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쿨리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쿨리 칸은 1825년 무함마드 라힘 1세의 뒤를 이어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 그는 중앙 집권 정책과 경제 회복 정책을 추진하여 운하 건설과 관개 시스템 개선을 통해 화레즘 지역의 발전을 이끌었다. 부하라 토후국과 적대 관계였으며, 호라산에 여러 차례 원정을 감행했다.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영국 등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1840년에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영국 사절이 파견되기도 했다. 또한 타쉬 하울리 궁전, 마드라사, 대상 숙소 등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했다. 알라쿨리 칸 사후에는 그의 아들 라힘쿨로프 칸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2년 사망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베르나르도 오이긴스는 칠레 독립 전쟁의 영웅이자 초대 최고 지도자로, 라틴 아메리카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 독립을 이끌었으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각 후 페루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 1842년 사망 - 스탕달
스탕달(마리 앙리 베유)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나폴레옹 군대 참여와 이탈리아 생활을 통해 『적과 흑』, 『파르마의 수도원』 같은 심리 묘사와 역사적 배경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20세기 이후 재평가받아 프랑스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남기기도 했다. - 히바 칸국의 칸 - 압둘라 칸
- 히바 칸국의 칸 - 일바르스 1세
일바르스 1세는 16세기 초 호라즘 지역을 다스린 아랍샤 왕조의 창시자로, 우즈베크족의 지지를 받아 칸으로 옹립되어 우르겐치를 정복하고 호라즘 지방을 통치하며 왕조를 세웠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코칸트 칸국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에서 독립하며 건국되어 18세기 후반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남진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1876년 러시아에 의해 멸망, 러시아 투르키스탄에 편입되었으며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갈등과 분쟁을 겪었다.
알라쿨리 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칭호 | 히바 칸국의 칸 |
이름 (로마자 표기) | Alla Kuli Bahadur Khan |
재위 기간 | 1825년 ~ 1842년 |
대관식 | 1825년, 히바 칸국 히바 |
출생 | 1794년, 히바 칸국 히바 |
사망 | 1842년, 히바 칸국 히바 |
부친 | 무함마드 라힘 1세 |
자녀 | 라힘쿨로프 칸 |
왕조 | 온기라트 |
기타 정보 |
2. 생애
무함마드 라힘 1세 칸이 1825년에 사망한 이후, 그의 아들인 알라쿨리가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2] 알라 쿨리는 아버지의 중앙 집권 정책을 계속 추진했으며, 1828년에는 투르크멘족 사리크 부족의 반란을 진압했다.[2] 그는 경제 회복 정책을 이어받아 새로운 운하를 건설하고 관개 시스템을 개선했다.[2] 1830~1831년에는 히바에서 코네우르겐치까지 운하가 건설되었다.[2]
알라쿨리 칸은 아버지 모하메드 라힘 칸의 정책을 계승하여 국가를 중앙집권화하려고 노력했다. 1828년에는 사리크 부족의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
알라쿨리는 부유한 부하라 토후국의 샤이바니드 왕조와 적대 관계였으며, 이웃을 상대로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했다. 그는 호라산을 상대로 5차례 원정을 감행하기도 했다.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아프가니스탄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 영국과의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고 페르시아와의 더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3] 1840년에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두 명의 영국 사절인 제임스 애보트와 리치몬드 셰익스피어가 히바 궁정에 파견되었다.[3] 실패한 러시아의 1839년 히바 원정 이후 관계가 잠시 냉각된 후, 히바는 1840년 말 무프티 아타니아즈 호자 라이스를 니콜라이 1세의 궁정에 대사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냈다.[4]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 대위가 이끄는 러시아 외교 사절단이 히바 칸의 궁정에 있는 타쉬 하울리 궁전에 파견되었다.[5] 다음 해에 니콜라이 1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히바 사절 바이스바이 니야조프와 임바이 바바예프를 접견했다.[5]
3. 국내 정책
알라쿨리 칸은 경제 활성화에 중점을 두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화레즘 지역에 대규모 관개사업을 펼쳤다. 1830년부터 1831년에는 코네우르겐치 도시를 건설했다.
3. 1. 경제 정책
알라 쿨리는 아버지 모하메드 라힘 칸의 중앙 집권 정책과 경제 회복 정책을 계승했다.[2] 1830~1831년에는 히바에서 코네우르겐치까지 운하를 건설하는 등 관개 시스템 개선에 힘썼다.[2]
부유한 부하라 토후국의 샤이바니드 왕조와는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했으며, 호라산을 상대로도 5차례 원정을 감행했다.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아프가니스탄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영국 및 페르시아와도 새로운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 1840년에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두 명의 영국 사절인 제임스 애보트와 리치몬드 셰익스피어가 히바 궁정에 파견되었다.[3] 1839년 러시아의 히바 원정이 실패한 이후, 1840년 말 히바는 무프티 아타니아즈 호자 라이스를 니콜라이 1세의 궁정에 대사로 파견했다.[4]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 대위가 이끄는 러시아 외교 사절단이 히바 칸의 궁정에 있는 타쉬 하울리 궁전을 방문했고,[5] 이듬해 니콜라이 1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히바 사절 바이스바이 니야조프와 임바이 바바예프를 접견했다.[5]
4. 대외 관계
알라쿨리 칸은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대영제국 등 5개 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1840년에는 히바 칸국에 영국인 대사 제임스 에벗이 방문하기도 했다.[3]
또한, 1840년의 러시아 관계 냉각 사태로 인해 히바의 사절인 효자 아타니즈를 샹트페테르부르크로 보내기도 했다.[9]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의 주도로 히바의 러시아 사절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10]
1839년 히바 원정 실패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가 잠시 냉각되자, 히바는 1840년 말 무프티 아타니아즈 호자 라이스를 니콜라이 1세의 궁정에 대사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냈다.[4]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 대위가 이끄는 러시아 외교 사절단이 히바 칸의 궁정에 있는 타쉬 하울리 궁전에 파견되었다.[5] 다음 해에 니콜라이 1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히바 사절 바이스바이 니야조프와 임바이 바바예프를 접견했다.[5] 알라 쿨리는 부하라 토후국을 적대시하고 여러 차례 공격했으며, 호라산에 5차례 원정을 감행했다.
4. 1. 부하라 토후국과의 관계
알라 쿨리는 아버지 모하메드 라힘 칸의 중앙 집권 정책과 경제 회복 정책을 이어받아 새로운 운하를 건설하고 관개 시스템을 개선했다.[2] 1830~1831년에는 히바에서 코네우르겐치까지 운하가 건설되었다.[2] 1828년에는 투르크멘족 사리크 부족의 반란을 진압했다.부유한 부하라 토후국은 샤이바니드 왕조의 적이었으며, 알라 쿨리는 이웃을 상대로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했다. 그는 호라산을 상대로 5차례 원정을 감행하기도 했다.
알라 쿨리는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아프가니스탄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 영국과의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고 페르시아와의 더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 1840년에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두 명의 영국 사절인 제임스 애보트와 리치몬드 셰익스피어가 히바 궁정에 파견되었다.[3] 실패한 러시아의 1839년 히바 원정 이후 관계가 잠시 냉각된 후, 히바는 1840년 말 무프티 아타니아즈 호자 라이스를 니콜라이 1세의 궁정에 대사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냈다.[4]
그 후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 대위가 이끄는 러시아 외교 사절단이 히바 칸의 궁정에 있는 타쉬 하울리 궁전에 파견되었다. 다음 해에 니콜라이 1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히바 사절 바이스바이 니야조프와 임바이 바바예프를 접견했다.[5]
4. 2. 호라산 원정
알라 쿨리는 아버지 모하메드 라힘 칸의 중앙 집권 정책을 계승하여 1828년 투르크멘족 사리크 부족의 반란을 진압했다.[2] 경제 회복 정책을 이어받아 새로운 운하를 건설하고 관개 시스템을 개선했으며, 1830~1831년에는 히바에서 코네우르겐치까지 운하가 건설되었다.[2] 부하라 토후국과 적대 관계였으며, 호라산을 상대로 5차례 원정을 감행했다.[2]4. 3.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알라쿨리 칸의 통치 기간에는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대영제국 등 5개 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1840년에는 히바 칸국에 영국인 대사 제임스 에벗이 방문하기도 했다.[3]
1840년 러시아 관계 냉각 사태로 인해 히바의 사절인 효자 아타니즈를 샹트페테르부르크로 보내기도 했다.[4]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의 주도로 히바의 러시아 사절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10]
실패한 러시아의 1839년 히바 원정 이후 관계가 잠시 냉각된 후, 히바는 1840년 말 무프티 아타니아즈 호자 라이스를 니콜라이 1세의 궁정에 대사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냈다.[4] 그 후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 대위가 이끄는 러시아 외교 사절단이 히바 칸의 궁정에 있는 타쉬 하울리 궁전에 파견되었다.[5] 다음 해에 니콜라이 1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히바 사절 바이스바이 니야조프와 임바이 바바예프를 접견했다.[5]
4. 4. 대영제국과의 관계
알라쿨리 칸의 통치 기간에는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대영제국 등 5개 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었다.1840년에는 히바 칸국에 영국인 대사 제임스 에벗이 방문했다.[3] 같은 해,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또 다른 영국 사절인 리치몬드 셰익스피어도 히바 궁정을 찾았다.[3]
1840년 러시아와의 관계가 냉각되자, 히바는 사절인 효자 아타니즈를 샹트페테르부르크로 보냈다.[9] 1841년에는 니키포로프의 주도로 히바의 러시아 사절 임무가 수행되었다.[10]
5. 문화 정책
알라쿨리 칸 시기에는 쿤나이크 궁전을 대신할 거처로 히바 시의 동부 끝에 거대한 왕궁인 타쉬 하울리 궁전(1830년~1832년)을 지었고 마드라사(1834년~1835년), 캐러밴서라이(1832년~1933년), 거래소, 사원 등을 건설하였다.[11] 1842년에는 히바 도시를 6km 길이의 외벽(디산-카라)으로 세워서 방어 시설을 건축했다.[11]
이찬 칼라에 있는 광대한 타쉬 하울리 궁전은 약 1,000명의 노예 노동자에 의해 1830년에서 1838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최초의 노예 건축가는 군주가 원하는 만큼 빨리 궁전을 건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추정 때문에 말뚝에 꿰여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6] 그의 이름을 딴 거대한 알라쿨리 칸 마드라사 (1834-1835)와 새로운 대상 숙소 (1832-1833), 팀(돔 아래의 덮인 시장), 사이트바이 모스크, 아크 모스크 등이 건설되었다. 1842년, 칸은 히바의 외곽 지역인 디샨 칼라 주변에 6킬로미터의 성벽을 건설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시인이자 역사가인 무니스 호레즈미/Munis Xorazmiyuz, 시인 로지크, 딜라바르, 사이드 미르자 쥬나이드, 미르자 마시코가 재능을 발휘했다. 무니스 호레즈미와 역사가 오가히는 호레즘의 역사를 썼다.
6. 사후
알라쿨리 칸이 사망한 이후, 히바 칸국은 그의 아들인 라힘쿨로프 칸이 이어받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geographical overview of the Khiva Khanate
St. Petersburg
1877
[2]
간행물
Le Petit Futé, Ouzbékistan, edition 2012
[3]
웹사이트
Allah Kuli Khan
http://www.khiva.inf[...]
2024-03-29
[4]
서적
Diplomatic relations of the states of Central Asia with Russia in the 18th -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ashkent
2005
[5]
문서
[6]
서적
Uzbekistan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6
[7]
서적
Очерк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Хивинском ханстве
Спб
1877
[8]
백과사전
사파비 왕조와 우즈베크족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근[...]
[9]
서적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осударств Средней Азии с Россией в XVIII —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Ташкент
2005
[10]
서적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осударств Средней Азии с Россией в XVIII —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Ташкент
2005
[11]
서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아시아/아프리카/아메리카
https://web.archive.[...]
글램북스
2014-09-01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