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B. 로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197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197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을 지냈다.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으며,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A Different Universe: Reinventing Physics from the Bottom Down》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홍창선
    홍창선은 기계공학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NASA 연구원, KAIST 교수, 총장을 역임했으며, 제17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다.
  • 한국과학기술원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 정근모
    정근모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정책가로서, 주요 과학기술 기관 설립을 주도하고 과학기술처 장관 등을 역임하며 국내 기초연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한국형 원전 표준 설계 사업을 주도하여 원자력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로버트 B. 로플린
기본 정보
이름로버트 베츠 로플린
로마자 표기Robert Betts Laughlin
출생일1950년 11월 1일
출생지캘리포니아주 바이사리아
국적미국
연구 분야
분야이론물리학
직장
직장스탠퍼드 대학교
학력
출신 학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지도교수John D. Joannopoulos
주요 업적
주요 업적양자 홀 효과
수상
수상 내역E. O. 로렌스 상 (1984년)
올리버 E. 버클리 응축 물질상 (1986년)
노벨 물리학상 (1998년)
프랭클린 메달 (1998년)
노벨상 수상 이유분수 전하의 여기 상태가 존재하는 새로운 양자 유체 형태(분수 양자 홀 효과)의 발견
기타
관련 연구J.K. Jain의 분수 양자 홀 효과에 대한 복합 페르미온 접근법 연구
펌프를 이용한 열 그리드 저장 시스템 및 열 교환 연구
관련 회사Malta Inc.
로버트 로플린

2. 생애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비살리아에서 태어났다. 1972년 UC 버클리에서 수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연구원과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직을 겸임하기도 했다.

2005년 Steve Lew와의 토론에 바탕을 둔 《A Different Universe: Reinventing Physics from the Bottom Down》이란 책을 냈다. 이 책에서 로플린은 환원주의 대신 창발성(이머전스)을 주장했다.

2. 1.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재직 (2004-2006)

로플린은 2004년 7월 14일부터 2006년 7월 13일까지 대한민국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을 역임했다.[8] 같은 기간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소장도 겸임했다.[8]

2. 1. 1. 논란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시절 그의 발언들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어느 강연회[9]에서 입자물리학의 여분의 차원에 대한 연구가 무의미하다는 논조의 발언을 하기도 했으며, 소위 로플린 구상[10]은 카이스트 내 여러 교수들과 학생들의 반발을 사, 결국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직을 사임하였다.[11]

3. 주요 업적

분수 양자 홀 효과

4. 수상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84년E. O. 로렌스 물리학상(E. O. Lawrence Award in Physics)
1986년올리버 E. 버클리 상(Oliver E. Buckley Prize), 미국물리학회 펠로우 선출
1994년미국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회원
1998년벤저민 프랭클린 메달(물리학 부문)(Benjamin Franklin Medal for Physics), 노벨 물리학상(Nobel Prize in Physics)
1999년미국 업적 아카데미(Academy of Achievement)의 골든 플레이트 상(Golden Plate Award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6]
2005년메릴랜드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Doctorate of Letters, University of Maryland)
2007년온서거 메달(Onsager Medal)


5. 저서


  • A Different Universe: Reinventing Physics from the Bottom Down영어 (Basic Books, 2005)
  • (위 책의 번역판) 다른 우주 (까치, 2005)
  • Looking for a hero|한국인, 다음 영웅을 기다려라영어 (이현경 역, 한스미디어, 2006)
  • The Crime of Reason: And the Closing of the Scientific Mind영어 (Basic Books, 2008)
  • Mente y materia. ¿Qué es la vida? Sobre la vigencia de Erwin Schrödinger|마음과 물질. 삶이란 무엇인가? 에르빈 슈뢰딩거의 현재적 의미에 관하여영어 (마이클 R. 헨드릭슨, 로버트 포그 해리슨, 한스 울리히 굼브레히트와 함께, 2010)
  • Powering the Future: How We Will (Eventually) Solve the Energy Crisis and Fuel the Civilization of Tomorrow영어 (Basic Books, 2013)[7]
  • 물리학의 미래일본어 (수가야 쥰(水谷淳) 역, 닛케이BP사(日経BP社), 2006년 7월)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Laughlin – Stanford Physics Faculty https://physics.stan[...] 2012-01-28
[2] 논문 Composite fermion approach for fractional quantum Hall effect
[3] 논문 Pumped thermal grid storage with heat exchange 2017-07-00
[4] 웹사이트 Home {{!}} Malta https://www.maltainc[...] 2023-11-03
[5] 웹사이트 A Lesson to Learn from the 'Laughlin Experiment' - :: KOREA FOCUS ::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7] 웹사이트 Faculty publications https://sts.stanford[...] Stanford Program i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2024-06-07
[8] 웹인용 APCTP 연혁 https://web.archive.[...] 2006-11-17
[9] 웹인용 아마도 이 강연회일 가능성이 높다. https://web.archive.[...] 2006-11-17
[10] 기타
[1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