롤 기능 개선과 함께 맥, 윈도우, 모바일용 Uploadr 앱을 출시하는 등 다시 한번 사이트를 개편했다.[36]

한편, 2008년 6월에는 공동 창업자인 카테리나 페이크와 스튜어트 버터필드가 회사를 떠났다.[40] 같은 해 12월과 2010년 말, 모회사 야후!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플리커 역시 인력 감축의 영향을 받았다.[42][43]

2017년 6월 13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가 모회사인 야후!를 인수하면서 플리커도 버라이즌 소유가 되었다.[44][45][105][106] 버라이즌은 야후!와 AOL을 합병하여 새로운 자회사인 Oath(2019년 1월 버라이즌 미디어로 사명 변경)를 설립했고, 플리커는 Oath 산하로 편입되었다.

2. 3. 버라이즌 인수와 스머그머그로의 매각 (2017년 ~ 현재)

2017년 6월 13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는 플리커를 포함한 야후!를 인수했다.[44][45] 버라이즌은 야후!를 AOL과 함께 새로운 지주 회사인 Oath로 재편했다.[105][106]

2018년 4월 20일, 이미지 호스팅 서비스 스머그머그(SmugMug)가 버라이즌의 Oath로부터 플리커를 인수했다.[37] 스머그머그는 플리커 서비스를 유지하되, 인수 후 몇 가지 정책 변경을 발표했다. 가장 큰 변화는 무료 사용자에게 제공되던 1테라바이트 저장 공간 플랜을 종료하고, 사진 수를 1,000장으로 제한한 것이다.[46][47] 이미 1,000장 이상을 업로드한 사용자는 2019년 2월 5일까지 유료 "Pro" 계정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초과된 사진이 삭제될 예정이었으나,[46][47] 이 기한은 이후 2019년 3월 12일로 연장되었다.[48] 스머그머그는 이러한 정책 변경 이유에 대해, 사용자 프로필 판매에 의존하지 않는 중소기업으로서 기존의 무료 모델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설명했다.[48] 그러나 1,000장 제한 정책은 실제로 엄격하게 시행되지 않았고, 2022년 3월에는 유료 계정으로 업그레이드하지 않는 사용자의 콘텐츠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정책이 변경되었다.[49]

2019년 5월 초, 스머그머그는 플리커의 방대한 데이터(1억 개 이상의 계정과 수십억 개의 사진 및 비디오)를 기존 야후! 서버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AWS)로 이전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실제 이전 작업은 2019년 5월 22일에 약 12시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다.[38]

2023년 5월, 플리커는 사진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 인쇄물을 판매할 수 있는 'Print Shop' 기능 개발을 발표했다. 이 기능은 초기에는 승인된 일부 판매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승인 기준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39]

3. 특징

플리커는 서비스 초기부터 무료 계정과 유료 계정, 두 가지 유형을 제공해왔다. 2019년 1월 7일까지 무료 계정은 최대 1TB의 저장 공간을 제공했으나, 2019년 1월 8일부터 정책이 변경되어 무료 계정은 저장 가능한 사진 또는 비디오가 1,000개로 제한되고, 비디오 길이는 최대 3분으로 제한되었다.[50] 이 한도를 초과한 무료 계정 사용자는 신규 업로드가 불가능해졌으며, 특정 날짜 이후에는 초과된 오래된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될 예정이었다(단, 특정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가 적용된 콘텐츠는 제외).[51][52] 유료 계정은 "무제한" 저장 공간, 고급 통계, 광고 없는 환경, 더 긴 비디오 업로드(최대 10분), 우선 고객 지원 및 제휴 혜택 등을 제공한다.[53]

계정 관리 측면에서는, 과거 사용자 계정의 실수로 인한 삭제 및 복구 지연 문제 이후 계정 해지를 쉽게 되돌릴 수 있는 옵션이 추가되었으나,[54] 플리커는 여전히 사전 경고 없이 계정을 삭제할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55] SmugMug 인수 후에는 사용자가 사진 앨범, 연락처, 댓글 등 자신의 계정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이 도입되었다.[56]

플리커는 개인이 촬영한 사진을 웹상에서 정리, 분류, 전시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며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사진에 '''태그'''(메타데이터)를 붙여 쉽게 검색하고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도 한다.[104][107] 또한, 사진들을 주제별로 묶어 관리하는 '''앨범'''(구 "세트")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전통적인 폴더 방식보다 유연하게 작동한다. 사용자는 각 사진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여 개인적인 보관과 공개적인 공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친구나 특정 관심사를 공유하는 그룹과 사진을 공유하는 '''그룹 풀'''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게시판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사한 커뮤니티 기능 덕분에 플리커는 블로거들 사이에서도 사진 보관 및 공유 장소로 널리 활용되었다.[104]

3. 1. 조직화

플리커에 업로드된 사진은 각 사용자의 "포토스트림"이라는 순차적인 흐름 속에 저장되며, 이는 플리커 계정의 기본을 이룬다. 포토스트림은 정렬된 보기, 슬라이드 쇼, 상세 보기, 날짜별 아카이브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포토스트림의 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사진의 데이터, 댓글, 외부 사이트 삽입 기능 등을 포함하는 "포토페이지"가 열린다.

사용자는 태그, 앨범(구 "세트"), 컬렉션, 오거나이저(Organizr)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사진을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사용자가 사진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검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플리커는 개발자들이 플리커의 기능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포괄적인 웹 서비스 API를 제공한다. 사이트 자체는 표준 HTMLHTTP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운영 체제와 웹 브라우저에서 폭넓게 호환된다. 또한 RSS 및 Atom 피드를 지원하며, Greasemonkey 스크립트와 같은 다양한 외부 확장을 통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62] 사진에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지오태깅 기능도 지원하며, 3백만 개 이상의 이미지에 Geo 마이크로포맷이 사용되었다.[63]

기술적으로 플리커는 2009년 8월 기준으로 124개의 서버와 62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되었으며,[64] Linux 운영체제(Red Hat) 기반 위에 Apache 웹 서버, PHP 프로그래밍 언어, MySQL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 스택을 사용했다. 데이터베이스 부하 분산을 위해 샤딩 기법이 적용되었고, 성능 향상을 위해 Memcached와 Squid 캐싱 시스템이 활용되었다.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는 Ganglia 등의 도구가 사용되었다.[65]

플리커는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사용자의 포토스트림을 "팔로우"하여 업데이트를 받아볼 수 있으며, 공통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들이 모여 사진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그룹" 기능도 활발하게 이용된다. 다른 사용자의 사진 중 마음에 드는 것을 모아 "갤러리"를 만들거나, 사진에 "댓글"을 남기고 "즐겨찾기"로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66]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도 지원한다. 윈도우 사진 갤러리, 애플의 아이포토, 어도비 라이트룸, Aperture, darktable, digiKam 등 여러 사진 관리 소프트웨어에서 플리커로 직접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첨부나 플리커가 제공하는 데스크톱 클라이언트(Uploadr)를 통해서도 사진 업로드가 가능하다.[67][68] 사진 편집을 위해 온라인 편집 도구인 Picnik(과거) 및 Aviary(이후)와 연동되었다.[69][70] 지도 서비스는 야후! 맵스를 기본으로 사용하며, 일부 도시에서는 OpenStreetMap 데이터를 활용하기도 했다.[71][72] Moo, Blurb 등 여러 인쇄 업체와 제휴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진으로 명함, 사진첩 등 다양한 상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73] 스톡 사진 판매를 위해 Getty Images와 제휴하기도 했다.[74]

3. 1. 1. 태그 (Tags)

플리커에서는 사진 제공자나 다른 사용자들이 사진에 키워드인 "태그"(메타데이터의 일종)를 자유롭게 붙여 분류할 수 있다.[104][107] 이렇게 붙여진 태그는 장소 이름이나 주제(예: "대만", "결혼식", "베를린 건축", "펄 잼", "호놀룰루 마라톤" 등)를 나타내어, 나중에 특정 주제의 사진을 검색하는 것을 쉽게 만들어 준다.[107] 플리커는 가장 많이 검색된 인기 태그가 붙은 사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107]

사용자들은 태그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거나, 태그를 따라가며 예상치 못한 사진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104] 이러한 "사용자가 만든" 태그를 지원하기 때문에, 플리커는 자체 분류법의 주요 사례로 종종 언급된다. 하지만 토마스 반데르 왈은 플리커가 자체 분류법의 가장 좋은 예제는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12]

또한 플리커는 태그 구름(Tag cloud)을 구현한 최초의 사이트 중 하나이다.[108] 태그 구름은 글꼴 크기를 통해 인기 있는 태그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108]

3. 1. 2. 앨범 (Albums)

사용자는 플리커에 올린 사진을 "앨범"(이전 명칭은 "세트")으로 묶어 정리할 수 있다.[57] 앨범은 같은 주제나 제목을 가진 사진 모음이다. 이는 컴퓨터 파일을 정리할 때 사용하는 폴더 방식보다 더 유연한 특징을 가진다. 한 사진이 하나의 앨범에만 속하거나 여러 앨범에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고, 어떤 앨범에도 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구글의 지메일에서 사용하는 '라벨' 기능과 유사하다.

플리커 앨범은 물리적인 계층 구조라기보다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분류 방식에 가깝다. 사용자는 생성한 앨범을 블로그, 웹사이트, 온라인 게시판 등에 삽입할 수 있는 코드를 제공받는다.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는 지오태깅(위치 정보 태그)을 적용할 수 있으며,[58] 위치 정보가 태그된 앨범은 imapflickr 같은 도구를 이용해 지도와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지도는 다른 웹사이트에 삽입할 수도 있다.[59]

여러 앨범은 다시 '컬렉션'이라는 더 큰 단위로 묶을 수 있으며, 컬렉션은 또 다른 상위 컬렉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1. 3. 컬렉션 (Collections)

플리커 사용자는 사진을 '집합(Set)' 단위로 정리할 수 있다. '집합'은 특정 주제나 제목 아래 모인 사진들의 그룹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폴더 방식의 파일 정리보다 유연한 방식인데, 한 사진이 여러 집합에 동시에 속하거나, 어느 집합에도 속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구글의 지메일에서 사용하는 '라벨' 기능과 유사하며, 물리적인 계층 구조보다는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사진을 관리하는 개념에 가깝다.

'집합'들은 다시 '컬렉션(Collection)'으로 묶일 수 있다. 컬렉션은 여러 집합을 포함하는 더 상위의 분류 단위이며, 컬렉션 자체도 더 큰 상위 컬렉션으로 다시 묶어 계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3. 1. 4. 오거나이저 (Organizr)

오거나이저는 플리커 계정에 속한 사진들을 조직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는 플리커 인터페이스 내에서 오거나이저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진이나 공유된 사진에 대한 태그를 달거나 설명을 수정할 수 있으며, 사진들을 '앨범'(구 '세트')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야후! 맵스와 연동된 세계 지도 위에 사진을 배치하여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오거나이저는 에이잭스 기술을 사용하여, 마치 피카사F-Spot과 같은 데스크톱 기반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룩앤필과 빠른 반응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일부 기능 구현에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기술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도 여러 장의 사진을 한 번에 선택하고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등, 기존의 표준 플리커 인터페이스로는 다소 번거로웠던 사진 일괄 관리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2. 접근 제어

플리커는 개인적인 사진 보관과 공개적인 사진 공유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진을 업로드할 때 해당 사진을 볼 수 있는 사람을 결정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60] 사진은 전체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다.

비공개로 설정된 사진은 기본적으로 업로드한 사용자만 볼 수 있지만, 설정을 통해 친구나 가족에게만 공개하는 것도 가능하다.[60] 또한, 사진을 특정 '''그룹 풀'''에 추가하여 접근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그룹 풀은 친구나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형성한 그룹이 공유하는 이미지 보관소를 의미한다. 만약 그룹이 비공개 상태라면 해당 그룹의 구성원만 사진을 볼 수 있으며, 그룹이 공개 상태라면 사진 역시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다. 플리커는 LiveJournal과 유사하게 특정 사용자들에게만 사진 접근을 허용하는 '연락처 목록' 기능도 제공한다. 2006년 11월에는 플리커 회원이 아닌 사람에게도 개인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게스트 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 기능을 통해 친구 또는 가족으로 지정된 범주의 사진이나 특정 세트의 모든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61]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공개하며, 이를 통해 방대한 양의 분류된 사진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된다. 기본 설정상, 다른 사용자는 자신이 볼 권한이 있는 모든 사진에 댓글을 남길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사진과 관련된 태그 목록에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이 '''태그'''는 메타데이터로서 사진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들은 태그를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거나 예상치 못한 새로운 사진을 발견하기도 한다.[104]

플리커는 단순히 사진을 저장하는 것을 넘어, 웹상에서 사진을 정리하고 전시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소통하는 이미지 게시판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커뮤니티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블로거들 사이에서 사진의 공동 보관 및 이용 장소로 널리 활용되면서 성장했다.[104]

3. 3. 상호 작용 및 호환성

플리커는 표준 HTMLHTTP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운영 체제와 웹 브라우저에서 폭넓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사이트 내의 텍스트 편집, 태그 추가, 사진 관리 도구인 Organizr 등 대부분의 인터페이스는 Ajax 기술을 사용하여 최신 웹 브라우저 환경에 잘 대응한다. 또한, RSS 및 Atom 피드를 지원하며, 외부 개발자들이 플리커의 기능을 활용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Greasemonkey 스크립트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제작 확장 기능들이 개발되었으며, 2006년에는 userscripts.org에서 두 번째로 많이 확장된 사이트이기도 했다.[62] 사진은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이메일 첨부 파일을 통해서도 업로드할 수 있어, 여러 스마트폰이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진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플리커는 3백만 개 이상의 사진에 지오태깅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Geo 마이크로포맷을 활용한다.[63]

로그인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사진 모음(포토스트림)을 "팔로우"하여 구독할 수 있으며,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팔로우하는 사람들의 최신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66] 또한, 사용자들은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다른 회원들과 교류하기 위해 "그룹"을 생성하거나 참여할 수 있다. 그룹은 누구나 만들 수 있으며, 사진 공유,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그룹 관리자는 그룹 운영 방식을 설정하고 회원을 관리할 수 있다.[104]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사진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자신만의 "갤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사진을 올린 사람이 허용한 경우),[66] 개별 사진에 댓글을 남기거나 "즐겨찾기"로 표시하여 다른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66] 사진에 자유롭게 태그(메타데이터)를 붙여 분류하는 기능은 플리커의 핵심적인 상호작용 방식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관심사를 공유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관련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104] 이러한 기능 덕분에 플리커는 단순한 사진 저장소를 넘어 이미지 게시판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처럼 활발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자리 잡았으며, 블로거들 사이에서도 사진을 공유하고 활용하는 중요한 플랫폼이 되었다.[104]

플리커는 다양한 외부 프로그램 및 서비스와 연동된다. 윈도우 사진 갤러리, 애플의 아이포토(버전 8), 어도비 라이트룸 3.2, 애플 Aperture(버전 3.0), darktable, digiKam과 같은 사진 관리 프로그램에서 플리커로 직접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67] 또한,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동시에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기능도 제공한다.[67] 플리커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도 사진을 쉽게 올릴 수 있도록 Mac OS X 및 Windows 운영체제용 데스크톱 업로드 프로그램(Uploadr)을 제공했는데, 이를 이용하면 여러 사진을 한 번에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올리고, 태그와 설명을 일괄적으로 추가하며, 공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했다.[68]

사진 편집 기능으로는 초기에 온라인 사진 편집 서비스인 Picnik과 제휴하여 기본적인 편집 도구를 플리커 내에서 제공했으나,[69] 2012년 4월 5일부터는 Aviary의 편집 도구로 대체되었다.[70] 지도 서비스의 경우, 상업용 지도 데이터와 더불어 OpenStreetMap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표시한다. 이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베이징에서 시작되었으며, 2008년 10월 기준으로는 바그다드, 베이징, 카불, 시드니, 도쿄 등 여러 도시에서 OpenStreetMap 지도를 사용한다.[71][72] 또한, Moo, Blurb, Tiny Prints, Capital One, Imagekind, QOOP 등 여러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이용하여 명함, 사진첩, 카드, 인쇄물 등 다양한 상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73] 과거에는 Getty Images와 제휴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스톡 이미지로 판매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했으나, 2014년 초 현재 이 제휴 관계는 검토 중이다.[74]

기술적인 측면에서, 2009년 8월 기준 플리커는 124개의 서버에 걸쳐 6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서버 한 쌍당 약 800,000개의 사용자 계정을 처리했다.[64] 2007년 11월 기준 정보에 따르면, 플리커 시스템은 Linux(Red Hat 기반) 운영체제 서버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으며, Apache 웹 서버, PHP 프로그래밍 언어(PEAR, Smarty 포함), 데이터베이스 부하 분산을 위한 샤딩, Memcached 캐싱 시스템, Squid 프록시 서버, Perl 스크립트 언어, ImageMagick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 Java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했다.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는 Ganglia, SystemImager, Subcon, CVSup 등의 도구를 사용했다.[65]

3. 4. 라이선스

플리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특정 조건 하에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미지를 "저작권 소유"로 표시하여 모든 권리를 보유할 수도 있고, 다양한 종류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 라이선스를 적용하여 저작물의 이용 조건을 명시할 수도 있다.[78] 플리커 내에서는 태그 검색처럼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미지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78]

주요 라이선스 정책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플리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이선스 형태로, 저작자 표시(BY), 동일조건변경허락(SA), 비영리(NC), 변경금지(ND)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 플리커의 커먼즈 (The Commons on Flickr): 2008년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미국 의회 도서관, 스미소니언 협회 등 전 세계 여러 문화 기관이 참여하여 저작권 제한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사진 자료를 공유한다.[79][80][81] 이를 통해 대중은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역사적인 사진 자료들을 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미국 정부 저작물: 2009년 백악관 사진 공개를 계기로 추가된 라이선스 분류로, 저작권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미국 정부 저작물을 나타낸다.[82]
  • 퍼블릭 도메인 마크 (PDM) 및 CC0: 2015년 추가된 옵션으로,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되었거나(PDM) 저작권자가 모든 권리를 포기한(CC0) 저작물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한다.[83]


위키백과위키미디어 공용과 같은 프로젝트에서는 플리커에 게시된 이미지 중 자유로운 이용이 허락된 특정 라이선스(CC BY, CC BY-SA, CC0, PDM 등)가 적용된 이미지만을 사용할 수 있다.[109] 비영리(NC)나 변경 금지(ND) 조건이 붙은 이미지는 위키백과의 자유로운 이용 원칙에 따라 사용할 수 없다.

3. 4. 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Creative Commons)

250px


플리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특정 일반 사용 라이선스 하에 공개하거나 "저작권 소유"로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라이선스 옵션으로는 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2.0 저작자 표시 기반 라이선스와 소규모 콘텐츠 제어 라이선스가 있다. 다만, 특정 관할 구역이나 버전별 라이선스는 선택할 수 없다. 사이트 내에서는 태그처럼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미지만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78]

2008년 1월 16일, 플리커는 "플리커의 커먼즈(The Commons on Flickr)"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79]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국제 문화 기관들이 "저작권 제한 없음"으로 분류된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다. 플리커는 이 프로그램의 목표를 "첫째, 세계 공공 사진 아카이브에 숨겨진 보물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둘째, 이용자들의 참여와 지식이 이러한 컬렉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참여 기관으로는 덴마크 국립 박물관, 파워하우스 박물관, 조지 이스트먼 박물관, 미국 의회 도서관, 네덜란드 국립 기록원,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 스미소니언 협회 등이 있다.[80][81]

2009년 5월, 백악관 공식 사진작가였던 피트 수자는 플리커를 통해 백악관 사진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원작자 표시를 요구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로 사진이 게시되었다. 이후 플리커는 이 사진들을 저작권 제한이 없는 "미국 정부 저작물"로 식별하는 새로운 라이선스를 추가했다.[82]

2015년 3월, 플리커는 라이선스 옵션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퍼블릭 도메인 마크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 (CC0)를 추가했다.[83] 퍼블릭 도메인 마크는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에 사용되며, CC0는 저작권이나 관련 권리가 아직 유효하지만 권리자가 모든 권리를 포기하기로 선택한 작품에 적용된다.

3. 4. 2. 플리커의 커먼즈 (The Commons on Flickr)



플리커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특정 라이선스 하에 공개하거나 "저작권 소유"로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2.0 기반의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태그와 마찬가지로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미지만 검색하는 기능도 제공한다.[78]

2008년 1월 16일, 플리커는 세계 여러 문화 기관들과 협력하여 "플리커의 커먼즈(The Commons on Flickr)" 프로그램을 시작했다.[79] 이 프로그램은 참여 기관들이 소장한 "저작권 제한이 없는(no known copyright restrictions)" 이미지들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플리커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공공 사진 아카이브에 숨겨진 보물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이용자들의 지식과 참여를 통해 이 컬렉션들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것"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참여하는 주요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80][81]

  • 덴마크 국립 박물관
  • 파워하우스 박물관
  • 조지 이스트먼 박물관
  • 미국 의회 도서관
  • 네덜란드 국립 기록원
  •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
  •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
  •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
  • 스미소니언 협회


2009년 5월에는 백악관 공식 사진작가였던 피트 수자가 백악관 사진을 공개하는 채널로 플리커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CC BY) 라이선스로 사진이 게시되었으나, 이후 플리커는 저작권 제한이 없는 "미국 정부 저작물(United States Government Work)"이라는 새로운 라이선스 분류를 만들어 적용했다.[82]

2015년 3월, 플리커는 라이선스 옵션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퍼블릭 도메인 마크(PDM)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CC0)를 추가했다.[83] 퍼블릭 도메인 마크는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에, CC0는 저작권이 유효하지만 권리자가 모든 권리를 포기한 작품에 사용된다.

위키백과위키미디어 공용과 같은 프로젝트에서는 플리커에 게시된 이미지 중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것들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위키백과는 상업적 이용을 포함한 자유로운 이용을 목표로 하므로, 비영리(NC)나 변경 금지(ND) 조건이 붙은 이미지는 사용할 수 없다. 사용 가능한 라이선스는 다음과 같다.[109]

  • Attribution License (CC BY, 저작자 표시)
  •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CC BY-SA, 저작자 표시-동일 조건 변경 허락)
  • Public Domain Dedication (CC0)
  • Public Domain Mark (PDM)

3. 4. 3. 미국 정부 저작물

2009년 5월, 백악관 공식 사진작가 피트 수자는 플리커를 백악관 사진 공개 채널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사진들은 처음에는 원작자 표기를 요구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로 게시되었다. 플리커는 나중에 이 사진들을 "미국 정부 저작물"로 식별하는 새로운 라이선스를 만들었는데, 이 라이선스는 어떠한 저작권 제한도 받지 않는다.[82]

3. 4. 4. 퍼블릭 도메인 마크 및 CC0



플리커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특정 일반 사용 라이선스 하에 공개하거나 "저작권 소유"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2.0 기반의 라이선스 옵션이 포함되며, 사용자는 태그처럼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미지만 검색할 수 있다.[78]

2008년 1월 16일, 플리커는 "플리커의 커먼즈(The Commons on Flickr)" 프로그램을 시작했다.[79] 이 프로그램을 통해 덴마크 국립 박물관, 파워하우스 박물관, 조지 이스트먼 박물관, 미국 의회 도서관, 네덜란드 국립 기록원,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 스미소니언 협회 등 여러 국제 문화 기관들이 "저작권 제한 없음(no known copyright restrictions)" 상태의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다. 플리커는 이 프로그램의 목표를 "세계 공공 사진 아카이브의 숨겨진 보물을 보여주고, 이용자의 지식과 참여로 컬렉션을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80][81]

2009년 5월에는 백악관 공식 사진작가 피트 수자가 백악관 사진을 플리커를 통해 공개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CC BY) 라이선스가 적용되었으나, 이후 플리커는 저작권 제한이 없는 "미국 정부 저작물"이라는 새로운 식별 표시를 만들었다.[82]

2015년 3월, 플리커는 라이선스 옵션에 퍼블릭 도메인 마크(Public Domain Mark, PDM)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CC0)를 추가했다.[83] 퍼블릭 도메인 마크는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에 사용되며, CC0는 저작권이 아직 유효하지만 권리자가 모든 권리를 포기한 작품에 적용된다.

위키백과위키미디어 공용에서는 플리커에 올라온 이미지 중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자유로운 이용(상업적 이용 포함)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특정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미지만 허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작자 표시(CC BY), 저작자 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CC BY-SA), CC0, 퍼블릭 도메인 마크(PDM)가 적용된 이미지만 전재 가능하다. 비영리(NC)나 변경 금지(ND) 조건이 붙은 이미지는 사용할 수 없다.

플리커 라이선스별 위키백과/위키미디어 공용 사용 가능 여부 및 이미지 수 (2015년 기준)[109]
라이선스 종류플리커 검색 명칭위키백과/공용 사용 가능 여부이미지 수 (2015년 기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CC BY)Attribution License가능약 6700만 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CC BY-SA)Attribution-ShareAlike License가능약 3250만 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제로 (CC0)Public Domain Dedication (CC0)가능약 30만 점
퍼블릭 도메인 마크 (PDM)Public Domain Mark (PDM)가능약 93만 점


3. 5. 검열 및 논란

플리커는 2007년 3월,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안전성'을 분류하는 필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75] 이 시스템은 콘텐츠를 '안전(safe)', '보통(moderate)', '제한(restricted)'의 세 단계로 나누었으며, 사용자의 설정이나 국가별 정책에 따라 특정 등급의 콘텐츠 접근을 제한했다.[76]

2007년 6월 12일, 플리커는 사이트의 현지화 버전 출시와 함께 독일, 싱가포르, 홍콩, 대한민국 등 일부 국가의 야후! 계정 사용자들이 '보통' 또는 '제한' 등급으로 평가된 사진을 볼 수 없도록 접근을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는 해당 국가 사용자들, 특히 독일 사용자들 사이에서 플리커와 야후!의 '원치 않는 검열'이라는 강한 비판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89] 플리커 운영진은 구체적인 법적 세부 사항 공개를 꺼리면서도, 이러한 엄격한 필터링이 독일의 까다로운 연령 인증 관련 법규 때문이라고 암시했다. 이 문제는 독일 언론에서도 다루어졌으며, 초기에는 플리커의 조치가 법적 문제를 피하기 위한 합리적이지만 불가피한 예방 조치라는 시각도 있었으나,[90] 이후 불필요하게 과도한 제한이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91] 논란이 확산되자 플리커는 2007년 6월 20일, 독일 사용자들에게 '보통' 등급 이미지에 대한 접근을 다시 허용(단, '제한' 등급은 제외)했으며, 향후 고급 연령 인증 절차를 포함한 독일 맞춤형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09년 6월 1일부터는 중국에서 플리커 접속이 차단되었다. 이는 1989년 천안문 광장 시위 20주년을 앞두고 이루어진 조치로,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92]

3. 5. 1. 대한민국에서의 검열 논란 (2007년)

2007년 3월, 플리커는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이미지의 유형(사진, 미술/삽화 또는 스크린샷)과 안전성(안전, 보통, 제한)을 지정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75]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미지를 검색할 때도 적용되었으며, 특히 비회원이나 미성년자로 확인된 계정은 '안전하지 않은' 콘텐츠 접근에 제한을 받았다.[76] 플리커는 이 필터링 시스템을 통해 대한민국을 포함한 홍콩,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 콘텐츠의 접근성을 변경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는 해당 국가 사용자들의 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3. 5. 2. 저작권 침해 및 DMCA 정책 논란

TechCrunch의 마이클 애링턴[93]전자 프런티어 재단[94] 등은 플리커가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과 온라인 저작권 침해 책임 제한법(OCILLA)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한다고 비판했다. OCILLA에 따르면 플리커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는 저작권 침해에 대한 공식 통지를 받으면 해당 콘텐츠를 신속히 삭제하거나 접근을 차단해야 법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95]

영국의 코미디언 데이브 고먼은 자신이 올린 사진 중 하나가 잘못된 DMCA 신고로 삭제된 후 이 문제를 조사했다. 그는 플리커 사용자가 미국에 거주하지 않거나, 신고자가 미국 거주자가 아닌 경우 플리커가 분쟁 중인 콘텐츠를 즉시 삭제 처리한다고 결론 내렸다. 고먼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음을 성공적으로 증명하더라도 플리커는 삭제된 콘텐츠를 복원하지 않았으며, 이는 반박 통지에 대한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96] 이후 플리커는 관련 정책을 변경했다.[97]

2019년, 플리커는 특정 사용자에게 새로운 도난 감지 도구 옵션을 추가했다. 2019년 BBC는 "일부 구독자에게는 이미지가 무단으로 사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복사 방지 도구가 제공될 예정"이며, "플리커 프로 구독자는 최대 1,000개의 이미지를 모니터링하고 사진을 무단 사용한 개인이나 회사에 자동으로 저작권 침해 청구를 보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98]

참조

[1] 웹사이트 Flickr Jobs https://www.flickr.c[...] Flickr 2018-04-06
[2] 웹사이트 An Amazing 8 Years – Flickr Blog http://blog.flickr.n[...] Flickr 2012-02-10
[3] 웹사이트 Social Media Demographics for 2016 https://www.codefuel[...] 2016-09-29
[4] 웹사이트 A small family-run firm bought Flickr from Verizon and says it can bring back its glory days https://www.business[...] 2020-12-03
[5] 웹사이트 Flickr vs Imgur: Which is Best? – Best Image Hosting Scripts https://www.image-ho[...] 2016-01-04
[6] 웹사이트 Thank You, Flickr Community! https://blog.flickr.[...] 2015-06-15
[7] 웹사이트 Flickr Launches New Design and Features, Now Has 112M Members https://petapixel.co[...] 2015-05-07
[8] 웹사이트 Flickr Boasts 6 Billion Photo Uploads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11-08-05
[9] 웹사이트 Flickr Statistics, User Count, & Facts (August 2024) https://photutorial.[...] 2022-07-05
[10] 웹사이트 Flickr for iPhone, iPod touch, and iPad on the iTunes App Store https://itunes.apple[...] 2013-07-24
[11] 웹사이트 Official Flickr App for Android https://www.flickr.c[...] 2013-07-24
[12] 웹사이트 Help: Using Flickr on your phone https://www.flickr.c[...] Flickr 2014-04-05
[13] 뉴스 Flickr of Idea on a Gaming Project Led to Photo Website https://www.usatoday[...] 2006-02-27
[14] 웹사이트 A Flickr Founder's Glitch: Can A Game That Wants You To Play Nice Be A Blockbuster? http://www.fastcompa[...] Fast Company 2011-09-27
[15] 웹사이트 As Flickr Co-Founder Butterfield Shuts Down Glitch, Is He Planning A New Photo Service? 'You Will Know It Well,' He Says https://techcrunch.c[...] 2012-11-15
[16] 웹사이트 Photo Sharing Gone Wild https://web.archive.[...] 2004-06-24
[17]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Flickr's Eric Costello https://web.archive.[...] 2005-08-04
[18] 웹사이트 US Patent Application 20060242139: Interestingness Ranking of Media Objects https://patents.goog[...] 2006-10-26
[19] 간행물 Photo Site a Hit With Bloggers https://www.wired.co[...] 2004-12-09
[20] 뉴스 Yahoo Acquires Flickr Creator https://www.wsj.com/[...] 2005-03-20
[21] 뉴스 The Most Fascinating Profile You'll Ever Read About a Guy and His Boring Startup https://www.wired.co[...] 2014-08-07
[22] 웹사이트 Data Moving to U.S. Very Soon! https://www.flickr.c[...] 2005-06-10
[23] 뉴스 Yahoo Photos Going Dark as Flickr Shines On https://www.usatoday[...] 2007-05-03
[24] 웹사이트 Yahoo IDs, Signing in and Screen Names https://flickr.com/h[...]
[25] 뉴스 Flickr to Require Yahoo Usernames http://news.bbc.co.u[...] 2007-02-01
[26] 웹사이트 Flickr Upgrades to Gamma http://lifehacker.co[...] 2006-05-16
[27] 웹사이트 Flickr Gifts and Unlimited Uploads http://mashable.com/[...] 2006-12-13
[28] 웹사이트 Flickr Video Goes HD, Tells Time https://web.archive.[...] 2009-03-02
[29] 뉴스 Getty Taps into Flickr Snappers http://news.bbc.co.u[...] 2010-06-17
[30] 웹사이트 Announcing the Justified View " Flickr Blog http://blog.flickr.n[...] Blog.flickr.net 2012-02-28
[31] 웹사이트 Flickr Gets A Huge Revamp With Hi-Res Image-Filled UI, New Android App and 1TB of Free Storage https://techcrunch.c[...] 2013-05-20
[32] 웹사이트 Yahoo Wants to Make Flickr 'Awesome Again' http://news.cnet.com[...] 2013-05-20
[33] 웹사이트 New Flickr: Has Yahoo Lost Its Mind? http://www.techradar[...] 2013-05-21
[34] 웹사이트 Yahoo Acquires Tumblr, Announces Flickr Overhaul https://web.archive.[...] 2013-05-17
[35] 웹사이트 Flickr's new 'photo experience' leaves beta, offers improved design, faster browsing http://www.digitaltr[...] 2014-03-28
[36] 뉴스 Yahoo unveils makeover for Flickr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5-05-07
[37] 웹사이트 Flickr Bought by Smugmug as Yahoo Breakup Begins https://www.theguard[...] 2018-04-23
[38] 웹사이트 Planned maintenance and Flickr downtime https://blog.flickr.[...] 2019-05-23
[39] 웹사이트 Flickr to Allow Photographers to Sell Prints https://petapixel.co[...] 2023-05-30
[40] 웹사이트 Flickr Co-founders Join Mass Exodus From Yahoo https://techcrunch.c[...] 2013-05-21
[41] 뉴스 "I don't need no fancy parties' says Flickr Founder in Resignation Lett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6-19
[42] 뉴스 Now Flickr Is Hit by Yahoo Layoffs https://www.theguard[...] 2010-03-16
[43] 웹사이트 Yahoo Said to Be Rolling Out Layoffs https://web.archive.[...] 2013-07-24
[44] 간행물 Verizon completes Yahoo acquisition, creating a diverse house of 50+ brands under new Oath subsidiary https://www.prnewswi[...] PR Newswire 2018-04-24
[45] 웹사이트 Verizon to Own Flickr via $4.8B Yahoo Acquisition http://petapixel.com[...] 2016-09-19
[46] 뉴스 Exclusive: Flickr Bought by SmugMug, Which Vows to Revitalize the Photo Service https://www.usatoday[...] Gannett Company 2018-04-20
[47] 웹사이트 Why we're changing Flickr free accounts http://blog.flickr.n[...] 2019-01-19
[48] 뉴스 Flickr will soon start deleting photos — and massive chunks of internet history https://www.vox.com/[...] 2019-02-10
[49] 뉴스 Flickr forever: Creating the safest, most inclusive photography community on the planet. https://blog.flickr.[...] 2022-04-02
[50] 뉴스 Flickr to delete millions of photos as it reduces allowance for free users https://www.theguard[...] 2018-11-06
[51] 뉴스 Flickr will end 1TB of free storage and limit free users to 1,000 photos https://www.theverge[...] 2018-11-01
[52] 웹사이트 The Commons: The Past Is 100% Part of Our Future http://blog.flickr.n[...] 2018-11-10
[53] 웹사이트 Flickr will end 1TB of free storage and limit free users to 1,000 photos https://www.theverge[...] 2018-12-06
[54] 웹사이트 Flickr Adds Account-Undelete Option http://news.cnet.com[...] 2011-05-27
[55] 뉴스 On Flickr Deleting User Accounts http://observer.com/[...] New York Observer 2011-02-03
[56] 웹사이트 How to download your Flickr photo library and transfer it to Google Photos or iCloud Photo library https://www.macworld[...] 2020-08-29
[57] 웹사이트 Folksonomy Research Needs Cleaning Up http://www.vanderwal[...] 2006-09-04
[58] 웹사이트 Creating Flickr Sets Video https://web.archive.[...] 2010-02-26
[59] 웹사이트 Mapping Flickr Sets Video https://web.archive.[...] 2010-02-26
[60] 웹사이트 Public/Private https://www.flickr.c[...] 2011-10-01
[61] 웹사이트 Guest Pass https://www.flickr.c[...] 2011-10-01
[62] 웹사이트 Ink Interview: Steeev http://www.utata.org[...] 2013-07-27
[63] 웹사이트 Flickr supports "Geo" Microformat https://techcrunch.c[...] 2013-07-26
[64] 웹사이트 Bad case of Hiccups! https://www.flickr.c[...] 2009-08-18
[65] 웹사이트 Flickr Architecture http://highscalabili[...] 2013-07-24
[66] 웹사이트 Help https://www.flickr.c[...] Flickr 2014-04-08
[67] 웹사이트 Flickr + Facebook! http://blog.flickr.n[...] 2012-12-08
[68] 웹사이트 Flickr Uploader https://www.flickr.c[...] 2011-10-01
[69] 웹사이트 Edit Your Photos! On Flickr! http://blog.flickr.n[...] 2011-10-01
[70] 웹사이트 Flickr Introduces Users to Aviary as Picnik Ends http://www.dpreview.[...] 2012-04-18
[71] 웹사이트 Around the World and Back Again http://blog.flickr.n[...] 2008-11-07
[72] 웹사이트 More Cities http://blog.flickr.n[...] 2008-11-07
[73] 웹사이트 Flickr Photos Become Stock Photography at Getty Images http://mashable.com/[...] 2009-05-18
[74] 웹사이트 Getty and Flickr to cease partnership http://www.dpreview.[...] DPReview 2014-03-30
[75] 웹사이트 / Help / FAQ / Content filters https://flickr.com/h[...] Flickr.com 2014-04-04
[76] 뉴스 How Porn and Family-Friendly Photos Coexist on Flickr https://www.wired.co[...] 2013-07-24
[77] Webarchive Analysis of 100M CC-Licensed Images on Flickr https://creativecomm[...] creativecommons.org 2009-03-25
[78] 웹사이트 Flickr: Help: Photos: How can I copyright my photos? https://www.flickr.c[...] 2007-11-12
[79] 웹사이트 Many hands make light work https://blog.flickr.[...] 2022-08-16
[80] 웹사이트 The Commons: Participating Institutions https://www.flickr.c[...] 2013-11-28
[81] 뉴스 Historical Photos in Web Archives Gain Vivid New Lives https://www.nytimes.[...] 2009-02-02
[82] 간행물 Flickr Creates New License for White House Photos https://www.wired.co[...] 2013-05-21
[83] 웹사이트 Flickr now offers Public Domain and CC0 designations https://blog.flickr.[...] 2020-12-03
[84] 웹사이트 John Naughton: How Flickr developed into a classic Web 2.0 success http://www.theguardi[...] 2020-12-03
[85] 잡지 Flickr Turns 10: The Rise, Fall and Revival of a Photo-Sharing Community https://time.com/685[...] 2020-12-03
[86] 웹사이트 Downtime in 2007 for the 20 most popular websites https://royal.pingdo[...] 2020-12-03
[87] 웹사이트 How Yahoo Killed Flickr and Lost the Internet https://gizmodo.com/[...] 2020-12-03
[88] 웹사이트 flickr.com Competitive Analysis, Marketing Mix and Traffic - Alexa https://web.archive.[...] 2021-06-21
[89] 웹사이트 Flickr Filter Raises Eyebrows http://www.heise.de/[...] 2013-07-24
[90] 웹사이트 Zwangsfilter: Flickr verbietet Deutschen Nacktfotos http://www.spiegel.d[...] 2013-05-21
[91] 웹사이트 Foto-Portal: Jugendschützer: Flickr-Filter nach deutschem Recht nicht nötig http://www.spiegel.d[...] 2013-07-24
[92] 뉴스 China Blocks Twitter, Flickr and Hotmail Ahead of Tiananmen Anniversary https://www.theguard[...] 2009-06-02
[93] 웹사이트 Flickr v. Free Speech. Where Is Their Courage? https://techcrunch.c[...] 2009-08-21
[94] 웹사이트 Improving DMCA Takedowns at Blogger, Flickr https://www.eff.org/[...] 2009-09-07
[95] 웹사이트 U.S. Copyright Office – Copyright Law: Chapter 5 http://www.copyright[...] Copyright.gov 2013-03-18
[96] 웹사이트 How Dave Gorman Fought Flickr over a Deleted Photo https://www.zdnet.co[...] 2012-03-16
[97] 웹사이트 Dave Gorman Wins: Flickr Changes Deletion Policy https://www.zdnet.co[...] 2012-06-13
[98] 뉴스 Flickr adds photo theft detection tools https://www.bbc.com/[...] 2019-04-30
[99] 뉴스 Flickr scraps plan to sell users' photos as wall art after licensing row https://www.theguard[...] 2014-12-22
[100] 뉴스 Flickr takes flak for selling Creative Commons photos as wall-art prints https://www.theguard[...] 2014-12-22
[101] 웹사이트 An Update on Flickr Wall Art https://blog.flickr.[...] 2015-04-08
[102] 뉴스 Flickr Announces New Photographer-Centric Improvements to Flickr Pro, Free Plans https://www.business[...] 2019-02-23
[103] 뉴스 "[Official Thread] Timeline extension for free Flickr accounts over 1,000 photos + videos" https://www.flickr.c[...] 2022-04-02
[104] citation ブロガーに人気の写真共有サイト『Flickr』 https://web.archive.[...] WIRED.jp 2004-12-13
[105] press release Verizon completes Yahoo acquisition, creating a diverse house of 50+ brands under new Oath subsidiary https://www.prnewswi[...] Verizon Communications 2017-06-13
[106] 웹사이트 Verizon to Own Flickr via $4.8B Yahoo Acquisition http://petapixel.com[...] 2016-07-25
[107] 웹사이트 人気のあるタグ http://www.flickr.co[...]
[108] 간행물 From the crowd to communities: New interfaces for social tagging http://benel.tech-ci[...] 2020-06-29
[109] 웹사이트 Flickr: Creative Commons http://www.flickr.co[...]
[110] 간행물 Flickr and PHP http://www.niallkenn[...] 2020-06-29
[111] 간행물 Data moving to U.S. very soon! http://flickr.com/fo[...] Flickr 2014-01-25
[112] 웹인용 Folksonomy Research Needs Cleaning Up http://www.vanderwal[...] 2006-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