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 필드 카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1908년 가브리엘 립만에 의해 처음 제안된 기술로, 촬영 후 초점 및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초기에는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사용한 적분 사진 형태로 연구되었으며, 2004년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진이 촬영 후 초점을 맞출 수 있는 16메가픽셀 카메라를 시연하며 발전했다. 현재는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 초점 플레놉틱 카메라, 코드화된 조리개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메타렌즈 배열을 활용한 기술도 등장했다.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가변 피사계 심도, 빠른 속도, 저조도 감도, 3D 보기 등의 특징을 가지며, 교육,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라이트로(Lytro)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상용화한 대표적인 회사였으나, 2018년 영업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카메라 - 열화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감지해 물체의 온도 분포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냉각 장치 사용 여부에 따라 양자형과 비냉각형으로 나뉘며 군사 목적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기술 발전과 가격 하락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 유형별 카메라 -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는 소니에서 개발하여 2013년에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4용 주변기기로, 모션 감지, 음성 명령, 비디오 녹화 기능을 제공하며, 플레이스테이션 VR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 현미경 - 마이크로그라피아
로버트 훅의 마이크로그라피아는 현미경으로 관찰한 대상들의 정밀한 기록과 구리판화를 통해 미세 세계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과학적 관심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 현미경 - 전자현미경
전자현미경은 전자선을 이용하여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 한계를 넘어선 고배율 이미지를 얻는 현미경으로, 투과 전자 현미경, 주사 전자 현미경,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생물학, 재료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시료 준비, 장비 및 유지 비용, 진공 환경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광학 기기 - 안경
안경은 시력 교정, 눈 보호, 패션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하며, 최근에는 스마트 기술이 접목되어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 광학 기기 - 광전관
광전관은 광전 효과를 활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서로, 빛이 광음극에 닿으면 방출된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 세기는 입사광의 세기와 주파수에 비례한다.
라이트 필드 카메라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카메라 |
발명 | 가브리엘 리프만 (1908년, 통합 사진) |
관련 항목 | 컴퓨터 그래픽스 홀로그래피 3차원 디스플레이 |
기술적 세부 사항 | |
설명 | 기존 카메라와 달리,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색상과 강도 정보 외에도 빛의 방향 정보도 기록한다. |
주요 특징 | 사후 초점 조절 시점 변경 피사계 심도 확장 |
원리 | |
기본 원리 |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사용하여 빛의 방향 정보를 캡처한다. |
작동 방식 | 각 마이크로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작은 영역에 빛을 집중시켜, 빛의 방향과 위치를 동시에 기록한다. |
응용 분야 | |
활용 분야 | 3차원 이미징 가상 현실 의료 이미징 보안 및 감시 자동 운전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사후 초점 조절 가능 시점 변경 가능 피사계 심도 확장 가능 |
단점 | 기존 카메라에 비해 해상도가 낮을 수 있음 데이터 처리량이 많음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렌즈 기반 카메라 카메라 광학 |
2. 역사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빛이 들어오는 방향 정보까지 기록하여, 촬영 후에도 초점이나 피사계 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이미지 센서 앞에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배치하여 구현된다.[40][41] 이러한 특징 덕분에 초기에는 큰 기대를 모았으나, 실제 상용화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41]
2. 1. 초기 연구
최초의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1908년 가브리엘 립만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는 자신의 개념을 "적분 사진"이라고 불렀다. 립만의 실험 결과에는 마이크로렌즈의 정렬된 배열이 새겨진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거나, 사진 유제 표면에 무작위 패턴으로 촘촘하게 채워진 작은 유리 구슬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만든 초기 형태의 적분 사진이 포함되었다.1992년, 아델슨(Adelson)과 왕(Wang)은 스테레오 매칭의 대응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설계를 제안했다.[3] 이 설계에서는 카메라 주 렌즈의 초점면에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배치하고, 이미지 센서는 마이크로렌즈 뒤에 약간 떨어진 위치에 둔다.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면 초점이 맞지 않는 부분의 변위를 통해 깊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2. 2.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는 연구자들이 다양한 설계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학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센서의 이미지 평면으로부터 한 초점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마이크로렌즈가 배치된다.[4][5][6]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미지 센서 앞면에 마이크로렌즈 배열(다수의 미세 렌즈 집합체)을 배치하여, 여러 개의 화소가 마치 하나의 카메라처럼 작동한다. 이를 통해 빛의 밝기(명암)뿐만 아니라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한 정보까지 기록할 수 있다.[40][41] 이렇게 기록된 정보는 이미지 처리 과정을 거쳐 촬영 후에도 초점을 바꾸거나 입체 이미지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41]
2004년,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소 팀은 16메가픽셀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 촬영 후 초점을 다시 맞출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보여주었다. 이 시스템에는 90,000개의 마이크로렌즈 배열이 사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90킬로픽셀의 해상도를 얻었다.[4]
연구에 따르면,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의 최대 기준선(baseline)은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 비해 주 렌즈의 입구 동공 크기가 작아 제한적이다.[3][7] 하지만 이는 카메라의 매개변수를 통해 예측 가능한 특정 거리에서 깊이 해상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근거리 촬영 응용 분야에 더 적합할 수 있다.[8]
초점 조절이 필요 없다는 혁신적인 특징 덕분에 측역 센서로의 활용 가능성도 제기되어 한때 보급이 기대되었으나, 실제 상용화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라이트 필드 카메라 기술의 선구자였던 Lytro사 역시 신규 개발을 중단했다.[41]
2. 3. 초점 플레놉틱 카메라 (Focused plenoptic camera)
Lumsdaine과 Georgiev는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주 렌즈의 초점면 앞이나 뒤에 배치하는 설계를 제안했다. 이 방식은 광선을 샘플링할 때 각도 해상도를 낮추는 대신 더 높은 공간 해상도를 얻는 특징이 있다. 이런 설계를 통해 표준 플레놉틱 카메라보다 훨씬 높은 공간 해상도로 이미지의 초점을 다시 맞출 수 있다. 하지만 각도 해상도가 낮아지면 앨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2. 4. 코드화된 조리개 카메라 (Coded aperture camera)
2007년에는 기존의 마스크 대신 저렴한 비용의 인쇄 필름을 사용하는 설계 방식이 제안되었다.[9] 이 방식은 색수차를 줄이고,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서 발생하는 경계 픽셀 손실을 감소시키며, 더 높은 공간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스크 기반 설계는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줄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미지의 밝기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2. 5. 메타렌즈 배열 (Metalens array)
2022년,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3cm에서 1.7km의 초점 범위를 가진 장치를 발표했다. 이 장치는 39x39개 요소의 이산화 티타늄 메타렌즈 배열을 사용했다. 각 메타렌즈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만들기 위해 오른쪽 또는 왼쪽 원형 편광되어 있다. 각 메타렌즈는 직사각형 모양이었으며, 빛은 직사각형의 짧은 면과 긴 면을 통해 개별적으로 라우팅되어 이미지에 두 개의 초점을 생성한다. 메타렌즈 간의 차이는 알고리즘으로 보정되었다.[1][2]3. 특징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와는 다른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곤충의 겹눈과 유사하게, 이미지 센서 전면에 다수의 미세 렌즈 집합체인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 구조 덕분에 카메라는 단순히 빛의 밝기(명암) 정보뿐만 아니라,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한 정보까지 기록할 수 있다.[40][41]
이렇게 기록된 광선 방향 정보는 이미지 처리 과정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촬영 후에도 이미지의 초점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14], 입체 이미지(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41][18][19] 또한, 촬영 시 렌즈의 초점을 미리 맞출 필요성이 적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포착하는 데 유리하며[16], 후처리 초점 조절 기능을 활용해 더 큰 조리개를 사용함으로써 저조도 환경에서의 촬영 성능을 높일 수도 있다.[16][17]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초점 조절이 필요 없는 획기적인 기술로 주목받았으며, 측역 센서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기술적인 한계와 시장 상황 등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며, 대표적인 개발사였던 Lytro는 신규 개발을 중단한 상태이다.[41]
3. 1. 가변 피사계 심도 및 재초점
라이트로 카메라의 "포커스 스프레드" 기능은 사진 촬영 후 라이트로 이미지의 2차원 표현에서 피사계 심도(초점 심도)를 조절할 수 있다.[14] 특정 거리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포커스 스프레드" 기능을 사용하면 2D 이미지의 더 넓은 영역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 전체 영역에 초점을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예술적인 효과를 위해 특정 거리에 맞춰 2D 이미지의 초점을 다시 맞추는 "재초점"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라이트로 일룸(Illum) 모델의 경우, 렌즈의 광학 초점 및 줌 링을 사용하여 "재초점 가능" 및 "포커스 스프레드 가능" 범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일룸은 또한 서로 다른 깊이에서 3개 또는 5개의 연속 이미지를 촬영하여 재초점 가능 범위를 확장하는 "초점 브라케팅" 기능도 제공한다.[15]3. 2. 속도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사진 촬영 전 렌즈 초점을 미리 맞출 필요성이 적어, 기존의 자동 초점 방식 디지털 카메라보다 빠르게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16] 이러한 특징은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정확히 추적하기 어려워 촬영 기회를 놓치기 쉬운 스포츠 사진 분야 등에서 장점으로 작용한다.3. 3. 저조도 감도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촬영 후 소프트웨어를 통해 초점을 다시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기존 카메라보다 더 큰 조리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빛이 부족한 저조도 환경에서도 사진 촬영에 유리하다.[16][17]3. 4. 3D 보기
플렌옵틱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 앞에 배치된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통해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한 정보, 즉 깊이 정보를 기록한다.[40][41] 이렇게 기록된 깊이 정보를 바탕으로, 단 한 번의 촬영으로 얻은 이미지에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차원(3D) 보기를 구성할 수 있다.[18][19] 이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입체 이미지를 얻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41] 이 방식으로 생성된 3D 보기는 단순히 두 개의 시점을 가진 스테레오 이미지와는 구별되며, 필요하다면 스테레오 이미지 역시 생성할 수 있다.[18][19]4. 제조사 및 제품
라이트로(Lytro)가 대표적인 라이트 필드 카메라 제조사였으나, 현재는 신규 개발을 종료한 상태이다.[41]
4. 1. 제품
라이트로(Lytro)는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소 출신인 렌 응이 대학원생 시절 개발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상용화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이다.[20] 라이트로 카메라는 기존 이미지 센서 앞에 마이크로렌즈 배열을 배치하여, 빛의 강도, 색상뿐만 아니라 방향 정보까지 감지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10] 이 방식은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여러 개의 미세 렌즈가 모여 복수의 화소로 광선의 명암과 입사 방향 정보를 기록한다.[40][41]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후처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초점을 맞춘 2D 이미지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11][41] 즉, 촬영 후에도 자유롭게 초점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1] 라이트로 카메라는 특정 거리에서의 최대 2D 해상도를 확보하는 대신 다른 거리에서의 해상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대표 모델인 'Illum'의 경우 최대 2D 해상도는 2450 × 1634 (4.0 메가픽셀)이며, 3D 라이트 필드 해상도는 40 "메가레이"(Megaray) 수준이다.[12] 초기 모델의 최대 2D 해상도는 1080 × 1080 픽셀(약 1.2 메가픽셀)이었다.[13] 초점 조절이 필요 없는 혁신적인 기술로 측역 센서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41] 실제 보급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고, 라이트로는 2018년 3월에 영업을 중단하며 신규 개발 또한 종료했다.[37][41]
레이트릭스(Raytrix)는 2010년부터 산업 및 과학 응용 분야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플레놉틱 카메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1 메가픽셀 이상의 시야를 가진 모델부터 시작한다.[21][22]
이 외에도 d'Optron은 현미경 분야에 특화된 플레놉틱 카메라를, Rebellion Photonics는 가스 누출 감지에 특화된 플레놉틱 카메라를 각각 제공하고 있다.
4. 2. 시제품 (Prototypes)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소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와 유사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사용하여 라이트 필드 현미경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이 프로토타입은 니콘 이클립스 투과형 현미경/광시야 형광 현미경 및 표준 CCD 카메라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대물렌즈와 카메라 사이의 광학 경로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모듈을 배치하여 라이트 필드 정보를 획득하며, 최종 다중 초점 이미지는 디컨볼루션 기법으로 생성된다.[33][34][35] 이후, 비디오 프로젝터(조명의 계산 제어 가능)와 현미경 조명 경로 내 두 번째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로 구성된 라이트 필드 조명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사광 조명, 준암시야 현미경 등 추가적인 조명 방식 구현 및 광학 수차 보정이 가능해졌다.[34]어도비 시스템즈는 1억 화소급 라이트 필드 카메라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이 카메라는 독특하게 구성된 19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초점이 맞춰진 장면의 스테레오 카메라 사진을 촬영한다. 각 렌즈는 520만 화소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촬영된 각 이미지는 추후 원하는 대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26]
CAFADIS는 라 라구나 대학교(스페인)에서 개발한 플레놉틱 카메라이다.[27] CAFADIS는 스페인어로 위상-거리 카메라(Phase-Distance Camera)를 의미하며, 거리와 광학 파면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한 번의 촬영으로 서로 다른 거리에 초점이 맞춰진 이미지, 깊이 맵, 전체 초점 이미지, 스테레오 쌍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한 광학 설계는 천체 물리학의 적응 광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미쓰비시 전기 연구소(MERL)의 라이트 필드 카메라[9]는 광학 헤테로다인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센서 근처에 인쇄된 필름(마스크)을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센서 위에 저렴한 필름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일반 휴대용 카메라를 라이트 필드 카메라로 변환할 수 있게 한다.[28] 마스크 기반 설계는 장면에서 초점이 맞은 부분에 대해 고해상도 사진을 생성할 수 있어 해상도 손실 문제를 완화한다.
펠리컨 이미징은 소비자 가전 제품용으로 얇은 멀티 카메라 어레이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펠리컨의 시스템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이미지 센서 대신 4개에서 16개의 근접 배치된 마이크로 카메라를 사용한다.[23] 노키아는 2014년 자사 스마트폰에 탑재할 목적으로 16개 렌즈 어레이를 갖춘 플레놉틱 카메라 시스템 생산을 위해 펠리컨 이미징에 투자했다.[24] 펠리컨은 이후 독립형 어레이 카메라보다는, 장치의 주 카메라에 깊이 감지 기능을 추가하는 보조 카메라 설계를 추진했다.[25]
베드퍼드셔 대학교와 ARRI는 협력을 통해 맞춤형 플레놉틱 카메라를 개발했다. 이 카메라는 레이 모델을 이용하여 라이트 필드 기하학 정보와 실제 객체 거리를 검증하는 데 사용되었다.[6][7]
2021년 11월, 독일 회사 K|Lens[36]는 킥스타터에서 모든 표준 렌즈 마운트에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라이트 필드 렌즈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2년 1월에 취소되었다.
표준 디지털 카메라를 개조하는 데는 적절한 마이크로렌즈 재료 시트만 있으면 되므로, 많은 취미가들이 직접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제작하기도 한다. 이렇게 제작된 카메라는 촬영 후 이미지 처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거나 방향 정보를 얻는 데 활용될 수 있다.[29]
5. 응용 분야
(내용 없음)
5. 1. 교육
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라이트 필드 사진 이미지를 온라인 해부학 모듈에 통합하는 것이 해부된 시체의 전통적인 사진을 사용한 동일 모듈과 비교했을 때 학습 결과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0]5. 2. 보안
플레놉틱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을 넘어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하는 데 적합하며, 보안 카메라와 같이 자동 초점이 실용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31] 플레놉틱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보안 카메라 녹화는 촬영 대상의 정확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32]6. 소프트웨어
Lytro Desktop은 Lytro 카메라로 촬영한 라이트 필드 사진을 렌더링하기 위한 크로스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이었다. 구글이 Lytro를 인수한 이후 더 이상 유지 관리되지 않으며 소스 코드는 공개되지 않았다.[37]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오픈 소스 도구가 등장했다. Lytro 타입 카메라 처리를 위한 Matlab 도구를 찾아볼 수 있다.[38] [https://www.github.com/hahnec/plenopticam PlenoptiCam]은 Lytro 및 맞춤형 플레놉틱 카메라를 위한 GUI 기반 응용 프로그램으로,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을 지원하며 소스 코드가 온라인에 공개되어 있다.[39]
7. 일본의 라이트 필드 카메라 연구
일본에서도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 기초 연구부터 시작하여 3차원 계측,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렌즈 없는 카메라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주요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저자 (주요) | 연구 내용 (요약) | 비고 (기관/국적 등) | 각주 |
---|---|---|---|---|
1998 | 가나데 다케오, 사이토 히데오, 베둘라 S. | 3D 룸: 동기화된 다중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한 시변 3D 이벤트 디지털화 | CMU (일본인 연구자 포함) | |
2002 | 레보이 M. | 스탠퍼드 구형 갠트리 | 스탠퍼드 대학교 | |
2002 | 양 J.C. 외 | 실시간 분산형 라이트 필드 카메라 | UNC Chapel Hill, MIT | |
2004 | 바이쉬 바이브 외 | 평면+시차를 사용한 밀집 카메라 배열 보정 | 스탠퍼드 대학교 | |
2005 | 응 R. 외 | 휴대용 플레놉틱 카메라를 이용한 라이트 필드 사진 | 스탠퍼드 대학교 | |
2005 | 윌번 B. 외 | 대형 카메라 어레이를 사용한 고성능 이미징 | 스탠퍼드 대학교 | |
2005 | 응 렌 외 | 휴대용 플레놉틱 카메라를 이용한 라이트 필드 사진 (기술 보고서) | 스탠퍼드 대학교 | |
2006 | 레보이 M. 외 | 라이트 필드 현미경 | 스탠퍼드 대학교 | |
2014 | 가노 히로시 | 비접촉 3차원 계측 기술과 라이트 필드 카메라 | 교토 산업대학 (일본) | |
2015 | 엔도 유 외 |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이용한 컴퓨터 합성 홀로그램의 광학 재생 | 지바 대학 등 (일본) | |
2017 | 코이케 타카후미 | 라이트 필드 카메라 & 디스플레이 | (일본) | |
2017 | 엔도 유 | 라이트 필드 카메라 및 압축 센싱을 사용한 홀로그래피 연구 | 지바 대학 (일본) | |
2017 | 니시우라 히로미 외 | 렌즈 없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서의 실시간 현상 처리 개발 | (일본) |
특히 가노 히로시, 엔도 유, 코이케 타카후미, 니시우라 히로미 등 일본 연구자들은 비접촉 3차원 계측,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기술과의 연계, 렌즈 없는 카메라 시스템 개발 등 라이트 필드 기술의 실용화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cord-breaking camera keeps everything between 3 cm and 1.7 km in focus
https://newatlas.com[...]
2022-04-29
[2]
논문
Trilobite-inspired neural nanophotonic light-field camera with extreme depth-of-field
2022-04-19
[3]
논문
Single Lens Stereo with Plenoptic Camera
[4]
웹사이트
Light Field Photography with a Hand-Held Plenoptic Camera
http://graphics.stan[...]
[5]
간행물
The Focused Plenoptic Camera
http://www.tgeorgiev[...]
ICCP
2009-04
[6]
논문
Refocusing distance of a standard plenoptic camera
2016
[7]
논문
Baseline and Triangulation Geometry in a Standard Plenoptic Camera
2017
[8]
웹사이트
Light field geometry estimator
http://www.plenoptic[...]
2018-03-27
[9]
간행물
Dappled Photography: Mask Enhanced Cameras for Heterodyned Light Fields and Coded Aperture Refocusing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2007-07
[10]
웹사이트
Doubts About Lytro's "Focus Later" Camera
https://techcrunch.c[...]
TechCrunch
2011-07-23
[11]
뉴스
CES 2012: Lytro Photowalk
http://www.dpreview.[...]
DP Review
2012-01-13
[12]
웹사이트
Lytro Illum 40 Megaray Light Field Camera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4-10-19
[13]
웹사이트
Lytro camera: 5 things to know before you buy
http://news.cnet.com[...]
CNET
2011-10-26
[14]
웹사이트
Lytro software update introduces Focus Spread feature
http://www.dpreview.[...]
DPREVIEW
2015-03-25
[15]
웹사이트
Depth Composition Features
http://manuals.lytro[...]
Lytro
[16]
웹사이트
Meet the Stealthy Start-Up That Aims to Sharpen Focus of Entire Camera Industry
http://allthingsd.co[...]
All Things Digital
[17]
뉴스
Shoot First, Focus Later With Lytro's New Camera Tech
https://www.forbes.c[...]
2011-06-21
[18]
웹사이트
3D imaging and wavefront sensing with a plenoptic objective
http://spie.org/x478[...]
SPIE
2011-04-01
[19]
웹사이트
Plenoptic lens arrays signal future?
http://www.tvbeurope[...]
TVB Europe
2011-09-23
[20]
웹사이트
Lytro website
https://www.lytro.co[...]
2011-10-30
[21]
웹사이트
One Camera With 40,000 Lenses Helps Prevent Blurry Images
https://www.popsci.c[...]
2019-03-18
[22]
웹사이트
The First Plenoptic Camera on the Market | PetaPixel
https://petapixel.co[...]
2010-09-23
[23]
웹사이트
Pelicanimaging.com
http://www77.pelican[...]
[24]
웹사이트
Pelican Imaging's 16-lens array camera coming to smartphones next year
https://www.engadget[...]
2013-05-02
[25]
웹사이트
Pelican Imaging Layoffs?
http://image-sensors[...]
2015-07-25
[26]
웹사이트
PopSci's How It Works – 100 Megapixel Camera
http://www.time4.com[...]
Popular Science
2009-07-26
[27]
웹사이트
CAFADIS - University of la Laguna
http://www.cafadis.u[...]
[28]
웹사이트
Lytro vs Mask Based Light Field Camera
http://www.umiacs.um[...]
2013-12-31
[29]
웹사이트
Lightfield Camera
http://cameramaker.s[...]
[30]
논문
Incorporation of Light Field Photography into an Online Anatomy Resource Does Not Influence Student Quiz Performance or Perceptions of Usability
2017-09
[31]
웹사이트
Polydioptric Camera Design - VideoGeometry :: Home Page of Jan Neumann
https://sites.google[...]
[32]
웹사이트
Computer scientists create a 'light field camera' that banishes fuzzy photos
http://news.stanford[...]
2005-11-03
[33]
논문
Light Field Microscopy
http://www.graphics.[...]
[34]
논문
Recording and controlling the 4D light field in a microscope
http://www.graphics.[...]
[35]
웹사이트
Stanford Light Field Microscope Project
http://www.graphics.[...]
[36]
웹사이트
KLens company
https://www.k-lens.d[...]
[37]
웹사이트
Google is buying Lytro for about $40M
https://techcrunch.c[...]
2018-03-21
[38]
웹사이트
LightFieldToolbox
https://www.mathwork[...]
[39]
웹사이트
PlenoptiCam Software
https://github.com/h[...]
[40]
간행물
ライトフィールドカメラ Lytro の動作原理とアルゴリズム.
http://www.cc.kyoto-[...]
2013
[41]
웹사이트
ライトフィールドカメラの原理
https://www.photose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