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노타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노타이프는 1884년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발명한 활판 인쇄 기계이다. 이 기계는 금속 활자 주형을 조립하고 용융 금속을 주조하는 과정을 하나의 기계 내에서 자동화하여 신문과 책의 발행 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라이노타이프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사진 식자 방식으로 대체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신문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출판 -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은 권, 호, 절대 번호 등으로 구분되어 일정한 주기로 발행되는 간행물이며, ISSN으로 식별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편 서비스에서 특별 요금을 적용받는다.
  • 출판 - 매체 편향
    매체 편향은 뉴스 보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을 설명하는 가설로, 광고 편향, 내용 편향, 당파적 편향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하며, 광고주, 독자 선호도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여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치적 극단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인쇄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인쇄 - 복사기
    복사기는 문서나 이미지를 복제하는 기계로, 전기 사진술의 발전을 통해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 스캐너 및 레이저 프린터로 발전했고, 저작권 침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19세기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19세기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라이노타이프
개요
라이노타입 기계
라이노타입 기계
유형주조 식자 기계
발명오트마르 메르겐탈러
발명 연도1886년
제조라이노타입 이미징
머겐탈러 라이노타입 컴퍼니
작동 방식뜨거운 금속 주조
생산 시기1886년 ~ 1980년대
역사
개발 배경수동 식자의 비효율성 극복
초기 모델복잡하고 불안정
성공 요인신뢰성 향상 및 자동화 기능 추가
전성기20세기 초 신문 산업 발전과 함께 전성기 구가
쇠퇴컴퓨터 기반 사진 식자 기술 등장으로 쇠퇴
단종1980년대 단종
영향인쇄 산업 혁신에 기여, 대량 인쇄 시대 개막
작동 원리
글자 주조 과정활자 모형 선택 → 주형 조립 → 녹은 금속 주입 → 활자 주조 → 활자 정렬
활자 모형 보관매거진 (Magazine)
주조 금속, 안티모니, 주석 합금
자동화자동 활자 반환 및 재사용 시스템
특징
장점빠른 식자 속도, 대량 생산 가능
단점기계 복잡성, 유지 보수 어려움, 높은 초기 투자 비용
기술적 사양
활자 크기6 ~ 14 포인트 (일반적)
생산 속도분당 5 ~ 7줄
전력 소비1 ~ 2 kW
활용
주요 사용 분야신문, 잡지, 서적 출판
기타 사용 분야상업 인쇄, 정부 간행물
관련 용어
활자라이노타입 기계로 주조된 금속 활자
매거진활자 모형 보관 장치
녹은 금속 냄비활자 주조용 녹은 금속 보관 및 공급 장치
식자공라이노타입 기계를 작동하는 기술자

2. 역사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1884년에 라이노타이프를 발명한 이후, 1886년 뉴욕 트리뷴 신문사에서 최초로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수작업으로 활자를 조립하고 분해했으나, 라이노타이프의 등장으로 인쇄 과정이 자동화되었다. 메르겐탈러 라이노타이프 회사는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나, 1914년 인터타이프사가 유사한 기계를 생산하면서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라이노타이프와 같은 "뜨거운 금속(hot metal)" 조판 기계는 사진 식자 방식과 컴퓨터 조판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이 장치는 1800년대 중반부터 아이디어가 있었고, 1886년에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처음 발표했다. 1900년대에는 지방 신문사 등에도 있었지만, 점차 판 자체를 주조할 수 있는 장치로 대체되었고, 현재는 사진 식자·DTP의 융성 속에 사라졌다.

이 장치와 관련하여, 작가 프레드릭 브라운은 종종 단편 소설에 등장시켰다. 예를 들어, "ETAOIN SHRDLU"를 들 수 있다. 환상 특급 시즌 9 제4화 "프린터의 악마(원제: Printer's Devil)"에서는, 고용된 신문 기자가 라이노타입으로 입력하는 장면, 그리고 라이노타입의 전체를 볼 수 있다. 도쿄의 인쇄 박물관에 실물과 모형, 설명 비디오가 전시되어 있다.

2. 1. 발명과 초기 발전

오트마르 메르겐탈러(Ottmar Mergenthaler, 1854~1899)가 1884년에 라이노타이프를 발명하였다. 1876년, 미국으로 이민 온 독일 시계 제작자였던 메르겐탈러는 제임스 O. 클레페인과 그의 동료 찰스 T. 무어로부터 소송 서류를 더 빨리 출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요청을 받았다.[2] 머젠탈러는 금속 활자 주형(매트릭스)을 조립하고, 이 주형 안에 용융 금속을 주조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으며, 이 모든 과정이 단일 기계 내에서 이루어졌다.[3] 그의 첫 번째 시도는 이 아이디어가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고, 새로운 회사가 설립되었다. 머젠탈러는 자신의 발명품을 개선하여 독립적인 매트릭스 기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켰다.

오트마 머젠탈러


1886년 7월, 최초로 상업적 사용을 한 라이노타이프는 뉴욕 트리뷴 인쇄소에 설치되었다.[4] 이전에는 일일이 손으로 활자를 조립하고 분해해왔으나, 뉴욕 트리뷴의 인쇄소에서 이 기계를 간행물과 책 발행에 사용되었다. 새로운 라이노타이프 방법으로 구성된 책은 ''The Tribune Book of Open-Air Sports''였다.[16]

라이노타이프 기계, 앤서니 호던 앤 선스 백화점, A. E. 포스터


초기에 머젠탈러 라이노타이프 회사는 활자 주조 기계를 생산하는 유일한 회사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회사들도 유사한 기계를 제조하기 시작했다. 인터타이프사는 라이노타이프와 매우 유사한 인터타이프를 생산했으며, 라이노타이프와 동일한 매트릭스를 사용했고, 1914년경부터 생산을 시작했다.

2. 2. 경쟁과 쇠퇴

메르겐탈러 라이노타이프 회사는 1914년 인터타이프(Intertype Corporation)에서 라이노타이프와 비슷한 방식의 라인캐스팅 기계를 생산하면서 경쟁 구도를 형성하였다. 인터타이프사는 라이노타이프와 매우 유사한 인터타이프를 생산했으며, 라이노타이프와 동일한 매트릭스를 사용했다. 머젠탈러가 정교하게 제작된 주철 부품을 기계에 사용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 반면, 인터타이프는 유사한 부품을 대부분 강철알루미늄으로 가공했다.[5]

이후 라이노타이프와 유사한 "뜨거운 금속(hot metal)" 조판 기계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사진 식자 방식으로 대체되고, 이후 컴퓨터 조판 및 페이지 구성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5] 미국에서 라이노타이프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마지막 신문은 ''사과체 크레센트''이다.[6][7] Le Démocrate de l'Aisne|르 데모크라트 드 렌프랑스어는 서유럽에서 마지막으로 라이노타이프를 사용하는 신문이다.[8]

1930년 (쇼와 5년), 일본 타입라이터사가 라이노타입과 국문 타자기를 절충한 기기를 고안했다. 손으로 활자를 조판하면 1분당 약 20자 속도를 기계로 약 30자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주목을 받았지만, 참고 가격이 1대 8500JPY으로 고가인 등의 이유로 보급되지 못했다.

3.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라이노타이프 기계는 매거진, 타자기, 주조 기구, 분배 기구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작동한다.[17]

작업자는 타자기 글쇠를 눌러 텍스트 행을 구성한다. 해당 글자의 놋쇠 모형(매트릭스)이 기계 상단 매거진에서 나와 90개 세로 홈통을 따라 한 행에 나란히 놓인다. 한 행이 완성되면 자동으로 주조 작업이 시작된다.

주조 작업에서는 녹인 을 포함한 금속을 한 행의 주형물에 붓는다. 금속이 식으면 글자가 앞으로 돌출된 슬러그(slug)라는 좁은 막대 활자가 된다. 슬러그는 '게라'라는 상자에 담기고, 빈 주형물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인쇄가 끝난 슬러그는 녹여서 다시 사용한다.

일부 라이노타이프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를 포함하여, 텔레타이프세터를 통해 조판할 텍스트를 제공하기도 했다.

조판 섹션에서 작업자는 키보드로 한 줄의 텍스트를 입력한다. 키를 누를 때마다 매거진에서 매트릭스가 해제되어 채널을 통해 조립기로 이동, 해제된 순서대로 정렬된다. 공백은 ''스페이스밴드 레버''를 눌러 스페이스밴드 박스에서 ''스페이스밴드''를 해제하여 입력한다. 스페이스밴드는 매거진에 보관되지 않는다.

한 줄에 충분한 텍스트가 입력되면 ''캐스팅 레버''를 누른다. 그러면 완성된 라인이 "전달 채널"을 통해 기계의 캐스팅 섹션으로 운반되고, 이후 분배 섹션으로 전송된다. 이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다음 줄 텍스트 입력을 계속할 수 있다.

매트릭스는 어셈블러 전면 파티션을 통해 빠르게 움직이는 벨트로 안내되어 어셈블러로 들어간다. 스페이스밴드는 어셈블러 위에 위치하며, 거의 직접 어셈블러 안으로 떨어진다. 움직이는 벨트 끝에는 빠르게 회전하는 '스타 휠'이 있어, 각 매트릭스나 스페이스밴드에 작은 충격을 주어 다음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스타 휠은 페놀 타입 재질로 만들어져 마모를 최소화한다.

어셈블러는 매트릭스와 스페이스밴드를 잡는 레일이며, 왼쪽 끝에는 원하는 행 너비로 설정된 턱이 있다. 작업자가 행이 거의 찼다고 판단하면, 주조 레버를 올려 해당 행을 주조 섹션으로 '보낸다'. 이후 처리는 자동이다.

활자 슬러그 – 인쇄면


활자 슬러그, 측면 보기


기계 주조 섹션은 작업자가 작동시켜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주조 사이클 시간은 9초 미만이다. 주조 섹션 동력은 클러치로 작동하는 드라이브가 큰 캠을 돌리는 방식에서 나왔다. 이전 줄이 매거진으로 반환되고 다음 줄 조립이 현재 줄 주조되는 동안 모두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생산성을 가능하게 했다.

구형 기계는 모터가 주요 클러치 휠에 기어 연결되어 있었고, 주조 사이클 동안 내부 샤프트가 이 휠을 물고 있었다. 이 휠의 외부 가죽 벨트는 두 번째 잭샤프트를 구동했으며, 이 샤프트에서 추가 벨트를 통해 분배기, 키보드 매트릭스 컨베이어, 이스케이프먼트를 구동했다. 가스식 포트가 초창기에 가장 흔했으며, 포트는 온도 조절되었고, 입구와 목을 가열하기 위한 두 번째 작은 버너가 있었다. 더 현대적인 설치는 저항 조절이 가능한 입구 및 목 히터(전기 모델의 경우 수백 와트)를 갖춘 1500와트 전기 포트에서 작동했다. 1930년대 V-벨트가 일반화된 이후에는 새 기계와 36EM 매트릭스 크기 이상 대형 기계에서 모터가 더 표준적으로 사용되었다. 대형 기계에는 더 큰 가스 버너 또는 2250와트 포트 히터 및 더 큰 입구, 목 히터가 있는 '더블 포트'도 있었다. 가장 현대적인 라이노타입에는 입구 및 목 히터가 온도 조절되었다.

라이노타입 회사는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등유 히터와 라인 샤프트 작동 기계를 공급했다.

주조 섹션은 조립기에서 완성된 라인을 받아 활자 슬러그를 주조한다. 작업자가 주조 레버를 올려 완성된 라인을 보내 활성화하면 일련의 캠과 레버가 매트릭스를 주조 섹션을 통해 이동시키고 슬러그를 생성한다.

주조 재료는 (85%), 안티몬 (11%), 주석 (4%)[10] 합금이며, 300,000번 인쇄 가능한 일체형 주조 슬러그를 생성한다.

용융 합금을 지속 가열하면 주석과 안티몬이 위로 올라가 산화되어 "드로스"라는 물질로 걷어내야 한다. 과도한 드로스 형성은 납 비율 증가로 합금이 연화되게 한다. 혼합물을 분석하고 주석과 안티몬을 (특별 배합 합금 형태로) 다시 추가하여 합금 원래 강도와 특성을 복원해야 한다.

정렬 과정. 조립된 행은 바이스(1 및 2) 사이에서 ''고정''된다. 정렬 램(5)은 공간 밴드를 확장하여 바이스 턱 사이 공간을 채우기 위해 위로 이동한다.


조립기에서 조립된 행은 ''첫 번째 엘리베이터''를 통해 ''정렬 바이스''로 이동한다. 바이스에는 원하는 행 너비로 설정된 두 턱(그림의 1 및 2)이 있다. 공간 밴드가 확장되어 행을 정렬한다. 행이 정렬되면 매트릭스가 바이스 턱 사이에 꼭 맞게 들어가 용융 활자 금속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정렬은 스프링 장착 램(5)에 의해 수행되며, 이 램은 공간 밴드 꼬리를 들어 올린다.[11] 작업자가 충분한 문자를 조립하지 않은 경우 행이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는다. 공간 밴드를 최대로 확장해도 매트릭스가 조이지 않는다. 정렬 바이스 안전 메커니즘이 이를 감지하고 주조 작업을 차단한다.

정합 바이스는 조립된 라인을 ''몰드 디스크'' 면에 고정한다. 몰드 디스크에는 제작될 ''슬러그''(주조 라인)의 라인 길이와 포인트 두께에 해당되는 사각형 구멍이 있다. ''몰드 라이너''는 특정 슬러그 치수에 맞게 이 구멍에 들어간다. 일반적인 라인캐스터 최대 라인 길이는 30 파이카이다.

몰드 디스크 바로 뒤에는 약 279.4°C 최적 온도에서 녹은 활자 합금이 들어 있는 도가니가 있다. 주조 직전, 몰드 디스크는 슬라이드 위로 앞으로 이동한다. 몰드 디스크 스터드는 바이스 블록과 맞물려 몰드 디스크가 부드럽지만 단단하고 직각으로 첫 번째 엘리베이터 조에 고정되고 바이스 조 사이에 고정된 행렬 라인에 닿도록 한다. 바이스 조는 행렬 라인을 압축하여 주조 시 용융 금속이 매트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가니는 앞으로 기울어져 마우스피스를 몰드 뒤쪽에 단단히 밀착시킨다. 도가니 우물 안 플런저는 빠르게 하강하여 용융 금속을 도가니 목으로 밀어 올리고 마우스피스 구멍을 통해 몰드 캐비티에 주입한다. 용융 금속 제트는 먼저 행렬 주조면에 접촉한 다음 몰드 캐비티를 채워 단단한 슬러그 본체를 만든다. 여기에는 문자 모양이 새겨져 있어, 결과적으로 상단면에 라인 문자 모양이 있는 주조된 ''슬러그''가 생성된다. 몰드 디스크는 수냉식 또는 공냉식으로 하여 용융 활자 합금 열을 제거하고 주조된 슬러그가 빠르게 응고되도록 한다.

주조 완료되면 플런저가 위로 당겨져 마우스피스에서 목을 통해 금속을 다시 아래로 당긴다. 포트는 몰드에서 뒤로 당겨진다. 몰드 디스크는 몰드와 완벽한 관계를 유지하는 바이스 스터드에서 후퇴하여 슬러그를 행렬에서 분리한다. 몰드 디스크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하는 동안 슬러그 베이스는 뒤 칼에 의해 높이가 용지(약 2.33cm)로 트리밍된 다음 ''배출 블레이드'' 앞에 중립 위치로 돌아가고 ''칼 블록 어셈블리''와 정렬된다. 칼 블록 어셈블리는 고정 칼과 주조되는 몰드 라이너 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칼로 구성된 한 쌍의 연마된 칼이다. 칼은 평행하게 설정된다. 왼쪽 고정 칼은 슬러그 매끄러운 측면(슬러그 몰드 본체 면)에 닿아 옆으로 스치고, 오른쪽 칼은 슬러그 립(슬러그 몰드 캡 면)을 트리밍한다. 디스크는 몰드가 수직으로, 오른쪽에서 ''배출기'' 바로 앞에 있을 때 멈춘다.

배출기는 몰드 디스크 몰드 구멍에서 완성된 슬러그를 밀어내는 좁은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는 고정 몰드 면과 블레이드 왼쪽 측면 사이에 약 0.01cm 간격이 있는 6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몰드를 통과할 만큼 좁다. 블레이드는 각각 폭이 2 파이카이며 배출에 관여하는 블레이드 수는 주조되는 라인 길이에 따라 설정된다. 모든 블레이드는 30 파이카 슬러그에 관여하고, 슬러그 본체 크기가 좁아짐에 따라 더 적은 블레이드가 관여한다. 이렇게 하면 배출 블레이드가 좁은 슬러그 몰드 라이너 뒷면을 치는 것을 방지한다. 슬러그가 몰드에서 밀려 나오면 칼 블록 칼날을 통과하여 주조 시 작은 불규칙성을 트리밍하고 정확한 포인트 두께 슬러그를 생성한다. 슬러그는 주조된 순서대로 라인을 보관하는 ''갤리 트레이''로 떨어진다.

라이노타이프 분배기 레일, 행렬이 매달려 있다. 세 개 나사는 행렬이 올바른 매거진 채널로 떨어질 때까지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라이노타이프 기계 가장 중요한 혁신은 분배 단계를 자동화했다는 것이다. 즉, 행렬과 스페이스 밴드를 각 매거진 올바른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는 '분배기'에 의해 수행된다.

주조 완료되면 행렬은 '두 번째 엘리베이터'로 밀려 올라가 매거진 상단에 있는 '분배기'로 이동한다. 스페이스 밴드는 이 시점에서 분리되어 스페이스 밴드 상자로 반환된다.

행렬에는 상단에 이빨 패턴이 있어 '분배기 바'에 걸린다. 일부 이빨은 잘려나간다. 어떤 이빨 패턴이 잘려나가는지는 행렬 문자에 따라 달라진다. 즉, 매거진 어떤 채널에 속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분배기 바 일부를 따라 이빨이 잘려나간다. 엘리베이터 바에는 모든 이빨이 있어 모든 행렬을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이빨이 전혀 없는 스페이스 밴드는 제외).

라이노타이프 매트릭스 이빨의 다이어그램. 왼쪽 그림에서 매트릭스는 레일(검은색) 이빨이 매트릭스에서 잘려나간 이빨 위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떨어지려고 한다. 가운데 그림은 모든 이빨이 있는 ''파이'' 매트릭스이다.


매트릭스가 배포 나사로 배포 막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매트릭스를 잡을 이빨이 있는 동안만 매달려 있게 된다. 매트릭스가 각 이빨이 배포 막대에서 잘려나간 이빨에 해당되는 지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해당 지점 아래의 매트릭스 채널로 떨어진다.

배포 레일의 이빨 코딩 다이어그램으로 레일 처음 몇 위치를 보여준다. 코딩은 기본적으로 순수한 바이너리이다. 화살표는 이전 그림의 매트릭스가 떨어지는 위치를 보여준다. "e"에 두 위치가 있음에 유의하라.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


이빨 패턴은 7비트 바이너리 코드이며, 노치 바닥 가장 안쪽 쌍 이빨이 가장 중요한 비트이다. 코드는 메인 매거진 왼쪽에서부터 계산된다. 코드 0(이빨 없음)은 배포기에 전달되지 않는 스페이스 밴드용이다. 코드 1은 건너뛴다. 코드 2부터 92까지는 91 채널 메인 매거진용이고, 그 위는 보조 매거진이 설치된 경우 보조 매거진용이다. 가장 넓은 보조 매거진은 34개 채널이므로 가장 오른쪽 채널은 코드 125이다. 코드 126은 사용되지 않고 코드 127은 파이 매트릭스에 사용된다.

3. 1. 구성 요소

라이노타이프 기계의 전체 구조


라이노타이프 기계는 크게 4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17]

  • 매거진 (Magazine)
  • 타자기 (Keyboard)
  • 주조 기구 (Casting mechanism)
  • 분배 기구 (Distribution mechanism)


작업자는 타자기를 통해 텍스트 행을 구성하여 장비와 상호 작용하며, 그 외 부분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한 행이 완성될 때마다 자동으로 작업이 시작된다. 작업자가 타자기의 글쇠를 누르면 해당 글자가 새겨진 놋쇠 모형(매트릭스)이 기계 상단의 매거진에서 내려와 90개의 세로 홈통을 따라 한 행에 나란히 놓인다. 한 행이 완성되면 주조 작업으로 넘어간다.

주조 작업에서는 녹인 금속을 완성해 놓은 한 행의 주형물에 붓는다. 주로 사용되는 금속은 이다. 금속이 식으면 글자가 앞으로 돌출된 좁은 막대 활자인 슬러그(slug)가 된다. 슬러그는 '게라'라는 상자에 담기고, 빈 주형물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인쇄를 끝낸 슬러그는 녹여서 다시 사용한다.

라이노타이프 매트릭스


각 매트릭스는 글꼴의 단일 문자에 대한 문자 형태, 즉 특정 크기의 특정 서체를 포함한다. 문자 형태는 매트릭스의 한 면에 새겨져 있다. 최대 14 포인트 크기(일부 16~24포인트)의 매트릭스에는 일반 및 보조 위치에 두 가지 문자 형태가 있다. 일반 위치에는 주어진 문자의 정자체(로마자)가 있고, 보조 위치에는 기울임꼴(''이탤릭체'') 형태가 사용되지만, 굵은 글꼴이거나 완전히 다른 글꼴일 수도 있다. 기계 조작자는 ''조립기''의 ''보조 레일''을 작동하거나, 이탤릭체 전체 줄을 설정할 때 첫 번째 엘리베이터 열의 일부 아래로 돌릴 수 있는 ''플랩''을 사용하여 주조할 면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이 이탤릭체를 위한 ''상단 레일''과 로마자 문자를 위한 ''하단 레일''이라는 오래된 조판 용어의 기원이다. 이러한 용어는 보조 레일의 기계 장치가 없더라도 사진 식자 기술에도 남아 있다. 라이노타이프 매트릭스의 문자는 일반적인 가동 활자처럼 반전되지 않고, 표면 아래에 새겨져 있다. 이는 매트릭스가 종이에 직접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 슬러그를 주조하는 금형의 일부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슬러그는 특징이 반전되어 있으므로 매트릭스는 그렇지 않다.

매트릭스를 전달할 때 이스케이프먼트의 작동. 키보드는 이스케이프먼트 레버 ''22''를 들어올려 플런저 ''11''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버지'' ''8''이 회전하여 앞쪽 톱니 ''9''를 아래로 당겨 매거진 채널의 첫 번째 매트릭스를 해제한다. 버지가 회전하면서 뒤쪽 톱니 ''8''도 올라와 두 번째 매트릭스를 잡는다.


매거진 섹션은 매트릭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보관되고, 작업자가 키보드의 키를 터치하면 해제되는 부분이다. 매거진은 수직 분리대가 있는 평평한 상자 형태로, 글꼴의 각 문자에 대해 하나의 채널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메인 매거진은 90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지만, 더 큰 글꼴의 경우 72개 또는 55개의 채널만 있다. 일부 기계의 보조 매거진은 일반적으로 34개(더 큰 글꼴은 28개)의 채널을 포함한다.

매거진은 특정 글꼴, 즉 특정 크기의 특정 활자 디자인을 보관한다. 다른 크기나 스타일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다른 매거진으로 전환한다. 많은 라이노타이프 기계 모델은 여러 개의 매거진(최대 4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 일부 기계에서는 작업자가 크랭크로 매거진 스택을 올리거나 내려서 다른 매거진으로 전환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기계는 단일 줄 내에서 글꼴 혼합을 허용하지 않았다. 모델 25 및 26과 같은 다른 기계는 동일한 줄 내에서 두 개의 매거진에서 텍스트를 임의로 혼합할 수 있었고, 모델 9는 최대 4개의 매거진에서 혼합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

활자 전위


활자가 기계 전체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려면 활자 경로에 오일이 묻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활자 경로에 오일이 묻으면(부주의한 유지보수 또는 과도한 윤활) 먼지와 결합하여 끈적이는 물질을 형성하며, 이는 활자에 의해 탄창에 쌓인다. 이로 인해 활자가 평소보다 느리게 탄창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조립기에서 문자나 두 개가 순서대로 나오지 않는 "활자 전위"가 발생한다. 이 기계가 많이 사용되었을 때, 작업자가 시간당 4,000 에므 이상으로 활자를 조판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가장 빠른 작업자는 시간당 10,000 에므 이상(오늘날 단위로 분당 약 10~30단어)을 처리할 수 있었으므로, 기계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주의 깊은 윤활과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었다.

조립 메커니즘 다이어그램. 매트릭스가 매거진에서 나와 형성되는 라인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1904년경 기계)


조판 섹션에서 작업자는 키보드로 한 줄의 텍스트를 입력한다. 각 키를 누르면 키보드 위에 장착된 매거진에서 매트릭스가 해제된다. 매트릭스는 채널을 통해 조립기로 이동하여 해제된 순서대로 나란히 정렬된다.

공백이 필요할 때는 키보드 바로 왼쪽에 있는 ''스페이스밴드 레버''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스페이스밴드 박스에서 ''스페이스밴드''가 해제된다. 스페이스밴드는 매거진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매트릭스와 별도로 보관된다.

한 줄에 충분한 텍스트가 입력되면 키보드 오른쪽 앞 모서리에 장착된 ''캐스팅 레버''를 누른다. 그러면 조립기에 있는 완성된 라인이 "전달 채널"의 두 손가락 사이로 들어 올려지고, 동시에 제자리에 고정하는 래치를 작동시킨다.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전달 채널이 라인을 기계의 캐스팅 섹션으로 운반하고, 캐스팅 섹션과 이후의 분배 섹션으로의 전송을 구동하는 클러치를 작동시킨다. 작업자는 이제 라인 작업을 마쳤으며, 나머지 처리는 자동이다. 라인이 주조되는 동안 작업자는 다음 라인의 텍스트 입력을 계속할 수 있다.

라이노타이프 키보드; 애프터마켓 ''스타 쿼더'' 부착물(선택적으로 끄기, 오른쪽 맞춤, 가운데 또는 왼쪽 맞춤)이 바로 오른쪽에 있음


키보드는 90개의 키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배열은 왼쪽에 있는 검은색 키는 소문자, 오른쪽에 있는 흰색 키는 대문자, 중앙에 있는 파란색 키는 숫자, 구두점, 공백, 소문자 대문자 및 기타 항목에 사용되었다.[9] 타자기에서 볼 수 있는 시프트 키는 없다.

글자의 배열은 글자 빈도와 대략 일치하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글자는 왼쪽에 있다. 키의 처음 두 열은 e, t, a, o, i, n; s, h, r, d, l, u이다. 라이노타이프 작업자는 종종 이 두 열을 손가락으로 내려가면서 "런 다운"이라고 알려진 etaoin shrdlu로 줄을 채워 타이핑 오류를 처리했다. 조립기 내에서 라인을 손으로 수정하는 것보다 잘못된 슬러그를 주조하는 것이 더 빠른 경우가 많았다. 런 다운이 있는 슬러그는 주조된 후 또는 교정자에 의해 제거된다.

라이노타이프 키보드는 동일한 알파벳 배열을 두 번(소문자는 검은색 키, 대문자는 흰색 키) 제공한다. 가운데 파란색 키는 구두점, 숫자, 소문자 대문자 및 고정 폭 공백이다. 숙련된 작업자는 왼손으로 스페이스 밴드 키와 왼쪽 열만 작동하고, 오른손으로 나머지 키를 누른다.

키보드의 키는 수직 푸시로드를 통해 이스케이프먼트와 연결된다. 키를 누르면 해당 이스케이프먼트가 작동하여 매거진에서 매트릭스를 해제한다. 예외적으로 소문자 ''e''는 매우 자주 사용되므로 ''90 채널'' 매거진에는 91개의 채널이 있으며, 가장 왼쪽 두 개가 ''e''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72 채널'' 매거진은 73개의 채널을 가지며, 가장 왼쪽 두 개가 소문자 ''e''에 사용된다. 라인은 매거진의 두 ''e'' 채널에서 번갈아 가며 매트릭스를 해제한다.

여러 매거진을 지원하는 기계에는 현재 키보드에 연결된 매거진을 제어하는 시프팅 메커니즘이 있다. 대부분의 기계에서는 매거진 스택을 올리거나 내리는 방식으로 이를 수행한다.

매트릭스와 스페이스 밴드가 있는 조판 라인


균등 배열 텍스트에서 공백은 고정 폭이 아니다. 모든 줄이 너비가 같도록 확장된다. 라이노타이프 기계에서는 스페이스 밴드로 이 작업을 수행한다. 스페이스 밴드는 두 개의 쐐기로 구성되며, 하나는 활자 매트릭스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고 다른 하나는 긴 꼬리가 있다. 쐐기의 넓은 부분은 꼬리의 바닥에 있으므로 꼬리를 밀어 올리면 스페이스 밴드가 확장된다. 스페이스 밴드는 크기 때문에 매거진에 보관되지 않고 스페이스 밴드 박스에 보관되며, 키보드 왼쪽 가장자리에 있는 스페이스 밴드 레버를 눌러 하나씩 해제된다.

라이노타이프 몰드 디스크, 완성된 행렬과 스페이스밴드가 주조될 준비가 되어 있음


정합 바이스는 조립된 라인을 ''몰드 디스크''의 면에 고정한다. 몰드 디스크에는 제작될 ''슬러그''(주조 라인)의 라인 길이와 포인트 두께에 해당하는 사각형 구멍이 있다. ''몰드 라이너''는 특정 슬러그 치수에 맞게 이러한 구멍에 들어간다. 일반적인 라인캐스터의 최대 라인 길이는 30 파이카이다. 덜 흔한 변형은 42 파이카 몰드를 장착했지만, 현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몰드 디스크 바로 뒤에는 약 279.4°C의 최적 온도에서 녹은 활자 합금이 들어 있는 도가니가 있다. 주조 직전, 몰드 디스크는 슬라이드 위로 앞으로 이동한다. 몰드 디스크의 스터드는 바이스의 블록과 맞물려 몰드 디스크가 부드럽지만 단단하고 직각으로 첫 번째 엘리베이터 조에 고정되고 바이스 조 사이에 고정된 행렬 라인에 닿도록 한다. 바이스 조는 행렬 라인을 압축하여 주조 시 용융 금속이 매트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가니는 앞으로 기울어져 마우스피스를 몰드의 뒤쪽에 단단히 밀착시킨다. 도가니 우물 안의 플런저는 빠르게 하강하여 용융 금속을 도가니 목으로 밀어 올리고 마우스피스 구멍을 통해 몰드 캐비티에 주입한다. 용융 금속 제트는 먼저 행렬의 주조면에 접촉한 다음 몰드 캐비티를 채워 단단한 슬러그 본체를 만든다. 여기에는 문자 모양이 새겨져 있어, 결과적으로 상단면에 라인의 문자 모양이 있는 주조된 ''슬러그''가 생성된다. 몰드 디스크는 때때로 수냉식으로, 종종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냉식으로 하여 용융 활자 합금의 열을 제거하고 주조된 슬러그가 빠르게 응고되도록 한다.

주조가 완료되면 플런저가 위로 당겨져 마우스피스에서 목을 통해 금속을 다시 아래로 당긴다. 포트는 몰드에서 뒤로 당겨진다. 몰드 디스크는 몰드와 완벽한 관계를 유지하는 바이스 스터드에서 후퇴하여 슬러그를 행렬에서 분리한다. 그런 다음 몰드 디스크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하는 동안 슬러그 베이스는 뒤 칼에 의해 높이가 용지(.918")로 트리밍된 다음 ''배출 블레이드'' 앞에 중립 위치로 돌아가고 ''칼 블록 어셈블리''와 정렬된다. 칼 블록 어셈블리는 고정 칼과 주조되는 몰드 라이너의 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칼로 구성된 한 쌍의 연마된 칼이다. 칼은 완벽하게 평행하게 설정된다. 왼쪽의 고정 칼은 슬러그의 매끄러운 측면(슬러그의 몰드 본체 면)에 닿아 옆으로 스치고, 오른쪽 칼은 슬러그의 립(슬러그의 몰드 캡 면)을 트리밍한다. 디스크는 몰드가 수직으로, 오른쪽에서 ''배출기'' 바로 앞에 있을 때 멈춘다.

배출기는 몰드 디스크의 몰드 구멍에서 완성된 슬러그를 밀어내는 일련의 좁은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는 고정 몰드 면과 블레이드의 왼쪽 측면 사이에 .004"의 간격이 있는 6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몰드를 통과할 만큼 좁다. 블레이드는 각각 폭이 2 파이카이며 배출에 관여하는 블레이드의 수는 주조되는 라인 길이에 따라 설정된다. 모든 블레이드는 30 파이카 슬러그에 관여하고, 슬러그 본체의 크기가 점차 더 긴 몰드 라이너를 사용하여 좁아짐에 따라 더 적은 블레이드가 관여한다. 이렇게 하면 배출 블레이드가 좁은 슬러그의 몰드 라이너 뒷면을 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러그가 몰드에서 밀려 나오면 슬러그는 칼 블록의 일련의 칼날을 통과하여 주조 시 작은 불규칙성을 트리밍하고 정확히 원하는 포인트 두께의 슬러그를 생성한다. 거기에서 슬러그는 주조된 순서대로 라인을 보관하는 ''갤리 트레이''로 떨어진다.

매트릭스가 배포 나사로 배포 막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매트릭스를 잡을 이빨이 있는 동안만 매달려 있게 된다. 매트릭스가 각 이빨이 배포 막대에서 잘려나간 이빨에 해당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해당 지점 아래의 매트릭스 채널로 떨어진다.

이빨의 패턴은 7비트 바이너리 코드이며, 노치의 바닥에 있는 가장 안쪽 쌍의 이빨이 가장 중요한 비트이다. 코드는 메인 매거진의 왼쪽에서부터 계산된다. 코드 0(이빨 없음)은 배포기에 전달되지 않는 스페이스 밴드용이다. 코드 1은 건너뛴다(라이노타이프 설명서에 이유는 나와 있지 않다). 코드 2부터 92까지는 91 채널 메인 매거진용이고, 그 위는 기계에 보조 매거진이 설치된 경우 보조 매거진용이다. 가장 넓은 보조 매거진은 34개의 채널을 가지므로 가장 오른쪽 채널은 코드 125이다. 코드 126은 사용되지 않고 코드 127은 파이 매트릭스(아래 설명)에 사용된다.

자기 잉크 문자 인식(MICR) 매트릭스, 코드 127용으로 절단됨.


조판술에서, 일반적이지 않거나 충분히 생소하여 잡지 채널에 할당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문자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자는 ''pi 문자'' 또는 ''정렬''이라고 한다. ("Pi"는 이 경우 느슨하거나 쏟아진 활자 관련 불분명한 인쇄 용어를 나타낸다.) 각주 표시, 드물게 사용되는 분수 및 수학 기호가 pi 문자의 예이다. 라이노타이프 기계에서 pi 매트릭스는 모든 이빨이 존재하므로(코드 127, 이빨이 잘려나가지 않음) 분배 막대에서 떨어지지 않으며 메인 또는 보조 잡지로 들어가지 않는다. 대신, 끝까지 이동하여 ''pi 슈트''라고 하는 유연한 금속 튜브로 들어가서 ''정렬 스태커''에 정렬되어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3. 2. 작동 원리

라이노타이프 기계는 크게 4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작동한다.[17]

# 매거진 (Magazine)

# 타자기 (Keyboard)

# 주조 기구 (Casting mechanism)

# 분배 기구 (Distribution mechanism)

작업자는 타자기를 통해 텍스트 행을 구성하여 장비와 상호 작용한다. 타자기의 글쇠를 누를 때마다 해당 글자가 새겨진 놋쇠 모형이 기계 상단의 매거진에서 내려와 90개의 세로 홈통을 따라 내려와 한 행에 나란히 놓인다. 한 행이 완성되면 주조 작업으로 넘어간다. 그 외 부분은 자동이며, 한 행이 완성이 될 때 시작된다.

주조 작업에서는 녹인 을 포함한 금속을 완성해놓은 한 행의 주형물에 붓는다. 금속이 식으면 글자가 앞으로 돌출된 좁은 막대의 활자가 되며, 이것을 슬러그(slug)라고 부른다. 슬러그는 '게라'라는 상자에 담기고, 빈 주형물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려낸다. 인쇄를 끝낸 슬러그는 녹여서 다시 사용한다.

일부 라이노타이프 기계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가 포함되어, 텔레그래프 회선(텔레타이프세터)을 통해 조판할 텍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었다.

조판 섹션에서 작업자는 키보드로 한 줄의 텍스트를 입력한다. 각 키를 누르면 매거진에서 매트릭스가 해제된다. 매트릭스는 채널을 통해 조립기로 이동하여 매트릭스가 해제된 순서대로 나란히 정렬된다. 공백이 필요할 때는 작업자가 ''스페이스밴드 레버''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스페이스밴드 박스에서 ''스페이스밴드''가 해제된다. 스페이스밴드는 매거진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매트릭스와 별도로 보관된다.

한 줄에 충분한 텍스트가 입력되면 작업자는 ''캐스팅 레버''를 누른다. 그러면 조립기에 있는 완성된 라인이 "전달 채널"의 두 손가락 사이로 들어 올려지고, 동시에 제자리에 고정하는 래치를 작동시킨다. 그런 다음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전달 채널이 라인을 기계의 캐스팅 섹션으로 운반하고, 캐스팅 섹션과 이후의 분배 섹션으로의 전송을 구동하는 클러치를 작동시킨다. 작업자는 이제 라인 작업을 마쳤으며 나머지 처리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라인이 주조되는 동안 작업자는 다음 라인의 텍스트 입력을 계속할 수 있다.

매트릭스가 매거진에서 배출되면, 어셈블러 전면의 파티션을 통해 빠르게 움직이는 벨트로 안내되어 어셈블러로 들어간다. 스페이스밴드 상자는 어셈블러 위에 위치하며, 밴드는 거의 직접 어셈블러 안으로 떨어진다. 움직이는 벨트 끝에는 빠르게 회전하는 '스타 휠'이 있는데, 이것은 들어오는 각 매트릭스나 스페이스밴드에 작은 충격을 주어 다음 매트릭스나 스페이스밴드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 스타 휠은 매트릭스와 밴드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페놀 타입 재질로 만들어진다.

어셈블러 자체는 매트릭스와 스페이스밴드를 잡고 있는 레일이며, 왼쪽 끝에는 원하는 행 너비로 설정된 턱이 있다. 작업자가 행이 거의 꽉 찼다고 판단하면, 키보드 하단의 주조 레버를 올려 해당 행을 라이노타이프 기계의 주조 섹션으로 '보낸다'. 해당 행에 대한 나머지 처리는 자동이다. 완성된 행이 주조 섹션으로 전송되면 작업자는 다음 텍스트 행을 구성하기 시작할 수 있다.

기계의 주조 섹션은 한 줄이 완성되면 작업자가 작동시켜 간헐적으로 작동했다. 전체 주조 사이클 시간은 9초 미만이었다. 주조 섹션의 동력은 클러치로 작동하는 드라이브가 큰 캠을 돌리는 방식에서 나왔다. 기계의 구조는 이전 줄이 매거진으로 반환되는 것과 다음 줄의 조립이 현재 줄이 주조되는 동안 모두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높은 생산성을 가능하게 했다.

구형 기계는 일반적으로 모터가 주요 클러치 휠에 기어 연결되어 있었으며, 주조 사이클이 작동하는 동안 내부 샤프트가 이 휠을 물고 있었다. 이 휠의 외부 가죽 벨트는 두 번째 잭샤프트를 구동했으며, 이 샤프트에서 추가적인 벨트를 통해 분배기, 키보드 매트릭스 컨베이어 및 이스케이프먼트를 구동했다. 가스식 포트가 초창기에 가장 흔했으며, 포트는 온도 조절되었고, 입구와 목을 가열하기 위한 두 번째 작은 버너가 있었다. 더 현대적인 설치는 처음에는 저항 조절이 가능한 입구 및 목 히터(전기 모델의 경우 수백 와트)를 갖춘 1500와트 전기 포트에서 작동했다. 1930년대에 V-벨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이후에는 새로운 기계와 36 EM 매트릭스 크기 이상의 대형 기계에서 일반적으로 모터가 더 표준적으로 사용되었다. 대형 기계에는 더 큰 가스 버너 또는 2250와트 포트 히터 및 더 큰 입구 및 목 히터가 있는 소위 '더블 포트'도 있었다. 가장 현대적인 라이노타입에는 입구 및 목 히터가 온도 조절되었다.

라이노타입 회사는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등유 히터와 라인 샤프트 작동 기계를 공급했다.

주조 섹션은 조립기에서 완성된 라인을 받아 라이노타입 기계의 산물인 활자 슬러그를 주조하는 데 사용한다. 주조 섹션은 자동이다. 작업자가 주조 레버를 올려 완성된 라인을 보내 활성화하면 일련의 캠과 레버가 매트릭스를 주조 섹션을 통해 이동시키고 슬러그를 생성하는 일련의 단계를 제어한다.

주조 재료는 (85%), 안티몬 (11%), 주석 (4%)[10]의 합금이며, 주조가 변형 및 불완전성을 개발하기 시작하기 전에 300,000번의 인쇄가 가능한 일체형 주조 슬러그를 생성하며, 활자를 다시 주조해야 한다.

용융 합금을 지속적으로 가열하면 혼합물에 있는 주석과 안티몬이 위로 올라가 다른 불순물과 함께 "드로스"라는 물질로 산화되어 걷어내야 한다. 과도한 드로스 형성은 납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합금이 연화되게 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분석하고 주석과 안티몬을 (특별히 배합된 합금 형태로) 다시 추가하여 합금의 원래 강도와 특성을 복원해야 한다.

조립기에서 조립된 행은 ''첫 번째 엘리베이터''를 통해 ''정렬 바이스''로 이동한다. 바이스에는 원하는 행 너비로 설정된 두 개의 턱(그림의 1 및 2)이 있다. 이제 공간 밴드가 확장되어 행을 정렬한다. 행이 정렬되면 매트릭스가 바이스 턱 사이에 꼭 맞게 들어가서 행을 주조할 때 용융 활자 금속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을 형성한다.

정렬은 스프링이 장착된 램(5)에 의해 수행되며, 이 램은 공간 밴드의 꼬리를 들어 올린다.[11] 작업자가 충분한 문자를 조립하지 않은 경우 행이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는다. 공간 밴드를 최대로 확장하더라도 매트릭스가 조이지 않는다. 정렬 바이스의 안전 메커니즘이 이를 감지하고 주조 작업을 차단한다.

정합 바이스는 조립된 라인을 ''몰드 디스크''의 면에 고정한다. 몰드 디스크에는 제작될 ''슬러그''(주조 라인)의 라인 길이와 포인트 두께에 해당하는 사각형 구멍이 있다. ''몰드 라이너''는 특정 슬러그 치수에 맞게 이러한 구멍에 들어간다. 일반적인 라인캐스터의 최대 라인 길이는 30 파이카이다.

몰드 디스크 바로 뒤에는 약 279.4°C의 최적 온도에서 녹은 활자 합금이 들어 있는 도가니가 있다. 주조 직전, 몰드 디스크는 슬라이드 위로 앞으로 이동한다. 몰드 디스크의 스터드는 바이스의 블록과 맞물려 몰드 디스크가 부드럽게, 하지만 단단하고 직각으로 첫 번째 엘리베이터 조에 고정되고 바이스 조 사이에 고정된 행렬 라인에 닿도록 한다. 바이스 조는 행렬 라인을 압축하여 주조 시 용융 금속이 매트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가니는 앞으로 기울어져 마우스피스를 몰드의 뒤쪽에 단단히 밀착시킨다. 도가니의 우물에 있는 플런저는 빠르게 하강하여 용융 금속을 도가니 목으로 밀어 올리고 마우스피스의 구멍을 통해 몰드 캐비티에 주입한다. 용융 금속 제트는 먼저 행렬의 주조면에 접촉한 다음 몰드 캐비티를 채워 단단한 슬러그 본체를 만든다. 이들에는 문자 모양이 새겨져 있어, 결과적으로 상단면에 라인의 문자 모양이 있는 주조된 ''슬러그''가 생성된다. 몰드 디스크는 때때로 수냉식으로, 종종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냉식으로 하여 용융 활자 합금의 열을 제거하고 주조된 슬러그가 빠르게 응고되도록 한다.

주조가 완료되면 플런저가 위로 당겨져 마우스피스에서 목을 통해 금속을 다시 아래로 당깁니다. 포트는 몰드에서 뒤로 당겨진다. 몰드 디스크는 몰드와 완벽한 관계를 유지하는 바이스 스터드에서 후퇴하여 슬러그를 행렬에서 분리한다. 그런 다음 몰드 디스크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하는 동안 슬러그 베이스는 뒤 칼에 의해 높이가 용지(약 2.33cm)로 트리밍된 다음 ''배출 블레이드'' 앞에 중립 위치로 돌아가고 ''칼 블록 어셈블리''와 정렬된다. 칼 블록 어셈블리는 고정 칼과 주조되는 몰드 라이너의 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칼로 구성된 한 쌍의 연마된 칼이다. 칼은 완벽하게 평행하게 설정된다. 왼쪽의 고정 칼은 슬러그의 매끄러운 측면(슬러그의 몰드 본체 면)에 닿아 옆으로 스치고, 오른쪽 칼은 슬러그의 립(슬러그의 몰드 캡 면)을 트리밍한다. 디스크는 몰드가 수직으로, 오른쪽에서 ''배출기'' 바로 앞에 있을 때 멈춥니다.

배출기는 몰드 디스크의 몰드 구멍에서 완성된 슬러그를 밀어내는 일련의 좁은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는 고정 몰드 면과 블레이드의 왼쪽 측면 사이에 약 0.01cm의 간격이 있는 6포인트 두께로 설정된 몰드를 통과할 만큼 좁다. 블레이드는 각각 폭이 2 파이카이며 배출에 관여하는 블레이드의 수는 주조되는 라인 길이에 따라 설정된다. 모든 블레이드는 30 파이카 슬러그에 관여하고, 슬러그 본체의 크기가 점차 더 긴 몰드 라이너를 사용하여 좁아짐에 따라 더 적은 블레이드가 관여한다. 이렇게 하면 배출 블레이드가 좁은 슬러그의 몰드 라이너 뒷면을 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러그가 몰드에서 밀려 나오면 슬러그는 칼 블록의 일련의 칼날을 통과하여 주조 시 작은 불규칙성을 트리밍하고 정확히 원하는 포인트 두께의 슬러그를 생성한다. 거기에서 슬러그는 주조된 순서대로 라인을 보관하는 ''갤리 트레이''로 떨어진다.

라이노타이프 기계의 가장 중요한 혁신은 분배 단계를 자동화했다는 것이다. 즉, 행렬과 스페이스 밴드를 각 매거진의 올바른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는 '분배기'에 의해 수행된다.

주조가 완료되면 행렬은 '두 번째 엘리베이터'로 밀려 올라가 매거진 상단에 있는 '분배기'로 이동한다. 스페이스 밴드는 이 시점에서 분리되어 스페이스 밴드 상자로 반환된다.

행렬에는 상단에 이빨 패턴이 있어 '분배기 바'에 걸린다. 일부 이빨은 잘려나간다. 어떤 이빨 패턴이 잘려나가는지는 행렬의 문자에 따라 달라진다. 즉, 매거진의 어떤 채널에 속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분배기 바의 일부를 따라 이빨이 잘려나간다. 엘리베이터의 바에는 모든 이빨이 있어 모든 행렬을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이빨이 전혀 없는 스페이스 밴드는 제외).

매트릭스가 배포 나사로 배포 막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매트릭스를 잡을 이빨이 있는 동안만 매달려 있게 된다. 매트릭스가 각 이빨이 배포 막대에서 잘려나간 이빨에 해당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해당 지점 아래의 매트릭스 채널로 떨어지게 된다.

이빨의 패턴은 7비트 바이너리 코드이며, 노치의 바닥에 있는 가장 안쪽 쌍의 이빨이 가장 중요한 비트이다. 코드는 메인 매거진의 왼쪽에서부터 계산된다. 코드 0(이빨 없음)은 배포기에 전달되지 않는 스페이스 밴드용이다. 코드 1은 건너뛴다. 코드 2부터 92까지는 91 채널 메인 매거진용이고, 그 위의 코드는 기계에 보조 매거진이 설치된 경우 보조 매거진용이다. 가장 넓은 보조 매거진은 34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장 오른쪽 채널은 코드 125이다. 코드 126은 사용되지 않고 코드 127은 파이 매트릭스에 사용된다.

4. 혁신성과 영향

라이노타이프는 키보드를 타건하여 활자를 배열하고 이를 주형으로 삼아 녹인 을 부어 신문 등의 인쇄 판형을 제작하는 장치이다. 단어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가로 한 줄을 통째로 활자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활판 인쇄의 여러 공정을 한 명의 기술자 손에 집중시키는 혁명적인 것이었다. 활자 모형은 측면에 각 문자마다 다른 홈을 가진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타건 조작을 하면 스톡에서 캔 음료 자동 판매기처럼 수직 튜브 안으로 떨어져 일정한 위치에 순차적으로 놓인다. 한 줄의 조판이 끝나면 주조부로 이동하여 활자 합금이 흘러 들어가 판이 만들어진다. 사용된 모형은 해판되어 각 문자의 스톡으로 자동적으로 돌아간다. 이때 모형 측면에 새겨진 형태로 기계는 자동으로 문자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다.[12]

5. 대중문화 속 라이노타이프

1886년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처음 발표한 라이노타이프는 1900년대에 지방 신문사 등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점차 판 자체를 주조할 수 있는 장치로 대체되었고, 현재는 사진 식자·DTP의 융성 속에 사라졌다.[1]

작가 프레드릭 브라운은 종종 단편 소설에 라이노타이프를 등장시켰다. 예를 들어, "ETAOIN SHRDLU"를 들 수 있다.[1]

환상 특급 시즌 9 제4화 "프린터의 악마(원제: Printer's Devil)"에서는, 고용된 신문 기자가 라이노타입으로 입력하는 장면과 라이노타입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다.[1]

도쿄의 인쇄 박물관에 라이노타이프의 실물과 모형, 설명 비디오가 전시되어 있다.[1]

1930년 (쇼와 5년), 일본 타입라이터사는 라이노타입과 국문 타자기를 절충한 기기를 고안했다. 손으로 활자를 조판하면 1분당 약 20자 속도를 기계로 약 30자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주목을 받았지만, 참고 가격이 1대 8500JPY으로 고가인 등의 이유로 보급되지 못했다.[1]

참조

[1] 뉴스 End of story for Linotype https://news.google.[...] 1970-11-26
[2] 뉴스 Linotype at 50 http://www.time.com/[...] 2009-01-07
[3] 서적 The World Book Encyclopedia 1972
[4] 서적 The Almanac of American Letters William Kaufmann, Inc. 1981
[5] 웹사이트 The Saguache crescent 2023 archives https://sag.stparchi[...]
[6] 웹사이트 Today's news in centuries-old style https://www.latimes.[...] 2013-08-10
[7] 웹사이트 A Colorado Newspaper That's also a Time Machine http://www.cbsnews.c[...] CBS News 2014-03-01
[8] 웹사이트 Le Démocrate de l'Aisne https://www.tourisme[...]
[9] 서적 Printer 1 https://books.google[...] 1954
[10] 기타 Typesetting https://archive.org/[...]
[11] 문서 Linotype Hydraquadder Parts Catalog Number 58
[12] 문서 誤植が発見された場合、モノタイプならばピンセットなどを用いて一文字単位で訂正ができるが、ライノタイプでは一行まるごと打ち直す必要があった。ミスタイプの際に一行の残りを埋めるのに打鍵したのが「[[etaoin shrdlu]]」という無意味な文字列である
[13] 뉴스 印刷会の革命児、邦文ライノタイプ完成 大阪毎日新聞 1930-08-03
[14] 서적 기계공학용어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5-03-01
[15] 인용 Maintaining Reading Efficiency Holt
[16] 인용 The Almanac of American Letters William Kaufmann
[17] 웹인용 chapter 1 http://www.linotype.[...] 2016-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