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리야수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일리야수쿠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유럽의 강과 호수에서 서식했던 악어의 일종이다. 1902년 영국 브리스틀 퇴적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프리드리히 폰 후네가 명명했으며, 1961년 오스카 쿤에 의해 현재의 학명이 되었다. 넓게 확장된 두개골과 물갈퀴 형태의 발,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모식 표본은 피토사우루스와 테코돈토사우루스 척추뼈로 구성된 키메라로 밝혀져, 현재는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시노코노돈
시노코노돈은 고슴도치 크기의 멸종된 포유류형 동물로, 파충류와 포유류의 특징을 지녀 포유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과도기 화석이며, 다환치성과 지속적인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류형류이다. - 196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메소리노수쿠스
메소리노수쿠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살았던 악어의 일종으로, 물갈퀴 발과 등쪽의 가시,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으며 유럽의 강과 호수에서 서식했다. - 19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테고케라스
스테고케라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류 공룡의 한 속으로, 두껍고 돔 형태의 두개골이 특징이며, 종내 경쟁, 성적 과시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 19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몰타하마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파라수쿠스
파라수쿠스는 부푼 코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멸종된 파충류로, 인도와 아시아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돌레로사우루스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오스트리아 지역에 살았던 기초적인 이궁류 파충류 속으로, 한때 피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에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작은 크기와 희소한 화석으로 인해 정보가 부족하지만 잡식성으로 추정된다.
라일리야수쿠스 | |
---|---|
기본 정보 | |
속(屬) | 라일리야수쿠스 |
학명 | Rileyasuchus |
명명자 | 쿤, 1961년 |
종(種) | bristolensis |
명명자 | (폰 후에네, 1902년) |
동의어 | Rileya bristolensis (폰 후에네, 1902년) (선취) |
화석 발견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
2. 특징
라일리야수쿠스는 넓게 확장된 부분적인 두개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발은 물갈퀴와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어 물속에서 헤엄치기 유리했는데, 이는 다른 피토사우루스과의 공통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수중 생활 적응의 결과로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더 길다. 양 턱에는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이빨이 15개에서 20개 정도 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먹이를 붙잡고 자르거나 베어 삼켰을 것으로 보인다. 식성 면에서는 물고기나 갑각류 같은 동물성 먹이뿐만 아니라 양치식물과 같은 식물성 먹이도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잡식성 파충류이다.
2. 1. 고생물학
피토사우루스류에 속하는 라일리야수쿠스는 반 수생 생활을 하며 악어와 비슷한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 역사와 분류
프리드리히 폰 후네는 브리스틀 퇴적층에서 발견된 두 개의 척추뼈와 상완골을 근거로 이 새로운 속의 이름을 명명했다.[3] 그는 1908년까지 그것을 펠레오사우루스 속의 종으로 인식했으며, 당시 몇몇 다른 종들도 이 속에 포함되었다.[4]
20세기 대부분 동안 라일리야수쿠스는 학계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다만, 오스카 쿤이 1961년 속명을 ''Rileya''에서 ''Rileyasuchus''로 변경한 것이 예외적이다.[5] 1994년 에이드리언 헌트는 박사 논문에서 라일리야수쿠스가 헤레라사우루스과에 속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나, 이 주장은 정식으로 출판되지 않았다.[6]
2000년, 벤턴과 다른 연구자들은 모식 표본이 실제로는 식물악어류의 상완골과 테코돈토사우루스의 척추뼈가 섞인 키메라라는 사실을 밝혀냈다.[7] 따라서 라일리야수쿠스는 현재 의문명(nomen dubium)으로 간주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4. 생존 시기, 서식지 및 화석 발견
라일리야수쿠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금으로부터 약 2억 년 전에서 1억 8천만 년 전 사이에 생존했던 악어이다. 생존 당시에는 주로 유럽 지역의 강과 호수에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은 1902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Friedrich von Huene|프리드리히 폰 후 에네deu가 유럽의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 처음 발견하여 명명하였다. 이후 1961년에는 독일의 고생물학자 Oskar Kuhn|오스카 쿤deu에 의해 다시 명명되었다.
참조
[1]
간행물
The chalcid genus Rileya
1888
[2]
간행물
A revised generic table of the Euryrtominae,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es. Pt I
1888
[3]
간행물
Überischt über die Reptilien der Trias
1902
[4]
간행물
On phytosaurian remains from the Magnesian Conglomerate of Bristol (Rileya platyodon)
1908
[5]
서적
Die Familien der rezenten und fossilen Amphibien und Reptilien
Meisenbach:Bamberg
1961
[6]
논문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ttp://dml.cmnh.org/[...]
1994
[7]
간행물
Anatomy and systematics of the prosauropod dinosaur Thecodontosaurus antiquus from the upper Triassic of southwest England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