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민다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민 다오는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 육군 제18보병사단장이었던 인물이다. 그는 1975년 쑤언록 전투에서 북베트남군에 맞서 3주간 저항하며 사이공 방어에 기여했으나, 압도적인 전력 차이로 후퇴했다. 전투 중 "제18사단은 굳건히 버틸 것이다"라는 발언으로 유명해졌으며, 즈엉 반 민 대통령의 항복 권고 이후 체포되어 17년간 재교육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베트남계 미국인 사회에서 활동하다가 2020년 사망했다.
레민다오는 자딘 성 빈호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사이공에 있는 페트루스 키 고등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52년 2월에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다.
1953년, 레민다오는 쩐 빈 쫑 과정 10기생으로 베트남 국립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954년 6월에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한 후, 육군사관학교에서 교관으로 복무했다.[1]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이 항복한 이후, 레민다오는 북베트남의 정치범 수용소에 17년 동안 수감되었다가 1992년에 석방된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는 쑤언록 전투에서 "공산주의자가 전군을 쑤언록으로 보내더라도 제18사단은 이곳을 굳게 지킬 것이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13] 트란 꽝 코이 준장은 다오를 함락이 임박한 사이공을 지키기 위해 싸운 유일한 베트남 공화국군(ARVN) 장교였다고 평가했다.
2. 초기 생애
3. 군 경력
1972년 3월, 럼 꽝 터를 대신하여 제18사단의 지휘관이 되었고,[2] 같은 해 11월에 준장으로 진급했다.[3]
3. 1. 베트남 전쟁 참전
베트남 전쟁에서 레민다오는 남베트남 육군 제18보병사단장으로 참전했다. 1975년 4월 6일부터 4월 21일까지 쑤언록 전투에서 북베트남 군대의 공세에 저항했고, 북베트남은 많은 피해를 입었다.[2][3]
1975년 4월,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군)의 총공격으로 베트남 공화국군(남베트남군)의 주요 저항은 이미 붕괴되었다. 그러나 다오가 이끄는 제18사단은 수도 사이공에서 38마일 떨어진 쑤언록에서 격렬한 저항을 계속하며, 약 2주에 걸친 격전이 벌어졌다. 결국 제18사단은 총 3주 동안 북베트남군을 상대로 쑤언록에서 항전을 벌였지만, 1975년 4월 21일에는 압도적인 전력 차이를 앞에 두고 후퇴하였다. 9일 뒤 사이공이 함락되었다.
다오는 전투 중 전 세계에 방송된 감성적인 전장 인터뷰로 유명해졌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쑤언록에 그들의 모든 군대를 투입할 수 있지만, 제18사단은 굳건히 버틸 것이다."라고 말했고, "나는 롱칸을 지킬 것이고, 그들이 두 개 사단이나 세 개 사단을 데려와도 여기서 그들을 격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4][5][6] AP 통신의 피터 아넷이 절망적인 상황에 대해 질문했을 때, 다오는 "제18사단이 어떻게 싸우고 죽는지 보았다고 미국인들에게 전해주십시오. 이제 가십시오!"라고 말했다.[7]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이 항복한 이후, 다오는 재교육 수용소에서 17년을 보냈다. 처음에는 베트남 북부의 수용소에서 12년을 보냈고, 그 후 남부로 이송되어 5년을 더 보냈다.[1]
3. 2. 쑤언록 전투
1975년 4월, 북베트남군의 총공세로 남베트남군의 주요 저항이 붕괴되었지만, 레민다오가 이끄는 제18사단은 수도 사이공에서 약 61.15km 떨어진 쑤언록에서 격렬하게 저항했다. 약 2주 동안 격전이 벌어졌고, 제18사단은 3주 동안 북베트남군에 맞서 싸웠으나, 1975년 4월 21일 압도적인 전력 차이로 후퇴했다.[4][5][6] 9일 뒤 사이공이 함락되었다.
레민다오는 전투 중 전 세계에 방송된 인터뷰로 유명해졌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쑤언록에 그들의 모든 군대를 투입할 수 있지만, 제18사단은 굳건히 버틸 것이다."라고 말했다.[4][5][6] AP 통신의 피터 아넷이 절망적인 상황에 대해 질문했을 때, 다오는 "제18사단이 어떻게 싸우고 죽는지 보았다고 미국인들에게 전해주십시오. 이제 가십시오!"라고 답했다.[7]
3. 3. 사이공 방어
1975년 4월, 북베트남군의 전면적인 공격으로 베트남 공화국군(남베트남군)의 주요 저항은 대부분 무너졌다. 그러나 레민다오가 지휘하는 제18사단은 사이공에서 38마일 떨어진 쑤언록 전투에서 치열하게 방어했다. 격렬한 전투는 2주 동안 계속되었다. 제18사단은 베트남 인민군에 맞서 3주 동안 버티며 세 개의 북베트남군 사단을 거의 파괴했지만, 1975년 4월 21일에 결국 압도되었다.[2]
다오는 전투 중 전 세계에 방송된 감동적인 전장 인터뷰로 유명해졌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쑤언록에 모든 군대를 투입해도, 제18사단은 굳건히 버틸 것이다."라고 말했고, "나는 롱칸을 지킬 것이고, 그들이 두 개 사단이나 세 개 사단을 데려와도 여기서 그들을 격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4][5][6] AP 통신의 피터 아넷이 절망적인 상황에 대해 묻자, 다오는 "제18사단이 어떻게 싸우고 죽는지 보았다고 미국인들에게 전해주십시오. 이제 가십시오!"라고 말했다.[7]
4월 29일 정오, 제3군단 사령관 응우옌 반 토안 중장은 다오, 제3군단 기갑부대 사령관 쩐 꽝 코이 준장, 해병 부사령관 응우옌 탄 트리 대령과 만나 사이공 근접 방어에 대해 논의했다. 토안은 다오에게 롱빈 기지를 방어하고, 코이에게 비엔호를 방어하며, 남은 두 해병 여단을 다오와 코이에게 각각 배정하라고 명령했다.[3]
4. 전후 생애
다오는 2020년 3월 14일부터 코네티컷 주 하트퍼드 병원에 입원해 있었지만, 같은 해 3월 19일 오후 1시 45분에 사망했다.[14]
4. 1. 수감 생활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이 항복한 이후, 레민다오는 북베트남의 정치범 수용소에 17년 동안 수감되었다.[9][10] 그는 재교육 캠프에서 17년을 보냈으며, 많은 남베트남군(ARVN) 장병들과 함께 통일 베트남의 적색 정권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는 수감 생활 중 작곡을 취미로 삼았다. 그는 도 종 후에(Đỗ Trọng Huề) 대령과 함께 재교육 캠프에 수감된 남베트남군(ARVN)에게 잘 알려진 노래인 ''Nhớ Mẹ''(어머니를 기억하며)를 작곡했다.[1]
4. 2. 미국 망명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이 항복한 이후, 레민다오는 17년 동안 북베트남의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 1992년에 석방된 후 베트남을 탈출하여 미국으로 망명했다.[9][10]
1992년 5월 석방된 후, 레민다오는 미국에서 정치적 망명을 받아 1993년 4월에 정착하여 은퇴하기 전까지 레스토랑 매니저로 일했다.[9][10] 이후 베트남계 미국인으로서 미국 내에서 구 베트남 공화국 출신자들의 보수계 단체를 위해 강연을 하거나, 편지를 보내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5. 사망
다오는 쑤언록에서 남쪽으로 철수한 후에도 저항을 시도했지만, 그보다 먼저 즈엉반민 대통령이 항복 권고를 받아들였다. 그 후 많은 ARVN 장병들과 함께 통일 베트남의 적색 정권에 의해 체포되었다. 재교육 캠프에서 17년을 보내고, 석방 후 미국으로 정치 망명을 했다.[14]
다오는 2020년 3월 14일부터 코네티컷 주 하트퍼드 병원에 입원해 있었지만, 같은 해 3월 19일 오후 1시 45분에 사망했다.[14]
6. 평가
레민다오는 쑤언록 전투에서 북베트남 군대에 맞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여준 남베트남 육군 장성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북베트남군의 총공세로 남베트남군의 주요 저항선이 무너지는 상황에서도, 레민다오가 이끄는 제18사단은 사이공 인근 쑤언록에서 3주 동안이나 격렬하게 저항했다.[13]
특히, 그는 "공산주의자가 전군을 쑤언록으로 보내더라도 제18사단은 이곳을 굳게 지킬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으며,[13] 이는 세계에 중계되기도 했다. AP통신의 특파원 Peter Arnett|피터 아넷영어은 다오가 기자들에게 "여러분들이 본 그대로, 제18사단이 어떻게 싸웠고 어떻게 죽었는지를 미국인들에게 전해주시오. 어서 가시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13]
쩐꽝코이 준장은 레민다오를 "함락이 임박한 사이공을 지키기 위해 싸운 유일한 ARVN(남베트남군) 장교"였다고 평가했다.
비록 쑤언록 전투에서 결국 후퇴했지만, 레민다오는 남쪽으로 철수한 후에도 저항을 계속하려 했다. 그러나 즈엉반민 대통령의 항복 권고로 통일 베트남의 적색 정권에 체포되었고, 재교육 캠프에서 17년이라는 긴 시간을 보낸 후 미국으로 정치 망명했다.
참조
[1]
뉴스
Thiếu tướng Lê Minh Đảo từ trần, thọ 87 tuổi
https://www.voatieng[...]
Voice of America
2020-03-20
[2]
서적
The U.S. Army in Vietnam Advice and Support: The Final Years, 1965-1973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3]
서적
Black April The Fall of South Vietnam 1973-75
Encounter Books
[4]
간행물
General Le Minh Dao at Xuan Loc
https://www.youtube.[...]
2015-04-09
[5]
서적
Nixon, Ford and the Abandonment of South Vietnam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2-04-11
[6]
서적
Duty Honor Sacrifice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07
[7]
웹사이트
White Christmas - The Fall of Saigon by Dirck Halstead - The Digital Journalist
http://digitaljourna[...]
2018-12-28
[8]
문서
Nghia M. Vo Saigon: A History
[9]
웹사이트
SVSA {{!}} Black April
https://svsa.stanfor[...]
2018-12-28
[10]
웹사이트
Battle Of Xuan Loc
http://vnafmamn.com/[...]
2018-12-28
[11]
웹사이트
Cố Thiếu tướng Lê Minh Đảo: "Đảng CSVN hòa giải với người dân trong nước trước…"
https://www.rfa.org/[...]
2022-07-20
[12]
웹사이트
Cố Thiếu Tướng Lê Minh Đảo và di nguyện 'không phủ cờ vàng'
https://www.nguoi-vi[...]
2022-07-20
[13]
URL
http://digitaljourna[...]
[14]
웹사이트
Thiếu Tướng Lê Minh Đảo, cựu tư lệnh SĐ 18 BB, qua đời ở tuổi 87
https://www.nguoi-vi[...]
2020-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