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바이러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바이러스과는 외피가 없는 정십이면체 캡시드를 가진 바이러스 과이다. 유전체는 9~12개의 분절로 구성된 이중 가닥 RNA(dsRNA)이며, 세포질에서 복제된다. 레오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해 숙주 세포에 침투하며, 복수 감염 재활성화를 통해 생존 가능한 바이러스를 형성하기도 한다. 레오바이러스과는 내부 캡시드에 "포탑" 단백질의 유무에 따라 세도레오바이러스아과와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로 나뉘며,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레오바이러스는 종양 용해 특성을 통해 암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레올리신이라는 제제가 임상 시험 중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러스 과 - 코로나바이러스과
코로나바이러스과는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이 코로나와 유사한 RNA 바이러스로, 숙주 세포 침투 및 복제 과정을 거쳐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진화하며, 레토바이러스아과와 코로나바이러스아과로 나뉘고 다양한 속과 종으로 분류되며, 사람에게 감기부터 SARS, MERS, 코로나19와 같은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 바이러스 과 - 파르보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는 선형 단일 가닥 DNA 게놈을 가진 바이러스로, NS 유전자와 VP 유전자를 포함하며, 롤링 헤어핀 복제 방식으로 게놈을 복제하고, 질병을 유발하거나 유전자 치료에 활용된다.
레오바이러스과 | |
---|---|
바이러스 정보 | |
![]() | |
과 | 레오바이러스과 |
분류 | |
아과 및 속 | 아래 참고 |
분류 체계 | |
아과 | 세도레오바이러스아과 (Sedoreovirinae)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 (Spinareovirinae) |
2. 구조
레오바이러스는 외피가 없으며 바깥쪽(T=13)과 안쪽(T=2) 단백질 껍질로 구성된 정십이면체 캡시드를 가지고 있다.[1][8] 초미세 구조 연구에 따르면 바이러스 입자 캡시드는 종에 따라 두 개 또는 세 개의 별도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안쪽 층(코어)은 T=1 정십이면체 대칭을 가지며 60가지 유형의 구조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에는 유전자 분절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유전자 분절은 전사에 필요한 다양한 효소 구조를 암호화한다. 코어는 캡시드 층 T=13 정십이면체 대칭으로 덮여 있다. 레오바이러스는 표면에 당화된 스파이크 단백질을 포함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9]
레오바이러스과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9~12개의 분절로 구성되며, 크기에 따라 L(대형), M(중형), S(소형)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분절의 크기는 약 0.2~3kbp이며, 각 분절은 1~3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총 10~14개의 단백질). 레오바이러스과 바이러스의 단백질은 번역된 분절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로 표시된다(L 분절은 λ 단백질, M 분절은 μ 단백질, S 분절은 σ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복수 감염 재활성화(MR)는 비활성화된 유전체 손상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바이러스 유전체가 감염된 세포 내에서 상호 작용하여 생존 가능한 바이러스 유전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McClain과 Spendlove는 자외선 조사 후 3가지 유형의 레오바이러스과에 대한 MR을 입증했다.[11] 그들의 실험에서, 레오바이러스 입자는 단일 감염에서는 치명적인 UV-빛에 노출되었다. 그러나 둘 이상의 비활성화된 바이러스가 개별 숙주 세포를 감염하도록 허용되었을 때 MR이 발생했고 생존 가능한 자손이 생성되었다. 그들이 언급했듯이, 복수 감염 재활성화는 정의상 어떤 유형의 복구를 포함한다. Michod 등[12]은 다양한 바이러스에서 MR의 수많은 사례를 검토했으며, MR이 유전체 손상의 재조합 복구의 이점을 제공하는 바이러스에서 흔한 형태의 성적 상호 작용이라고 제안했다.
레오바이러스과는 세도레오바이러스아과(Sedoreovirinae)와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Spinareovirinae)라는 두 개의 아과로 나뉜다.[13][14][15] 각 아과의 속(屬)은 다음과 같다.
3. 유전체
4. 생활사
레오바이러스과 바이러스는 분절된 이중 가닥 RNA (dsRNA) 게놈을 가지며, 복제는 세포질에서만 일어난다.[4] 바이러스는 복제 및 dsRNA 게놈을 양성 가닥 RNA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여러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0]
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해 숙주 세포에 들어간다. 수용체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시알산과 접합 부착 분자 (JAMs)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바이러스는 엔도리소솜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외피가 벗겨지고, 캡시드는 세포 진입을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소화된다. 이후 코어 입자는 알려지지 않은 과정을 통해 세포질로 들어가 게놈이 보존적으로 전사되어 양성 가닥이 과도하게 생성되며, 이는 음성 가닥 합성을 위한 전령 RNA 템플릿으로 사용된다.[10]
로타바이러스 게놈은 11개의 분절로 구성되며, 각 분절은 RNA 합성을 담당하는 VP1 분자와 관련이 있다. 초기에는 11개 RNA 분절의 진입을 위한 선택 과정이 발생하며, 이는 새로 합성된 RNA에 의해 수행되어 각 분절이 하나씩 수신되도록 보장한다. 후기에는 전사 과정이 다시 발생하지만, 초기와 달리 캡핑되지 않는다. 바이러스 RNA 양은 다르지만 번역 단계에서 제어 기작을 통해 RNA 분절 양은 같고 단백질 양은 다르게 조절된다. 이는 RNA 분절이 동일한 속도로 번역되지 않기 때문이다.[7]
바이러스 입자는 감염 후 6~7시간 후 세포질에서 조립된다. 번역은 누설 스캐닝, 종결 억제, 리보솜 건너뛰기를 통해 일어난다. 바이러스는 단일 부분 비튜블 유도 바이러스 이동, 세포 간 이동, 세포 사멸 후 폐색체에 존재 및 다른 숙주를 찾을 때까지 감염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숙주 세포에서 빠져나온다.[1]
5. 복수 감염 재활성화
6. 분류
세도레오바이러스아과(Sedoreovirinae)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Spinareovirinae)
기타 속으로 ''Crabreovirus''가 있다.[24]
6. 1.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 (Spinareovirinae)
레오바이러스과는 내부 캡시드에 "포탑" 단백질의 유무에 따라 두 개의 아과로 나뉘는데, 그 중 하나가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Spinareovirinae)이다.[13][14][15]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CTV)에 따르면 "스파이킹 또는 포탑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아과를 식별하기 위해 ''Spinareovirinae''라는 이름이 사용될 것이며, 'reovirus'와 라틴어 'spina'에서 파생되었으며, 접두사로 'spike'를 의미하며, 코어 입자 표면에 스파이크 또는 포탑이 있음을 나타낸다."[16] 'spiked'라는 용어는 초창기 연구에서 특히 사이포바이러스(cypoviruses)의 입자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던 'turreted'의 대안이다.[16]
스피나레오바이러스아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屬)들이 있다.6. 2. 세도레오바이러스아과 (Sedoreovirinae)
레오바이러스과는 크게 Sedoreovirinae와 Spinareovirinae라는 아과로 나뉜다.[13][14][15]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CTV)에 따르면 "스파이킹 또는 포탑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아과를 식별하기 위해 ''Spinareovirinae''라는 이름이 사용될 것이며, 'reovirus'와 라틴어 'spina'에서 파생되었으며, 접두사로 'spike'를 의미하며, 코어 입자 표면에 스파이크 또는 포탑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spiked'라는 용어는 초창기 연구에서 특히 사이포바이러스(cypoviruses)의 입자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던 'turreted'의 대안입니다. ''Sedoreovirinae''라는 이름은 비(非)포탑 바이러스 속을 포함하는 아과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며, 'reovirus'와 라틴어 'sedo'에서 파생되었으며, 'smooth'를 의미하며, 비교적 매끄러운 형태를 가진 이 바이러스의 코어 입자에 스파이크나 포탑이 없음을 나타냅니다."[16]
; Sedoreovirinae 아과의 속
7. 치료 응용
레오바이러스는 대부분 인간에게 병원성이 없지만, 이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발병기전 연구를 위한 매우 생산적인 실험 모델로 사용되어 왔다.[17] 신생 마우스는 레오바이러스 감염에 극도로 민감하며, 레오바이러스 발병기전 연구를 위한 선호되는 실험 시스템으로 사용되어 왔다.[2]
레오바이러스는 종양 용해(암세포 살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기반 치료법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18][19][20]
레올리신은 레오바이러스(포유류 정형 레오바이러스 3형-데어링 균주[21]) 제제로, 현재 다양한 암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며,[22] 여기에는 레올리신을 다른 면역 치료법과 병용하여 그 역할을 연구하는 연구도 포함된다.[21]
8. 관련 인물
시호 요시로
참조
[1]
웹사이트
Viral Zone
http://viralzone.exp[...]
ExPASy
2015-06-15
[2]
서적
Reoviruses: Entry, Assembly and Morphogenesis
2006
[3]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9 Release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20-05-11
[4]
서적
Segmented Double-stranded RNA Viruses: Structure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2008
[5]
간행물
The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viruses. Summary of results of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n Madrid, September 1975
1976-06
[6]
간행물
Reovirus infection triggers inflammatory responses to dietary antigens and development of celiac disease
2017-04-07
[7]
서적
Vir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
[8]
웹사이트
Reoviruses
http://www.microbiol[...]
[9]
간행물
Family Reoviridae
2017
[10]
간행물
Junction adhesion molecule is a receptor for reovirus.
2001-02-09
[11]
간행물
Multiplicity reactivation of reovirus particles after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1966-11
[12]
간행물
Adaptive value of sex in microbial pathogens
[13]
간행물
Ratification vote on taxonomic proposals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09)
2010-01
[14]
간행물
The structure of a cypovirus and the functional organization of dsRNA viruses
[15]
서적
Fields Virology
Wolters Kluw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웹사이트
Template for Taxonomic Proposal to the ICTV Executive Committee To create a new SubFamily in an existing Family
http://talk.ictvonli[...]
[17]
문서
Fundamentals of Molecular Virology
John Wiley and Sons
2011
[18]
간행물
FAST Proteins: Development and Use of Reverse Genetics Systems for Reoviridae Viruses
2021-09-29
[19]
간행물
Reovirus: Rationale and clinical trial update
2009-10
[20]
뉴스
Cold virus hitches a ride to kill cancer: study
https://www.reuters.[...]
2012-06-17
[21]
간행물
Oncolytic virotherapy including Rigvir and standard therapies in malignant melanoma
Dovepress, New Zealand NLM
2017-02
[22]
서적
Gene Therapy of Cancer
[23]
서적
Segmented Double-stranded RNA Viruses: Structure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24]
문서
Sequence analysis of 12 genome segments of mud crab reovirus (MCRV)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