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령 튀르키스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령 튀르키스탄은 1865년 오렌부르크 총독령 산하 튀르키스탄주로 시작하여 1867년 7월 11일 독립적인 튀르키스탄 총독부로 개편되었다. 타슈켄트와 세미레첸스크를 중심으로 시르다리아 지역을 통치했으며, 알마티가 중심지였다. 1899년 총독 보좌관이 설립되었고, 1900년 내무부의 승인을 받았다. 1868년부터 30년 동안 스타니슬라프 이바노비치 질리닌스키가 측량을 수행했다. 1865년부터 1917년까지 총독이 임명되었으며,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미하일 그레고르예비치 체먀예프,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쿠로팟킨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 - 히바 전역 (1873년)
러시아 제국이 1873년 히바 칸국을 침공하여 점령함으로써 칸국은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고, 외교 및 군사적 자율성을 잃었으며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지배가 강화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 -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는 16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러시아 제국이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하고 제국주의적 확장을 본격화한 시기로, 군사적, 외교적 압박을 통해 카자흐 초원과 여러 칸국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했다. -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 - 수후미구
수후미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지역으로 현재는 압하지야의 일부이며, 러시아 제국과 조지아 민주 공화국을 거쳐 소비에트 정권 하에 놓이게 되었고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여러 하위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다. - 투르키스탄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투르키스탄 - 야쿱 벡의 난
야쿱 벡의 난은 1860년대부터 1870년대에 청나라 신장 지역에서 야쿱 벡이 서북 무슬림 대반란의 혼란을 틈타 신장 대부분을 점령하고 독립을 선포하며 시작되었으나, 청나라가 좌종당을 파견하여 재정복하면서 진압된, 외세 개입과 민족 갈등이 얽힌 중앙아시아 역사상 중요한 사건이다.
러시아령 튀르키스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튀르케스탄 총독부 |
로마자 표기 | Turkestanskoye general-gubernatorstvo |
존속 기간 | 1867년 – 1918년 |
위치 | 중앙아시아 |
정치 | |
정치 체제 | 총독부 |
총독 | 1867년 ~ 1881년: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 1882년 ~ 1889년: 미하일 체르냐예프 1889년 ~ 1898년: 니콜라이 로젠바흐 1898년 ~ 1901년: 세르게이 두호프스코이 1901년 ~ 1904년: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1904년 ~ 1905년: 니콜라이 테비아쇼프 1905년 ~ 1908년: 데안 수보티치 1908년 ~ 1909년: 게오르기 그로데코프 1909년 ~ 1911년: 파벨 미셴코 1911년 ~ 1914년: 알렉산드르 삼소노프 1914년 ~ 1916년: 표도르 마르체비치 1916년 ~ 1917년: 알렉세이 쿠로파트킨 1917년: 예브게니 스타켈베르크 |
역사 | |
주요 사건 | 1867년: 총독부 설립 1918년: 해체 |
인구 | |
1897년 | 약 500만 명 |
통화 | |
통화 | 러시아 루블 |
현재 국가 | |
해당 국가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2. 역사
1865년 오렌부르크 총독령 산하에 튀르키스탄주가 설치되었고, 1867년 7월 11일 새 법령에 따라 독립적인 튀르키스탄 총독부로 개편되었다.[3] 총독부는 타슈켄트를 포함한 시르다리아 지역과 총독 거주지인 세미레첸스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통치했으며, 중심지는 알마티였다.[3]
1899년 러시아 군사 명령 № 176/1899에 따라 총독 보좌관이 설립되었고, 1900년 3월 13일 내무부의 최고 승인을 받았다.
스타니슬라프 이바노비치 질리닌스키는 1868년부터 30년 동안 러시아령 튀르키스탄을 측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튀르키스탄 주 설치
2. 2. 튀르키스탄 총독부 승격
1865년 오렌부르크 총독령 산하 지역으로 튀르키스탄주가 만들어진 이후, 1867년 7월 11일 새로운 법령으로 독자적인 튀르키스탄 총독부로 바뀌었다.[3] 타슈켄트를 포함한 시르다리아 지역과 세미레첸스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포함한 지역을 다스렸으며, 중심지는 알마티였다.[3]총독 보좌관은 러시아 군사 명령 № 176/1899를 통해 1899년에 설립했다. 이후 1900년 3월 13일 내무부 최고 승인을 받았다.
스타니슬라프 이바노비치 질리닌스키는 1868년부터 30년동안 러시아령 튀르키스탄을 측량한 것으로 유명하다.
2. 3. 총독부의 역할과 변화
3. 총독 목록
3. 1. 총독 (1865년 ~ 1867년)
미하일 그레고르예비치 체먀예프는 소장 계급으로 1865년 2월 13일부터 1866년까지 재임했다. 니콜라이 니키티치 골로바쵸프는 소장 계급으로 1866년부터 1867년 7월 14일까지 재임했다.3. 2. 일반 총독 (1867년 ~ 1917년)
이름 | 계급 | 집권 기간 |
---|---|---|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 부관 참모 | 1867년 7월 4일 ~ 1882년 5월 4일 |
미하일 그레고르예비치 체먀예프 | 중장 | 1882년 5월 25일 ~ 1884년 2월 1일 |
니콜라이 오토노비치 로잔바흐 | 부관 참모, 중장 | 1884년 2월 1일 ~ 1889년 10월 28일 |
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브레스키 | 남작, 보병 장군 | 1889년 10월 28일 ~ 1898년 3월 17일 |
세르게이 미할리노비치 두호브스코이 | 보병 장군 | 1898년 3월 28일 ~ 1901년 1월 1일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이바노프 | 중장 | 19091년 1월 23일 ~ 1904년 4월 15일 |
니코라이 니콜라이예비치 테비야셰프 | 기병 장군 | 1904년 6월 22일 ~ 1905년 11월 28일 |
딘 이바노비치 슈보트비치 | 중장 | 1905년 11월 28일 ~ 1906년 |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그로데코프 | 보병 장군 | 1906년 12월 ~ 1908년 3월 9일 |
파벨 이바노비치 미스쳰코 | 중장 | 1908년 5월 2일 ~ 1909년 3월 17일 |
알렉산드르 바실예비치 삼소노프 | 중장 | 1909년 3월 17일 ~ 1914년 |
표도르 블라디미로비치 마르손 | 보병 장군 | 1914년 ~ 1916년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쿠로팟킨 | 보병 장군 | 1916년 ~ 1917년 |
참조
[1]
웹인용
Республика Узбекистан
http://whp057.narod.[...]
2007-05-02
[2]
웹사이트
Туркестанское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ство
http://all-photo.ru/[...]
[3]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е окраины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kungrad.nar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