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안드루 비소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안드루 비소투는 브라질 출신의 배구 선수이다. 1995년부터 2023년까지 CR 플라멩고, 트렌티노 배구, JT 선더스 등 여러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브라질 국가대표팀으로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12년 올림픽 은메달 등을 획득했다. 개인적으로는 코파 이탈리아 MVP,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베스트 미들 블로커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타르의 외국인 배구 선수 - 마르틴 네메츠
마르틴 네메츠는 VKP 브라티슬라바를 시작으로 유럽 리그와 대한민국 리그를 거쳐 팔렘방 방크 숨셀 바벨에서 활동하는 슬로바키아 배구 선수이다. - 카타르의 외국인 배구 선수 - 로베르틀란디 시몬
로베르틀란디 시몬은 쿠바 배구 국가대표팀과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세계 선수권 준우승, V-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 및 MVP 수상, 다양한 클럽 우승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세계적인 배구 선수이다. - 브라질의 남자 배구 선수 - 루카스 사트캄프
루카스 사트캄프는 브라질 배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미들 블로커로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월드컵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클럽 레벨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브라질의 남자 배구 선수 - 단치 아마라우
단치 아마라우는 브라질 국가대표팀 레프트로 활약하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브라질, 이탈리아 등 여러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브라질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 루카스 사트캄프
루카스 사트캄프는 브라질 배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미들 블로커로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월드컵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클럽 레벨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브라질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 단치 아마라우
단치 아마라우는 브라질 국가대표팀 레프트로 활약하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브라질, 이탈리아 등 여러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레안드루 비소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선수 정보 | |
![]() | |
| 본명 | 레안드루 비소투 네베스 |
| 포르투갈어 이름 | Leandro Vissotto Neves |
| 별칭 | 레오 |
| 출생일 | 1983년 4월 30일 |
| 출생지 | 리우데자네이루 |
| 포지션 | 오포짓 스파이커 |
| 신장 | 2.14m |
| 체중 | 115kg |
| 스파이크 높이 | 378cm |
| 블로킹 높이 | 348cm |
| 클럽 경력 | |
| 1999–2000 | 플라멩구 |
| 2000–2002 | EC 우니줄 |
| 2002–2004 | EC 우니앙 수자누 |
| 2004–2005 | EC 우니줄 |
| 2005–2006 | 미나스 테니스 클루비 |
| 2006–2007 | 톱 볼리 라티나 |
| 2007–2008 | 타란토 볼리 |
| 2008–2010 | 이타스 디아텍 트렌티노 |
| 2010–2011 | 볼레이 푸투로 |
| 2011–2012 | 브레 방카 라누티 쿠네오 |
| 2012–2013 | 우랄 우파 |
| 2013–2014 | 히우 지 자네이루 볼레이 |
| 2014 | 수원 KEPCO 빅스톰 |
| 2014–2016 | JT 선더스 |
| 2016 | 알아라비 |
| 2016–2017 | 지 그룹 몬차 |
| 2017–2018 | 볼레이 헤나타 |
| 2018–2020 | 푼비크 타우바테 |
| 2020–2021 | 볼레이 헤나타 |
| 2021– | 미나스 테니스 클루비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팀 | 브라질 배구 국가대표팀 |
| 국가대표팀 연도 | 2001–2016 |
| 등번호 | 8 |
| 메달 | |
| 은메달 | 2012 런던 - 남자 배구 |
| 금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2010 이탈리아 |
|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2014 폴란드 |
| 동메달 | 월드컵 - 2011 일본 |
| 금메달 |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 2009 일본 |
| 금메달 | 월드리그 - 2003 마드리드 |
| 금메달 | 월드리그 - 2006 모스크바 |
| 금메달 | 월드리그 - 2009 베오그라드 |
| 금메달 | 월드리그 - 2010 코르도바 |
| 은메달 | 월드리그 - 2011 그단스크 |
| 은메달 | 월드리그 - 2013 마르델플라타 |
| 은메달 | 월드리그 - 2014 피렌체 |
| 금메달 |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2009 보고타 |
| 금메달 |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2013 카부프리우 |
2. 선수 경력
리우데자네이루 출신으로[8][9], 누나들을 따라 배구를 시작하여[8] 1995년부터 CR 플라멩고 유소년팀에서 활동했다.[8][10] 2000년, 17세에 우니스울 EC와 프로 계약을 맺었으며,[8][10] 이후 브라질 내 여러 클럽을 거쳤다. 연령별 대표팀 소속으로 2001년 남자 배구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와 남자 배구 유스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9]
2006년 이탈리아 세리에 A에 진출하여 마조라 라티나, 타란토 배구, 트렌티노 배구 등에서 활약했다.[11] 특히 트렌티노 소속으로 유럽 챔피언스 리그 2연패(2009, 2010)와 2009년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에 기여했으며, 2009년 코파 이탈리아 MVP를 수상했다.[12]
2008년부터 브라질 성인 국가대표팀의 주축 선수로 활동하며 2009년·2010년 월드 리그,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9년 그랜드 챔피언스 컵 등 다수 국제 대회 우승을 이끌었다.[9]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부정맥 진단 및 치료[14][15] 후 출전하여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0년대에는 브라질 리그 복귀, 러시아 리그(우랄 우파)[15], 한국 V-리그(수원 한국전력 빅스톰)[16], 일본 V.프리미어 리그(JT 선더스)[7] 등 다양한 리그를 경험했다. 특히 2013년 브라질 RJ 보리 소속 시절에는 클럽의 재정 문제로 급여를 받지 못해 다른 선수들과 함께 팀을 옮기기도 했다.[16] 이후에도 이탈리아, 카타르, 브라질 등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1. 유년 시절 및 초기 경력
리우데자네이루 출신이다.[8][9] 두 명의 누나가 배구 클럽에서 연습하는 것을 보다가, 그 클럽의 코치에게 스카우트되어 배구를 시작했다.[8] 1995년부터 2000년까지 CR 플라멩고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8][10] 캄바우바 모범학교를 졸업했다.2000년, 17세의 나이로 우니스울 EC(산타카타리나 남부 대학교의 스포츠 클럽)와 프로 계약을 맺었다.[8][10] 이후 상파울루 주와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8][10] 이 시기 연령별 브라질 대표팀에도 선발되어 2001년 남자 배구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와 남자 배구 유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경험했다.[9]
2006년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마조라 라티나로 이적하며 해외 리그에 진출했고, 다음 시즌에는 타란토 배구에서 뛰었다.[11] 2008년 트렌티노 배구로 이적한 후에는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11] 유럽 챔피언스 리그 2연패와 2009년 남자 배구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09년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MVP를 수상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12]
2008년부터는 브라질 성인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9년과 2010년 월드 리그 연속 우승,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09년 남미 선수권 대회 우승, 그리고 같은 해 그랜드 챔피언스 컵 우승 등 브라질 대표팀의 주요 성과에 기여했다.[9]
2. 2. 브라질 국가대표팀 경력
연령별 브라질 대표팀에 선발되어 2001년 남자 배구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와 남자 배구 유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9]。2008년부터 브라질 성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9]。 2009년 월드 리그, 남미 선수권 대회,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대표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9]。 2010년 월드 리그에서도 우승했으며, 같은 해 10월 10일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브라질의 우승에 기여했다.[3][4][9]
2011년 월드 리그에서는 준우승을, 월드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12년 8월 12일, 2012년 런던 올림픽 결승전에서 러시아에 2-3으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비소투는 시즌 중 발견된 부정맥[14] 치료 후 올림픽에 참가했으나[14][15], 부상으로 결승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5] 2013년 월드 리그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 9월 21일,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폴란드에 1-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추가했다. 이는 그의 두 번째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이었다.[6][9]
'''주요 성적'''
| 대회 | 성적 | 연도 |
|---|---|---|
| 올림픽 | 준우승 | 2012년 |
| 세계 선수권 대회 | 우승 | 2010년 |
| 준우승 | 2014년 | |
| 월드컵 | 3위 | 2011년 |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 | 우승 | 2009년 |
| 월드 리그 | 우승 | 2009년, 2010년 |
| 준우승 | 2011년, 2013년 |
2. 3. 클럽 경력
리우데자네이루 출신이다.[8][9] 두 명의 누나가 배구 클럽에서 연습하는 것을 보고 해당 클럽 코치에게 스카우트되어 배구를 시작했다.[8] 1995년부터 2000년까지 CR 플라멩고에서 선수로 활동했다.[8][10]2000년, 17세의 나이로 우니스울・플로리아노폴리스(산타카타리나 남부 대학교의 스포츠 클럽)와 프로 계약을 맺었다.[8][10] 이후 상파울루 주와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클럽들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8][10]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브라질 리그 활동 기록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세리에 A 공식 기록[11]과 2009년 FIVB 보도 자료[10] 간에 차이가 있다. 세리에 A 기록에 따르면 위자드 수자노(2002-03), EC 피녜이루스(2003-04), 텔레밍 미나스(2004-05), 우니스울・플로리아노폴리스(2005-06) 순이며, FIVB 보도 자료에 따르면 위자드 수자노(2002-04), 우니스울・플로리아노폴리스(2004-05), 텔레밍 미나스(2005-06) 순이다.
2006년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마조라 라티나로 이적했으며, 다음 시즌에는 타란토 배구에서 뛰었다.[11] 2008년 트렌티노 배구로 이적한 후[11], 팀의 유럽 챔피언스 리그 2회 연속 우승(2008-09, 2009-10)과 2009년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또한 2009년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MVP로 선정되었다.[12]
2010년 브라질로 복귀하여 GRWR 아라사투바로 이적했고, 파울리스타 선수권 대회 우승 등에 기여했다. 그러나 기용 방식에 대한 팀과의 갈등으로 한 시즌 만에 팀을 떠났다.[13] 2011년 다시 이탈리아로 건너가 피에몬테 배구에서 활동했으나, 시즌 막바지 코파 이탈리아 준결승 경기 도중 부정맥이 발견되었다.[14] 런던 올림픽 대표팀 합숙 중 카테터 치료를 받고[14][15] 올림픽에 출전하여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2년에는 러시아 슈퍼 리그의 우랄 우파로 이적했다. 이곳에서도 부정맥 증상을 느꼈지만, 심전도 검사에서는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15] 이 시즌 동안 팀의 리그 사상 첫 준우승과 유럽 챌린지컵 준우승에 기여했다.
2013년 다시 브라질로 돌아와 RJ 보리(RJX)에 합류했으나, 클럽 스폰서의 경영 위기로 인한 투자 중단으로 급여 지급이 중단되면서 다른 선수들과 함께 이적을 결정했다. 브루노 레젠데나 치아고 아우베스 등도 당시 급여 미지급 문제로 RJX를 떠난 선수들이다.[16] 이후 2014년, 2개월 단기 계약으로 한국 V-리그의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에서 뛰었다.
2014년에는 일본 V.프리미어 리그의 JT 선더스로 이적하여[7] 2016년까지 활동했다. 이후 카타르의 알 아라비(2016), 이탈리아의 Gi Group Monza(2016-17)를 거쳐 브라질 리그로 복귀하여 Vôlei Renata(2017-18, 2020-21), EMS Taubaté Funvic(2018-20), Itambé/Minas(2021-23) 등에서 활약했다.
| 기간 | 클럽 | 국가 |
|---|---|---|
| 1995–2000 | CR 플라멩고[10] | 브라질 |
| 2000–2002 | 우니스울・플로리아노폴리스[10] | 브라질 |
| 2002–2006 | (상기 기록 참조) | 브라질 |
| 2006–2007 | 마조라 라티나[11] | 이탈리아 |
| 2007–2008 | 타란토 배구[11] | 이탈리아 |
| 2008–2010 | 트렌티노 배구[11] | 이탈리아 |
| 2010–2011 | GRWR 아라사투바[11] | 브라질 |
| 2011–2012 | 피에몬테 배구[11] | 이탈리아 |
| 2012–2013 | 우랄 우파[8] | 러시아 |
| 2013 | RJ 보리 | 브라질 |
| 2014 |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 대한민국 |
| 2014–2016 | JT 선더스 | 일본 |
| 2016 | 알 아라비 | 카타르 |
| 2016–2017 | Gi Group Monza | 이탈리아 |
| 2017–2018 | Vôlei Renata | 브라질 |
| 2018–2020 | EMS Taubaté Funvic | 브라질 |
| 2020–2021 | Vôlei Renata | 브라질 |
| 2021–2023 | Itambé/Minas | 브라질 |
비소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태어났다. 그는 나탈리아와 결혼했다. 2010년 8월, 그의 아내는 첫 아이인 딸 카타리나를 낳았다. 2013년 9월 7일, 그들의 둘째 딸 빅토리아가 벨루오리존치에서 태어났다.[2]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3. 개인 생활
4. 수상 경력
4. 1. 클럽
wikitext
| 시즌 | 대회 | 소속 클럽 | 성과 |
|---|---|---|---|
| 2005–2006 | 브라질 선수권 | 미나스 테니스 클루브 | |
| 2008–2009 | CEV 챔피언스리그 | 이타스 디아텍 트렌티노 | |
| 이탈리아 선수권 | 준우승 | ||
| 2009 | FIVB 남자 배구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 | 우승 | |
| 2009–2010 | CEV 챔피언스리그 | 우승 | |
| 이탈리아 컵 | |||
| 이탈리아 선수권 | 이타스 디아텍 트렌티노 | 준우승 | |
| 2010–2011 | 브라질 선수권 | 볼레이 푸투로 | |
| 2012–2013 | 러시아 선수권 | 우랄 우파 | 준우승 |
| 2014–2015 | 일본 선수권 | JT 선더스 | 우승 |
| 2016 | 아시아 남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알 아라비 카타르 | 준우승 |
| 2018–2019 | 브라질 슈퍼리가 | 푼비치 타우바테 | 우승 |
4. 2. 국가대표팀
2010년 10월 10일, 비소투가 포함된 브라질 대표팀은 2010년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3][4] 2012년 8월 12일 2012년 하계 올림픽 결승전에서는 러시아에 2-3으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비소투는 부상으로 인해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했다.[5] 2014년 9월 21일 2014년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는 폴란드에 1-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추가했다.[6]비소투는 2008년부터 브라질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 연도 | 메달 | 대회명 |
|---|---|---|
| 2000 | -- 금메달 | CSV U19 남미 선수권 대회 |
| 2000 | -- 금메달 | FIVB U19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1 | -- 금메달 | FIVB U21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9 | -- 금메달 | FIVB 월드 리그 |
| 2009 | -- 금메달 | 남미 선수권 대회 |
| 2009 | -- 금메달 |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 2010 | -- 금메달 | FIVB 월드 리그 |
| 2010 | -- 금메달 |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
| 2011 | -- 은메달 | FIVB 월드 리그 |
| 2011 | -- 동메달 | FIVB 월드컵 |
| 2012 | -- 은메달 | 올림픽 |
| 2013 | -- 은메달 | FIVB 월드 리그 |
| 2013 | -- 금메달 | 남미 선수권 대회 |
| 2014 | -- 은메달 | FIVB 월드 리그 |
| 2014 | -- 은메달 |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
'''주요 성적 요약'''
- '''올림픽''': 준우승 1회 (2012)
-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1회 (2010), 준우승 1회 (2014)
- '''월드컵''': 3위 1회 (2011)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우승 1회 (2009)
- '''월드리그''': 우승 2회 (2009, 2010), 준우승 3회 (2011, 2013, 2014)
4. 3. 개인
- '''2008''' 세리에 A1 - 최우수 득점자
- '''2010''' 코파 이탈리아 - 파이널 포 MVP
- '''2016''' 2016년 아시아 남자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베스트 미들 블로커
참조
[1]
웹사이트
Al Arabi Sends Olympic Silver Medalist Leandro Visotto Back to Italy
https://volleymob.co[...]
VolleyMob
2017-01-26
[2]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po raz drugi został ojcem
http://www.s-w-o.pl/[...]
2013-09-11
[3]
웹사이트
Brazil continue golden reign with third world crown
http://www.fivb.org/[...]
2010-10-10
[4]
웹사이트
Brazil Men's World Champions for third time running
http://www.fivb.org/[...]
2010-10-10
[5]
뉴스
Russia beats Brazil for men's gold
https://www.espn.co.[...]
ESPN
2020-08-23
[6]
웹사이트
Poland put an end to the reign of Brazil
http://www.fivb.org/[...]
2014-09-21
[7]
웹사이트
【バレー】ビソットがJT入団会見 212センチのブラジル代表「勝利に貢献」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2014-11-09
[8]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http://www.atletidic[...]
ATLETI DI CRISTO
2014-11-09
[9]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Neves
http://poland2014.fi[...]
FIVA
2014-11-09
[10]
웹사이트
Player 112082: Vissotto - Leandro Vissotto Neves
http://www.fivb.org/[...]
FIVA
2014-11-09
[11]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Neves
http://www.legavolle[...]
セリエA
2014-11-09
[12]
웹사이트
Cuneo piegata 3-1 in finale, la Coppa Italia è dell'Itas Diatec Trentino!
http://www.trentinov[...]
トレンティーノ・バレー
2014-11-09
[13]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é dispensado do Vôlei Futuro
http://www.lancenet.[...]
LANCE.net
2014-11-09
[14]
웹사이트
"Tive medo de não voltar para casa", diz Vissotto após arritmia
http://olimpiadas.ig[...]
IG.com
2014-11-09
[15]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passa bem após arritmia e descarta parar de jogar
http://esporte.uol.c[...]
UOL
2014-11-09
[16]
웹사이트
Leandro Vissotto confirma saída do RJ Vôlei e acerta com time da Coreia
http://esporte.uol.c[...]
UOL
2014-11-09
[17]
웹사이트
2014/15V・プレミアリーグ男子大会V・レギュラーラウンド 最終結果のお知らせ
http://www.vleague.o[...]
2015-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