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 1세 드 노르망디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 1세는 1027년부터 1035년까지 노르망디 공작으로 재위했으며, 리샤르 2세의 아들이자 리샤르 3세의 동생이다. 그는 형 리샤르 3세의 사망과 관련된 의혹을 받았으며, '악마공'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로베르 1세는 프랑스 왕 앙리 1세를 지원하고 벡상을 얻었으며, 플랑드르, 잉글랜드 문제에 관여했다. 또한 수도원 개혁을 추진하고 예루살렘 순례를 떠났으나, 귀국길에 니케아에서 사망하여 아들 기욤 2세가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아를레트 드 팔레즈와의 사이에서 윌리엄 1세와 아델라이드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5년 사망 - 크누트 대왕
크누트 대왕은 11세기 초반 덴마크, 잉글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일부를 통치하며 북해 제국을 건설한 바이킹족의 왕으로, 잉글랜드 왕 추대 후 스칸디나비아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전성기를 맞이했고 강력한 통치와 기독교 장려 정책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 1035년 사망 - 야로미르
야로미르는 11세기 초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형에 반기를 들고 망명 생활을 하다 신성 로마 제국의 지원으로 즉위했으나, 폴란드 침략과 형에 의한 폐위 및 복위를 반복하다 암살당했으며, 그의 통치는 보헤미아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보여준다. - 1000년 출생 - 리 태종
리 태종은 리 왕조의 제2대 황제로서 삼왕의 난을 진압하고 참파를 정벌하는 등 국위를 떨쳤으며, 《형서》 편찬과 불교 장려를 통해 내치에도 힘썼으나 잦은 전쟁과 과도한 세금 부과, 지나친 불교 숭배로 비판받기도 했다. - 1000년 출생 - 교황 실베스테르 3세
실베스테르 3세는 1045년 1월에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베네딕토 9세에 의해 축출되었고, 수트리 공의회에서 파면되었지만 주교직을 유지하다가 사망한 인물이다. - 노르망디가 - 윌리엄 2세 (잉글랜드)
윌리엄 정복왕의 아들인 윌리엄 2세는 1087년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형과의 전쟁으로 노르망디를 지배하고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캔터베리 대주교와의 갈등,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정복의 어려움, 그리고 사냥 중 의문사로 백성들에게 인기가 없던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 노르망디가 - 헨리 1세
헨리 1세는 1100년부터 1135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자유 헌장 선포, 노르망디 정복, 성직 임명권 분쟁 해결, 행정 및 사법 개혁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지만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전의 씨앗을 남겼다.
로베르 1세 드 노르망디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노르망디 공작 |
통치 기간 | 1027년–1035년 |
이전 | 리샤르 3세 |
이후 | 윌리엄 2세 |
배우자 | 에를레바 |
자녀 | 윌리엄 아델라이드 |
가문 | 노르망디 가문 |
아버지 | 리샤르 2세 |
어머니 | 주디트 드 브르타뉴 |
출생일 | 1000년 6월 22일 |
출생지 | 노르망디 공국 |
사망일 | 1035년 7월 1일, 2일 또는 3일 (35세) |
사망지 | 니케아 |
이름 및 별칭 | |
별칭 | 화려공, 악마공 |
2. 생애
로베르 1세는 리샤르 2세와 브르타뉴의 유디트의 아들로, 잉글랜드 왕 애설레드 2세와 북해 제국의 왕 크누트 대왕의 왕비 에마의 조카였다.[1]
1027년 아버지 리샤르 2세가 사망하고 형 리샤르 3세가 공작위를 계승하자, 로베르는 이에무아 백작(fr)이 되었다.[1] 리샤르 3세는 즉위 1년 만에 사망했는데, 로베르가 암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악마공'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전설 속의 악마 로베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1]
로베르 1세는 프랑스 왕 앙리 1세를 도와 벡상을 얻었고, 플랑드르 문제에 간섭하고, 사촌 에드워드 참회왕을 지원했으며, 노르망디 수도원을 개혁했다.[1]
에를레브와의 사이에서 아들 기욤을 얻어 후계자로 지명한 후 예루살렘 순례를 떠났으나, 1035년 니케아에서 돌아오는 길에 사망했다.[1] 그의 사후 기욤 2세가 8세의 나이로 공작위를 계승했다.[1]
자코모 마이에르베어의 오페라 "악마 로베르" (1831년 작곡, 초연)는 로베르 1세를 주인공으로 한다.[1]
2. 1. 초기 생애
로베르는 리샤르 2세와 브르타뉴의 유디트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 유디트는 브르타뉴 공작 코난 1세와 앙주의 에르망가르드의 딸이었다. 그는 또한 노르망디의 리샤르 1세의 손자이자 노르망디의 윌리엄 1세의 증손자였으며, 노르망디를 세운 바이킹 롤로의 고손자였다.[2] 잉글랜드 왕 애설레드 2세와 북해 제국의 왕 크누트 대왕의 왕비 에마는 그의 이모였다.리샤르 2세는 죽기 전에 그의 장남인 리샤르 3세가 그의 뒤를 잇고 차남 로베르는 이에무아 백작이 되도록 결정했다.[2] 1026년 8월, 아버지 리샤르 2세가 사망하고 리샤르 3세가 공작이 되었지만, 곧 로베르는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결국 패배하여 리샤르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3] 1027년 리샤르 3세가 사망하자 로베르는 이에무아 백작(fr)이 되었다. 리샤르 3세는 1년 만에 사망했는데, 이는 로베르에 의한 암살이 아니냐는 강한 의혹을 받았다.
2. 2. 통치
리처드 3세가 1년 후 사망했을 때 로베르가 그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증명된 것은 없었지만, 로베르가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었다.[4] 로베르 1세가 형 리처드 3세에게 일으킨 내전은 여전히 공국에 불안정을 야기했다. 이웃 영주들 사이에서 사적인 전쟁이 벌어졌고, 이는 로베르의 통치 기간 동안 노르망디에서 새로운 귀족 계층의 출현으로 이어졌다.[4]또한 이 시기에 많은 하급 귀족들이 노르망디를 떠나 남부 이탈리아 등지에서 행운을 찾았다.[4] 공작위를 물려받은 직후, 아마도 자신에게 대항하여 형을 지지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로베르 1세는 삼촌인 로베르 루앙 대주교이자 에브뢰 백작에 대항하여 군대를 소집했다. 일시적인 휴전으로 그의 삼촌은 노르망디를 떠나 카페 왕조 궁정에서 망명 생활을 할 수 있었다.[5]
로베르는 또한 또 다른 강력한 성직자인 사촌 위고 3세 디브리, 바유 주교를 공격하여 오랫동안 노르망디에서 추방했다.[6] 로베르는 또한 페캉 수도원에 속한 여러 교회 재산을 압류했다.[7]
국내 문제에도 불구하고 로베르는 플랑드르에서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5세와 그의 아버지 보두앵 4세 사이의 내전에 개입하기로 결정했는데, 보두앵 5세는 아버지를 플랑드르에서 몰아냈다.[8]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5세는 장인인 프랑스 국왕 로베르 2세의 지원을 받았으며, 1030년 로베르 공작이 노년의 보두앵에게 상당한 군사적 지원을 약속하면서 아버지와 화해하도록 설득되었다.[8] 로베르는 어머니인 왕비 콩스탕스에 대항하여 프랑스 국왕 앙리 1세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는데, 콩스탕스는 아버지 로베르 2세 사후 프랑스 왕위를 계승할 아들 로베르를 선호했다.[9] 그의 도움으로 앙리 1세는 로베르에게 프랑스 베크생을 보상으로 주었다.[9]
1030년대 초, 브르타뉴 공작 알랭 3세는 렌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했으며 몽생미셸 주변 지역을 탐낼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10] 돌을 약탈하고 알랭의 아브랑슈 습격을 격퇴한 후, 로베르는 사촌 알랭 3세에 대항하여 대규모 작전을 시작했다.[10] 그러나 알랭은 삼촌인 루앙의 로베르 대주교에게 호소했고, 로베르 대주교는 로베르 공작과 그의 봉신 알랭 3세 사이에 평화를 중재했다.[10] 그의 사촌들인 애설링스, 에드워드와 알프레드, 그의 고모 노르망디의 엠마와 잉글랜드 왕 애설레드의 아들들은 노르만 궁정에 살고 있었고, 로베르는 그들을 위해 잉글랜드 침공을 시도했지만, 불리한 바람 때문에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전해지며, 그 바람은 함대의 많은 부분을 흩어지게 하고 침몰시켰다.[11] 로베르는 건지섬에 안전하게 상륙했다. ''노르만 공작의 업적''은 크누트 왕이 에드워드와 알프레드에게 잉글랜드 왕국의 절반을 정착시키도록 제안하는 사절을 로베르 공작에게 보냈다고 언급했다. 해상 침공을 연기한 후, 그는 예루살렘에서 돌아온 후에 결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12]
2. 3. 순례와 죽음
로베르는 아들 기욤을 상속자로 지명한 후,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떠났다.[15] 『노르만 공작의 행적』에 따르면,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거쳐 예루살렘에 도착했고, 심각한 병에 걸려 1035년 7월 2일 귀국길에 니케아에서 사망했다.[16][15] 그의 아들 기욤은 당시 8세 정도의 나이로 그의 뒤를 이었다.[17]역사가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에 따르면, 수십 년 후 그의 아들 기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니케아로 사절단을 보내 아버지의 시신을 노르망디로 가져와 매장하도록 지시했다.[18] 허가는 받았지만, 귀국길에 풀리아 (이탈리아)까지 갔을 때, 사절단은 기욤 자신이 그동안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8] 그들은 로베르의 시신을 이탈리아에 다시 매장하기로 결정했다.[18]
3. 가족 관계
로베르 1세는 애인인 팔레즈의 에르르바[19][20]와의 사이에서 아들 정복왕 윌리엄(1028년경–1087년)을 두었다.[21] 에르르바 또는 다른 첩[22][23]과의 사이에서는 딸 노르망디의 아델라이드를 두었는데, 아델라이드는 퐁티외 백작 앵게랑 2세,[24] 렌스 백작 람베르 2세, 샹파뉴의 오도 2세와 차례로 결혼했다.[25]
로베르 1세는 아를레트 드 팔레즈와의 사이에서는 1남 1녀를 두었다.
- 기욤 2세(1027년 - 1087년) - 노르망디 공작, 후에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가 된다.
- 아델라이드(1030년경 - 1090년 이전) - 퐁튀 백작 앵게랑 2세와 결혼, 랑스 백작 랑베르 2세(불로뉴 백작 외스타슈 1세의 아들)와 결혼, 샹파뉴 백작 오도 2세와 결혼
4. 평가
로베르 1세는 형인 리샤르 3세를 암살했다는 의혹을 강하게 받아 '악마공'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별명은 전설적인 존재인 악마 로베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1]
그는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 왕 앙리 1세가 반란을 겪을 때 그를 지원하여 벡상을 얻었다. 또한 플랑드르에 간섭하거나, 사촌인 에드워드 참회왕을 지원하고, 노르망디의 수도원을 개혁하기도 했다.[1]
자코모 마이에르베어의 오페라 "악마 로베르" (1831년 초연)는 로베르 1세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1]
참조
[1]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ormans
Constable & Robinson, Ltd. London
2008
[2]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e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1995
[3]
서적
The Normans, The History of a Dynasty
Hambledon Continuum, London, New York
2002
[4]
서적
William the Conque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4
[5]
서적
The Normans, The History of a Dynasty
Hambledon Continuum, London, New York
2002
[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ormans
Constable & Robbinson, Ltd, London
2008
[7]
서적
The Normans, The History of a Dynasty
Hambledon Continuum, London, New York
2002
[8]
서적
The Normans, The History of a Dynasty
Hambledon Continuum, London, New York
2002
[9]
서적
The Normans in Europ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Manchester and New York
2000
[10]
서적
The Normans, The History of a Dynasty
Hambledon Continuum, London, New York
2002
[11]
서적
A Companion to the Anglo-Norman World
Boydell Press, Woodbridge, UK
2003
[12]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è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1992
[13]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ormans
Constable & Robbinson, Ltd, London
2008
[1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ormans
Constable & Robbinson, Ltd, London
2008
[15]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è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1992
[16]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è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1992
[17]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ormans
Constable & Robinson, Ltd. London
2008
[18]
서적
Robert Curthose, Duke of Normandy: C. 1050–1134
Boydell Press, Woodbridge, UK
2008
[19]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è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1992
[20]
웹사이트
William I {{!}} Biography, Reign,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4-22
[21]
서적
William the Conque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4
[22]
간행물
Les femmes dans l'histoire du duché de Normandie
2002-07-10
[23]
서적
William the Conque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4
[24]
서적
The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The St. Catherine Press, Ltd., London
1910
[25]
서적
William the Conque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4
[26]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