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트로플루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트로플루마과는 8개의 속으로 이루어진 게과의 한 과이다. 현존하는 속은 바티플루마속과 레트로플루마속 2개이며, 이 두 속에는 10종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심해에 서식한다. 나머지 6개 속은 화석으로만 발견된다. 레트로플루마과의 화석 표본은 백악기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캘리포니아주와 일본에서 발견된 종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 - 바위게
    바위게는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하며 육상에서 활동하는 포식성 게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 게 - 참게
    참게는 집게발에 강모 뭉치가 있고 민물에서 살다가 번식을 위해 바다로 이동하는 역이동 생물이며,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개체 수 감소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레트로플루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레트로플루마 크라베리 화석
분류
상위 분류에우브라키우라절 헤테로트레마타아절
학명Retroplumidae Gill, 1894
명명자Gill, 1894
이명Ptenoplacidae Alcock, 1899
생물학적 분류
레트로플루마과(Retroplumidae)
과 명명자Gill, 1894
상과레트로플루마상과(Retroplumoidea)
상과 명명자Gill, 1894
Bathynectes
Costacopluma
Cristipluma
Loerentheyella
Palaeocarpilius
Retropluma
Retroplumoides
Tesselekenia
화석 기록
화석 범위튀르크절 - 현대

2. 분류

레트로플루마과는 총 8개의 속으로 분류되며, 이 중 6개 속은 멸종하여 화석으로만 발견되고 2개 속만이 현존한다.[6][2] 현존하는 속들은 주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심해에 서식하며,[7][3] 화석 기록은 백악기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4]

2. 1. 현존하는 속

현존하는 속은 바티플루마속 (''Bathypluma'')과 레트로플루마속 (''Retropluma'') 2개 속이며[6][2], 이들 속의 10종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심해에 서식한다.[7][3]

  • 바티플루마속 (''Bathypluma'') de Saint Laurent, 1989
  • * ''Bathypluma chuni'' (Doflein, 1904)
  • * ''Bathypluma forficula'' De Saint Laurent, 1989
  • * ''Bathypluma spinifer'' De Saint Laurent, 1989
  • 레트로플루마속 (''Retropluma'') Gill, 1894
  • * ''Retropluma denticulata'' Rathbun, 1932
  • * ''Retropluma quadrata'' De Saint Laurent, 1989
  • * ''Retropluma notopus'' (Alcock & Anderson, 1894)
  • * ''Retropluma planiforma'' Kensley, 1969
  • * ''Retropluma plumosa'' Tesch, 1918
  • * ''Retropluma serenei'' De Saint Laurent, 1989
  • * ''Retropluma solomonensis'' McLay, 2006

2. 2. 멸종된 속

레트로플루마과에 속하는 8개 속 중 다음 6개 속은 화석으로만 알려진 멸종된 속이다.[6][2]

  • † ''Archaeopus'' Rathbun, 1908
  • † ''Costacopluma'' Collins & Morris, 1975
  • † ''Cristipluma'' Bishop, 1983a
  • † ''Loerentheya'' Lőrenthey, in Lőrenthey & Beurlen, 1929
  • † ''Loerenthopluma'' Beschin, Busulini, De Angeli & Tessier, 1996
  • † ''Retrocypoda'' Vía, 1959


이들 멸종 속의 화석 표본은 백악기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Archaeopus antennatus''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코냐크절-마스트리흐트절 시기 암반에서 발견되었고, ''Archaeopus ezoensis''는 일본의 투랜절-마스트리흐트절 시기 암반에서 발견되었다.[8][4]

3. 분포

현존하는 레트로플루마과 2개 속의 10종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심해에 서식한다.[3]

레트로플루마과의 화석 표본은 후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4] 캘리포니아의 코니아크절–마스트리흐트절 암석에서 발견된 ''Archaeopus antennatus''와 일본의 투로니아절–마스트리히트절 암석에서 발견된 ''Archaeopus ezoensis'' 등이 있다.[4]

4. 화석 기록

레트로플루마과의 화석 표본은 후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캘리포니아주의 코냐크절–마스트리흐트절 암석에서 발견된 ''Archaeopus antennatus''와 일본의 투랜절–마스트리흐트절 암석에서 발견된 ''Archaeopus ezoensis'' 등이 있다.[4][8]

현재까지 총 8개의 속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현존하는 2개 속(''Bathypluma'', ''Retropluma'')을 제외한 6개 속은 화석으로만 발견된다.[2][6] 화석으로만 알려진 속은 다음과 같다:


  • ''Archaeopus'' † Rathbun, 1908
  • ''Costacopluma'' † Collins & Morris, 1975
  • ''Cristipluma'' † Bishop, 1983a
  • ''Loerentheya'' † Lőrenthey, in Lőrenthey & Beurlen, 1929
  • ''Loerenthopluma'' † Beschin, Busulini, De Angeli & Tessier, 1996
  • ''Retrocypoda'' † Vía, 1959

참조

[1] 간행물 2011-11-10
[2]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3] 논문 Systema Brachyurorum: Part I. An annotated checklist of extant Brachyuran crabs of the world http://rmbr.nus.edu.[...]
[4] 논문 New Cretaceous and Tertiary decapod crustaceans from western North America http://www.city.mizu[...]
[5] 간행물 2011-11-10
[6] 저널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2012-10-04
[7] 저널 Systema Brachyurorum: Part I. An annotated checklist of extant Brachyuran crabs of the world http://rmbr.nus.edu.[...] 2012-10-04
[8] 저널 New Cretaceous and Tertiary decapod crustaceans from western North America http://www.city.mizu[...] 2013-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