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룰란트 사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룰란트 사베리는 1576년 코르트레이크에서 태어난 화가로, 주로 풍경화와 정물화를 그렸다. 그는 재세례파 가문 출신으로, 1585년 하를렘으로 이주하여 형 야코프 사베리와 한스 볼에게 그림을 배웠다. 1604년 프라하로 가서 루돌프 2세의 궁정 화가가 되었고, 이후 티롤 지방에서 식물을 연구하기도 했다. 네덜란드로 돌아와 위트레흐트에서 활동하며 성공을 거두었으나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다 1639년에 사망했다. 사베리는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특히 멸종된 도도를 그린 그림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화가 - 장오노레 프라고나르
    장오노레 프라고나르는 로코코 미술의 대표적인 프랑스 화가로, 빛과 그림자를 활용한 생동감 넘치는 화풍으로 사랑, 유희, 아름다움 등 로코코 시대의 주제를 독특하게 표현하여 후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잊혀졌다가 20세기 이후 재평가되었다.
룰란트 사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루란트 사베리의 그림
루란트 사베리의 그림
본명룰란트 사베리
출생1576년경
출생지코르트레이크
사망1639년 2월 25일
사망지위트레흐트
직업
직업화가, 조각가
언어
원어 이름Roeland(t) Maertensz Saverij

2. 생애

룰란트 사베리는 코르트레이크의 화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팔십 년 전쟁의 전화를 피해 1585년에 하를렘으로 이주하여, 역시 화가로 활동하던 형 야코프 사베리(1565년~1603년)에게 그림을 배웠다. 형이 죽은 후, 루돌프 2세의 초청을 받아 1604년프라하로 이주하여 궁정 화가로 일했다. 황제가 죽은 후 뮌헨, 잘츠부르크, 을 전전하다가 1618년에 위트레흐트에 정착했다.

1621년에는 큰 정원이 있는 집을 구입하여 발타사르 판 데르 아스트나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등 많은 화가들이 그의 집에 모였다. 사베리의 제자로는 알라르트 판 에버딩겐이 있다.

1620년대에는 위트레흐트에서 가장 성공한 화가였지만, 점차 알코올 사용 장애(자세한 내용은 불명)를 겪게 되었다. 1630년대 후반까지 제자들을 가르쳤지만, 1638년에 파산하고, 그로부터 반년 후에 사망했다.

사베리는 도도새를 그린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풍경화에도 뛰어나 신성 로마 제국에서 일할 때는 티롤 지방으로 풍경 묘사를 위해 파견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룰란트 사베리는 1576년 코르트레이크에서 태어났다.[3] 재세례파 신자였던 그의 가족은 종교적 박해를 피해 1585년경 하를렘으로 이주했다.[3] 그는 형인 야코프 사베리와 한스 볼에게서 그림을 배웠다.[11]

2. 2. 프라하 궁정 화가 시절

1604년경, 사베리는 프라하로 가서 루돌프 2세와 마티아스 황제의 궁정 화가가 되었다.[4] 이들은 궁정을 매너리즘 예술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1606년부터 1608년까지 그는 식물 연구를 위해 티롤 백국으로 여행했다.[4] 힐리스 데 혼데코에테르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11][4]

2. 3. 네덜란드에서의 활동

1616년 이전, 사베리는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와 신트 안토니에스브레estraat에 살았다.[5] 1618년 위트레흐트에 정착했고, 1년 후 성 루카 길드에 가입했다.[5] 그의 조카 얀 사베리는 그의 가장 중요한 조수가 되었다.[5] 1621년, 사베리는 위트레흐트의 Boterstraat에 큰 집을 샀다.[5] 이 집은 넓은 정원이 있었고, 아담 빌라르츠를 비롯한 많은 화가들이 자주 방문했다.[5] 사베리는 발타사르 판 데르 아스트와 암브로시우스 보스차르트와 친구였다.[4]

2. 4. 말년

1620년대에 룰란트 사베리는 위트레흐트에서 가장 성공한 화가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삶이 어려워졌다.[5] 1630년대 후반까지 알라르트 판 에버딩언과 롤란트 로흐만 등을 제자로 두었지만,[5] 1638년에 파산했고,[5] 1639년에 위트레흐트에서 사망했다.[5]

3. 작품

룰란트 사베리가 그린 "새가 있는 풍경"




룰란트 사베리는 풍경화, 정물화, 동물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특히 멸종된 도도를 그린 그림으로 유명하다.[13] 길리스 반 코닉슬로의 플랑드르 화풍의 풍경화를 주로 그렸으며, 신화나 성경을 배경으로 하여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특징을 보였다.[7]

주요 작품으로는 미술사 박물관에 있는 『새가 있는 풍경』(1628), 푸시킨 미술관에 있는 『농가의 정원』 (1610년)과 『부케』 (1624년), 황야의 엘리야 (1625년),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도도』 (1626년) 등이 있다.

3. 1. 주요 특징

룰란트 사베리는 주로 길리스 반 코닉슬로의 플랑드르 화풍의 풍경화를 그렸으며, 신화나 성경을 배경으로 하여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특징을 보였다.[7] 그는 여러 점의 꽃 정물화도 그렸는데, 돌 틈새에 꽃다발을 꽂아놓거나, 때로는 도마뱀을 그린 《두 마리의 도마뱀과 꽃》과 같은 그림, 곤충이나 떨어진 꽃잎 등을 그려 그의 최고 걸작으로 여겨진다.[7]

그의 독특한 화풍은 당시 유행하던 매너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수집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고 유럽과 북미의 많은 미술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의 밑그림 또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현재는 멸종된 도도를 1611년에서 1628년 사이에 그린 여러 점의 그림이 있다.[8] 그의 조카 한스, 즉 얀 사베리도 도도 그림으로 유명했는데(현재 옥스퍼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된 1651년의 유명한 삽화 포함), 삼촌의 작품을 베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13]

3. 2. 풍경화

룰란트 사베리는 주로 신화와 성경을 이용해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동원해 풍경화를 그렸다.[12]

3. 3. 동물화

사베리는 여러 종류의 새와 동물을 정교하게 묘사한 그림으로 유명하다. 특히, 멸종된 도도를 그린 여러 점의 그림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13][8] 그는 도도를 그림의 하단 모서리에 주로 묘사했으며, 최소 10점 이상의 도도 그림을 제작했다. 그의 조카인 얀 사베리도 도도 그림을 많이 그렸는데, 이는 삼촌의 그림을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그림 중 하나인 '에드워즈 도도'는 조지 에드워즈가 소장했던 1626년 작품으로,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도도의 표준적인 이미지가 되었다.[9] 이 그림과 그의 다른 그림들은 다른 많은 도도 그림의 출처가 되었다.

'에드워즈 도도'에는 전형적인 남아메리카의 ''금강앵무''(Ara ararauna)와는 다른, 알려지지 않은 파란색과 노란색 마코앵무도 등장한다. 이 때문에 17세기에 단 두 개의 짧은 묘사로만 알려진 가상종인 마르티니크 마코앵무(Ara martinicus)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9]

3. 4. 정물화

사베리는 여러 점의 꽃 정물화도 그렸는데, 돌 틈새에 꽃다발을 꽂아놓거나, 때로는 도마뱀을 그린 《두 마리의 도마뱀과 꽃》과 같은 그림, 곤충이나 떨어진 꽃잎 등을 그려 그의 최고 걸작으로 여겨진다.[7] 그의 가장 큰 정물화(1624)는 44종의 동물과 63종의 꽃을 묘사하고 있다.[6]

3. 5. 화풍

룰란트 사베리는 주로 신화와 성경을 이용해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동원해 풍경화를 그렸다.[12] 그의 독특한 그림체는 매너리즘이 유행하고 나서 많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유명해졌고,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 여러 박물관에서 발견 할 수 있다. 그의 밑그림 역시 높이 평가된다.[13]

그의 독특한 화풍은 당시 유행하던 매너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수집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그의 밑그림 또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사베리는 길리스 반 코닉슬로의 플랑드르 화풍의 풍경화를 주로 그렸으며, 신화나 성경을 배경으로 하여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는 여러 점의 꽃 정물화도 그렸는데, 돌 틈새에 꽃다발을 꽂아놓거나, 때로는 도마뱀을 그린 《두 마리의 도마뱀과 꽃》과 같은 그림, 곤충이나 떨어진 꽃잎 등을 그려 그의 최고 걸작으로 여겨진다.[7]

4. 멸종된 새에 대한 묘사

사베리는 멸종된 도도의 가장 다작이자 영향력 있는 삽화가로 유명하며, 최소 10점의 도도 그림을 제작했는데, 종종 그림의 하단 모서리에 도도를 묘사했다.[13] 그중 1626년에 제작된 '에드워즈 도도'는 조류학자 조지 에드워즈가 소장했던 작품으로,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후 도도의 표준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이 그림과 그의 다른 그림들은 다른 많은 도도 그림의 출처가 되었다.

같은 그림에 전형적인 남아메리카의 ''금강앵무(Ara ararauna)''와는 다른, 알려지지 않은 파란색과 노란색 마코앵무가 등장한다는 사실은 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이 그림들이 17세기에 단 두 개의 짧은 묘사로만 알려진 가상종인 마르티니크 마코앵무(Ara martinicus)를 나타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

5. 영향

룰란트 사베리는 주로 신화와 성경을 이용해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동원해 풍경화를 그렸다.[12] 매너리즘 유행 이후, 그의 독특한 그림체는 많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유명해졌고,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 여러 박물관에서 그의 작품을 찾아볼 수 있다. 그의 밑그림 역시 높이 평가된다.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현재 멸종된 도도가 그려진 작품이다.[13] 그의 조카인 얀 사베리(Jan Savery)도 도도 그림을 많이 그렸는데, 이는 삼촌의 작품을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George Edwards: The Bedell and His Birds https://books.googl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1992-01-01
[2] 웹사이트 ULAN Full Record Display (Getty Research) http://www.getty.edu[...]
[3] 문서 Roelandt Savery www.nga.gov/collecti[...] National Gallery of Art 2014-04-24
[4] 웹사이트 Roelant Savery https://rkd.nl/en/ex[...] Netherlands Institute for Art History
[5] 웹사이트 https://stadsarchief[...] Stadsarchief Amsterdam
[6] 웹사이트 Centraal Museum Utrecht - saverij http://www.centraalm[...] 2022-01-13
[7] 문서 Dutch painting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
[8] PDF http://julianhume.co[...] 2022-03
[9] 서적 Extinct Birds Bloomsbury Publishing 2017
[10] 문서 当時はドードーの絶滅前で、[[モーリシャス島]]で捕獲されたドードーが生きたままヨーロッパに持ち込まれていた。
[11] 웹인용 "*Roelant Savery" https://rkd.nl/artis[...]
[12] 서적 Dutch painting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
[13] 웹인용 http://julianhume.co.uk/wp-content/uploads/2010/07/History-of-the-dodo-Hume.pdf http://julianhum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