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까마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떼까마귀는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명명된 까마귀과의 새이다. 서유럽, 러시아, 중국 북서부에 분포하는 서부 떼까마귀와 시베리아, 몽골, 아시아에 분포하는 동부 떼까마귀의 두 아종이 있다. 떼까마귀는 검은색 깃털과 흰색 피부가 특징이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잡식성이다. 농작물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역할도 하며, 뉴질랜드에 도입되었으나 침입성 해충으로 간주된다. 한국에서는 겨울 철새로 관찰되며, 생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새 - 황갈색올빼미
황갈색올빼미는 유라시아 대륙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야행성 조류로 쥐, 개구리, 조류 등을 먹이로 하고, 깃털 색깔의 다형성을 보이며, 번식기에는 둥지를 지키고 새끼를 돌본다. - 까마귀속 - 큰까마귀
18세기에 린네에 의해 처음 기재된 큰까마귀는 참새목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으로, 높은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니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 까마귀속 - 송장까마귀
송장까마귀는 까마귀과의 조류로, 검은색 깃털과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을 띠며 유라시아 대륙 등에 분포하고 잡식성으로 곤충 등을 먹으며 높은 지능을 가진 영리한 동물이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떼까마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Corvus frugileg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Rook |
일본어 이름 | 미야마가라스 (ミヤマガラス) |
상태 | 관심 필요 (LC)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까마귀과 |
속 | 까마귀속 |
분포 및 서식지 | |
![]() | |
서식지 | 유라시아 대륙 (주로 농경지, 개방된 초원, 부분적으로 나무가 있는 지역) |
분포 지역 | 유럽, 아시아 |
기타 서식 정보 | 겨울에는 한국에서 월동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최소 관심 대상 |
특징 | |
몸길이 | 약 45~47cm |
외형 | 검은색 깃털, 부리 기저부의 깃털 없음 (성체) |
행동 | 사회적 (집단으로 생활) |
생태 | |
먹이 | 곤충, 곡물, 씨앗, 작은 동물 |
번식 |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번식 |
기타 | |
화석 기록 | 후기 플라이스토세 ~ 현재 |
2. 분류 및 명칭
떼까마귀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에 의해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에서 이명법으로 명명되었다.[2] 학명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는데, ''Corvus''는 "갈까마귀"를 의미하고, ''frugilegus''는 "과실을 모으는"을 의미한다. 이는 "과실"을 의미하는 ''frux'' (활용형 ''frug-'')와 "따다"를 의미하는 ''legere''에서 유래되었다.[3] 영어 일반명인 "rook"는 이 새의 거친 울음소리에서 유래되었다.[4]
떼까마귀는 몸무게가 다 자랐을 때 280g에서 340g이며, 몸길이는 44cm에서 46cm, 날개 길이는 81cm에서 99cm인 꽤 큰 새이다.[8] 깃털은 검은색이며 햇빛 아래에서는 푸르거나 푸르스름한 보라색 광택을 낸다. 머리, 목, 어깨의 깃털은 특히 조밀하고 부드럽다. 다리와 발은 일반적으로 검은색, 부리는 회색-검은색, 홍채는 짙은 갈색이다. 다 자란 떼까마귀는 눈 앞과 부리 기저 주변에 털이 없는 흰색 피부가 드러나 다른 까마귀과 구성원과 구별할 수 있다. 이 털이 없는 부분 때문에 부리가 실제보다 더 길어 보이고 머리가 더 둥글어 보이는 착시 효과를 준다. 또한 다리 주변의 깃털도 비슷한 크기의 검은까마귀보다 더 덥수룩하고 헐렁해 보인다. 검은까마귀는 떼까마귀와 혼동될 수 있는 유일한 같은 속의 다른 구성원이다.[11] 비행 시 떼까마귀의 날개는 검은까마귀보다 비율적으로 더 길고 좁다.[9]
서부 떼까마귀는 아일랜드, 영국과 북유럽 및 중앙유럽 대부분 지역에 서식하며, 아이슬란드와 스칸디나비아 일부 지역에서는 방랑 생활을 한다. 보통 위도 60° 이남에 서식한다.[11] 이들은 까마귀가 싫어하는, 번식에 적합한 키 큰 나무가 있는 개방된 농경지(목초지 또는 경작지)를 선호하며, 숲, 늪, 습지, 황무지, 덤불 지대는 피한다.[11] 떼까마귀는 일반적으로 저지대 조류로, 대부분 120m 이하에서 발견되지만, 먹이가 충분한 곳에서는 300m 이상에서도 번식할 수 있다.[11] 농장, 마을, 개방된 도시 근처 등 인간 정착지 근처에 둥지를 트는 경향이 있지만, 인구 밀도가 높은 대규모 지역에서는 둥지를 틀지 않는다.[11] 아시아에 서식하는 동부 아종은 평균적으로 약간 작고 깃털이 좀 더 풍성한 얼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서부 아종과 차이가 있다.[11] 서식 범위 북쪽에서는 가을에 남쪽으로 이동하며, 남쪽 개체군은 산발적으로 이동한다.[11]
떼까마귀는 매우 사교적인 새로, 보통 다양한 크기의 무리를 지어 다닌다. 수컷과 암컷은 평생 짝을 이루며, 짝은 무리 안에서 함께 생활한다. 저녁에는 공동 취침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떼까마귀들이 둥지 근처에 모이는 경우가 많다.[11] 가을에는 여러 집단이 합쳐지고 해 질 녘에 모여 취침하기 전에 무리의 크기가 커지며, 종종 매우 많은 수의 쇠까마귀와 함께 모인다. 취침은 보통 숲이나 농장에서 이루어지지만, 소수의 떼까마귀는 겨울 내내 둥지에서 취침할 수 있으며, 성체 수컷은 근처 어딘가에서 함께 취침할 수 있다. 떼까마귀는 아침에 재빨리 흩어져 최대 10km 떨어진 곳으로 이동한다.[11]
떼까마귀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로운 새로 여겨지기도 했다. 1532년 헨리 8세는 곡물을 보호하기 위해 떼까마귀를 없애는 법을 도입했고[27], 1566년 엘리자베스 1세는 ''곡물 보호법''을 통과시켜 더 많은 떼까마귀를 제거했다.[27]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되는데, 서부 떼까마귀(''C. f. frugilegus'')는 서유럽에서 남부 러시아, 극서 북서 중국까지 분포하며, 동부 떼까마귀(''C. f. pastinator'')는 중앙 시베리아와 북부 몽골에서 동쪽으로 아시아 전역에 걸쳐 분포한다.[5] 떼까마귀의 집단 명칭으로는 "건물", "의회", "소란", "이야기하기" 등이 있다.[6] 떼까마귀의 집단적인 둥지 행동은 떼까마귀 번식지라는 용어를 낳았다.[7]
3. 형태
어린 떼까마귀의 깃털은 뒤 목, 등, 아랫부분을 제외하고 약간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어린 떼까마귀는 부리 기저에 털이 없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어린 까마귀와 겉모습이 비슷하지만, 부리가 더 얇고 약 6개월 후에 얼굴 깃털이 빠진다.[11]
4. 분포 및 서식지
1862년부터 1874년까지 수백 마리의 떼까마귀가 뉴질랜드에 도입되었다.[12] 뉴질랜드에서 떼까마귀는 서식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지만, 침입성 해충으로 간주되어 많은 지방 자치 단체에서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있다.[12] 이로 인해 뉴질랜드의 대규모 번식 집단은 사라졌고, 남아 있는 소규모 집단은 더욱 경계심이 강해졌다.[13]
일본에서는 겨울새로, 과거에는 혼슈 서부와 규슈에 주로 도래했으나, 현재는 거의 전국에서 관찰된다.
뉴질랜드에는 과거 영국 이민자들이 해충 구제를 목적으로 떼까마귀를 들여와 귀화했다.
5. 생태
번식 군집 또는 야간 취침 장소에 있는 떼까마귀의 대규모 집단은 토양 특성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토양의 조류 기원 물질의 양은 매우 높다.[14]
먹이는 주로 땅에서 섭취하며, 떼까마귀는 걸어 다니거나 가끔씩 뛰어다니며, 강력한 부리로 땅을 쪼아 먹이를 찾는다. 비행은 목적이 있을 때는 규칙적인 날갯짓과 거의 활공하지 않는 직진 비행을 한다. 반대로, 둥지 근처에서 여유롭게 날 때는 더 광범위하게 활공할 수 있다. 가을에는 무리가 때때로 동기화된 움직임과 다이빙, 텀블링, 회전과 같은 개별적인 익살스러운 행동을 포함하여 장관을 이루는 공중 집단 비행을 하기도 한다.[11] 숲이나 농경지에 서식하며, 대규모 무리를 형성한다. 갈까마귀와 혼군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나무 위에 콜로니를 형성하며, 나뭇가지 등을 밥그릇 모양으로 조합한 둥지를 만든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곤충류, 조류의 알이나 새끼, 과실, 종자 등을 먹는다.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포란하며, 그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잡은 먹이를 제공한다.
6. 인간과의 관계
프랜시스 윌러비는 저서 ''조류학''(1678)에서 농부들이 떼까마귀를 쫓기 위해 아이들을 고용하거나 허수아비를 세웠다고 언급했다.[28] 그러나 존 제너 위어와 토머스 페넌트는 떼까마귀가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점이 더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28]
과거 영국에서는 떼까마귀 사냥이 식량 확보를 위한 행사로 이루어지기도 했다. 떼까마귀와 토끼 파이는 별미로 여겨졌다.[29]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넓은 분포와 많은 개체수를 가진 떼까마귀의 보전 상태를 "최소 관심"으로 평가했다. 주요 위협은 농지 사용 변화, 살충제 사용, 사냥 등이다.[1]
6. 1. 한국에서의 떼까마귀
일본에서는 겨울철새로, 과거에는 혼슈 서부와 특히 규슈에 월동을 위해 날아왔지만, 현재는 거의 전국에서 관찰된다.
참조
[1]
간행물
"''Corvus frugilegus''"
2021-11-11
[2]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4]
OED
Rook
[5]
학술지
"Rook (''Corvus frugilegus'')"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Barcelona
2019-05-27
[6]
웹사이트
Collective Nouns for Birds
http://palomaraudubo[...]
Palomar Audubon Society
2010-08-11
[7]
웹사이트
Rookery
https://en.oxforddic[...]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9-05-18
[8]
웹사이트
RSPB: Rook bird facts
https://www.rspb.org[...]
2020-12-24
[9]
서적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Christopher Helm
2012
[10]
웹사이트
The Wildlife Trust: Rook
https://www.wildlife[...]
2020-12-24
[11]
서적
Handbook of British Birds, Volume 1: Crows to Firecrest
H. F. and G. Witherby Ltd.
[12]
서적
The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ew Zealand
"[[Penguin Group]]"
[13]
웹사이트
Rook
http://www.nzbirdson[...]
New Zealand Birds Online
2019-05-18
[14]
문서
Ligęza et al., 2020. Soil indicators of bird activity in the temperate climatic zone – A case‐study.
https://doi.org/10.1[...]
[15]
웹사이트
Brainy crows trained to pick up trash at theme park
https://www.livescie[...]
Live Science
2019-05-18
[16]
학술지
Some observations on the reproductive behaviour of rooks
https://www.britishb[...]
2019-05-18
[17]
웹사이트
"''Corvus frugilegus'': Rook"
https://animaldivers[...]
ADW
2019-05-18
[18]
학술지
The social life of corvids
2007-08-21
[19]
학술지
Investigating Physical Cognition in Rooks, ''Corvus frugilegus''
[20]
학술지
Non-tool-using rooks, ''Corvus frugilegus'', solve the trap-tube problem
[21]
학술지
Insightful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ool modification by captive nontool-using rooks
[22]
뉴스
Rooks reveal remarkable tool-use
http://news.bbc.co.u[...]
2010-05-22
[23]
학술지
Rooks Use Stones to Raise the Water Level to Reach a Floating Worm
[24]
학술지
Animal Cognition: Rooks Team up to Solve a Problem
[25]
학술지
Rooks perceive support relations similar to six-month-old babies
[26]
뉴스
Rooks rival chimpanzees in their ability to use tools
https://www.theguard[...]
2019-06-25
[27]
서적
Silent Fields: The Long Decline of a Nation's Wild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잡지
Rooks
https://books.google[...]
[29]
서적
The Classic British Rook & Rabbit Rifle
Crowood Press
[30]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ttp://dz1.gdz-cms.d[...]
Laurentii Salvii
2017-05-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