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노테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바노테이션은 인간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표기법 시스템으로, 루돌프 라반이 1928년에 처음 개발했다. 이 표기법은 기호와 개념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방향, 신체 부위, 지속 시간, 역동성을 표현하며, 라반 운동 분석, 로봇 공학, 인간 움직임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1959년에는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 간의 차이점을 표준화하기 위해 국제 키네토그래피 라반 협의회가 창설되었다. 모티프 표기법은 라바노테이션과 유사한 기호를 사용하지만, 움직임의 핵심 요소와 구조를 강조하여 댄스, 연극,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춤 - 승무
승무는 한국 전통 춤으로, 다양한 악기 반주에 맞춰 추며, 여러 기원 설과 불교 의례 연관성 논쟁이 있지만, 조선 시대 금지 후 민속춤으로 발전하여 서민의 애환을 담은 예술로 자리매김했고, 다양한 장단 변화에 따른 춤사위와 장삼의 움직임이 특징이며,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및 지역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 춤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라바노테이션 | |
---|---|
개요 | |
종류 | 움직임 기보법 |
고안자 | 루돌프 폰 라반 |
창작 | 1928년 |
사용 분야 | 무용 신체 훈련 움직임 연구 |
특징 | |
기보 대상 | 무용 동작 제스처 표정 |
기보 내용 | 공간에서의 이동 시간의 흐름 신체의 움직임 움직임의 에너지 |
표기 방식 | 기호와 추상적인 도표 사용 |
읽는 방식 | 아래에서 위로 읽음 |
구성 요소 | |
기둥 | 신체의 중심선 기준으로 움직임 방향 나타냄 |
기호 | 움직임의 종류, 신체 부위, 시간, 에너지 표현 |
음영 | 움직임의 높이(high, middle, low) 나타냄 |
길이 | 움직임의 지속 시간 나타냄 |
장점 | |
객관적인 기록 | 주관적인 해석 없이 움직임 정확하게 기록 |
다양한 움직임 표현 | 복잡하고 다양한 움직임도 상세하게 기록 |
국제적인 호환성 | 언어 장벽 없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 |
교육 및 연구 활용 | 무용 교육, 안무 연구, 동작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단점 | |
학습의 어려움 | 복잡한 기호 체계로 인해 숙련된 전문가 필요 |
시간 소요 | 숙련된 전문가도 많은 시간과 노력 필요 |
대중성의 한계 | 전문 분야 외 일반인에게는 생소함 |
2. 역사
라반의 초기 저작인 '''Schrifttanz'''(쓰여진 춤, 1928)에서 시작된 이 동작 표기법은[2] 이후 앤 허친슨 게스트가 발전시킨 라바노테이션과 알브레히트 크누스트 등이 중심이 된 키네토그래피 라반으로 분화되었다.[2] 이 두 시스템은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각각 미국 및 영국과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별도로 발전하면서 각기 다른 특징을 갖게 되었다.[3] 이러한 차이점을 해소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1959년 국제 키네토그래피 라반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 ICKL)가 창설되었으며, 이를 통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있다.
라바노테이션은 단순히 무보의 한 형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라반 운동 분석, 로봇 공학, 인간 움직임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도 응용된다. 이 표기법 시스템은 해부학적 분석, 문자 코드, 막대 인물 그림, 음표, 트랙 시스템 또는 단어 노트에 기반한 다른 움직임 표기법 시스템과 달리, 공간 모델과 개념을 통해 움직임을 설명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 시간적 패턴, 동작, 평면도, 신체 부위 및 3차원 공간 사용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2. 1. 초기 역사 (1920년대 ~ 1950년대)
라반은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책을 1928년 독일어로 출판했으며, 제목은 '''Schrifttanz'''(쓰여진 춤)였다. 유사한 버전이 1930년에 프랑스어와 영어로 출판되었다.[2] 이후 라반은 다른 문제에 관심을 돌리면서 그의 표기법 시스템을 세상에 공개했다.[2]1930년, 독일의 무용가이자 안무가, 교육자인 알브레히트 크누스트는 라반의 딸 아즈라(Azraela)와 함께 최초의 무보 기록소인 ''Tanz-Schreib-Stube''(춤 기록국)를 설립하며 최초의 전임 운동 기록자이자 동작 표기자가 되었다. 크누스트는 1946년부터 1950년까지 독일어로 8권으로 된 주요 저서 '''Das Handbuch der Kinetographie Laban'''(라반 운동 기록법 매뉴얼)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1951년에 영어 타자본 먹지 복사본 형태로 출판되었다.[2]
앤 허친슨 게스트는 지구르트 리더의 제자였으며, 이르마 베츠의 지도 아래 여러 실무자들이 가르치는 시스템 간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그녀는 라반, 크누스트, 리더와 직접 만나 동작의 세부 사항과 아이디어를 논의하며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켰고, 이를 '''라바노테이션'''이라고 명명했다.[2] 이 과정에서 기존의 키네토그래피 라반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각기 다른 경로로 발전했다. 라바노테이션은 주로 미국과 영국에서 발전했으며,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독일 및 기타 유럽 국가에서 발전했다. 이러한 분리된 발전 과정 속에서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초기 형태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라바노테이션은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했다. 예를 들어, 무보 기록국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라바노테이션 시스템은 움직임의 동기나 의미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 반면, 키네토그래피 라반 실무자들은 기존 표기법의 틀 안에서 주로 공간적 설명에 초점을 맞춰 움직임을 기술하는 경향을 보였다.[3]
두 시스템 간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표준화하며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1959년 국제 키네토그래피 라반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 ICKL)가 창설되었다.
2. 2. 발전과 분화 (1930년대 ~ 1950년대)
라반이 개발한 동작 표기법은 이후 두 갈래로 발전하게 된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라바노테이션은 주로 미국과 영국에서,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독일 및 다른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각각 다른 길을 걸으며 발전했다.[2]두 시스템은 발전 과정에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알브레히트 크누스트 등이 초기에 정립한 형태에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며, 주로 움직임의 공간적 설명을 중심으로 묘사하는 경향을 보였다.[3] 반면, 라바노테이션은 앤 허친슨 게스트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요구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미국의 무보 기록국(Dance Notation Bureau)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단순히 움직임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 움직임 뒤에 숨겨진 동기나 의미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표기 시스템이 확장되었다.[3]
이러한 분화와 발전 과정에서 생긴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 간의 차이점을 조율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1959년에는 국제 키네토그래피 라반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 ICKL)가 창설되었다. 이를 통해 두 시스템은 점차 서로 호환 가능하게 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사용되며 두 시스템의 실무자 모두에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2. 3. 국제 협력 및 표준화 (1959년 ~ 현재)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라바노테이션은 미국과 영국에서,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독일 및 기타 유럽 국가에서 각각 별도로 발전했다. 이처럼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각기 다른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두 시스템 간에는 차이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키네토그래피 라반은 초기의 형태를 비교적 유지한 반면, 라바노테이션은 무보 기록국 회원들의 요구에 따라 움직임의 동기나 의미까지 표현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반면 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용자들은 기존 표기법의 틀 안에서 주로 공간적 설명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3]이러한 라바노테이션과 키네토그래피 라반 사이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표준화하며, 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959년 국제 키네토그래피 라반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 ICKL)가 창설되었다. 이 협의회의 활동을 통해 두 시스템은 점차 통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양쪽 시스템 사용자 모두가 서로의 기록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3. 주요 개념
라바노테이션은 루돌프 폰 라반이 창안한 무용 및 움직임 표기 시스템으로, 추상적인 기호를 사용하여 움직임의 다양한 측면을 기록한다. 주요하게 다루는 개념으로는 움직임의 방향과 수준, 움직임을 수행하는 신체 부위, 움직임의 지속 시간, 그리고 움직임의 역학적 품질 등이 있다.[4] 이러한 요소들은 각각의 기호 체계와 규칙을 통해 상세하게 표현된다.
3. 1. 기호 체계
라바노테이션은 추상적인 기호를 사용하여 다음을 정의한다.3. 2. 방향과 수준
'''동작 기호'''의 모양은 공간에서의 아홉 가지 다른 방향을 나타내며, 기호의 음영은 동작의 수준을 지정한다.각 "방향 기호"는 신체 부위 또는 팔다리의 근위점(몸통에 가까운 쪽)과 원위점(몸통에서 먼 쪽) 사이를 잇는 선의 방향을 나타낸다.[5] 다시 말해, "방향 기호는 팔다리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6]
방향 기호는 세 가지 수준, 즉 '''높음''', '''중간''', '''낮음'''(또는 깊음)으로 구성된다.
높음 수준 기호 | 중간 수준 기호 | 낮음 수준 기호 | ||||||
---|---|---|---|---|---|---|---|---|
![]() 앞-왼쪽-높음 | ![]() 앞-높음 | ![]() 앞-오른쪽-높음 | ![]() 왼쪽-앞-중간 | ![]() 앞-중간 | ![]() 오른쪽-앞-중간 | ![]() 앞-왼쪽-낮음 | ![]() 앞-낮음 | ![]() 앞-오른쪽-낮음 |
![]() 왼쪽-높음 | ![]() 제자리-높음 | ![]() 오른쪽-높음 | ![]() 왼쪽-중간 | ![]() 제자리-중간 | ![]() 오른쪽-중간 | ![]() 왼쪽-낮음 | ![]() 제자리-낮음 | ![]() 오른쪽-낮음 |
![]() 뒤-왼쪽-높음 | ![]() 뒤-높음 | ![]() 뒤-오른쪽-높음 | ![]() 왼쪽-뒤-중간 | ![]() 뒤-중간 | ![]() 오른쪽-뒤-중간 | ![]() 뒤-왼쪽-낮음 | ![]() 뒤-낮음 | ![]() 뒤-오른쪽-낮음 |
3. 3. 신체 부위
라바노테이션에서 기호는 수직선 위에 배치된다. 이 수직선의 가로 차원은 신체의 대칭성을, 세로 차원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수직선에서 기호가 놓이는 위치는 어떤 신체 부위의 움직임인지를 결정한다. 수직선의 중앙선은 몸의 중심선을 의미하며, 중앙선 오른쪽에 있는 기호는 신체의 오른쪽 부분을, 왼쪽에 있는 기호는 신체의 왼쪽 부분을 나타낸다.
3. 4. 지속 시간
라바노테이션은 기호의 길이를 통해 움직임의 지속 시간을 나타낸다.[4] 악보는 아래에서 위로 읽으며, 기호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동작이 더 오래 지속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기 방식은 서양의 음악 악보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라바노테이션 역시 마디를 구분하기 위해 세로줄을 사용한다. 또한, 전체 동작 악보의 시작과 끝은 이중 세로줄로 표시한다. 필요한 경우, 무용수의 시작 자세를 악보 시작 부분의 이중 세로줄 앞에 표기하기도 한다.3. 5. 역동성

라바노테이션에서 움직임의 역동적 품질(Dynamic quality)은 주로 노력 기호(Effort signs)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는 라반 동작 분석에서 다루는 개념과 관련이 깊다.[4]
움직임의 노력을 분석하는 네 가지 주요 범주는 다음과 같다.[8]
범주 | 요소 |
---|---|
공간 | 직접적 / 간접적 |
무게 | 강함 / 가벼움 |
시간 | 갑작스러움 / 지속됨 |
흐름 | 제한됨 / 자유로움 |
또한, 라바노테이션의 역동성은 신체적 동기(예: 물리적으로 강제적인 움직임)나 정서적 동기(예: 강렬한 감정 상태)에서 비롯된 에너지의 상승 또는 하강을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들을 통해서도 표현된다.
4. 모티프 표기법 (Motif Notation)
모티프 묘사 또는 더 선호되는 용어인 모티프 표기법은 라바노테이션과 동일한 기호 및 용어 체계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라바노테이션이 창작되거나 공연된 움직임을 정확히 재현하기 위해 상세하고 문자적인 묘사에 중점을 두는 반면, 모티프 표기법은 움직임 시퀀스의 핵심 요소와 주된 모티프를 부각시켜 전체적인 구조나 필수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표기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댄스 즉흥 연습을 위한 기본 구조를 설정하거나 움직임 개념에 대한 교육적인 탐구를 진행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댄스 분야를 넘어 골프 클럽 스윙 자세를 배우거나, 연극에서 특정 등장인물의 주요 행동 특징을 파악하거나, 치료 과정에서 개인의 움직임 의도를 분석하는 등 여러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참조
[1]
뉴스
The Laban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Taylor & Francis
2011
[2]
뉴스
Early Development and Publications in Kinetography Laban/Labanotation
http://dancenotation[...]
Dance Notation Bureau Library
2015
[3]
문서
Interview with Ann Hutchinson Guest
2012-08
[4]
문서
Handbook for Laban Movement Analysis
1977
[5]
서적
Labanotation or Kinetography Laban: The System of Analyzing and Recording Movement
Theatre Arts Books
1954, 1970, 1977
[6]
서적
Dictionary of Kinetography Laban (Labanotation); Volume I
MacDonald and Evans
1979
[7]
서적
Labanotation or Kinetography Laban: The System of Analyzing and Recording Movement
Theatre Arts Books
1954, 1970, 1977
[8]
서적
Effort
MacDonald and Evans
19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