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호는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개념으로, 본질, 의미, 유형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기호는 자연 기호와 인습 기호로 구분되며, 언어, 의사소통, 철학, 과학 등 인간 활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호는 소쉬르, 퍼스, 아우구스티누스 등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통해 연구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 애니메이션, 만화, 정치, 사회,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 기호의 본질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언어 철학은 기호의 본질, 즉 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다룬다.[2] 기호와 상징의 본질, 의미, 정의, 요소 및 유형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인류는 과학, 기술, 정치·경제, 사상 등의 면에서 큰 도약을 이루었는데, 그 속에서 기호의 사용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자연과학에서는 자연 현상을 기호화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이 새로운 인식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에 따라 모든 인식은 기호에 의해서만 실현된다고까지 말해졌다. 오늘날로 이어지는 기호학도 이 시기에 연구가 시작되었다. 기호학은 언어학에서 시작되었지만, 단순히 언어에서의 기호의 작용을 연구했을 뿐만 아니라, 기호가 인류에게 가져다주는 여러 작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철학의 큰 기둥 중 하나가 되었다.

2. 1. 기호의 정의 및 요소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언어 철학은 기호의 본질, 즉 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다룬다.[2] 기호와 상징의 본질, 의미, 정의, 요소 및 유형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자료에 따르면, 의미는 기호와 기호가 의미하는 것(의도, 표현 또는 의미)이라는 두 종류의 것들 사이의 관계이며, 한 용어가 반드시 다른 것을 마음속에 떠오르게 한다. 자연 기호와 인습 기호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기호 이론(아우구스티누스)은 사물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눈다.

  • 모든 종류의 징후, 증거, 증상, 물리적 신호
  • '항상' 기호인 기호 (아이디어와 이미지, 생각과 감정, 구성 및 의도와 같은 마음의 실체)
  • 의미를 '가져야만' 하는 기호 (언어적 실체 및 문화적 상징)


따라서 자연 기호는 의미의 근원 역할을 하는 반면, 인간의 마음은 기호가 객체, 상태, 속성, 양, 사건, 과정 또는 관계와 같은 자연 발생적인 것을 의미하는 매개체이다. 인간의 언어담론, 의사소통, 철학, 과학, 논리학, 수학, , 신학, 종교는 기호와 상징의 본질과 의미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결정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인간의 연구 및 활동 분야 중 일부에 불과하다. 의사소통은 단어 없이 기호와 상징의 결과로 마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들은 그림 표현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기호 자체는 종이 위의 잉크나 조형된 물체, 공기의 진동 등에 불과하지만, 인간이 이것들을 어떠한 의미와 결합함으로써 기호로서 성립한다. 그리고 기호는 다른 기호와 함께 묶여 집합체가 되거나, 상호 작용하여 무언가를 가리킨다.

2. 2. 자연 기호와 인위 기호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언어 철학은 기호의 본질, 즉 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다룬다.[2] 기호와 상징의 본질, 의미, 정의, 요소 및 유형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자료에 따르면, 의미는 기호와 기호가 의미하는 것(의도, 표현 또는 의미)이라는 두 종류의 것들 사이의 관계이며, 한 용어가 반드시 다른 것을 마음속에 떠오르게 한다. 자연 기호와 인습 기호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기호 이론(아우구스티누스)은 사물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눈다.

  • 모든 종류의 징후, 증거, 증상, 물리적 신호
  • 항상 기호인 것 (아이디어와 이미지, 생각과 감정, 구성 및 의도와 같은 마음의 실체)
  • 의미를 가져야만 하는 기호 (언어적 실체 및 문화적 상징)


따라서 자연 기호는 의미의 근원 역할을 하는 반면, 인간의 마음은 기호가 객체, 상태, 속성, 양, 사건, 과정 또는 관계와 같은 자연 발생적인 것을 의미하는 매개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호를 다른 것을 나타내고 그것들을 떠올리게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기호를 자연적인 것(''naturalia'')과 인공적인 것(''data'')으로 나누었다.[3]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 분류
구분하위 구분설명
자연 기호 (naturalia)-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나 사물
인공 기호 (data)동물 (bestiae)동물이 사용하는 기호
인간 (homines)비언어 (cetera)언어 외적인 기호
언어 (verba)말 (voces)
글 (litterae)알려지지 않은 기호 (signa ignota)
모호한 기호 (signa ambigua)
특정한 기호 (signa propria) / 비유적 기호 (signa translata)이교도에 속하는 알려지지 않은 비유적 기호



기호 자체는 종이 위의 잉크나 조형된 물체, 공기의 진동 등에 불과하지만, 인간이 이것들을 어떠한 의미와 결합함으로써 기호로서 성립한다. 그리고 기호는 다른 기호와 함께 묶여 집합체가 되거나, 상호 작용하여 무언가를 가리킨다.

3. 기호의 유형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언어 철학은 기호의 본질, 즉 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다룬다.[2] 기호와 상징의 본질, 의미, 정의, 요소 및 유형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자료에 따르면, 의미는 기호와 기호가 의미하는 것 사이의 관계이며, 한 용어가 반드시 다른 것을 마음속에 떠오르게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연 기호와 인습 기호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기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사물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었다.


  • 모든 종류의 징후, 증거, 증상, 물리적 신호
  • 항상 기호인 것 (아이디어와 이미지, 생각과 감정, 구성 및 의도와 같은 마음의 실체)
  • 의미를 가져야만 하는 기호 (언어적 실체 및 문화적 상징)


자연 기호는 의미의 근원 역할을 하며, 인간의 마음은 기호가 객체, 상태, 속성, 양, 사건, 과정 또는 관계와 같은 자연 발생적인 것을 의미하는 매개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고전 및 헬레니즘 시대의 기호 이론을 종합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에게 기호는 다른 것을 나타내고 그것들을 떠올리게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가장 흔한 기호는 말과 글이다. 비록 하나님을 완전히 표현할 수는 없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에서 기호를 통해 인간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호를 추론의 도구로 간주한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성경의 사건과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추론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신학적 기호 이론을 발전시켰다.

주차장 표지판 위에 앉아 있는 까마귀. 까마귀는 많은 전통에서 영적인 기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호를 자연적(''naturalia'') 기호와 인공적(''data'') 기호로 나누었다. 인공적 기호는 다시 동물(''bestiae'')과 인간(''homines'')으로, 인간의 기호는 비언어(''cetera'')와 언어(''verba'')로, 언어 기호는 말(''voces'')과 글(''litterae'')로, 글은 알려지지 않은 기호(''signa ignota'')와 모호한 기호(''signa ambigua'')로 나뉜다. 알려지지 않은 기호는 특정한 기호(''signa propria'')와 비유적 기호(''signa translata'')로 나뉘며, 알려지지 않은 비유적 기호는 이교도에 속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 이해에는 몇 가지 중요한 해석학적 전제가 있다. 첫째, 해석자는 겸손해야 한다. 둘째, 적극적인 탐구 정신을 가지고 이교도의 교육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해석자의 마음은 성경 전체의 최종 목표인 사랑 위에 세워져야 한다.

기호는 자체적인 목표가 아니라 지시(''res significans'')로서의 역할에 목적이 있다. 하나님은 자신을 계시하기 위해 기호를 주셨으며,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신성한 계시를 이해하기 위해 해석학적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성경 본문이 모호하더라도 이는 의미 있는 이점을 가진다.

3. 1.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호


서양 십이궁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해변의 표지판은 인종 차별적인 해변을 나타낸다.


"기호"라는 단어는 영어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분야의미
별자리별자리
의사소통수화와 같이 손짓을 통해 소통하는 것, 기호 또는 서명
갱 신호갱스터들이 사용하는 신호
추적(사냥)발자국(동물)이라고도 함; 지나간 후 땅에 남겨진 흔적 증거
일반이전에 관찰된 사건이 다시 발생할 것임을 나타내는 지표
점술과 종교미래를 예언한다고 믿어지는 징조, 사건 또는 발생
존재론영성신의 뜻을 드러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우연의 일치 또는 놀라운 사건; 동시성 참조
기호(언어학)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설명한 개념과 음상(sound-image)의 조합
수학숫자의 부호는 숫자가 양수 또는 음수인지 알려준다. 또한 순열의 부호는 짝수 또는 홀수의 전치의 곱인지 알려준다.
부호 유무, 컴퓨팅숫자의 표현이 숫자가 음수가 아닌지 음수인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비트, 부호 비트를 갖는 속성. 부호 비트가 포함된 숫자를 부호 있는 숫자라고 하며, 그렇지 않으면 부호 없는 숫자라고 한다. 부호 있는 숫자 표현도 참조
생물학어떤 생명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지표
의학의학적 징후, 주관적인 증상과는 대조적으로, 질병 또는 장애의 존재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
기호(기호학)의미의 기본 단위
정보 표지판사람에게 지시, 조언,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고하는 알림
교통 표지판운전자에게 지시하는 표지판; 정지 표지판, 제한 속도 표지판, 횡단보도 표지판 참조
문자 체계기호: 기본 단위. 더 구체적인 용어는 문자, 글자 또는 그래핌이다.
상업용 간판소매점, 공장 또는 극장과 같은 점멸 표시 포함
서명, 역사저작권 및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문서에 관찰된 손으로 쓴 묘사
마케팅 또는 옹호간판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기호를 집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기호·표식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동일한 주제를 바탕으로 유사한 작품이 다수 제작된 종교화 등에서는 약속에 따라 쓰인 속성에 의해 작품을 해석한다. 도상학 및 도상 해석학은 전통적인 회화와 도상에서 기호를 해석하는 학문이다.[4]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의 평론에서는 등장인물의 상징적인 것을 기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작품이 달라도 캐릭터 디자인이 비슷해지는 상황을 "기호화가 진행되었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4. 기호학과 기호 이론

기호학, 인식론, 논리학, 언어 철학은 기호의 본질, 즉 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다룬다.[2] 기호와 상징의 본질, 의미, 정의, 요소 및 유형은 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자료에 따르면, 의미는 기호와 기호가 의미하는 것(의도, 표현 또는 의미)이라는 두 종류의 것들 사이의 관계이며, 한 용어가 반드시 다른 것을 마음속에 떠오르게 한다. 자연 기호와 인습 기호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기호 이론(아우구스티누스)은 사물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눈다.

모든 종류의 징후, 증거, 증상, 물리적 신호, ''항상'' 기호인 기호(아이디어와 이미지, 생각과 감정, 구성 및 의도와 같은 마음의 실체), 의미를 ''가져야만'' 하는 기호(언어적 실체 및 문화적 상징)가 있다. 따라서 자연 기호는 의미의 근원 역할을 하는 반면, 인간의 마음은 기호가 객체, 상태, 속성, 양, 사건, 과정 또는 관계와 같은 자연 발생적인 것을 의미하는 매개체이다. 인간의 언어담론, 의사소통, 철학, 과학, 논리학, 수학, , 신학, 종교는 기호와 상징의 본질과 의미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결정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인간의 연구 및 활동 분야 중 일부에 불과하다. 의사소통은 단어 없이 기호와 상징의 결과로 마음을 통해 이루어지며, 그림 표현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인류는 과학기술, 정치·경제, 사상 등의 면에서 큰 도약을 이루었지만, 그 속에서 기호의 사용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자연과학에서는 자연 현상을 기호화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이 새로운 인식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에 따라 모든 인식은 기호에 의해서만 실현된다고까지 말해졌다. 오늘날로 이어지는 기호학도 이 시기에 연구가 시작되었다. 기호학은 언어학에서 시작되었지만, 단순히 언어에서의 기호 작용을 연구했을 뿐만 아니라, 기호(단, 기호학에서 말하는 "기호"는 sign도 symbol도 아닌 semiosis이다)가 인류에게 가져다주는 여러 작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철학의 큰 기둥 중 하나가 되었다.

4. 1. 소쉬르의 기호 이론

기호는 종이 위의 잉크나 조형된 물체, 공기의 진동 등에 불과하지만, 인간이 이것들을 어떠한 의미와 결합함으로써 기호로서 성립한다. 그리고 기호는 다른 기호와 함께 묶여 집합체가 되거나, 상호 작용하여 무언가를 가리킨다.

기호학에서 '''기호 과정'''(semiosis)은 기호가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에게 의미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기호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소기'''(signified), 지시하는 기호를 '''능기'''(signifier)라고 부른다. 일본의 언어학에서는 전통적으로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사용한 프랑스어 음역인 시니피앙과 시니피에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소기'''는 그 부체로부터 연상되는 것을 의미하며, '''능기'''는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 특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과를 생각하면, 전자는 과일이나 기업 애플이며, 후자는 빨간색 등을 들 수 있다.

4. 2. 퍼스의 기호 이론

기호는 종이 위의 잉크나 조형된 물체, 공기의 진동 등에 불과하지만, 인간이 이것들을 어떠한 의미와 결합함으로써 기호로서 성립한다. 그리고 기호는 다른 기호와 함께 묶여 집합체가 되거나, 상호 작용하여 무언가를 가리킨다.

기호학에서의 '''기호 과정'''(semiosis)은 기호가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에게 의미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기호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소기'''(signified), 지시하는 기호를 '''능기'''(signifier)라고 부른다. 일본의 언어학에서는 전통적으로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사용한 프랑스어 음역인 시니피앙과 시니피에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소기'''는 그 부체로부터 연상되는 것을 의미하며, '''능기'''는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 특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과를 생각하면, 전자는 과일이나 기업 애플(Apple)이며, 후자는 빨간색 등을 들 수 있다.

4. 3.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 이론

아우구스티누스는 고전 및 헬레니즘 시대의 기호 이론을 종합한 인물이었다. 그에게 기호는 다른 것을 나타내고 그것들을 떠올리게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었다. 가장 흔한 기호는 말과 글이었다.[2] 아우구스티누스는 비록 하나님을 완전히 표현할 수는 없지만, 성경에서 기호를 통해 인간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2]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학파의 기호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성경의 사건과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추론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신학적 기호 이론을 발전시켰다.[2]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든 종류의 기호를 열거하고 그것들을 해석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는 기호를 자연적(''naturalia'') 기호와 인공적(''data'') 기호로 나누었으며, 인공적 기호는 다시 여러 단계로 나누었다.[2]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 이해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해석학적 전제가 포함되어 있다.

  • 첫째, 해석자는 겸손하게 접근해야 한다.
  • 둘째, 해석자는 적극적인 탐구 정신을 가져야 하며, 이교도의 교육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
  • 셋째, 해석자의 마음은 사랑 위에 세워지고 뿌리내려져야 한다.[2]


기호는 자체적인 목표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지시(''res significans'')로서의 역할에 목적이 있다. 하나님은 자신을 계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호를 주었으며,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신성한 계시를 이해하기 위해 해석학적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 본문이 모호하더라도 의미 있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2]

기호를 해석할 때는 먼저 문자적인 의미를 찾고, 그다음 비유적인 의미를 찾아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모호한 성경 구절은 명확하고 간단한 구절의 도움을 받아 해석해야 한다는 해석학적 원리를 제시했다.[2]

5. 현대 사회와 기호

현대 사회에서 기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특히 애니메이션만화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5. 1. 애니메이션과 만화에서의 기호

종교화에서는 약속에 따라 쓰인 속성에 의해 작품을 해석하는데, 도상학 및 도상 해석학은 전통적인 회화와 도상에서 기호를 해석하는 학문이다.[4]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의 평론에서는 등장인물의 상징적인 것을 기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작품이 달라도 캐릭터 디자인이 비슷해지는 상황을 "기호화가 진행되었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1980년대의 현대 사상 붐의 영향을 받은 평론가들(오츠카 에이지, 오카다 토시오 등)이 자주 사용하며, 애니메이션 감독이나 작품 등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타니구치 고로 등).

6. 한국 사회와 기호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2] 백과사전 semiotics https://www.britanni[...]
[3] 논문 Augustine's Hermeneutics and Homiletics in ''De doctrina christiana'' https://www.academia[...]
[4] 서적 図像と写し 思文閣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