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즈 마리 매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즈 마리 매코이는 미국의 작곡가이자 가수였다. 1922년 아칸소주에서 태어난 매코이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가수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52년 작곡가로 데뷔하여 다양한 장르의 곡을 썼다. 빅 메이벨의 "Gabbin' Blues"를 시작으로 페이 애덤스의 "It Hurts Me to My Heart", 엘비스 프레슬리의 "I Beg of You" 등 많은 히트곡을 작곡했다. 2008년 음악적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2015년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여성 작곡가 - 메이 보렌 액스턴
    메이 보렌 액스턴은 미국의 작곡가이자 음악 프로모터로, 엘비스 프레슬리의 히트곡을 공동 작곡하고 RCA 레코드와의 계약 성사에 기여했으며, 컨트리 음악 아카데미는 그녀의 공헌을 기려 그녀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했다.
로즈 마리 매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로즈 마리 힌턴
출생일1922년 4월 19일
출생지원이다, 아칸소주, 미국
사망일2015년 1월 20일
사망지샴페인, 일리노이주, 미국
직업작곡가, 가수
활동 기간1942년–2015년

2. 생애

로즈 마리 매코이는 아칸소주 오나이다의 농가 출신으로, 제임스 매코이와 결혼했다.[11] 1942년 가수의 꿈을 안고 뉴욕 시로 이주하여 뉴저지의 클럽 등지에서 노래하며 경력을 시작했다.[12]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로즈 마리 매코이는 1922년 4월 19일, 아칸소주 오나이다에서 레비 힌튼과 셀레티아 브라질 힌튼 사이에서 로즈 마리 힌튼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농부였다. 그녀는 이후 제임스 매코이와 결혼했다.[11]

1942년, 가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단돈 6USD를 가지고 뉴욕 시로 이주했다.[2] 할렘에 정착한 그녀는 생계를 위해 낮에는 중국 세탁소에서 일하고 주말에는 나이트클럽에서 노래를 불렀다.[3] 뉴저지의 한 술집에서 노래를 시작하며 가수로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12] 뛰어난 가창력 덕분에 점차 할렘의 베이비 그랜드, 디트로이트의 플레임 쇼 바, 신시내티의 스포츠맨 클럽, 토론토의 베이신 스트리트와 같은 유명 공연장에서 공연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1][11] 이 시기에 루스 브라운, 맘스 마블리, 다이나 워싱턴, 피그미트 마컴 등 당대 유명 공연자들의 오프닝 무대를 장식하기도 했다.

2. 2. 작곡가 경력

1952년 윌러 레코드의 신생 리듬 앤 블루스 그룹을 위해 〈Cheating Blues〉와 〈Georgie Boy Blues〉 두 곡을 쓰고 녹음하면서 작곡가 경력을 시작했다.[12] 한 출판사가 이 곡들을 듣고 매코이를 스카우트하여 뉴욕의 유명한 음악 작업 공간인 브릴 빌딩에서 일하게 되었다.[12][4] 이곳에서 처음 의뢰받은 곡 중 하나는 리로이 커크랜드와 공동 작곡한 〈Gabbin' Blues〉였다. 이 곡은 반은 대화, 반은 노래 형식이었는데, 빅 메이벨이 불렀고 대화 부분은 매코이 자신이 직접 맡았다. 이 곡은 빌보드 R&B 차트 3위까지 오르며 빅 메이벨과 매코이 모두에게 첫 히트곡이 되었다.[13][5]

이후 매코이는 빅 메이벨에게 더 많은 곡을 써주었으며, 루이스 조던(〈If I Had Any Sense I'd Go Back Home〉, 〈House Party〉)이나 내피 브라운(〈Don't Be Angry〉) 같은 유명 R&B 음악가들에게도 곡을 제공했다.[14][6]

1954년, 매코이는 작곡가 찰스 싱글턴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15][7] 이들의 첫 공동 히트작은 1954년 페이 애덤스가 부른 〈It Hurts Me to My Heart〉였다. 약 8년간 이어진 이 협력을 통해 그들은 엘비스 프레슬리(〈I Beg of You〉), 더 이글스 (〈Trying to Get to You〉 - 이후 프레슬리가 선 레코드 시절 녹음), 루스 브라운(〈Mambo Baby〉), 내피 브라운(〈Little by Little〉) 등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에게 많은 히트곡을 써주었다. 이 외에도 냇 킹 콜, 리틀 윌리 존, 어사 키트, 아레사 프랭클린, 에디 아놀드, 파이브 윌로스, 빅 조 터너, 더 두 드로퍼스, 리틀 에스더, 더 클로버스 등 많은 유명 아티스트들이 싱글턴과 매코이의 곡을 녹음했다.

싱글턴과 헤어진 후에도 매코이는 혼자서 또는 다른 작곡가들과 협력하며 작곡 활동을 계속했다. 그녀는 자신의 음악에 대한 통제권을 지키기 위해 모타운, 스택스 레코드, 애틀랜틱 레코드와 같은 대형 음반사의 소속 제의를 거절하고 독립적인 길을 걸었다.[12][4] 1960년대 매코이의 가장 성공적인 곡 중 하나는 실비아 맥키니(Sylvia McKinney, 조 세네카의 필명)와 공동 작곡한 〈It's Gonna Work Out Fine〉이다.[13][5] 이 곡은 1961년 아이크 & 티나 터너가 싱글로 발표하여 빌보드 핫 100 14위, R&B 차트 2위에 올랐으며, 그룹에게 첫 그래미상 후보 지명을 안겨주었다. 또한 작곡가 헬렌 밀러와 협력하여 맥신 브라운의 〈We'll Cry Together〉, 제리 버틀러의 〈Got to See If I Can't Get Mommy (To Come Back Home)〉 등을 작곡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13][5]

매코이는 주로 R&B 아티스트들이 녹음한 곡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재즈, , 로큰롤, 컨트리, 가스펠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썼다. 재즈 보컬리스트 지미 스콧은 그녀의 곡 9곡을 녹음했으며, 세라 본은 6곡을 녹음했는데, 이 중 5곡은 1974년 앨범 《Send in the Clowns》에 수록되었다. 또한 코카콜라 광고 CM송을 작곡하기도 했는데, 이 중에는 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가 부른 곡도 포함되어 있다.[1]

매코이의 삶과 경력을 다룬 전기 ''Thought We Were Writing the Blues: But They Called It Rock 'n' Roll''은 아를린 코르사노(Arlene Corsano)가 저술하여 2014년에 출판되었다.[8]

2. 3. 후반생 및 사망

2000년에 포드 자동차 회사의 감독관이었던 남편 제임스 매코이가 사망했다.[3][1] 이후 50년 이상 거주했던 뉴저지주 테넥을 떠나 조카와 함께 일리노이주로 이주했다.[3][1]

2008년, 뉴욕시 지역사회협회는 전시회와 연속기획공연 ''Ladies Singing the Blues|블루스를 노래하는 여인들eng''을 열어 매코이의 공로를 기렸다. 세인트 존 더 디바인 대성당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매코이는 음악에 대한 공로로 5분간 기립 박수를 받았다. 이에 화답하여 매코이는 무대에 올라 ''It's Gonna Work Out Fineeng''을 직접 불렀다.

2014년에는 알린 코사노가 쓴 매코이의 전기 ''Thought We Were Writing the Blues: But They Called It Rock 'n' Roll|우리는 블루스를 썼는데, 그네들은 이것을 로큰롤이라고 불렀다네eng''가 출판되었다.[16]

2015년 1월 20일, 일리노이주 어배나에 위치한 칼 재단 병원(Carle Foundation Hospital)에서 향년 92세로 사망했다.[1][9]

3. 주요 작품

로즈 마리 매코이는 1952년 리듬 앤 블루스 레이블 윌러 레코드(Wheeler Records)를 위해 "Cheating Blues"와 "Georgie Boy Blues"를 직접 작사하고 녹음하며 작곡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이 곡들이 음악 출판업자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그녀는 뉴욕의 유명한 브릴 빌딩에서 활동하게 되었다.[4]

그녀의 첫 히트곡은 르로이 커클랜드와 공동 작사하고 빅 메이벨이 부른 "Gabbin' Blues"였다. 이 곡은 매코이가 직접 내레이션을 맡았으며, 빌보드 R&B 차트에서 3위를 기록하며 빅 메이벨과 매코이 모두에게 첫 성공을 안겨주었다.[5] 이후 매코이는 빅 메이벨을 위해 "Way Back Home", "My Country Man" 등의 곡을 추가로 썼고, 루이 조던("If I Had Any Sense I'd Go Back Home", "House Party"), 내피 브라운 등 여러 R&B 아티스트들에게 곡을 제공했다. 특히 내피 브라운의 1955년 히트곡 "Don't Be Angry"는 프레드 멘델손과 공동 작곡한 것으로, 팝 음악 시장에서는 더 크루-커츠가 커버하기도 했다.[6]

1954년부터 약 8년간 작사가 찰스 싱글턴과 협력하며 많은 히트곡을 만들었다.[7] 이 시기 주요 작품으로는 페이 애덤스의 "It Hurts Me to My Heart", 엘비스 프레슬리의 "I Beg of You"와 "Trying to Get to You"(원곡은 이글스), 루스 브라운의 "Mambo Baby", 냇 킹 콜의 "If I May"와 "My Personal Possession"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리틀 윌리 존, 에르타 키트, 에디 아놀드, 빅 조 터너 등 당대 최고의 가수들이 그들의 곡을 불렀다.[7]

싱글턴과의 파트너십 이후에도 매코이는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다른 작가들과 협업했다. 그녀는 자신의 음악적 통제권을 지키기 위해 모타운, 스택스 레코드, 애틀랜틱 레코드와 같은 대형 음반사의 제안을 거절하기도 했다.[4] 이 시기 대표적인 성공작으로는 조 세네카(실비아 맥키니 명의)와 공동 작곡하여 아이크 & 티나 터너에게 그래미 후보 지명을 안겨준 "It's Gonna Work Out Fine"(1961년, 빌보드 핫 100 14위, R&B 2위)이 있다.[5] 또한 작사가 헬렌 밀러와 협력하여 맥신 브라운의 "We'll Cry Together", 제리 버틀러의 "Got to See If I Can't Get Mommy (To Come Back Home)" 등을 만들었다.[5]

매코이는 R&B뿐만 아니라 재즈, 팝, 로큰롤, 컨트리, 가스펠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썼다. 재즈 보컬리스트 지미 스콧은 그녀의 곡 9곡을, 사라 본은 6곡을 녹음했으며, 사라 본의 1974년 앨범 ''Send in the Clowns''에는 매코이의 곡 5개가 수록되었다. 또한 코카콜라 광고를 위해 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가 부른 CM송을 작곡하기도 했다.[1]

다음은 로즈 마리 매코이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아티스트곡 제목공동 작사가비고
1952로즈 마리 매코이"Cheating Blues", "Georgie Boy Blues"본인 녹음
1953빅 메이벨"Gabbin' Blues"르로이 커클랜드빌보드 R&B 차트 3위[5]
연도 미상빅 메이벨"Way Back Home"
연도 미상빅 메이벨"My Country Man"
연도 미상루이 조던"If I Had Any Sense I'd Go Back Home", "House Party"[6]
1954페이 애덤스"It Hurts Me to My Heart"찰스 싱글턴싱글턴과의 첫 히트곡[7]
1954루스 브라운"Mambo Baby"찰스 싱글턴[7]
1955내피 브라운"Don't Be Angry"프레드 멘델손[6]
연도 미상내피 브라운"Little by Little"찰스 싱글턴[7]
1957엘비스 프레슬리"I Beg of You"찰스 싱글턴[7]
1955 (녹음)엘비스 프레슬리"Trying to Get to You"찰스 싱글턴원곡: 이글스 (1954)[7]
연도 미상냇 킹 콜"If I May", "My Personal Possession"찰스 싱글턴[7]
연도 미상리틀 윌리 존"Letter from My Darling"찰스 싱글턴[7]
1961아이크 & 티나 터너"It's Gonna Work Out Fine"조 세네카 (실비아 맥키니 명의)빌보드 핫 100 14위, R&B 2위, 그래미 후보[5]
연도 미상맥신 브라운"We'll Cry Together"헬렌 밀러[5]
연도 미상제리 버틀러"Got to See If I Can't Get Mommy (To Come Back Home)"헬렌 밀러[5]
1974사라 본(5곡)앨범 Send in the Clowns 수록


4. 수상 및 명예

연도수상 내역비고
2008커뮤니티 웍스 NYC "Ladies Singing the Blues" 헌정세인트 존 더 디바인 대성당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5분간 기립 박수를 받음.
2017아칸소 흑인 명예의 전당 헌액[10]
2022여성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
2024전미 리듬 앤 블루스 명예의 전당 헌액


5. 디스코그래피

(내용 없음)

5. 1. 싱글


  • 1951년: "Cheating Blues" / "Georgie Boy" (Wheeler 102)
  • 1954년: "Dippin' In My Business / Down Here" (Cat 111)
  • 1977년: "I Do The Best I Can With What I Got" (Brunswick 55541)
  • 2013년: "Switch Around" (월리 호스킨스와 함께) (Beltone ST1005) – 이전에 발표되지 않음

참조

[1] 뉴스 Rose Marie McCoy, a Songwriter for Rock, Pop and Jazz Legends, Dies at 9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01-31
[2] 웹사이트 Rose Marie McCoy, Sunset Funeral Home http://www.sunsetfun[...] 2015-01-29
[3] 웹사이트 Lady Writes The Blues: The Life Of Rose McCoy https://www.npr.org/[...] 2009-02-27
[4] 기타 Guy Arseneau, "Long Playing: Rose Marie McCoy is still churning out the tunes at 92" http://www.guyarsene[...] 2015-01-24
[5] 기타 Charted songs written by Rose Marie McCoy, MusicVf.com http://www.musicvf.c[...] 2015-01-24
[6] 뉴스 Nappy Brown Obituary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7] 문서 Singleton was a co-writer of "[[Strangers in the Night]]" and other hits. See [[Talk: Trying To Get To You]].
[8] 웹사이트 Book review, TheSoulBasement.com http://www.thesoulba[...] 2015-01-25
[9] 웹사이트 Rose McCoy http://www.news-gaze[...] The News-Gazette 2015-01-29
[10] 웹사이트 They Liked My Phras'n: The Life & Music of Rose McCoy, Part I https://www.ualrpubl[...] 2019-09-08
[11] 웹사이트 Rose Marie McCoy, Sunset Funeral Home http://www.sunsetfun[...] 2015-01-29
[12] 기타 Guy Arseneau, "Long Playing: Rose Marie McCoy is still churning out the tunes at 92" http://www.guyarsene[...] 2015-01-24
[13] 기타 Charted songs written by Rose Marie McCoy, MusicVf.com http://www.musicvf.c[...] 2015-01-24
[14] 뉴스 Nappy Brown Obituary in The Independent https://www.independ[...]
[15] 문서 Singleton was a co-writer of "Strangers in the Night" and other hits. See [[Talk: Trying to Get To You]].
[16] 웹사이트 Book review, TheSoulBasement.com http://www.thesoulba[...] 2015-01-25
[17] 웹인용 Rose McCoy http://www.news-gaze[...] The News-Gazette 2015-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