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트레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트 전송률은 디지털 통신에서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며, 통신 장치 속도,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표준 장치 속도는 어쿠스틱 커플러에서 시작하여 모뎀, ISDN, ADSL, VDSL2, G.fast 등으로 발전해왔고, 이더넷과 와이파이 기술 또한 급격한 속도 향상을 이루었다. 데이터 통신에서는 총 비트 전송률, 순 비트 전송률, 네트워크 처리량, 굿풋 등 여러 개념이 사용되며, 멀티미디어에서는 오디오 및 비디오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비트 전송률을 나타내기 위해 SI 접두어가 사용되며, 킬로비트, 메가비트, 기가비트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단위 - 데시벨
    데시벨은 신호 손실 측정, 물리량 비율 표현, 이득/손실 표현 등에 사용되는 단위로, 계산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차원 분석에 부적합하다는 비판도 있으며, 음향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데이터 전송 - 대역폭 제한
    대역폭 제한은 네트워크 혼잡 방지, 특정 사용자 과도한 사용 방지, 서비스 품질 관리 등을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기술이다.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데이터 링크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연결로,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특히 항공 분야에서 항공 교통 관제 및 정보 교환, 무인 시스템 제어에 사용된다.
비트레이트
일반 정보
종류전송 속도
단위bps
기호R
설명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비트 수
상세 정보
응용 분야통신
컴퓨터 과학
관련 단위
비트정보량의 기본 단위
바이트8비트 (일반적으로)
보오초당 전송되는 심볼 수
헤르츠초당 사이클 수
전송 속도 단위
bps초당 비트 수
kbps초당 킬로비트 수 (1,000 bps)
Mbps초당 메가비트 수 (1,000,000 bps)
Gbps초당 기가비트 수 (1,000,000,000 bps)
Tbps초당 테라비트 수 (1,000,000,000,000 bps)
참고 사항
접두어킬로, 메가, 기가 등은 SI 접두어를 사용함.
이진 접두어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는 이진 배수를 나타내는 접두어를 정의함 (예: kibibit, mebibit).

2. 표준 장치 속도

표준 장치의 속도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해 왔다. 웬 (WAN)은 1972년 어쿠스틱 커플러의 300 보를 시작으로, 2014년 G.fast의 최대 1000 Mbit/s까지 발전하였다.

구분기술연도비트레이트
LANIEEE 802.3 이더넷19722.94 Mbit/s
10b2 10 Mbit/s 동축선198510 Mbit/s
10bT199010 Mbit/s
무선랜802.1119972 Mbit/s
802.11b199911 Mbit/s
802.11a199954 Mbit/s
802.11g200354 Mbit/s
802.11g (사유)2005108 Mbit/s
802.11n2007540 Mbit/s
모바일 데이터1G NMT19811200 bit/s
2GGSM CSD 및 D-AMPS199114.4 kbit/s
GSM EDGE2003다운 296 kbit/s, 업 118.4 kbit/s
3GUMTS-FDD (WCDMA)2001384 kbit/s
UMTS HSDPA200714.4 Mbit/s
UMTS HSPA2008다운 14.4 Mbit/s, 업 5.76 Mbit/s
HSPA+ (MIMO 없음)2009다운스트림 28 Mbit/s (2×2 MIMO 사용 시 56 Mbit/s), 업스트림 22 Mbit/s
CDMA2000 EV-DO Rev. B2010다운스트림 14.7 Mbit/s
HSPA+ 가속 (MIMO 사용)2011다운스트림 42 Mbit/s
Pre-4G모바일 와이맥스 (IEEE 802.16e)2007다운 144 Mbit/s, 업 35 Mbit/s
LTE2009다운스트림 100 Mbit/s (MIMO 2×2 사용 시 360 Mbit/s), 업스트림 50 Mbit/s
5G


2. 1. 웬 (WAN)

다음은 웬(WAN) 통신 기술의 발전 과정과 각 기술의 비트레이트(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낸 표이다.

기술연도비트레이트
어쿠스틱 커플러1972300 보
1200 보 모뎀19771200 보
모뎀19902400 / 4800 / 9600 / 19200 비트/초
V.34 모뎀199428.8 k비트/초
V.90 모뎀1995다운스트림 56 k비트/초, 업스트림 33.6 k비트/초
V.92 모뎀1999다운스트림 56 k비트/초, 업스트림 48 k비트/초
ISDN198664 k비트/초 채널 2개 (총 144 k비트/초)
ADSL (ITU G.992.1)1998최대 10Mbit/s
ADSL2 (ITU G.992.3)2003최대 12Mbit/s
ADSL2+ (ITU G.992.5)2005최대 26Mbit/s
VDSL2 (ITU G.993.2)2005최대 200Mbit/s
G.fast (ITU G.9701)2014최대 1000Mbit/s


2. 2. 랜 (LAN)

2. 3. 무선랜

3. 데이터 통신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비트레이트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의미하며, 통신 채널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비트레이트는 크게 총 비트 전송률과 순 비트 전송률로 나눌 수 있다.

총 비트 전송률(Gross Bitrate)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되는 모든 비트의 속도를 의미하며, 실제 데이터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오버헤드도 포함된다. 시리얼 통신에서 총 비트 속도는 비트 전송 시간의 역수와 같다. 병렬 통신의 경우에는 각 채널의 비트 속도를 합산하여 계산한다. 총 비트 속도는 (baud) 또는 심볼/초(sps)로 표시되는 심볼 속도와 관련이 있는데, 각 심볼이 1비트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에만 총 비트 속도와 보 값이 동일하다. 맨체스터 부호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총 비트 속도는 심볼 속도보다 빠르다.

순 비트 전송률(Net Bitrate)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FEC) 코드, 프레이밍 비트 등이 제외된 용량이다. 총 비트 전송률에 코드 속도를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어, IEEE 802.11a 무선 네트워크의 순 비트 전송률은 6Mbit/s에서 54Mbit/s 사이이며, ISDN2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순 비트 전송률은 144kbit/s이다. 이더넷 100BASE-TX의 순 비트 전송률은 100Mbit/s이다.

채널 용량은 주어진 통신 링크에서 비트 오류 없이 전송 가능한 최대 순 비트 전송률의 이론적 상한을 의미하며, 섀넌-하틀리 정리에 의해 결정된다. 하틀리의 법칙에 따라 아날로그 대역폭에 비례한다.

네트워크 처리량(Network Throughput)은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달성되는 평균 유효 비트 전송률을 의미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오버헤드 등을 포함한다. 굿풋(Goodput)은 응용 계층으로 전달되는 평균 순 비트 전송률을 의미하며, 프로토콜 오버헤드, 데이터 패킷 재전송 등은 제외한다.

3. 1. 총 비트 전송률 (Gross Bitrate)

물리 계층의 '''총 비트 속도'''는 유용한 데이터 및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포함하여 통신 연결을 통해 물리적으로 전송된 초당 비트의 총 수이다. '''원시 데이터 속도''', 데이터 신호 속도, '''총 데이터 전송 속도''', 부호화되지 않은 전송 속도라고도 한다.

시리얼 통신의 경우, 총 비트 속도는 비트 전송 시간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총 비트 속도 = 1 / 비트 전송 시간

총 비트 속도는 (baud) 또는 심볼/초(sps)로 표시되는 심볼 속도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총 비트 속도와 보 값은 기호당 2개의 수준(0과 1로 표시됨)만 있는 경우에만 동일하다. 이는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의 각 기호가 정확히 1비트의 데이터를 전달함을 의미한다. 모뎀과 LAN 장비에 사용되는 현대적 변조 메커니즘에서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전송로 부호 및 변조 방식에서는 심볼 속도보다 총 비트 속도가 빠르다.

  • 펄스 진폭 변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로 부호(기저대역 전송 방식)는 1펄스당 N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개의 다른 전위)
  • 디지털 변조 방법(통과 대역 전송 방식)은 기호당 N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개의 서로 다른 부호, 예를 들어 개의 진폭, 위상, 주파수)


: 총 비트 속도 = 심볼 속도 × N

예외적으로, 맨체스터 부호 또는 제로 복귀 부호(RTZ)와 같은 자체 동기화 전송로 부호가 있다. 각 비트는 2개의 펄스(신호 상태)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다.

: 총 비트 속도 = 심볼 속도 / 2

특정 스펙트럼 대역폭(헤르츠 단위)에 대한 보, 심볼/초, 펄스/초의 심볼 속도의 이론적 상한은 나이퀴스트의 법칙에 의해 주어진다.

: 심볼 속도 ≤ 나이퀴스트 속도 = 2 × 대역폭

실제로는 이 상한은 전송로 부호 방식과 소위 잔류 측파대 디지털 변조를 사용할 때만 근접할 수 있다. ASK, PSK, QAM, OFDM와 같은 대부분의 다른 디지털 캐리어 변조 방식은 이중 측파대 변조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얻어진다.

: 심볼 속도 ≤ 대역폭

병렬 통신의 경우, 총 비트 속도는 다음과 같다.

: \sum_{i=1}^{n} \frac{\log_2 M_i}{T_i}

여기서, n은 병렬 통신 채널의 수, Mi는 i번째 통신 채널의 변조 기호 또는 전위의 수, Ti는 i번째 통신 채널의 기호 지속 시간(초 단위)이다.

3. 2. 순 비트 전송률 (Net Bitrate)

물리 계층 '''순 비트 전송률'''[12], '''정보 전송률'''[6], '''유효 비트 전송률'''[13], '''페이로드 전송률'''[14], '''순 데이터 전송률'''[9], '''부호화된 전송률'''[7], '''유효 데이터 전송률'''[7] 또는 선 속도(비공식 용어)는 디지털 통신 채널의 물리 계층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제외한 용량이다. 여기서 제외되는 오버헤드는 시분할 다중화(TDM) 프레이밍 비트, 중복 순방향 오류 정정(FEC) 코드, 이퀄라이저 훈련 심볼 및 기타 채널 코딩을 포함한다. 오류 정정 코드는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 광대역 모뎀 표준 및 최신 구리 기반 고속 LAN에서 일반적이다. 물리 계층 순 비트 전송률은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에서 참조 지점에서 측정된 데이터 전송률이며, 결과적으로 데이터 링크 및 상위 계층 오버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 및 무선 시스템에서는 종종 링크 적응(신호 품질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과 변조 및/또는 오류 코딩 방식을 자동 조정)이 적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대 비트 전송률'''이라는 용어는 전송자와 송신기 간의 거리가 매우 짧을 때 사용되는 가장 빠르고 덜 강력한 전송 모드의 순 비트 전송률을 나타낸다.[15] 일부 운영 체제 및 네트워크 장비는 네트워크 액세스 기술 또는 통신 장치의 "'''연결 속도'''"[16](비공식 언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순 비트 전송률을 의미한다. 일부 교과서에서 '''회선 속도'''라는 용어는 총 비트 전송률로 정의되고,[14] 다른 교과서에서는 순 비트 전송률로 정의된다.

총 비트 전송률과 순 비트 전송률 간의 관계는 FEC 코드 속도의 영향을 받으며, 다음과 같다.

: 순 비트 전송률 ≤ 총 비트 전송률 × 코드 속도

순방향 오류 정정을 포함하는 기술의 연결 속도는 일반적으로 위의 정의에 따라 물리 계층 ''순 비트 전송률''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IEEE 802.11a 무선 네트워크의 순 비트 전송률 (및 "연결 속도")은 6Mbit/s~54Mbit/s 사이인 반면, 총 비트 전송률은 오류 정정 코드를 포함하여 12Mbit/s~72Mbit/s 사이이다.

ISDN2영어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채널 2개 + D-채널 1개)의 순 비트 전송률은 64kbit/s+64kbit/s+16kbit/s = 144kbit/s이며, 페이로드 데이터 전송률을 나타낸다. D 채널 신호 전송률은 16kbit/s이다.

이더넷 100BASE-TX 물리 계층 표준의 순 비트 전송률은 100Mbit/s인 반면, 총 비트 전송률은 4B5B(4비트 오버 5비트) 인코딩으로 인해 125Mbit/s이다. 이 경우 총 비트 전송률은 NRZI 라인 코드로 인해 125Mbaud(메가 보드)의 기호 속도 또는 펄스 속도와 같다.

순방향 오류 정정 및 기타 물리 계층 프로토콜 오버헤드가 없는 통신 기술에서는 총 비트 전송률과 물리 계층 순 비트 전송률 사이에 구분이 없다. 예를 들어 이더넷 10BASE-T의 순 비트 전송률과 총 비트 전송률은 모두 10Mbit/s이다. 맨체스터 라인 코드 때문에 각 비트는 두 개의 펄스로 표현되어 20Mbaud의 펄스 속도를 낸다.

V.92 음성 대역 모뎀의 "연결 속도"는 일반적으로 추가 오류 정정 코드가 없으므로 총 비트 전송률을 나타낸다. 다운스트림 최대 56000bit/s, 업스트림 최대 48000bit/s이다. 연결 설정 단계에서 적응형 변조로 인해 더 낮은 비트 전송률이 선택될 수 있으며, 신호 대 잡음비가 좋지 않은 경우 느리지만 더 강력한 변조 방식이 선택된다. 데이터 압축으로 인해 실제 데이터 전송률은 더 높을 수 있다.

채널 용량(섀넌 용량)은 특정 물리적 아날로그 노드 간 통신 링크에 대해 비트 오류 없이 가능한 최대 순 비트 전송률의 이론적 상한(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 제외)이다.

: 순 비트 전송률 ≤ 채널 용량

채널 용량은 헤르츠 단위의 아날로그 대역폭에 비례한다. 이 비례 관계를 하틀리의 법칙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순 비트 전송률은 bit/s 단위의 디지털 대역폭 용량이라고도 한다.

3. 3. 네트워크 처리량 (Network Throughput)

처리량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논리적 또는 물리적 통신 링크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달성된 평균 유효 비트 전송률을 의미하며, 이는 디지털 대역폭 소비와 같은 의미이다.[12] 일반적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 위의 참조 지점에서 측정된다. 처리량은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종종 제외하며, 해당 데이터 소스의 트래픽 부하뿐만 아니라 동일한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는 다른 소스의 트래픽 부하의 영향을 받는다. 네트워크 처리량 측정도 참고할 수 있다.

3. 4. 굿풋 (Goodput)

'''굿풋'''(goodput) 또는 '''데이터 전송률'''은 모든 프로토콜 오버헤드, 데이터 패킷 재전송 등을 제외하고 응용 계층으로 전달되는 평균 순 비트 전송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파일 전송의 경우 굿풋은 달성된 '''파일 전송률'''에 해당한다. 파일 전송률은 파일 크기(바이트)를 파일 전송 시간(초)으로 나누고 8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단위: 비트/초).

예를 들어, V.92 음성 대역 모뎀의 굿풋은 모뎀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의 영향을 받는다. V.44 데이터 압축으로 인해 물리 계층 데이터 전송률보다 더 높을 수도 있으며, 비트 오류 및 자동 재요청 재전송으로 인해 더 낮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 장비 또는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압축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특정 통신 경로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굿풋 ≤ 처리량 ≤ 최대 처리량 ≤ 순 비트 전송률

4. 멀티미디어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비트 전송률은 단위 시간당 기록되는 정보의 양을 나타낸다. 비트 전송률은 원본 자료의 샘플링 주파수, 샘플의 비트 수, 데이터 인코딩 방식, 압축 알고리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18] 일반적으로 비트 전송률을 최소화하면서 재생 품질을 최대화하는 균형점을 찾기 위해 이러한 요인들을 선택한다.

비가역 압축을 사용하면 원본 신호와 차이가 발생하며, 압축률이 높거나 데이터를 반복 압축하면 압축 아티팩트가 두드러질 수 있다. 압축 아티팩트가 인지되는지는 압축 방식, 인코더 성능, 입력 데이터 특성, 청취/시청 환경, 그리고 청취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비트 전송률은 파일 크기를 재생 시간으로 나눈 후 8을 곱하여 계산한다. 실시간 스트리밍 미디어의 경우, 인코딩 비트 전송률은 중단 없는 전송에 필요한 전송 성공률과 같다. 가변 비트 전송률 방식에서는 평균 비트 전송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최고 비트 전송률은 압축 데이터의 단기 블록에 필요한 최대 비트 수이다. 무손실 압축에서 인코딩 비트 전송률의 이론적 하한은 엔트로피율이다.

: 엔트로피율 ≤ 멀티미디어 비트 전송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 방식을 기준으로 "평균적인" 청취/시청 환경에서 원본과 큰 차이를 느끼지 않는 최소한의 비트 전송률을 사용한다.

4. 1. 오디오 (Audio)

오디오에서 비트 전송률은 음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트 전송률이 높을수록 더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지만, 압축 방식에 따라 음질이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오디오 형식의 비트 전송률과 그에 따른 품질을 나타낸다.

  • 32kbps — MW (AM) 품질
  • 96kbps — FM 품질
  • 128kbps–160kbps — 표준 비트레이트 품질; 차이는 이따금씩 분명해질 수 있다 (이를테면 베이스 품질)
  • 192kbps — DAB 품질.
  • 224kbps–320kbps — CD 품질 정도.
  • 8kbps - 전화 품질


MP3손실 데이터 압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오디오 형식으로, 비트 전송률이 증가함에 따라 음질이 향상된다. 반면, FLAC, WavPack, Monkey's Audio와 같은 무손실 오디오 형식은 원본 데이터를 손실 없이 압축하여 더 높은 비트 전송률을 제공한다.

각 오디오 형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1. CD-DA

컴팩트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CD-DA)는 초당 44,100개의 샘플을 사용하며, 각 샘플은 16비트의 비트 심도를 갖는다. 이는 "16bit / 44.1kHz"와 같이 축약되어 표기되기도 한다. CD-DA는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하여 좌우 채널을 사용하므로, 초당 오디오 데이터의 양은 단일 채널만 사용하는 모노의 두 배이다.

PCM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 전송률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비트 전송률 = 샘플링 레이트 × 비트 심도 × 채널 수

예를 들어, CD-DA 녹음(44.1 kHz 샘플링 레이트, 샘플당 16비트, 2채널)의 비트 전송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44,100 × 16 × 2 = 1,411,200 bit/s = 1411.2kbit/s

4. 1. 2. MP3

MP3 오디오 형식은 손실 데이터 압축을 제공한다. 오디오 품질은 비트 전송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된다.

비트 전송률품질
32 kbit/sMW (AM) 품질, 일반적으로 음성용으로만 허용
96 kbit/sFM 품질, 일반적으로 음성 또는 저품질 스트리밍에 사용
128–160 kbit/s표준 비트레이트 품질; 차이는 이따금씩 분명해질 수 있음 (베이스 품질 등)
192 kbit/sDAB 품질, 중간 품질 비트 전송률
256 kbit/s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품질 비트 전송률
320 kbit/sMP3 표준에서 지원하는 최고 수준


4. 1. 3. 기타 오디오

코덱비트 전송률설명
Codec2700 bit/s오픈 소스 음성 코덱. 1.2 kbit/s에서 더 좋은 음질을 낸다.
FS-1015800 bit/s특수 목적 음성 코덱. 알아들을 수 있는 음성을 위한 최소 필요 전송률.[18]
Speex2.15 kbit/s오픈 소스 코덱. 사용 가능한 최소 비트 전송률.
Opus6 kbit/s오픈 소스 코덱. 사용 가능한 최소 비트 전송률.
전화8 kbit/s음성 코덱을 사용한 전화 품질
Ogg Vorbis32–500 kbit/s손실 오디오
MP2256 kbit/s고품질 신호를 얻기 위해 필요한 DAB 비트 전송률[18]
ATRAC292 kbit/s소니 미니디스크 형식에 사용
FLAC, WavPack, Monkey's Audio400 kbit/s–1,411 kbit/sCD 오디오를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무손실 오디오 형식
CD-DA1,411.2 kbit/s선형 PCM 사운드 형식
DSD5,644.8 kbit/s슈퍼 오디오 CD에 사용되는 PDM 사운드 형식의 상표화된 구현[19]
E-AC-3 (돌비 디지털 플러스)6.144 Mbit/sAC-3 코덱을 기반으로 하는 향상된 코딩 시스템
DVD-Audio9.6 Mbit/sDVD에서 고음질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형식. 비디오 전송 형식이 아니며 콘서트 영화 또는 뮤직 비디오가 포함된 비디오 DVD와 동일하지 않다. DVD-Audio 로고가 없으면 표준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할 수 없다.[20]
MLP18 Mbit/s고급 무손실 오디오 코덱


4. 2. 비디오 (Video)

다음은 다양한 비디오 형식에 따른 비트 전송률과 그에 따른 화질에 대한 설명이다.

비트 전송률설명
유튜브 240p 영상 품질 (H.264)[37]
유튜브 360p 영상 품질 (H.264)[37]
유튜브 480p 영상 품질 (H.264)[37]
최대 VCD MPEG1, Video CD Standard 품질
유튜브 720p 영상 품질 (H.264)[37]
SVCD MPEG2, Super Video CD 품질
일반적으로 SDTV 품질 (MPEG2)
유튜브 720p (60fps 모드) 영상 품질 (H.264)[37]
유튜브 1080p 영상 품질 (H.264)[37]
유튜브 1080p (60fps 모드) 영상 품질 (H.264)[37]
DVD MPEG2, DVD Standard 품질
~HDTV 품질 (H.264)
~HDTV (MPEG2) 일반적으로 HD 화질
평균 HDV 720p 품질 (MPEG2)
AVCHD (H.264)[38]
평균 HDV 1080i 품질 (MPEG2)
최대 HD DVD 품질
최대 Blu-ray Disc 품질 (MPEG2, H.264 또는 VC-1)
화상 전화 품질
~비즈니스 지향적인 화상 회의 품질



비디오의 화질은 비트 전송률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되는 압축 방식(예: H.264, MPEG-2 등)에 따라서도 화질에 차이가 발생한다.

5. 접두어

대용량 또는 소용량 비트 전송률을 정량화할 때, SI 접두어(미터법 접두어 또는 십진 접두어라고도 함)가 사용되며, 다음과 같다.[3]

0.001 bit/s1 mbit/s (초당 1 밀리비트, 즉 1,000초당 1 비트)
1 bit/s1 bit/s (초당 1 비트)
1,000 bit/s1 kbit/s (초당 1 킬로비트, 즉 초당 1,000 비트)
1,000,000 bit/s1 Mbit/s (초당 1 메가비트, 즉 초당 100만 비트)
1,000,000,000 bit/s1 Gbit/s (초당 1 기가비트, 즉 초당 10억 비트)
1,000,000,000,000 bit/s1 Tbit/s (초당 1 테라비트, 즉 초당 1조 비트)



2진 접두어가 비트 전송률에 사용되기도 한다.[4][5] 국제 표준 (IEC 80000-13)은 2진 및 10진(SI) 접두어에 대해 서로 다른 기호를 지정한다(예: 1 KiB/s = 1024 B/s = 8192 bit/s, 1 MiB/s = 1024 KiB/s).

큰 비트 전송률을 나타낼 때,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1,000 bit/srate = 1 kbit/s (1킬로비트 매초, 1000비트 매초)
1,000,000 bit/srate = 1 Mbit/s (1메가비트 매초, 100만 비트 매초)
1,000,000,000 bit/srate = 1 Gbit/s (1기가비트 매초, 10억 비트 매초)



2진 접두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국제 표준(IEC 80000-13)에서는 SI 접두어와 2진 접두어에 대해 다른 약어를 지정하고 있다 (예: 1 KiB/s = 1024 B/s = 8192 bit/s, 1 MiB/s = 1024 KiB/s). 또한, 올바른 사용법은 아니지만, SI 접두어를, 그것과 가까운 2진 접두어의 값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Data Communications and Computer Network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2011-07-10
[2] 웹사이트 Prefixes for binary multiples https://web.archive.[...] 2014-02-04
[3] 논문 2009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Electron Devices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4] 논문 Filling the memory access gap: A case for on-chip magnetic storage CARNEGIE-MELLON UNIV PITTSBURGH PA SCHOOL OF COMPUTER SCIENCE
[5] 웹사이트 Monitoring file transfers that are in progress from IBM WebSphere MQ Explorer http://www.ibm.com/d[...] IBM 2014-03-11
[6] 서적 Digital Transmission: A Simulation-Aided Introduction with VisSim/Com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7-10
[7] 서적 Networking Fundament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7-10
[8] 서적 Network Dictionary https://books.google[...] Javvin Technologies 2011-07-10
[9] 서적 3G wireless demystified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2011-07-10
[10] 서적 Principles of Digit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echnical Publication 2011-07-10
[11] 뉴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Bit Rate And Baud Rate? http://electronicdes[...] Electronic Design 2012-04-27
[12] 서적 Wireless communic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PTR
[13] 서적 Video compression and communications: from basics to H.261, H.263, H.264, MPEG4 for DVB and HSDPA-style adaptive turbo-transceivers https://books.google[...] Wiley-IEEE
[14] 서적 Data Communication Systems https://books.google[...] Technical Publications
[15] 서적 Wireless IP and Building the Mobile Internet https://books.google[...] Artech House
[16] 서적 Mastering Microsoft Windows Vista home: premium and basic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17] 서적 Lossless compression handbook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8] 간행물 DAB: An introduction to the DAB Eureka system and how it works http://downloads.bbc[...] BBC R&D 2003-06-01
[19] 뉴스 The High-End: SACD and DVD-Audio http://www.extremete[...] Extremetech.com 2001-07-02
[20] 웹사이트 Understanding DVD-Audio http://patches.sonic[...] Sonic Solutions 2014-04-23
[21] 웹사이트 YouTube bit rates https://support.goog[...] Google 2014-10-10
[22] 웹사이트 MPEG1 Specifications http://www.icdia.co.[...] ICDia 2011-07-11
[23] 웹사이트 DVD-MPEG differences http://dvd.sourcefor[...] Sourceforge 2011-07-11
[24] 웹사이트 HDV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HDV Information
[25] 웹사이트 Avchd Information http://www.avchd-inf[...] AVCHD Info 2011-07-11
[26] 백서 Blu-ray Disc Format 2.B Audio Visual Application Format Specifications for BD-ROM Version 2.4 2010-05-01
[27] 간행물 DAB: An introduction to the DAB Eureka system and how it works http://downloads.bbc[...] BBC R&D 2003-06-01
[28] 뉴스 The High-End: SACD and DVD-Audio http://www.extremete[...] Extremetech.com 2001-07-02
[29] 웹사이트 Understanding DVD-Audio http://patches.sonic[...] Sonic Solutions 2014-04-23
[30] 웹사이트 YouTube bit rates https://support.goog[...] Google 2014-10-10
[31] 웹사이트 YouTube bit rates https://support.goog[...] Google 2014-10-10
[32] 웹사이트 MPEG1 Specifications http://www.icdia.co.[...] ICDia 2011-07-11
[33] 웹사이트 DVD-MPEG differences http://dvd.sourcefor[...] Sourceforge 2011-07-11
[34] 웹사이트 HDV Specifications http://www.hdv-info.[...] HDV Information
[35] 웹사이트 Avchd Information http://www.avchd-inf[...] AVCHD Info 2011-07-11
[36] 백서 Blu-ray Disc Format 2.B Audio Visual Application Format Specifications for BD-ROM Version 2.4 http://www.blu-raydi[...] 2010-05-00
[37] 웹인용 Live encoder settings, bitrates, and resolutions - YouTube Help https://support.goog[...] 2017-08-24
[38] 웹인용 AVCHD INFORMATION WEB SITE http://www.avchd-inf[...] 2017-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