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히바 전쟁 (1839년~184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히바 전쟁 (1839년~1840년)은 러시아 제국이 중앙아시아의 히바 칸국을 상대로 벌인 군사 원정이다. 배경에는 러시아와 대영제국 간의 세력 경쟁인 그레이트 게임, 러시아인 노예 해방, 안전한 무역로 확보, 아랄해 연구 등의 목표가 있었다. 오렌부르크 군사총독 바실리 알렉세비치 페로브스키가 원정을 지휘했으나, 추위와 질병으로 인해 1,054명이 사망하고 부대가 철수하며 실패로 끝났다. 히바 칸국은 러시아인 포로를 반환하고, 러시아인 노예 매매를 금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9년 분쟁 - 제2차 이집트-튀르크 전쟁
    1839년부터 1841년까지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 간에 벌어진 제2차 이집트-튀르크 전쟁은 무함마드 알리의 독립 시도와 세력 확장이 원인이 되어 레반트 지역을 점령했으나, 열강의 개입과 런던 조약으로 이집트와 수단에 대한 세습 통치권을 인정받는 대신 시리아 등 영토를 상실하며 중동 지역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히바 전쟁 (1839년~1840년) - [전쟁]에 관한 문서
러시아-히바 전쟁 (1839년~1840년)
히바 칸국 깃발
히바 칸국 깃발
개요
분쟁러시아-히바 전쟁
전체그레이트 게임
기간1839년 ~ 1840년
장소히바 칸국
결과히바 칸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2[[파일:Bandera de Khiva abans 1917.svg|테두리|22px]] 히바 칸국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바실리 알렉세비치 페로브스키
지휘관 2[[파일:Bandera de Khiva abans 1917.svg|테두리|22px]] 알라쿨리 칸
병력 규모
병력 16,651명
병력 23,000명
사상자 및 피해
사상자 12,500명Потери Русской Армии в войнах XIX-го века
사상자 2알 수 없음

2. 배경

1839년부터 1840년까지 이어진 러시아 제국히바 칸국 원정은 여러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추진되었다. 당시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러시아 제국과 대영제국 간의 경쟁인 그레이트 게임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히바 칸국 내 러시아인 노예 문제와 불안정한 무역로 역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아랄 해에 대한 지리적 탐사와 경제적 활용 가능성 탐색도 원정의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러시아 제국이 히바 칸국에 대한 군사 행동을 결정하는 데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2. 1. 그레이트 게임

바실리 알렉세비치 페로브스키


히바 전역의 계기 중 하나는 중앙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 러시아 제국과 대영제국 사이에 벌어진 세력 경쟁, 즉 그레이트 게임이었다. 이 전역의 주요 목표는 1839년 3월 아시아부서 특별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되었는데,[2] 히바 칸국을 점령하여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히바 칸국 내 러시아인 노예를 해방시켜 안전한 무역 및 교통로를 확보하며,[3] 아랄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 등이었다. 또한 히바 칸국의 알라쿨리 칸 대신 러시아 제국에 충성하는 인물을 칸으로 내세우려는 계획도 있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전역이 우즈베키스탄 지역 전체에 대한 대규모 군사 행동 및 후속 정복을 위한 준비 단계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4]

원정 사령관은 당시 오렌부르크 군사총독이자 1833년부터 오렌부르크 군단장을 맡고 있던 바실리 알렉세비치 페로브스키였다. 페로브스키는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적극적인 공세 정책을 지지하는 인물이었으며, 그의 이러한 입장은 1830년대 이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페로브스키는 부관인 I. 위트키와츠에게 중앙아시아 정찰 임무를 맡겼다. 위트키와츠는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군사력과 통제력 확장을 경계하면서도, 히바 칸국과 부하라 토후국인들의 러시아 캐러밴 습격 및 노예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그는 "우리 캐러밴을 습격한 히바 칸국인과 부하라 토후국인이 340 히바 다겟 또는 5440RUB로 잡아들었다... 우리는 타타르족에게 베일로 묶였고 노예들을 모으면서 말할 수 없는 폭행과 학대를 받았다.", "이러한 칸국인들의 독단성을 그들의 눈으로 보면... 결국 우리는 아시아 무역이 침체인 이유에 관해 정확하게 알 수 있다."라고 기록했다.[3]

2. 2. 러시아인 노예 해방 및 무역로 확보



히바 칸국이 러시아인들을 노예로 삼고 러시아 상인들의 무역 활동을 방해하는 것은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당시 중앙아시아에서는 러시아 제국과 대영제국 사이에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경쟁,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이 벌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러시아는 히바 칸국 내 러시아인 노예를 해방하고 안전한 무역 및 교통로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1839년 3월 러시아 아시아부서 특별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2][3] 러시아는 또한 히바 칸국을 점령하고 아랄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며, 기존의 알라쿨리 칸 대신 러시아에 충성하는 새로운 칸을 세우려는 의도도 가지고 있었다.[4]

당시 오렌부르크 군사총재이자 군단장이었던 바실리 알렉세비치 페로브스키는 이 원정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지지하는 인물이었다. 페로브스키의 부관이었던 I. 위트키와츠는 중앙아시아 정찰 임무를 수행한 후, 히바 칸국과 부하라 토후국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는 보고서에서 "우리 캐러밴을 습격한 히바 칸국인과 부하라 토후국인이 (러시아인을) 340 히바 다겟 또는 5440RUB에 잡아들였다"고 언급하며, 러시아인들이 노예로 끌려가 "말할 수 없는 폭행과 학대"를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위트키와츠는 이러한 칸국들의 약탈과 폭력이 "아시아 무역이 침체인 이유"라고 분석했다.[3] 이는 러시아가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는 중요한 명분이 되었다.

2. 3. 아랄 해 연구

히바 전역의 목표 중 하나는 아랄 해에 대한 연구였다. 당시 지리학자들은 이 지역의 해변과 모래사장 등에 관심이 많았는데, 특히 아무다리야강의 흐름이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지 여부가 주요 관심사였다.[5] 이는 새로운 강 무역로 확보를 원했던 러시아 제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와 맞물려 있었다. 당시 히바 칸국 지역에서 생산되는 목화는 경제적 가치가 높았는데, 러시아는 카자흐스탄 대초원을 통한 육상 운송 대신, 아무다리야 강(당시에는 카스피 해로 흘러간다고 여겨짐)을 이용한 빠르고 안전한 수송로를 확보하고자 했다.[6]

이러한 배경 하에, 전역 기간 동안 보트와 카누를 이용한 아랄 해 연구가 계획되었다. 또한 카스피해와 아랄 해 사이의 해수면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작업도 예정되어 있었다. 니벨리로브쿠는 히바까지 간 이후 다시 돌아올 예정이었다.[6]

3. 원정 결과

러시아 제국의 원정은 실패했다. 부대들은 추위와 질병 등으로 인해 1,054명이 사망하고 오렌부르크로 되돌아왔다. 원정 도중 괴혈병에 걸린 604명은 귀환하여 입원했지만 이들 중 대다수가 사망했다. 또한 600명이 히바 칸국에서 포로가 되거나 낙오하여, 결국 1840년 10월에는 전쟁 시작 전의 국경으로 되돌아왔다. 한편, 히바 칸은 칙령을 발표하여 포로의 반환과 함께 칸국 백성들이 러시아인 또는 다른 대초원 지역에서 러시아인 노예를 사들이는 것을 금지시켰다.[6] 이 원정은 페로브스키의 참패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히바의 쿨리 칸은 계속해서 러시아와 친한 관계를 유지했다.

4. 영향

(원본 소스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인용 Потери Русской Армии в войнах XIX-го века http://artofwar.ru/g[...] ArtOfWar 2009-02-07
[2] 서적 Николай I 2006
[3] 문서 "Записка, составленная по рассказам оренбургского линейного батальона № 10 прапорщика Виткевича относительно пути его в Бухару и обратно" "из книги «Записки о Бухарском ханстве. М. 1983»" 1836
[4] 서적 Пограничная линия
[5] 문서 Сравни с целями посланной [[Пётр I|Петром I]] экспедиции [[Бекович-Черкасский, Александр|Бековича]].
[6] 서적 Поход в Хиву в 1839 году http://www.vostlit.i[...] 18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