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 지역에서 시작된 유아 교육 철학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변화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여 부모와 지역 사회의 지지를 받으며 발전했다. 이 접근법은 어린이의 "백 가지 언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탐구하며, 교사는 아이와 함께 배우는 협력자로서 아이의 흥미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또한, 부모와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며, 물리적 환경을 "세 번째 교사"로 간주하여 아이들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철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철학 -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개인이 전 생애에 걸쳐 자아실현과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학교, 가정, 직장,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교육 체계이다. - 대안 교육 - 오픈 대학교
오픈 대학교는 원격 교육을 통해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1969년 영국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로, 다양한 학습 방식과 폭넓은 분야의 교육 과정, 활발한 연구 활동, 그리고 전 세계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대안 교육 - 환경 교육
환경 교육은 인간과 환경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 있는 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 활동으로, 유네스코와 UNEP의 국제적인 주도하에 모든 계층의 시민 참여를 목표로 여러 관련 분야와 연관되어 현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여러 장애물에 직면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자료에 기반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교육 철학 및 교육 방법 |
| 개발자 | 로리스 말라구치 |
| 원칙 | |
| 주요 원칙 | 어린이는 지식 구성의 주체이다. 환경은 제3의 교사이다. 기록과 문서는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교사는 파트너, 양육자, 연구자이다. 부모는 협력자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강조한다. 100가지 언어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
| 특징 | |
| 주요 특징 | 어린이 중심 교육 협력적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표현의 다양성 (100가지 언어) 환경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재정의 부모 참여 강조 |
| 교육 환경 | |
| 환경 구성 | 매력적이고 자극적인 공간 자연광 활용 다양한 재료와 도구 제공 어린이의 작품 전시 공동 작업 공간 |
| 교사의 역할 | |
| 역할 | 관찰자 및 기록자 질문을 통해 사고 자극 학습 과정 촉진 환경 설계 및 관리 부모와의 협력 |
| 비판 | |
| 주요 비판 | 높은 비용 교사 교육의 어려움 결과 측정의 어려움 문화적 맥락 의존성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구성주의 사회문화 이론 프로젝트 학습 다중 지능 이론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의 사회 변화와 교육 혁신에 대한 열망 속에서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이 탄생하였다.[10][2]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의 교육 철학에 기반한 이 접근법은 1970년대 레지오에밀리아 시에서 부모와 지역사회의 지지를 받으며 시작되었고,[3] 1980년대 국제 전시회와 1990년대 언론 보도를 통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4][5][1] 이후 접근법의 연구, 확산,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기관들이 설립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6][2][7]
2. 1. 기원과 발전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와 혁신에 대한 강한 열망을 보였으며,[10] 이는 교육 분야를 포함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2] 1976년, 레지오 에밀리아 시의 기존 유아 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유치원 운영 방식이 사회적 관심사로 떠올랐다.[3] 이러한 배경 속에서 부모와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레지오 접근법이 유아 교육 현장에 도입되기 시작했다.[3]이 접근법은 교육학자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의 교육 철학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특히 1981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모데른 뮤제트(Moderna Museet)에서 시작된 "어린이는 100개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순회 전시회는 레지오 접근법을 전 세계 교육자들에게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큰 호평을 받았다.[4][5] 이 전시회를 계기로 유아-어린이 센터 연구 및 실행을 위한 국가 그룹이 조직되기도 했다.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적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1991년에는 미국의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레지오 에밀리아의 학교들을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 시스템 중 하나로 평가하기도 했다.[1]
레지오 접근법의 확산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어졌다. 1994년 5월 24일에는 로리스 말라구찌의 교육적 업적을 기리고 이 접근법에 기반한 전문가 양성 및 문화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비영리 단체 '레지오 어린이 국제 연합 친구들(International Friends of Reggio Children Association)'이 설립되었다.[6] 북미 지역에서도 레지오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2002년 11월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유아 교육 협회(NAEYC) 연례 회의에서 '북미 레지오 에밀리아 연합(North American Reggio Emilia Alliance, NAREA)'이 공식 출범했다.[2]
2003년, 레지오 에밀리아 시 정부는 시립 학교 및 유아 센터 네트워크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스티투치오네 스콜레 에 니디 디 인판치아(Istituzione Scuole e Nidi d'Infanzia)'라는 기관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레지오 에밀리아의 시립 학교와 유치원들은 이탈리아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레지오 접근법에 기반한 독자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을 더욱 활발히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레지오 접근법 연구와 실천의 중심지 역할을 할 기관도 설립되었다. 2006년 2월,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에는 전문가들의 교류와 레지오 철학 연구의 허브 역할을 하는 로리스 말라구찌 국제 센터(Loris Malaguzzi International Centre)가 문을 열었다. 이어 2011년 9월 29일에는 이 센터 내에 비영리 재단인 '레지오 어린이-로리스 말라구찌 센터 재단(Reggio Children – Loris Malaguzzi Centre Foundation)'이 설립되어, "레지오 에밀리아와 전 세계 사람 및 지역 사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 연구"를 장려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7]
2. 2. 국제적 확산과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변화를 가져오고 새롭게 창조하려는 열망"에 힘입어 교육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루었다.[10][2] 1976년, 레지오에밀리아 시의 초등 교육 정책에 대한 반대가 제기되면서 시립 유치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고,[3] 이는 부모와 지역 사회의 지지를 바탕으로 레지오 접근법이 조기 교육에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3]이 접근법은 로리스 말라구찌(Malaguzzi)의 교육 철학에 기반하며, 1981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모데른 뮤제트(Moderna Museet)에서 열린 "어린이는 100개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eng)" 순회 전시를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4][5] 이 전시회는 많은 교육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유아-어린이 센터에 관한 연구 및 작업을 위한 국가 그룹 결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국제적 관심 속에서 1991년에는 미국의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레지오 에밀리아의 학교들을 세계 최고의 학교 시스템 중 하나로 평가하기도 했다.[1]
레지오 접근법의 국제적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졌다. 1994년 5월 24일에는 로리스 말라구찌의 교육적 업적을 기리고 관련 전문성 개발 및 문화 행사를 조직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레지오 어린이 국제 연합 친구들'(International Friends of Reggio Children Associationeng)이 설립되었다.[6] 2002년 11월에는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유아 교육 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eng, NAEYC) 연례 회의에서 '북미 레지오 에밀리아 연합'(North American Reggio Emilia Allianceeng, NAREA)이 공식적으로 출범했다.[2]
한편, 레지오 에밀리아 시 차원에서도 이 접근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직이 마련되었다. 2003년, 시 정부는 '이스티투치오네 스콜레 에 니디 디 인판치아'(Istituzione Scuole e Nidi d'Infanziaita)를 설립하여 시립 학교와 유아 센터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시립 학교와 유치원은 이탈리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레지오 접근법에 기반한 독립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레지오 접근법의 연구와 발전을 위한 국제적인 거점도 마련되었다. 2006년 2월,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에는 로리스 말라구찌 국제 센터(Loris Malaguzzi International Centre)가 문을 열어, 전 세계 교육자들을 위한 전문성 개발의 장이자 레지오 철학 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어 2011년 9월 29일에는 로리스 말라구찌 국제 센터 내에 비영리 재단인 '레지오 어린이-로리스 말라구찌 센터 재단'(Reggio Children – Loris Malaguzzi Centre Foundationeng)이 설립되어 "레지오 에밀리아와 전 세계의 사람들과 지역 사회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를 장려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7]
3. 철학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철학은 어린이를 존중하고 그들의 잠재력을 신뢰하는 데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접근법은 어린이를 단순히 지식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며 세상을 배워나가는 유능하고 창의적인 주체로 바라본다.[10] 또한, 어린이가 주변 환경 및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우고 성장하며, 자신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8][9] 이러한 철학은 어린이 발달에 대한 이해와 어린이가 환경과 맺는 밀접한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8]
3. 1. 기본 원칙
레지오 에밀리아 철학은 다음 원칙들을 기반으로 한다.- 어린이는 학습 방향에 대한 통제력을 가져야 한다.
- 어린이는 만지고, 움직이고, 듣고, 관찰하는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다른 어린이 및 세상의 물질적 대상과 대인 관계를 맺으며, 이를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무한한 방법과 기회를 가져야 한다.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자연스러운 어린이 발달과 어린이들이 환경과 맺는 밀접한 관계를 철학의 중심에 둔다.[8] 이 접근법의 기초는 어린이에 대한 독특한 관점, 즉 어린이의 다양한 표현 방식인 "100가지 언어"를 최대한 통합하여 교육을 장려하는 데 있다.[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어린이가 권리를 가지며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할 기회를 받아야 한다고 본다. 어린이는 스스로 지식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여겨지며, 일상에서 마주하는 모든 것에 대한 생각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도록 격려받는다.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어린이는 아름답고, 강력하며, 유능하고, 창의적이며, 호기심이 많고, 무한한 잠재력과 열정을 지닌 존재로 존중받는다.[10] 어린이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받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하는 견습생과 같은 역할을 한다.[11] 이러한 역할은 연구자의 자세로 확장되기도 한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상당 부분은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탐구하고, 관찰하며, 가설을 세우고, 질문하고, 토론하면서 자신의 이해를 명확히 할 기회를 갖는다.[12] 또한 어린이는 사회적인 존재로 여겨지므로, 개별 어린이보다는 다른 어린이, 가족, 교사, 지역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는 관점을 가진다.[13] 어린이들은 모두가 공동체의 일원이자 고유한 주체로서 서로를 존중하는 법을 배운다.
유아 교육에 대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존 듀이, 장 피아제, 레프 비고츠키, 제롬 브루너 등의 이론과 맞닿아 있으며, 구성주의 (교육 철학)적 관점을 많이 반영한다. 이 접근법은 교사의 역할이나 발달에 적합한 교육 방식에 대한 기존의 몇몇 개념에 도전한다. 예를 들어, 레지오 에밀리아 교사들은 혼란스러움 역시 학습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며, 의도적으로 실수를 허용하거나 명확한 결과 없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한다. 또한, 어린이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협상 능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점도 많은 서구 교육자들의 생각과 차이를 보인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어린이의 필요, 관심사,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학부모, 교사, 어린이가 학교 경험을 함께 만들어나가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교사는 어린이의 생각과 관심사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자신을 신뢰하고, 어린이가 가치 있는 배움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믿으며, 학부모가 교육 과정에 협력적인 구성원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신뢰한다. 그 결과, 어른과 아이 모두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공동체적이고 협력적인 분위기가 조성된다.[14]
3. 2. 이론적 배경
레지오 에밀리아 철학은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에 바탕을 둔다.[8]- 어린이는 자신이 무엇을 배울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직접 만지고, 움직이고, 듣고, 보면서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다른 친구들이나 세상의 여러 사물들과 대인 관계를 맺고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 접근법은 어린이의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과 어린이가 주변 환경과 맺는 긴밀한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8]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초는 어린이에 대한 독특한 시각에 있다. 즉, 아주 어린 학습자라도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격려하며, 어린이가 가진 "100가지 언어"라고 불리는 다양한 표현 방식들이 최대한 통합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9] 이 접근법에서는 어린이가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가 있으며,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펼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어린이는 스스로 지식을 만들어가는 주체로 여겨지며, 일상에서 만나거나 경험하는 모든 것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나누도록 격려받는다.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어린이는 아름답고, 강하며, 능력이 있고, 창의적이며, 호기심이 많고, 무한한 잠재력과 꿈을 가진 존재로 존중받는다.[10] 어린이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받는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능동적인 학습자로 여겨진다. 마치 견습생처럼 배움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11] 이러한 역할은 연구자로서의 모습으로도 이어진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은 주로 프로젝트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아이들은 프로젝트를 통해 스스로 탐구하고, 관찰하며, 가설을 세우고, 질문하며, 토론할 기회를 갖는다. 이를 통해 자신이 배우는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12] 또한 어린이는 사회적인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개별 어린이에게만 집중하기보다는 다른 친구들, 가족, 교사,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린이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13] 아이들은 모두가 공동체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각자 고유한 생각을 가진 "주관적 행위자"임을 배우며,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유아 교육에 대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존 듀이, 장 피아제, 레프 비고츠키, 제롬 브루너와 같은 학자들의 이론과 맞닿아 있으며,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활동들은 유아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반영한다. 이 접근법은 교사의 역할이나 발달에 적합한 활동에 대한 기존의 몇 가지 생각에 도전한다. 예를 들어, 레지오 에밀리아 교사들은 아이들이 혼란스러워하는 과정 역시 배움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때로는 아이들이 실수를 하도록 내버려 두거나,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한다. 이는 많은 서구 교육자들이 생각하는 방식과는 다른 점이다. 또 다른 특징은 아이들이 또래 친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협상 능력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이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부분 중 하나는 어린이의 필요, 관심사, 능력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구하는 동시에, 학부모, 교사, 어린이가 모두 학교 경험을 만들어가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는 어린이의 생각과 관심사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자신의 판단을 믿고, 어린이가 스스로 가치 있는 배움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믿으며, 학부모가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협력적인 팀원이 될 것이라고 신뢰한다. 그 결과, 어른과 아이 모두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하고 서로 협력하는 공동체 분위기가 만들어진다.[14]
3. 3. 사회적 구성주의와 협력 학습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은 유아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시각,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이는 존 듀이, 장 피아제, 레프 비고츠키, 제롬 브루너와 같은 학자들의 이론과 연결된다.[11][13] 이 접근법에서는 어린이를 단순히 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니라, 주변 환경 및 다른 사람들과의 대인 관계를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능동적인 주체로 본다.[10] 어린이는 세상을 탐구하고 이해하려는 강한 동기를 가진 "지식 전달자"이자 견습생으로 여겨지며,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받는다.[9][11]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학습은 개인적인 과정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과정이기도 하다.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은 어린이를 고립된 개인이 아닌, 다른 어린이, 가족, 교사, 그리고 넓게는 지역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성장하는 사회적 존재로 인식한다.[13] 따라서 교육 과정에서 협력 학습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어린이들은 프로젝트 활동 등을 통해 서로 협력하며 탐구하고, 관찰하며, 가설을 세우고, 질문하며, 토론하는 과정을 거친다.[12] 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서로의 다양한 관점을 배우고 존중하며, 동료들과의 협상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을 배우고 집단의 일원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익히는 중요한 경험이 된다.
교사의 역할 역시 전통적인 지식 전달자에서 벗어나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어린이들의 탐구를 지원하는 조력자이자 공동 연구자에 가깝다. 레지오에밀리아 교사들은 때로는 의도적으로 실수를 허용하거나 명확한 결론 없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하는데, 이는 불확실성과 혼란 역시 중요한 학습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이는 정답 맞추기식 교육에 익숙한 많은 서구 교육자들의 신념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이다.
궁극적으로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은 어린이, 교사, 학부모가 서로를 신뢰하며 교육 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인 공동체를 지향한다. 교사는 어린이의 생각과 관심에 귀 기울이고, 어린이는 스스로 가치 있는 배움을 찾아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며, 학부모는 교육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참여한다. 이를 통해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의미 있는 배움과 성장이 일어나는 환경을 만들어간다.[14]
4. 지역 사회 및 부모의 참여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지역 사회와 부모의 참여는 교육 철학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룬다. 이는 어린이를 단순히 개별 가정의 책임으로 보지 않고, 지역 사회 전체의 집단적 책임으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1] 지역 사회는 높은 수준의 재정 지원과 시민 참여를 통해 영아/유아 및 취학 전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한다.
부모 역시 교육 과정에서 수동적인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자녀 교육의 중요한 파트너이자 협력자, 옹호자로서 교사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커리큘럼의 모든 측면에 참여하는 것이 강조된다.[1] 이러한 지역 사회와 부모의 유기적인 협력과 참여는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4. 1. 지역 사회의 지원
레지오 에밀리아 지역 사회는 어린 자녀를 둔 가족을 지원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에밀리아 로마냐와 토스카나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관점, 즉 어린이는 지역 사회의 집단적 책임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한다. 레지오 에밀리아에서 영아/유아 및 취학 전 교육 프로그램은 높은 수준의 재정 지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역 사회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또한, 지역 사회의 참여는 지방 정부 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학교 위원회인 La Consulta|라 꼰술타ita에 시민들이 참여하는 모습에서도 잘 드러난다.부모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부모는 자녀를 위한 파트너이자 협력자, 그리고 옹호자로 여겨진다. 교사는 부모를 각 아동의 첫 번째 교사로서 존중하며, 커리큘럼의 모든 과정에 부모를 참여시킨다. 학교 전체에서 부모들이 레지오 에밀리아 교실 내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육 철학은 아이가 교실을 벗어난다고 끝나지 않으며, 일부 부모들은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의 원칙들을 자신의 양육 방식과 가정생활에 적용하기도 한다. 부모의 역할은 학교 전체와 교실 차원에서 지역 사회의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학교 정책 결정, 아동 발달 문제, 커리큘럼 계획 및 평가 등 다양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4. 2. 부모의 역할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부모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어린이는 지역 사회의 집단적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모는 단순히 보호자가 아니라 자녀 교육의 동반자이자 협력자, 그리고 자녀의 권리를 지지하는 옹호자로 여겨진다. 교사는 부모를 아이의 첫 번째 스승으로 존중하며, 영아/유아 및 취학 전 교육 과정(커리큘럼)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모든 단계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끈다.실제로 많은 부모가 학교나 교실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철학은 학교 담장을 넘어 가정까지 이어진다. 이 교육 방식에 동의하는 부모들은 가정에서도 그 원칙을 자녀 양육에 적용하려 노력한다.
부모의 역할은 학교 전체와 교실 수준에서 지역 사회의 역할을 반영하며, 이는 지방 정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학교 위원회 참여 등에서도 나타난다. 부모는 학교 정책 결정 과정이나 아동 발달과 관련된 문제, 커리큘럼 계획 및 평가 등 중요한 논의에 참여할 권리와 책임을 가진다.
5. 교사의 역할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넘어, 아이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협력적 학습 촉진자이자 연구자로서 기능한다. 교사는 아이들의 흥미와 질문을 출발점으로 삼아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아이들의 사고 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한다.[17] 이는 "아이의 파트너로서, 교사는 학습 상황 안에 존재한다" (Hewett, 2001)는 관점을 반영한다.
이 접근법은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정해진 교사 매뉴얼이나 교육 과정 지침 없이, 교사 스스로 아이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한다.[15][16] 이를 위해 교사들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기회를 통해 스스로 성장하며, 동료 교사, 학생, 학부모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교육 실천을 발전시킨다. 교사의 세심한 관찰과 기록은 아이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교육 과정을 개선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5. 1. 협력적 학습 촉진자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에 머무르지 않는다. 교사는 아이와 함께 배우고 협력하는 동반자이자 학습 촉진자로 여겨진다. 아이들의 흥미를 존중하여 활동과 수업을 계획하며,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적절한 질문을 던진다. 교사는 수동적으로 관찰하기보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아이들의 학습을 이끌어 나간다. 이는 "아이의 파트너로서, 교사는 학습 상황 안에 존재한다"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Hewett, 2001).
일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실천 현장에서는 교사를 자율적인 공동 학습자로 보는 관점을 다른 접근법과 의식적으로 병치하기도 한다.
교사가 아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장기간 헌신하는 것은 이 접근법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탈리아 유아 교육 교사의 부족한 사전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참여하는 폭넓은 전문성 개발 기회가 제공된다. 정해진 교사 매뉴얼이나 교육 과정 지침, 표준화된 성취도 테스트가 없다는 점은 교사의 높은 자율성을 보여준다.[15] 외부에서 부과된 의무가 없는 대신, 교사는 아이들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16]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아이들의 학습 과정을 기록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나중에 이를 검토하며 학습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아이들이 배우는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한다. 또한 교사는 동료 교사, 학생, 학부모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서로의 관찰 결과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간다. 이러한 협력 과정은 교육 계획, 준비, 교수법 적용에 있어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교사는 교실에서 아이들의 말에 귀 기울이고 행동을 관찰하며, 관찰한 내용을 꼼꼼히 기록한다. 이 기록은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아이들의 흥미를 지원하는 학습 환경과 교구를 준비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17]
5. 2. 연구자로서의 교사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배우고 협력하는 동반자이자 연구자로 여겨진다. 교사는 아이들의 흥미를 바탕으로 활동과 수업을 계획하며,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적절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아이들의 학습 과정을 수동적으로 지켜보는 대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아이의 파트너로서, 교사는 학습 상황 안에 존재한다" (Hewett, 2001)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일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구현에서는 교사를 자율적인 공동 학습자로 보는 관점을 다른 교육 접근법과 의식적으로 병치하기도 한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핵심 중 하나는 교사가 아이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장기간 헌신하는 것이다. 이탈리아 유아 교육 교사의 부족한 사전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참여하는 광범위한 직원 개발 기회가 제공된다. 교사 매뉴얼, 정해진 교육 과정 지침, 또는 표준화된 성취도 테스트가 없다는 점은 교사의 자율성을 잘 보여준다.[15] 이러한 외부적 강제 사항의 부재는 교사가 아이들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필수적인 요구와 연결된다.[16]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얻은 다양한 자료(아이들의 말, 행동, 작품 등)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이후 아이들의 학습을 더욱 확장하는 데 활용한다. 교사는 아이들이 스스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명확히 인식하도록 돕기 위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상호작용한다. 학습 과정에서 교사는 동료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서로의 관찰 결과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이는 교육 계획, 준비, 교수법 적용에 있어 유연성을 확보하는 기반이 된다.
많은 경우, 교사는 교실에서 아이들의 대화와 행동을 주의 깊게 듣고 관찰하며, 관찰한 내용을 기록한다. 이 기록은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아이들의 흥미를 지원하기 위한 학습 환경과 교육 도구를 준비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17]
5. 3. 문서화(Documentation)
교사는 교실에서 아이들의 말을 듣고 관찰하며, 관찰 내용을 기록하여 교육 과정을 계획하고, 학생의 흥미를 지원하기 위한 환경 및 교육 도구를 준비한다.[17]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를 문서화하고 제시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표준화 평가를 따르기보다는 교사는 아이들에게 질문하고 주의 깊게 경청한다. 문서화의 예로는 학생의 말, 그림 및 사진이 담긴 책이나 패널이 있다. 학습을 가시화함으로써 학생의 생각과 감정을 연구할 수 있으며, 문서는 교육자의 작업 평가 및 커리큘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는 학급과 학교의 기록 보관소를 만들면서 자녀의 학습 경험에 대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한다.[18]
6. 환경의 역할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는 물리적 환경이 유아 교육 프로그램에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성인 및 다른 학생들과 함께 "세 번째 교사"라고 불렀다.[19] 이는 아이들이 "사람, 경험의 세계, 아이디어, 그리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 간의 복잡하고, 다양하며, 지속적이고, 변화하는 관계"를 지원하는 환경을 통해 세상을 가장 잘 이해하고 의미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에 바탕을 둔다.[20] 따라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환경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넘어 아이들의 학습과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교육적 요소로 간주된다. 환경 설계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교실 공간과 주변 환경(학교의 다른 공간 및 지역 사회)을 통합하여 아이들이 풍부한 상호작용을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다. 잘 구성된 환경은 아이들의 탐구심을 자극하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6. 1. 물리적 환경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는 물리적 환경이 유아 교육 프로그램에서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성인 및 다른 학생들과 함께 "세 번째 교사"라고 불렀다.[19] 새로운 공간을 설계하거나 기존 공간을 재설계할 때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교실 공간과 주변 환경(학교의 다른 공간, 그리고 학교가 속한 지역 사회)을 통합하는 것이다. 환경의 중요성은 아이들이 "사람, 경험의 세계, 아이디어, 그리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 간의 복잡하고, 다양하며, 지속적이고, 변화하는 관계"를 지원하는 환경을 통해 세상을 가장 잘 이해하고 의미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에 바탕을 둔다.[20]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유치원은 일반적으로 자연 채광을 활용하고 실내 식물을 둔다. 교실은 중앙 피아자로 열려 있고, 주방은 내부가 보이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각 교실의 안뜰, 큰 창문, 외부 문을 통해 외부 및 주변 지역 사회와 연결된다. 입구에는 거울(벽, 바닥, 천장), 사진, 아이들의 토론 내용이 담긴 작품 등을 배치하여 아이들과 성인 모두의 시선을 끈다. 이러한 특징은 프로젝트 결과물 전시가 발견된 사물이나 교실 자료들과 함께 배치되는 교실 내부에서도 나타난다. 이처럼 환경은 방문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참여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그 외에도 환경을 지원하는 요소로 용품을 보관할 충분한 공간이 있으며, 이 공간은 미적 요소를 고려하여 자주 재배치된다. 각 교실에는 크고 중앙에 위치한 아틀리에와 더 작은 미니 아틀리에 형태의 스튜디오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대규모 및 소규모 그룹 활동을 위한 공간도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학교 전체적으로 아이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예를 들어, 옷을 갈아입는 공간은 중앙 피아자에 하나만 마련되어 있고, 교실들은 전화, 통로 또는 창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점심 식당과 화장실 역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도록 설계되었다.[21]
코호트 또는 학생 그룹은 3년 동안 한 명의 교사와 함께 지내며 환경과 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6. 2. 사회적 환경
로리스 말라구찌는 물리적 환경이 유아 교육 프로그램에서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성인 및 다른 학생들과 함께 "세 번째 교사"라고 불렀다.[1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환경 설계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교실 공간과 그 주변 환경, 즉 학교의 다른 공간 및 지역 사회와의 통합이다. 이는 아이들이 "사람, 경험의 세계, 아이디어, 그리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 간의 복잡하고, 다양하며, 지속적이고, 변화하는 관계"를 지원하는 환경 속에서 세상을 가장 잘 이해하고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믿음에 바탕을 둔다.[20]
물리적으로 레지오 에밀리아 유치원은 자연 채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실내에 식물을 두는 경우가 많다. 교실은 중앙의 피아자를 향해 열려 있으며, 주방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각 교실에 딸린 안뜰, 큰 창문, 외부로 통하는 문을 통해 외부 공간 및 지역 사회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학교 입구는 아이들과 성인 모두의 시선을 끌도록 거울(벽, 바닥, 천장), 사진, 아이들의 토론 내용이 담긴 작품 등으로 꾸며진다. 이러한 특징은 교실 내부에서도 나타나는데, 아이들의 프로젝트 결과물과 함께 수집된 사물이나 교구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전시된다. 모든 공간은 방문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참여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환경의 다른 중요한 요소로는 용품을 보관할 충분한 공간 확보와 미적 감각을 고려한 공간의 주기적인 재배치가 있다. 각 교실에는 중심부에 위치한 큰 아틀리에와 더 작은 규모의 미니 아틀리에 형태의 스튜디오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대규모 및 소규모 그룹 활동을 위한 공간도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학교 전체적으로 아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예를 들어, 옷을 갈아입는 공간은 중앙 피아자에 단 하나만 두어 공동 사용을 유도하고, 교실들은 전화, 통로 또는 창문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점심 식당과 화장실 역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도록 설계되었다.[21]
아이들은 코호트 또는 그룹을 이루어 3년 동안 같은 교사와 함께 지내며, 이를 통해 환경과 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사회적 환경을 경험한다.
7. 장기 프로젝트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 과정은 아이들의 흥미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젝트는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개방적이고 심층적인 탐구 활동이며, 아이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선정 방식과 진행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7. 1. 프로젝트 선정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에서 프로젝트 주제는 정해진 교육 과정에 따르기보다는 다양한 방식으로 선정된다. 교사는 아이들의 자발적인 놀이나 탐구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아이들이 무엇에 흥미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이를 프로젝트 주제로 삼을 수 있다. 또한, 교사나 부모가 가진 학문적 호기심이나 사회적 관심사, 혹은 아이들과 교사의 주의를 끈 우연한 사건 등도 프로젝트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는 미국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단원 학습이나 주제 학습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다.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사들은 아이들의 예상치 못한 반응이나 즉흥적인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에 높은 가치를 둔다. 어떤 계기로 시작되었든,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며,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특징을 가진다.
프로젝트는 특정 주제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가 관찰하고 질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교사는 아이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주제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다양한 활동 기회를 마련한다. 때로는 아이들이 식별한 문제나 관심사로 인해 프로젝트가 처음 계획과는 다른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커리큘럼 계획 및 실행은 교사가 주도하는 활동과 아이들이 시작하는 활동의 상호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적이고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심의 접근 방식은 발달적 및 사회 문화적 관심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특별한 요구가 있는 어린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능력과 관심사를 가진 소규모 그룹의 아이들이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한다. 아이들은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 실제적인 과제를 경험하며 이전 지식과 새로운 지식 간의 연결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7. 2. 프로젝트 진행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커리큘럼은 동료 간 실제적인 문제 해결, 창의적 사고와 탐구 기회를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다. 교사는 주로 소규모 그룹의 아이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머지 아이들은 교실 내 다양한 자율 선택 활동에 참여한다.레지오에밀리아의 프로젝트는 미국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단원 학습이나 주제 학습과는 차이가 있다. 프로젝트 주제는 아이들의 자발적인 놀이나 탐구를 교사가 관찰하여 직접 얻거나, 교사 또는 부모의 학문적 호기심, 사회적 관심사, 혹은 우연히 발생한 사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정될 수 있다. 레지오 교사들은 아이들이 예상치 못한 것에 흥미를 느끼는 경향을 존중하며, 이에 즉흥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을 중요하게 여긴다.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아이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자극하고, 다양한 탐구 방법을 시도하도록 유도할 만큼 충분한 관심과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프로젝트는 교사가 특정 주제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관찰하고 질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아이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교사는 주제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 질문, 기회를 제공한다. 교사가 어느 정도 예상하고 준비하기도 하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면서 프로젝트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커리큘럼 계획과 실행은 교사가 이끄는 활동과 아이들이 시작하는 활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개방적이고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프로젝트 주제는 아이들로부터 나오며, 이를 통해 아이들은 실제적인 과제에 참여하면서 기존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발달적, 사회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므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아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능력과 관심사를 가진 아이들이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8. 100가지 언어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아이들의 백 가지 언어"라는 용어는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아이들이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무수히 많은 방식을 의미한다.[2] 이는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그림, 조각, 역할 놀이, 글쓰기 등 다양한 상징적 수단을 포괄하며,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하고 소통하는 중요한 통로로 여겨진다.[22]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아이와 어른 간의 깊은 이해를 돕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
8. 1. 다양한 표현 방식
"아이들의 백 가지 언어"라는 용어는 아이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을 의미한다.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사들은 아이들이 생각하고, 수정하고, 구성하고, 협상하고, 발전시키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는 어른과 아이가 서로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2]아이들은 탐구를 진행하면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며, 그림, 조각, 역할 놀이, 글쓰기 등 다양한 상징적 언어를 통해 자신의 이해를 표현하도록 격려받는다. 아이들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며, 교사는 아이들의 표현이 의도와 얼마나 부합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고 관찰한다. 표현 방식(및 아이디어)의 수정을 장려하며, 교사들은 아이들이 활동을 반복하고 서로의 작업을 수정하여 주제에 대한 집단적 이해를 높이도록 돕는다. 교사들은 탐구와 평가 과정에 아이들의 참여를 장려하고,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결과물이 소통의 수단으로서 중요함을 인정한다.[22]
8. 2. 상징적 표현과 의미 구성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아이들의 백 가지 언어"라는 표현은 아이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수많은 방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은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생각하고, 수정하고, 구성하고, 협상하고, 발전시키며,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어른과 아이가 서로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2]아이들은 탐구를 통해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며, 그림, 조각, 역할 놀이, 글쓰기 등 다양한 상징적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이해를 표현하도록 격려받는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들은 함께 노력한다. 교사는 아이들의 그림이나 다른 표현 방식이 원래 의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고 관찰한다. 또한, 아이들이 자신의 표현(및 아이디어)을 수정하도록 장려하며, 활동을 반복하고 서로의 작업을 검토하며 공동의 목표인 주제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추구하도록 돕는다. 교사는 탐구와 평가 과정에 아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하고, 소통의 수단으로서 아이들의 결과물이 발전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인정한다.[22]
참조
[1]
서적
Curriculum Development in Elementary Education
ED-Trch Press
[2]
웹사이트
North American Reggio Emilia Alliance
http://www.reggioall[...]
2013-04-09
[3]
서적
Understanding the Reggio Approach: Early Years Education in Practice
Routledge
[4]
뉴스
Reggio Emilia: From Postwar Italy to NYC's Toniest Preschools
https://www.theatlan[...]
2013-01-17
[5]
웹사이트
Chronology exhibitions and events
https://www.modernam[...]
2019-09-25
[6]
웹사이트
Friends of Reggio Children International Association
http://zerosei.comun[...]
2013-04-09
[7]
웹사이트
Fondazione Reggio Children Centro Loris Malaguzzi
http://reggiochildre[...]
2013-04-09
[8]
서적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 Introduction, Second Edition
Cengage Learning
[9]
웹사이트
100 Hundred
https://web.archive.[...]
2013-11-28
[10]
논문
Examining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1
[11]
서적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2]
서적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Teachers College Press
[13]
논문
Fundamentals of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3
[14]
웹사이트
Reggio Emilia: Some Lessons for U.S. Educators. ERIC Digest
https://eric.ed.gov/[...]
2019-07-23
[15]
웹사이트
Reggio Emilia: Some Lessons for U.S. Educators
https://files.eric.e[...]
1993
[16]
Webarchive
The Regio Emila Approach - The Pre-school Childs (sic) languages of learning
https://web.archive.[...]
2012-02-25
[17]
문서
Reggio Emilia
http://www.education[...]
Education.com
[18]
논문
Learning to Document in Reggio-Inspired Education
https://eric.ed.gov/[...]
2019-07-23
[19]
논문
Inspired by Reggio Emilia: Emergent Curriculum in Relationship-Driven Learning Environments
https://www.naeyc.or[...]
2019-07-23
[20]
서적
Bringing Reggio Emilia Home: An Innovative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7
[21]
논문
Aesthetic Cod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at Art Educators Can Learn from Reggio Emilia
2001-05-01
[22]
서적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advanced Reflections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23]
서적
Curriculum Development in Elementary Education
ED-Trch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