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크라니에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트 크라니에츠는 슬로베니아의 은퇴한 스키 점프 선수이다. 2002년 동계 올림픽 단체 라지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12년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슬로베니아 스키 점프 선수 중 최초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그는 스키 플라잉을 특기로 하여, 월드컵 통산 7승 중 6승을 스키 플라잉에서 거두었다. 2019년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남자 스키 점프 선수 - 다미안 프라스
다미안 프라스는 슬로베니아의 스키 점프 선수로, 1990년 월드컵에 데뷔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컨티넨탈컵에서 23위의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슬로베니아의 남자 스키 점프 선수 - 페테르 존타
페테르 존타는 슬로베니아의 스키 점프 선수로, 1995년 월드컵에 데뷔하여 2002년 올림픽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고, 2003/04 시즌 월드컵 우승과 종합 3위를 기록한 후 2007년 은퇴했다.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스키점프 참가 선수 - 다미안 프라스
다미안 프라스는 슬로베니아의 스키 점프 선수로, 1990년 월드컵에 데뷔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컨티넨탈컵에서 23위의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스키점프 참가 선수 - 니카 크리주나르
니카 크리주나르는 슬로베니아의 스키 점프 선수이며, 2020-21 시즌 국제스키연맹 스키 점프 월드컵 종합 우승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여자 노멀힐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타데이 포가차르
타데이 포가차르는 2017년 프로 데뷔 후 투르 드 프랑스 연속 우승, 지로 디 이탈리아, 투르 드 프랑스, UCI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사이클링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슬로베니아의 사이클 선수이다.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테야 그레고린
테야 그레고린은 슬로베니아의 바이애슬론 선수로,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월드컵, 세계 선수권,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로베르트 크라니에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베르트 크라니에츠 |
본명 | 로베르트 크라니에츠 |
출생일 | 1981년 7월 16일 |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SR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
신장 | 175cm |
소속팀 | SK 트리글라우 크란 |
은퇴 | 2019년 3월 23일 |
선수 경력 | |
종목 | 스키 점프 |
데뷔 | 1998년 3월 13일, 트론헤임 (48위) |
개인전 시작 횟수 | 325회 |
단체전 시작 횟수 | 51회 |
월드컵 우승 | 7회 |
총 포디움 | 27회 |
단체전 포디움 | 16회 |
단체전 우승 | 8회 |
스키 플라잉 타이틀 | 2회 (2010, 2012) |
개인 최고 기록 | 비케르순 2012년 2월 25일 |
올림픽 | |
메달 | [[파일:Bronze medal olympic.svg|15px]]×1 |
2002년 동계 올림픽 | [[파일:Bronze medal olympic.svg|15px]]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라지힐 단체전 |
세계 선수권 대회 | |
메달 | [[파일:Bronze medal olympic.svg|15px]]×1 |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 [[파일:Bronze medal olympic.svg|15px]] 2011 오슬로 라지힐 단체전 |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 |
메달 | [[파일:Gold medal with cup.svg|15px]]×1 [[파일:Bronze medal with cup.svg|15px]]×1 |
세계 스키 플라잉 선수권 대회 | [[파일:Gold medal with cup.svg|15px]] 2012 비케르순 개인전 [[파일:Bronze medal with cup.svg|15px]] 2012 비케르순 단체전 |
2. 선수 경력
1998년 3월 13일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 월드컵 무대에 데뷔했다. 2002년 동계 올림픽 솔트레이크 시티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에서 첫 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5년 핀란드 쿠사모에서 생애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후 특히 스키 플라잉 종목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월드컵 통산 7번의 개인전 우승 중 6번을 스키 플라잉 경기에서 달성했으며, 2009-10 시즌과 2011-12 시즌에는 스키 플라잉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3]
2012년 노르웨이 비케르순에서 열린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슬로베니아 선수 최초로 해당 종목 세계 챔피언에 올랐고, 단체전 동메달도 추가했다.[2] 또한 201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단체전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선수 생활 후반에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2019년 3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4][7] 은퇴 경기는 그의 고향인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월드컵 예선전이었다.
2. 1. 올림픽
크라니에츠는 2002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종목에 슬로베니아 대표로 참가했다.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그는 다미안 프라스, 프리모주 페테르카, 페테르 존타와 함께 단체 라지힐 경기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슬로베니아 스키점프 역사상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이후 토리노 올림픽에도 참가했으나, 개인 노멀힐 41위, 개인 라지힐 49위에 머무르며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세 번째 올림픽 참가인 밴쿠버 올림픽에서는 개인 노멀힐 6위, 개인 라지힐 9위를 기록했으며, 단체전에서는 8위에 올랐다. 이 대회까지 개인전 메달 획득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2. 2. FIS 스키점프 월드컵
크라니에츠는 1998년 3월 13일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 FIS 스키 점프 월드컵에 데뷔했다. 2001-02 시즌 점프 주간 인스부르크 경기에서 8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보였다.2005년 11월 핀란드 쿠사모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생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몇 년간 스키 플라잉 경기를 제외하고는 눈에 띄는 성적을 내지 못했으나, 스키 플라잉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기 시작했다. 2010년 1월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에서 열린 스키 플라잉 월드컵에서 개인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시즌 오버스트도르프 스키 플라잉 경기에서도 2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적을 바탕으로 2009-10 시즌 스키 플라잉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이 시즌 월드컵 종합 순위는 개인 최고 성적인 10위를 기록했다.
2011-12 시즌에도 월드컵에서 2승을 추가했는데, 모두 스키 플라잉 경기였다. 이 시즌에도 스키 플라잉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며[3] 스키 플라잉 강자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2012-13 시즌에는 월드컵 종합 6위를 기록했다.
크라니에츠는 월드컵에서 통산 7번의 개인전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 중 6번이 스키 플라잉 경기에서 나온 우승이다. 이 때문에 세계적으로 뛰어난 스키 플라잉 전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2019년 3월, 부상 등의 이유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4][7] 3월 21일 고향인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월드컵 예선에 출전했으나 47위에 그쳐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고,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공식 점프가 되었다.
=== 시즌별 순위 ===
시즌 | 종합 | 4대 점프 토너먼트 (4H) | 스키 플라잉 (SF) | 노르딕 토너먼트 (NT) | 스키 점핑 컵 (JP) |
---|---|---|---|---|---|
1997–98 | — | — | — | — | — |
1999–00 | — | — | — | — | — |
2000–01 | — | — | — | — | N/A |
2001–02 | 16 | 23 | N/A | 7 | N/A |
2002–03 | 17 | 25 | N/A | 15 | N/A |
2003–04 | 46 | 47 | N/A | 36 | N/A |
2004–05 | 45 | 58 | N/A | 32 | N/A |
2005–06 | 16 | 28 | N/A | — | N/A |
2006–07 | 27 | 37 | N/A | 35 | N/A |
2007–08 | 25 | 28 | N/A | 30 | N/A |
2008–09 | 23 | 31 | 7 | 12 | N/A |
2009–10 | 10 | 14 | 1위 | 12 | N/A |
2010–11 | 18 | 21 | 8 | N/A | N/A |
2011–12 | 9 | 14 | 1위 | N/A | N/A |
2012–13 | 6 | 21 | 2위 | N/A | N/A |
2013–14 | 11 | 28 | 9 | N/A | N/A |
2014–15 | 26 | 29 | 21 | N/A | N/A |
2015–16 | 13 | 42 | 2위 | N/A | N/A |
2017–18 | 49 | — | 27 | N/A | N/A |
2018–19 | — | — | — | N/A | N/A |
=== 개인 우승 ===
번호 | 시즌 | 날짜 | 개최지 | 점프대 | 크기 |
---|---|---|---|---|---|
1 | 2005-06 | 2005년 11월 26일 | 핀란드 쿠사모 | 루카툰투리 HS142 | 라지힐 (LH) |
2 | 2009-10 | 2010년 1월 9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 미터스도르프 | 쿨름 HS200 | 스키 플라잉 힐 (FH) |
3 | 2011-12 | 2012년 1월 15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 미터스도르프 | 쿨름 HS200 | FH |
4 | 2012년 3월 16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레탈니차 브라토브 고리셰크 HS215 | FH | |
5 | 2012-13 | 2013년 1월 27일 | 노르웨이 비케르순 | 비케르순바켄 HS225 | FH |
6 | 2015-16 | 2016년 2월 12일 | 노르웨이 비케르순 | 비케르순바켄 HS225 | FH |
7 | 2016년 3월 18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레탈니차 브라토브 고리셰크 HS225 | FH |
2. 3.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2012년 노르웨이 비케르순에서 열린 2012년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는 슬로베니아 선수로는 최초의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으며, 이 대회에서 새로운 슬로베니아 국가 기록도 세웠다.[2] 같은 대회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2. 4. 기타 대회
2003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라지힐 종목에서 6위를 기록했다.2009년 8월 30일 일본 하쿠바에서 열린 서머 그랑프리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단체전에 페테르 프레브츠, 유리 테페시, 예르네이 다미얀과 함께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3. 은퇴
최근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던 크라니에츠는 2019년 3월 20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선수 은퇴를 발표했다.[7] 은퇴 경기는 3월 21일 그의 고향인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월드컵 개인전 예선이었다. 이 경기에서 47위를 기록하며 예선 통과 기준인 40위 안에 들지 못했고, 해당 시즌 월드컵 포인트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이 점프가 그의 선수 생활 마지막 공식 점프가 되었다.
이틀 뒤인 3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월드컵 단체전 경기 중간 휴식 시간에 특별한 은퇴 점프 행사가 마련되었다. 크라니에츠는 자신의 얼굴과 딸 피카 펠리시약의 얼굴이 인쇄된 등번호를 착용하고, 코치의 도움을 받은 딸의 출발 신호에 맞춰 마지막 점프를 선보였다. 또한, 슬로베니아 점프팀의 새로운 주장으로 지명된 페테르 프레브츠의 배려로, 단체전 3위를 차지한 슬로베니아 팀 시상식에 페테르의 동생 도멘 프레브츠를 대신하여 함께 시상대에 올랐다.
4. 개인사
유고슬라비아 (현재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슬로베니아인 어머니와 크로아티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1998년 3월 13일,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 열린 스키 점프 월드컵에 데뷔했다.
2002년 점프 주간 인스부르크 대회에서 개인 최고 순위인 8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어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다미안 프라스, 프리모주 페테르카, 페테르 존타와 함께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3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종목에서 6위를 차지했다.
2005-2006 시즌 개막 시리즈(핀란드 쿠사모)에서 3위와 1위(개인 첫 월드컵 우승)를 차지하며 한때 월드컵 종합 1위에게 주어지는 골드 비브스를 입기도 했다. 이 시즌은 개인 최고 성적인 종합 16위로 마쳤다.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개인 노멀힐 41위, 개인 라지힐 49위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 8월 30일 일본 하쿠바에서 열린 서머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2010년 1월 9일 스키 플라잉 월드컵에서 통산 2승째를 거두었다.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개인 노멀힐 6위, 개인 라지힐 9위, 단체전 8위를 기록했다. 2009-2010 시즌 월드컵 종합 순위는 개인 최고인 10위를 기록했다.
201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단체전에서 페테르 프레브츠, 유리 테페시, 예르네이 다미얀과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1-2012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2승을 추가했으며(모두 스키 플라잉 종목),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금메달과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크라니에츠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비거리 자세를 가진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스키 플라잉 종목에 강점을 보여 월드컵 통산 7승 중 6승을 플라잉 종목에서 거두었다.
최근 몇 년간 부상에 시달리다가 2019년 3월 20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7] 3월 21일 고향인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월드컵 개인전 예선에 출전했으나 47위에 그쳐 본선 진출 기준인 40위 안에 들지 못했다. 해당 시즌 월드컵 포인트를 얻지 못해 시즌 최종전 출전 자격이 없었기 때문에 이 경기가 그의 선수 생활 마지막 공식 점프가 되었다. 3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월드컵 단체전 경기 중간 휴식 시간에 은퇴 기념 점프를 가졌다. 자신의 얼굴과 딸 피카 펠리시약의 얼굴이 프린트된 등번호를 착용하고, 코치의 도움을 받은 딸의 출발 신호에 맞춰 점프했다. 또한, 크라니에츠로부터 슬로베니아 점프팀 주장을 이어받은 페테르 프레브츠의 배려로, 해당 경기에서 3위를 차지한 슬로베니아 팀의 일원으로서 페테르의 동생 도멘 프레브츠 대신 시상대에 오르기도 했다.
5. 수상 기록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다미안 프라스, 프리모주 페테르카, 페테르 존타와 함께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그의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
2011년 오슬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페테르 프레브츠, 유리 테페시, 예르네이 다미얀과 함께 라지힐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 비케르순 대회에서는 개인전 금메달과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스키 플라잉 강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스키 점프 월드컵에서는 통산 7번의 개인 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스키 플라잉 종목에서 강점을 보였는데, 7번의 우승 중 6번이 스키 플라잉 힐에서 나왔다. 2005-06 시즌 핀란드 쿠사모에서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9-10 시즌과 2011-12 시즌에는 월드컵 스키 플라잉 부문 종합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09-10 시즌에는 월드컵 종합 순위 개인 최고 기록인 10위를 달성했다.
5. 1. FIS 스키점프 월드컵
시즌 | 종합 | 4대 점프 토너먼트 | 스키 플라잉 | 노르딕 토너먼트 | 스키 점핑 (JP) 컵 |
---|---|---|---|---|---|
1997–98 | — | — | — | — | — |
1999–00 | — | — | — | — | — |
2000–01 | — | — | — | — | N/A |
2001–02 | 16 | 23 | N/A | 7 | N/A |
2002–03 | 17 | 25 | N/A | 15 | N/A |
2003–04 | 46 | 47 | N/A | 36 | N/A |
2004–05 | 45 | 58 | N/A | 32 | N/A |
2005–06 | 16 | 28 | N/A | — | N/A |
2006–07 | 27 | 37 | N/A | 35 | N/A |
2007–08 | 25 | 28 | N/A | 30 | N/A |
2008–09 | 23 | 31 | 7 | 12 | N/A |
2009–10 | 10 | 14 | 1위 | 12 | N/A |
2010–11 | 18 | 21 | 8 | N/A | N/A |
2011–12 | 9 | 14 | 1위 | N/A | N/A |
2012–13 | 6 | 21 | 2위 | N/A | N/A |
2013–14 | 11 | 28 | 9 | N/A | N/A |
2014–15 | 26 | 29 | 21 | N/A | N/A |
2015–16 | 13 | 42 | 2위 | N/A | N/A |
2017–18 | 49 | — | 27 | N/A | N/A |
2018–19 | — | — | — | N/A | N/A |
1998년 3월 13일,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 열린 스키 점프 월드컵에 처음으로 출전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2001-02 시즌, 점프 주간의 인스부르크 대회에서 개인 최고 성적인 8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 슬로베니아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 올림픽에서 다미안 프라스, 프리모주 페테르카, 페테르 존타와 함께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2003년 발 디 피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개인전에서 6위를 차지했다.
2005-06 시즌 개막전이 열린 핀란드 쿠사모에서 3위와 1위를 연달아 기록하며 생애 첫 월드컵 우승을 달성했고, 이 시점에서 월드컵 종합 선두에게 주어지는 골드 비브스를 착용하기도 했다. 이 시즌은 최종적으로 개인 최고 성적인 종합 16위로 마무리했다. 하지만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개인 노멀힐 41위, 개인 라지힐 49위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 8월 30일, 일본 하쿠바에서 열린 FIS 스키점프 서머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2009-10 시즌 중 2010년 1월 9일, 스키 플라잉 월드컵에서 개인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개인 노멀힐 6위, 개인 라지힐 9위, 단체전 8위를 기록했다. 이 시즌 월드컵 종합 순위는 개인 최고 기록인 10위를 달성했다.
오슬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지힐 단체전에서 페테르 프레브츠, 유리 테페시, 예르네이 다미얀과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1-12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두 차례 더 우승했으며, 두 번 모두 스키 플라잉 종목이었다. 또한 비케르순에서 열린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금메달과 단체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크라니에츠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비거리 자세를 가진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스키 플라잉 종목에 강점을 보인다. 그의 월드컵 통산 7승 중 6승이 스키 플라잉 대회에서 나왔다.
선수 생활 후반기에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9년 3월 20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현역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7] 3월 21일, 그의 고향인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월드컵 개인전 예선에 참가했으나 47위에 그쳐 본선 진출 기준인 40위 안에 들지 못했다. 해당 시즌 월드컵 포인트를 얻지 못했던 크라니에츠는 시즌 마지막 개인전 출전 자격이 없어 이 예선 점프가 그의 선수로서 마지막 공식 점프가 되었다. 3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월드컵 단체전 경기 중, 1라운드와 2라운드 사이의 휴식 시간에 특별한 은퇴 행사가 열렸다. 크라니에츠는 자신과 딸 피카 펠리시약의 얼굴이 인쇄된 등번호를 달고, 코치의 도움을 받은 딸의 출발 신호에 맞춰 마지막 은퇴 점프를 선보였다. 또한, 당시 슬로베니아 팀 주장이었던 페테르 프레브츠의 배려로, 해당 경기에서 3위를 차지한 슬로베니아 팀 시상식에 페테르의 동생 도멘 프레브츠를 대신하여 함께 시상대에 오르며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5. 2. 개인 우승
크라니에츠는 2005-2006 시즌 개막전인 핀란드 쿠사모 대회에서 개인 첫 스키 점프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2010년 1월 9일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의 쿨름에서 열린 스키 플라잉 대회에서 월드컵 통산 2승을 달성했다. 2011-2012 시즌에도 스키 플라잉 월드컵에서 2승을 추가했다.크라니에츠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비거리 자세를 가진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스키 플라잉 종목에 강점을 보인다. 그의 월드컵 통산 7번의 개인 우승 중 6번이 스키 플라잉 힐에서 기록되었다.
번호 | 시즌 | 날짜 | 개최지 | 점프대 | 크기 |
---|---|---|---|---|---|
1 | 2005-06 | 2005년 11월 26일 | 핀란드 쿠사모 | 루카툰투리 점프대 HS142 | 라지힐 |
2 | 2009-10 | 2010년 1월 9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 미터스도르프 | 쿨름 HS200 | 스키 플라잉 힐 |
3 | 2011-12 | 2012년 1월 15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 미터스도르프 | 쿨름 HS200 | 스키 플라잉 힐 |
4 | 2012년 3월 16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레탈니차 브라토브 고리셰크 HS215 | 스키 플라잉 힐 | |
5 | 2012-13 | 2013년 1월 27일 | 노르웨이 비케르순 | 비케르순바켄 HS225 | 스키 플라잉 힐 |
6 | 2015-16 | 2016년 2월 12일 | 노르웨이 비케르순 | 비케르순바켄 HS225 | 스키 플라잉 힐 |
7 | 2016년 3월 18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레탈니차 브라토브 고리셰크 HS225 | 스키 플라잉 힐 |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Kranjec – Player Profile – Ski Jumping
https://www.eurospor[...]
Eurosport
2021-05-13
[2]
웹사이트
Video: Robijev zlati polet za zgodovino!
https://www.rtvslo.s[...]
RTV Slovenija
2012-02-25
[3]
뉴스
Kranjec s 100. slovenskimi stopničkami do malega globusa
https://www.rtvslo.s[...]
RTV Slovenija
2016-11-28
[4]
웹사이트
Robert Kranjec se je odločil: Konec je! #video
https://siol.net/spo[...]
Siol
2019-03-20
[5]
뉴스
Dobitniki Bloudkovih priznanj za leto 2002
http://www.mizks.gov[...]
2002-03-16
[6]
웹사이트
Bivši svjetski prvak, dvostruki pobjednik Svjetskog kupa i osvajač olimpijske bronce u skijaškim letovima, odmara se na Viru
https://slobodnadalm[...]
2021-03-27
[7]
웹사이트
로ベルト・クラニエツ가 은퇴
https://berkutschi.c[...]
2024-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