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래드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드왈드는 7세기 초 잉글랜드의 동앵글리아 왕국을 다스린 왕이다. 래드왈드는 560년에서 580년 사이에 태어났으며, 동앵글리아의 지배 가문인 우핑가스 왕조의 일원이었다. 그는 켄트의 앨설버트, 웨섹스의 켈린, 머시아의 크레오다 등과 동시대에 활동했다. 래드왈드는 616년 또는 617년 아이들 강 전투에서 승리하여 노섬브리아의 에드윈을 왕으로 옹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캔터베리 아우구스티누스의 선교 이후 기독교로 개종했다. 래드왈드는 잉글랜드의 여러 왕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브레트왈다'로 불리기도 했다. 래드왈드는 624년경 사망했으며, 서퍽주의 서턴 후에서 발견된 앵글로색슨 시대의 배 무덤이 그의 무덤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파가 - 서튼후
    서튼후는 7세기 초 앵글로색슨 시대의 선박 매장 유물로 유명한 잉글랜드 서퍽주 유적지로, 1939년 발굴된 1호분에서 앵글로색슨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현재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앵글로색슨 시대 연구에 핵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동앵글인의 왕 - 오파 (머시아)
    오파는 8세기에 머시아 왕국을 통치하며 잉글랜드 중부 지역을 통합하고, 켄트와 서식스를 정복하는 등 앵글로색슨 7왕국 시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오파의 제방 건설, 화폐 제도 개혁, 카롤루스 대제와 외교 관계를 맺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다 796년에 사망했다.
  • 동앵글인의 왕 - 구스룸
    구스룸은 9세기 후반 잉글랜드를 침략한 바이킹 대군세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앨프레드 대왕에게 패배 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동앵글리아의 왕 '애설스탠'으로 통치했으며 대중문화 작품에서 바이킹 시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 624년 사망 - 멜리투스
    7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멜리투스는 런던의 첫 번째 주교이자 캔터베리의 세 번째 대주교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파견되어 기독교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화재를 진화시킨 기적으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624년 사망 - 두복위
    두복위는 수나라 말기 농민 반란을 이끌고 강남 지역을 장악했으나 당나라에 항복하여 오왕으로 봉해졌으며, 측근의 반란으로 사망 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래드왈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튼 후 투구 복제품, 원본은 래드왈드의 것일 수 있음
서튼 후 투구 복제품, 원본은 래드왈드의 것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칭호브레트왈다
재위 기간599년경 – 624년경
출생일불명
출생지불명
사망일624년경
사망지불명
매장일불명
매장지많은 전문가들은 서튼 후, 서퍽의 배 무덤에 묻혔다고 생각한다.
계승동앵글인의 왕
전임자튀틸라
후임자에오르프왈드
배우자알려지지 않음
자녀래건헤레(Rægenhere)와 에오르프왈드
왕가우파가
왕조 종류왕조
아버지튀틸라
어머니불명
종교혼합된 이교도-기독교
이름 의미신중한 권력

2. 래드왈드 왕국의 배경

앵글로색슨 시대의 영국 지도
주요 앵글로색슨 왕국


앵글족, 색슨족, 유트족, 프리지족을 포함하는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에 영국에 도착하여, 600년경에는 정복지에 여러 왕국을 세웠다.[10] 7세기 초, 잉글랜드 남부는 거의 앵글로색슨족의 지배하에 있었다.[11]

래드왈드 시대에는 다른 통치 가문들도 성장했다. 588년 이전, 켄트의 앨설버트는 프랑크 통치자 카리베르트 1세의 딸 베르타와 결혼했다. 568년경, 험버 강 남쪽의 강력한 통치자 웨섹스의 켈린은 앨설버트를 격퇴했다.[12] 머시아는 585년 머시아의 크레오다에 의해 건국되었으나, 자료 부족으로 건국 과정은 불분명하다.[13]

험버 강 북쪽에는 데이라 왕국과 버니시아 왕국이 경쟁했다. 데이라의 앨라는 588년 사망 전까지 데이라를 통치했고, 그의 딸 아카와 아들 에드윈 등은 왕위를 잇지 못했다.[14][15] 버니시아 왕조는 웨섹스와 혈연 관계를 맺고 데이라를 지배하려 했으며, 에드윈은 기네스 왕국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노섬브리아의 앨설프리드는 여러 전쟁을 통해 노섬브리아 왕국을 통합하고, 604년경 데이라를 지배했다.

2. 1. 앵글로색슨족의 도래와 초기 왕국 형성



앵글족, 색슨족, 유트족, 프리지족을 포함하는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에 영국에 도착하기 시작했다.[10] 600년경, 이들이 정복한 영토에 여러 왕국들이 형성되기 시작했으며,[10] 7세기 초 무렵에는 잉글랜드가 된 지역의 남부가 거의 전적으로 앵글로색슨족의 지배 아래 있었다.[11]

2. 2. 래드왈드 시대의 주요 왕국들



앵글족, 색슨족, 유트족, 프리지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진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에 영국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600년경, 정복된 영토에 여러 왕국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10] 7세기 초 무렵에는 잉글랜드가 된 지역의 남부가 거의 전적으로 그들의 지배 아래 있었다.[11]

래드왈드의 청년기에는 다른 통치 가문들이 세워졌다. 588년 이전에 켄트의 앨설버트는 프랑크의 통치자 카리베르트 1세의 기독교인 딸인 베르타와 결혼했다. 568년경, 험버 강 어귀 남쪽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였던 웨섹스의 켈린은 앨설버트를 격퇴했다.[12] 후대의 자료에 따르면, 머시아는 585년 머시아의 크레오다에 의해 건국되었지만, 자료가 부족하여 머시아 왕가가 어떻게 세워졌는지 알기 어렵다.[13]

험버 강 북쪽에는 데이라 왕국과 버니시아 왕국이 경쟁하는 왕조를 가지고 있었다. 데이라의 앨라는 588년 사망할 때까지 데이라를 통치했으며, 그의 딸 아카, 아들 에드윈, 그리고 또 다른 알려지지 않은 형제를 남겼다.[14][15] 버니시아 왕조는 웨섹스 왕국과 혈연 관계를 맺어 데이라를 지배하게 되었고, 에드윈은 기네스 왕국의 카드판 압 이아고의 궁정에서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여러 전쟁에서 노섬브리아의 앨설프리드는 노섬브리아 왕국을 통합했고, 604년경 데이라를 지배하에 둘 수 있었다.

3. 가계

래드왈드는 티틸라의 아들이자 에니의 형제였다. 베데에 따르면 그는 우파의 후손으로, 우핑가스 왕조의 시조였다.[17][18] 590년대 어느 시점에 래드왈드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이교도 여성과 결혼했다.[19] 그녀와의 사이에서 적어도 두 아들, 라게네레와 에오르프왈드를 두었다. 그는 또한 시게베르트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의 이름은 다른 우핑가스 이름과는 다르게 동색슨 왕조의 전형적인 이름이었다. 래드왈드의 왕비가 이전에 에식스 왕가의 일원과 결혼했고 시게베르트가 래드왈드의 의붓아들이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는 12세기의 윌리엄 오브 말름즈버리에 의해 언급되었다.[20]

래드왈드의 가계도
웨하
우파
티틸라
에니?래드왈드??
시게베르트라게네레에오르프왈드


3. 1. 출생과 가계

래드왈드는 '충고의 힘'ang을 의미하며,[16] 560년에서 580년 사이에 태어났다. 그는 티틸라의 아들이자 에니의 형이었다. 베데에 따르면 그는 우파의 후손으로, 우핑가스 왕조의 시조였다. "필리우스 티틸리, 쿠이우스 파테르 푸이트 우파" ('티틸의 아들, 그의 아버지는 우파였다').[17][18]

590년대 어느 시점에 래드왈드는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베데에 따르면 이교도였던 여성과 결혼했다.[19] 그녀와의 사이에서 적어도 두 아들, 라게네레와 에오르프왈드를 두었다. 그는 또한 시게베르트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의 이름은 다른 우핑가스 이름과는 다르게 동색슨 왕조의 전형적인 이름이었다. 래드왈드의 왕비가 이전에 에식스 왕가의 일원과 결혼했고 시게베르트가 래드왈드의 의붓아들이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는 12세기의 윌리엄 오브 말름즈버리에 의해 언급되었다.[20]

3. 2. 결혼과 자녀

래드왈드는 590년대 어느 시점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 결혼했는데, 베데에 따르면 그녀는 이교도였다.[19] 그녀와의 사이에서 적어도 두 아들, 라게네레와 에오르프왈드를 두었다. 그는 또한 시게베르트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의 이름은 다른 우핑가스 이름과는 다르게 동색슨 왕조의 전형적인 이름이었다. 래드왈드의 왕비가 이전에 에식스 왕가의 일원과 결혼했고 시게베르트가 래드왈드의 의붓아들이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는 12세기의 윌리엄 오브 말름즈버리에 의해 언급되었다.[20] 시게베르트는 의붓아버지의 미움을 받아, 우핑가스 혈통을 보호하기 위해 그를 로 추방했다.[21]

안나의 혈통
웨하
우파
티틸라
에니?래드왈드??
시게베르트라게네레에오르프왈드


4. 초기 통치와 세례



래드왈드의 초기 통치 기간 동안 캔터베리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로마 선교단이 597년에 도착했고, 켄트의 애설버트와 에섹스의 세이버트가 개종했으며, 그들의 왕국에 새로운 주교구가 설립되었다.[22] 래드왈드는 켄트에서 기독교 성례를 받았는데, 이는 아마도 604년 이후 그의 세례 후원자였을 켄트의 애설버트의 초청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21] 래드왈드가 에섹스 왕가의 일원과 결혼하여 동앵글리아와 에섹스 간의 외교적 동맹을 맺었고, 켄트에서의 개종으로 켄트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게 되었다.[24]

그러나 동앵글리아에서 래드왈드의 개종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래드왈드는 여왕과 이교도 스승들의 영향으로 기독교 신앙을 일부 저버리고, 신전에 이교 신과 그리스도에게 바쳐진 두 개의 제단을 두었다. 훗날 베다는 래드왈드의 조카 동앵글리아의 에드울프가 이 사원을 보았다고 기록했다.[26]

4. 1. 켄트의 영향과 기독교 개종

캔터베리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로마 선교단이 597년에 도착했고, 켄트의 애설버트와 에섹스의 세이버트가 개종했으며, 그들의 왕국에 새로운 주교구가 설립되었다.[22] 베다는 《앵글로족 교회 편력사》에서 래드왈드의 아들 에오르프왈드의 개종을 언급하며, 래드왈드가 켄트에서 기독교 성례를 받았다고 기록했다. 이는 604년 이후, 아마도 그의 세례 후원자였을 애설버트의 초청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23][21] 래드왈드의 개종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597년 그레고리 선교단의 도착 이후였을 것이다.[5] 약 605년에 사망한 아우구스티누스가 엘리 근처에 교회를 봉헌했다는 주장이 있으므로, 세이버트의 개종 이후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래드왈드가 에섹스 왕가의 일원과 결혼한 것은 동앵글리아와 에섹스 왕국 간의 외교적 동맹 형성에 기여했다. 켄트에서의 개종은 래드왈드를 애설버트와 연관시켜 켄트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게 했다.[24]

4. 2. 이교 신앙과의 절충

동앵글리아에서 래드왈드의 개종은 그의 가신이나 여왕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역사학자 스티븐 플런켓에 따르면, 래드왈드의 여왕과 그녀의 이교도 스승들은 래드왈드가 기독교 신앙에 대한 헌신을 부분적으로 저버리도록 설득했다.[25] 그 결과, 래드왈드는 신전에 이교 신에게 바쳐진 제단 하나와 그리스도에게 바쳐진 제단 하나, 두 개의 제단을 두었다. 수십 년 후 베다는 래드왈드의 형제 에니의 손자인 동앵글리아의 에드울프가 소년이었을 때 그 사원을 보았던 것을 기억하는 것을 묘사했다. 플런켓에 따르면, 그 사원은 렌들샴에 위치했을 수 있으며, 이는 우핑 왕조의 "지역"의 새로운 초점이었다.[26] 바바라 요크는 래드왈드가 기독교를 완전히 받아들이는 것을 꺼렸는데, 그 이유는 애설버트를 통한 개종이 켄트 왕에 대한 열등한 지위를 인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7] 래드왈드의 기독교에 대한 헌신 부족은 그를 신앙을 저버린 자로 여긴 베다의 적대감을 샀다.[23]

5. 노섬브리아의 에드윈과의 관계

애델프리드는 아차와 결혼했을 수 있으며,[28] 비드는 그녀가 그의 아들 오스왈드의 어머니였다고 전했다.[29] 애델프리드는 아차의 추방된 형제 에드윈을 제거하여 버니시아 통치에 대한 도전을 없애려 했다. 에드윈은 체를의 집에서 환대를 받았고, 후에 체를의 딸과 결혼했다. 에드윈의 조카 헤리릭은 엘멧의 브리튼 왕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배신당해 살해당했다.[30] 에드윈은 결국 래드왈드에게 보호를 요청했고, 래드왈드는 그를 받아들여 보호를 약속했다.[17]

애델프리드는 에드윈을 죽이는 대가로 래드왈드에게 돈을 제안했지만, 래드왈드는 거절했다. 애델프리드는 더 많은 은을 제안하고 전쟁을 위협하며 여러 차례 사절을 보냈고, 래드왈드는 결국 에드윈을 넘겨주겠다고 약속했다.[17]

에드윈에게 탈출 기회가 주어졌지만, 그는 래드왈드의 궁정에 머물기로 했다.[24] 요크의 파울리누스로 추정되는 낯선 사람이 에드윈에게 래드왈드의 지원과 미래의 왕권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고, 에드윈은 종교적 가르침을 받아들이겠다고 확신했다.[31] 래드왈드의 이교도 왕비는 그가 신뢰를 배반하는 것은 명예롭지 못한 행동이라고 꾸짖었고,[17] 래드왈드는 전쟁을 결심하게 되었다.[33]

616년 또는 617년, 래드왈드는 군대를 소집하여 아들 래겐헤어와 함께 애델프리드를 상대하기 위해 북쪽으로 진격했다. 그들은 린지 왕국의 서쪽 경계, 아이들 강 동쪽 기슭에서 만났다. 전투는 치열했으며, "아이들 강은 잉글랜드인들의 피로 더럽혀졌다"는 말로 오랫동안 기념되었다.[32] 전투 중에 애델프리드와 래드왈드의 아들 래겐헤어가 모두 살해되었다. 에드윈은 이후 노섬브리아의 왕으로 애델프리드를 계승했고, 애델프리드의 아들들은 추방당했다.[34]

헨리 오브 헌팅던의 기록에 따르면, 래드왈드의 군대는 래드왈드, 래겐헤어, 에드윈이 이끄는 세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 노련한 병사들을 이끌던 애델프리드는 느슨한 대형으로 공격했다. 래겐헤어를 본 애델프리드의 군대는 그를 에드윈으로 오인하고 접근하여 살해했다. 아들의 죽음 이후, 래드왈드는 맹렬하게 적진을 돌파하여 노섬브리아인들을 대량 학살하며 애델프리드를 죽였다.[35]

D.P. 커비는 이 전투가 망명한 귀족의 대우를 놓고 벌어진 두 왕 사이의 충돌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당시 "앵글족의 군사적, 정치적 지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기간의 투쟁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17]

5. 1. 에드윈의 망명과 래드왈드의 보호

애델프리드는 아차와 결혼했을 수 있으며,[28] 그녀는 그의 아들 오스왈드의 어머니였다고 비드가 전했다.[29] 애델프리드는 아차의 추방된 형제 에드윈을 제거하여 노섬브리아의 버니시아 통치에 대한 도전을 없애려 했다. 에드윈은 체를의 집에서 환대를 받았고, 후에 체를의 딸과 결혼했다. 에드윈의 조카 헤리릭은 엘멧의 브리튼 왕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배신당해 살해당했다.[30] 에드윈은 결국 래드왈드에게 보호를 요청했고, 래드왈드는 그를 받아들여 보호를 약속했다. 에드윈은 왕과 그의 측근들과 함께 살았다.[17]

5. 2. 애델프리드의 위협과 래드왈드의 결단

노섬브리아의 애델프리드는 에드윈을 죽이는 대가로 래드왈드에게 돈을 제안했지만, 래드왈드는 거절했다. 애델프리드는 더 많은 은을 제안하고 전쟁을 위협하며 여러 차례 사절을 보냈고, 래드왈드는 결국 에드윈을 넘겨주겠다고 약속했다.[17]

에드윈에게 탈출 기회가 주어졌지만, 그는 래드왈드의 궁정에 머물기로 했다.[24] 요크의 파울리누스로 추정되는 낯선 사람이 에드윈에게 래드왈드의 지원과 미래의 왕권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고, 에드윈은 종교적 가르침을 받아들이겠다고 확신했다.[31] 래드왈드의 이교도 왕비는 그가 신뢰를 배반하는 것은 명예롭지 못한 행동이라고 꾸짖었고,[17] 래드왈드는 전쟁을 결심하게 되었다.[33]

5. 3. 아이들 강 전투 (The Battle of the River Idle)

616년 또는 617년, 래드왈드는 군대를 소집하여 아들 래겐헤어와 함께 애설프리드를 상대하기 위해 북쪽으로 진격했다. 그들은 린지 왕국의 서쪽 경계, 아이들 강 동쪽 기슭에서 만났다. 전투는 치열했으며, "아이들 강은 잉글랜드인들의 피로 더럽혀졌다"는 말로 오랫동안 기념되었다.[32] 전투 중에 애설프리드와 래드왈드의 아들 래겐헤어가 모두 살해되었다. 에드윈은 이후 노섬브리아의 왕으로 애설프리드를 계승했고, 애설프리드의 아들들은 추방당했다.[34]

헨리 오브 헌팅던의 기록에 따르면, 래드왈드의 군대는 래드왈드, 래겐헤어, 에드윈이 이끄는 세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 노련한 병사들을 이끌던 애설프리드는 느슨한 대형으로 공격했다. 래겐헤어를 본 애설프리드의 군대는 그를 에드윈으로 오인하고 접근하여 살해했다. 아들의 죽음 이후, 래드왈드는 맹렬하게 적진을 돌파하여 노섬브리아인들을 대량 학살하며 애설프리드를 죽였다.[35]

D.P. 커비는 이 전투가 망명한 귀족의 대우를 놓고 벌어진 두 왕 사이의 충돌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당시 "앵글족의 군사적, 정치적 지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기간의 투쟁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17]

6. 래드왈드의 패권(Imperium)



래드왈드의 권력은 베다가 그를 애설버트의 ''제국(imperium)''의 계승자로 인정할 정도로 커졌다.[39] 베다는 또한 그를 '앵글인의 왕(Rex Anglorum)'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래드왈드 시대의 사람들이 그들의 주군을 칭할 때 사용했을 용어이다. 그의 권력이 어디에 집중되었는지, 또는 심지어 그가 동잉글랜드의 앵글족에 대한 권위를 어떻게 확립했는지는 불분명하다.[40]

에드윈이 그에게 맹세를 함으로써, 래드왈드는 노섬브리아에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최초의 외국 왕이 되었다. 그는 에드윈이 데이라와 베르니시아 모두의 왕으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41]

6. 1. 브레트왈다로서의 래드왈드

616년 2월 24일, 이들 강 전투가 벌어진 해에, 켄트의 애설버트가 사망하고 그의 이교도 아들 이드발드가 왕위를 계승했다. 기독교인 에식스의 세버트가 죽은 후, 그의 세 아들은 왕국을 나누어 이교도 통치로 되돌렸고, 멜리투스가 이끄는 그레고리오 선교사들을 내쫓았다.[37] 캔터베리 선교단은 이드발드가 다시 기독교로 돌아오기 전에 갈리아로 철수했다. 이 기간 동안 잉글랜드에 있는 유일한 왕실 기독교 제단은 래드왈드의 것이었다. 그가 죽을 무렵, 켄트의 선교는 완전히 재건되었다.[38]

래드왈드의 권력은 비드가 그를 애설버트의 ''제국(imperium)''의 계승자로 인정할 정도로 커졌다.[39] 비드는 또한 그를 '앵글인의 왕(Rex Anglorum)'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래드왈드 시대의 사람들이 그들의 주군을 칭할 때 사용했을 용어이다. 그의 권력이 어디에 집중되었는지, 또는 심지어 그가 동잉글랜드의 앵글족에 대한 권위를 어떻게 확립했는지는 불분명하다.[40]

에드윈이 그에게 맹세를 함으로써, 래드왈드는 노섬브리아에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최초의 외국 왕이 되었다. 그는 에드윈이 데이라와 베르니시아 모두의 왕으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41]

6. 2. 기페스위치(입스위치)의 발전

7세기 초, 기페스위치(입스위치)의 부두 정착지는 북해 연안의 다른 무역 시장에서 수입된 도자기와 같은 상품을 받는 중요한 하구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스티븐 플런켓은 기페스위치의 건립이 우핑가스 왕조의 감독하에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42] 이 정착지가 도시로 발전하는 데는 100년이 더 걸렸지만, 그 시작은 래드왈드 지배 기간 동안 그의 개인적인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페스위치의 앵글로색슨족 묘지에서 발굴된 부장품(소형 고분 아래 매장된 것들을 포함)은 특히 부유하거나 정교하지 않았다. 이 부장품들은 강을 더 높이 건너는 인근 6세기 후반 묘지의 강력한 특징이 부족했다. 한 가지 예외는 라인란트에서 온 방문객의 것으로 추정되는 부장품이 갖춰진 무덤이었다.[43]

7. 사망

래드왈드는 624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뒤를 이어 이교도였던 아들 에오르프왈드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후에 노섬브리아의 에드윈에 의해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었다.[5]

7. 1. 사망 시기 추정

래드왈드는 대략 624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사망 시기는 몇 년 이내로 좁혀질 수 있다. 그는 에텔베르트가 사망한 후 얼마 동안 통치했음에 틀림없으며, 그래야만 그가 ''브레트왈다''로 언급될 수 있었을 것이다. 바바라 요크는 그가 627년 에드윈이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 그리고 625년 파울리누스가 노섬브리아의 주교가 되기 전에 사망했다고 추정한다.[44] 그의 죽음은 로저 오브 웬도버에 의해 두 번 기록되었는데, 599년과 624년에 기록되었으며, 이 역사는 13세기에 쓰여졌지만, 출처와 신뢰성이 알려지지 않은 이전 연대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플런켓은 599년이라는 더 이른 시기는 현재 래드왈드의 아버지 티틸라의 죽음에 대한 잘못된 언급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래드왈드의 죽음은 일반적으로 624년으로 제시된다고 언급한다.[7]

그의 뒤를 이어 그의 이교도 아들 에오르프왈드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는 나중에 노섬브리아의 에드윈에 의해 기독교를 받아들이도록 설득되었다.[5]

7. 2. 서턴 후 (Sutton Hoo)와의 연관성

1939년 서턴 후의 매장선 발굴


래드왈드는 뛰어난 인물들이 고분에 묻히던 시대에 살았으며, 서퍽주 우드브리지 근처의 서턴 후 묘지는 래드왈드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묘지는 데벤 강 상류의 강어귀를 내려다보는 곳에 위치하며, 원래는 훨씬 더 높고 잘 보였던 큰 언덕들이 아직도 남아있다.[45]

1939년, 서턴 후의 언덕 1호에서 앵글로색슨 시대의 배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 풍요로움은 유례가 없었다. 27m 길이의 배는 바다에서 사용되었고 수리된 적이 있었다. 배 중앙에는 보석류, 은 그릇, 식기, 의류, 무기를 포함한 풍부한 부장품이 담긴 묘실이 있었다. 특이한 유물로는 숫돌 형태의 커다란 ''이 있었는데, 이는 당시 최고 권위자, 즉 ''브레트왈다''의 지위를 상징하는 물건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유물과 함께 발견된 금과 석류석으로 장식된 몸체 장비는 유럽 최고의 금세공인을 고용한 후원자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제국의 권력을 투영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묘에서 발견된 지중해 은제품은 유럽에서 동시대에 유일한 유물이다.[46][47]

루퍼트 브루스-미트포드는 개인 소지품과 죽은 자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디자인된 물건들의 웅장함은 왕실과 관련된 인물의 죽음을 가리킨다고 보았다.[48] 그는 이 매장을 "고위 왕 또는 ''브레트왈다'' 래드왈드의 기념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간주한다.[49] 요크는 배와 함께 묻힌 보물이 래드왈드가 ''브레트왈다''로 재임하는 동안 신하 왕들로부터 받은 공물의 규모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50] 브루스-미트포드는 보물 속에 그릇과 숟가락이 포함된 것은 베데의 래드왈드의 개종에 대한 설명과 일치한다고 보았다. 숟가락은 이교에서 개종한 사람에게 주는 선물이었을 수 있고, 그릇은 기독교적 의미를 지녔을 수 있다.[51] 묘에서 발견된 동전은 래드왈드의 사망 시기와 대략 일치한다.[52]

언덕을 건설한 인물의 정체를 둘러싼 논쟁은 분분하다. 옥스퍼드 국립 인명 사전의 래드왈드 관련 기사에서는 "래드왈드가 서턴 후 언덕 1호에 묻힌 인물임이 설득력 있게 주장되었다"라고 언급했지만,[53] 맥클루어와 콜린스는 "래드왈드에 대한 증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54] 다른 동앵글리아 왕이나 명망 있는 외국 방문객이 후보로 제안되기도 했으며,[55] 왕이 아닌 부유한 지위 추구자였을 수도 있다는 설명도 가능하다.[56] 하지만 동앵글리아 왕의 알려진 거주지인 렌들샴은 불과 약 6.44km 떨어져 있다.[57]

스웨덴의 문화적 영향이 서턴 후에서 감지되었다. 갑옷과 매장 모두 벤델 시대의 스웨덴 유물과 강한 유사성이 있다. 브루스-미트포드는 그 연결성이 워핑가스 왕조가 스칸디나비아의 그 지역에서 왔음을 암시할 정도로 가깝다고 제안했다.[58] 그러나 상당한 차이점도 있으며, 서턴 후 유물의 제작 방식과 스타일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다. 그 결과 그 연결성은 일반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59][60]

언덕이 무덤이 아닌 가묘일 가능성도 제기된다.[61] 그러나 최근 분석에서 토양에서 인산염이 감지되어 한때 그곳에 인체가 안치되었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발견되었다.[62] 가묘 이론은 이교도 매장에서 기독교 매장으로의 전환과 일치할 수 있다. 래드왈드는 기독교 매장을 받았을 수 있으며, 그의 개종 전후에 완성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언덕은 기념물이자 동앵글리아 왕국의 지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ical Works of the Venerable Beda https://books.google[...] Seeleys 1853-07-28
[2] 웹사이트 Chronicon saxonicum, seu annales rerum in Anglia praecipue gestarum, a Christo nato ad annum usque MCLIV. deducti, ac jam demum latinitate donati https://books.google[...] Sheldon 1692-07-28
[3] EB1911 East Anglia
[4]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5]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East Anglian Conversion
[6]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8]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9] 서적 The chronicle of Henry of Huntingdon, comprising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invasion of Julius Cæsar to the accession of Henry II. Also, The acts of Stephen, king of England and duke of Normandy https://archive.org/[...]
[10]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11] 서적 Roman Britain and Early England: 55 B.C. – A.D. 871
[12] 서적 Anglo-Saxon England
[13]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14]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15]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16] 서적 A Dictionary of the Anglo-Saxon Language https://books.google[...]
[17]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18]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19]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Nation
[20]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21]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22]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23]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24]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25]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26]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27]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28] 웹사이트 Politics of Exile https://www.mun.ca/m[...] 2012-06-16
[29]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Nation
[30]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31]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32] 서적 Redwald
[33]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Nation
[34]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35] 서적 The chronicle of Henry of Huntingdon
[36]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37]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38]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39]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40]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41]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42]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43]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44]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45]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46] 서적 The Blackwall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47] 서적 Suffolk in Anglo-Saxon Times
[48] 서적 Aspects of Anglo-Saxon Archaeology: Sutton Hoo and other discoveries
[49] 서적 Aspects of Anglo-Saxon Archaeology: Sutton Hoo and other discoveries
[50]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51] 서적 Aspects of Anglo-Saxon Archaeology: Sutton Hoo and other discoveries
[52] 웹사이트 British Museum, Gold coins and ingots from the ship-burial at Sutton Hoo https://www.britishm[...]
[53] 문서 Rædwald
[54]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55] 서적 Aspects of Anglo-Saxon Archaeology: Sutton Hoo and other discoveries
[56]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57] 서적 Anglo-Saxon England
[58] 서적 Aspects of Anglo-Saxon Archaeology: Sutton Hoo and other discoveries
[59] 서적 Anglo-Saxon England
[60]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61] 웹사이트 The Anglo-Saxon ship burial at Sutton Hoo https://www.britishm[...] 2020-11-12
[62] 웹사이트 The Anglo-Saxon ship burial at Sutton Hoo, The Missing Body https://www.britishm[...] 2021-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