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경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경화는 지구 표면을 묘사하는 회화의 한 장르로, 미노스 문명의 프레스코화, 고대 이집트의 벽화 등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산수화가 발달했으며, 서양에서는 르네상스 시대에 원근법을 활용한 풍경화가 등장했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풍경화가 독립적인 장르로 발전했고,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화풍으로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고분 벽화부터 시작하여 조선 시대 진경산수화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풍경화 전통을 이루었다. 풍경화는 바다, 도시, 하늘 등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함하며, 사진, 군사 미술 등과도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경화 - 밤의 카페 테라스
    《밤의 카페 테라스》는 빈센트 반 고흐가 1888년 프랑스 아를에서 밤의 풍경을 다채로운 색채로 표현하고자 그린 유화 작품이다.
  • 풍경화 - 봄 뉘넌의 목사관 정원
    빈센트 반 고흐가 뉘넨에 머물던 1884년 5월경 뉘넨의 목사관 정원을 그린 그림으로, 그의 초기 작품 특징인 어두운 색감과 봄의 기운을 담고 있으며, 도난 후 회수되어 현재 흐로닝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예술 장르 - 디오라마
    디오라마는 역사적 사건, 자연 풍경 등을 실물 크기 또는 축소 모형으로 3차원 재현하여 교육, 오락 목적으로 활용되는 전시 기법이다.
  • 예술 장르 - 역사화
    역사화는 과거의 역사적, 신화적, 종교적 사건을 묘사하는 회화 장르로, 서양에서는 르네상스 시대 이후 회화의 가장 높은 형태로 여겨졌으며, 일본에서는 무사 그림에서 기원하여 국가적 이념을 반영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 미술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미술 -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풍경화
지도
개요
정의풍경을 주제로 한 회화
특징자연 환경을 묘사, 때로는 건축물이나 인물을 포함
관련 용어풍경 미술
지형 미술
풍경 사진
풍경 건축
역사
초기 형태고대 이집트 무덤 벽화, 풍경 요소 포함
미노아 문명 벽화, 자연 요소 묘사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실내 장식용 풍경화
중국수묵화, 초기 형태 발전
산수화, 핵심 장르로 자리매김
유럽르네상스, 인물화 배경에 자연 요소 등장
바로크, 독립된 풍경화 장르 확립
19세기, 낭만주의, 사실주의, 인상주의 영향
일본야마토에, 초기 풍경화 형태
우키요에, 서민적 풍경화 발전
주요 특징
구성 요소

바다

평원
하늘
구름
표현 기법원근법
색채
빛과 그림자
질감
감정 표현숭고함
아름다움
평온함
신비로움
다양한 스타일
사실주의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
이상주의현실을 이상적으로 재구성
낭만주의감정, 주관적인 경험 강조
인상주의빛과 색채 변화에 집중
추상주의형태와 색을 단순화, 추상적으로 표현
표현주의내면의 감정을 강렬하게 표현
대표 작가
서양조르조네
니콜라 푸생
클로드 로랭
존 컨스터블
윌리엄 터너
카미유 코로
귀스타브 쿠르베
클로드 모네
카미유 피사로
빈센트 반 고흐
동양왕유
곽희
미불
동기창
정선
김홍도
신윤복
현대 풍경화
영향사진술 발달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
다양한 매체유화
수채화
드로잉
판화
디지털 아트
경향추상적 풍경
환경 파괴에 대한 비판적 시각
인간과 자연의 관계 탐구
참고 문헌
추가 자료게티 미술관 교육 자료: 풍경화
영국 도서관 자료: 지형 미술 개요
영국 도서관 자료: 지형 미술 용어
관련 서적요시다 코조, 풍경화

2. 역사

희귀한 순수 풍경화, 페르시아 미니어처, 강, 타브리즈(?), 14세기 초


풍경화의 역사는 고대 문명에서부터 시작된다.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는 초기 형태의 풍경화는 단순한 배경 묘사에 불과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자적인 예술 장르로 발전했다.

초기 미술에는 일부 풍경 요소가 있지만, 페르시아 미니어처의 풍경화 전통은 주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일칸 왕조 시대에 시작되었다. 바위산이 많은 지형을 선호하며, 정교하게 묘사된 다양한 동물과 식물, 암석 지형으로 가득 차 있다. 높은 시점에서 풍경을 묘사하는 방식은 수직 형식의 그림 공간 대부분을 풍경으로 채우지만, 구름은 중국 미술에서 따온 소용돌이치는 형태로 묘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보이는 모든 것은 관찰자에게 상당히 가까이 있으며, 먼 풍경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페르시아 풍경화에는 인물이 등장하는 이야기 장면이 나타나지만, 앨범에는 순수 풍경화가 몇 점 포함되기도 한다.

힌두교 회화는 오랫동안 울창한 초목 속에 장면을 설정해 왔는데, 이는 묘사된 많은 이야기가 그러한 배경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무굴 제국 회화는 힌두교 회화의 요소와 페르시아 양식을 결합했으며, 왕실 사냥 장면에서는 넓은 풍경을 자주 묘사했다. 어두운 구름과 번개가 치는 몬순 우기에 맞춰 설정된 장면이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유럽 판화의 영향이 나타나기도 했다.

19세기 전반, 전국적인 여행 붐이 일어난 일본에서는 우키요에(니시키에)에서도 명소 그림이 유행하여,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후가쿠산주이케이』와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도카이도 고주쓰지 그림』 등의 걸작이 탄생했다. 이 작품들의 대담한 화면 구성과 선명한 색채는 19세기 중반 사진이 실용화됨에 따라 사실주의를 대체할 그림 특유의 표현 방법을 모색하던 유럽 미술계에 큰 영향을 미쳐 (자포니즘) 인상파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유럽에서는 존 러스킨이 풍경화를 "19세기의 주요한 예술 창조"라고 평가했으며[65], 케네스 클라크 경은 "자연미의 감상이나 풍경화의 제작은 우리의 정신 활동의 정상적인, 영원적인 부분이다"[66]라고 소개했다. 클라크는 유럽에서 자연의 복잡성을 하나의 작품에 표현하는 방식으로 상징의 수용, 자연의 사실에 대한 관심, 자연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판타지의 창조, 황금 시대의 조화와 질서에 대한 동경이라는 네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말까지 허드슨 리버파가 풍경화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이들은 이상적인 서사시적 그림을 실현하기 위해 거대한 작품을 제작했다. 허드슨 리버파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토머스 콜은 유럽 풍경화의 철학적 이상, 즉 자연의 아름다움을 관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이익에 대한 비종교적인 신앙을 공유했다. 앨버트 비어스타트와 같은 후대 허드슨 리버파 화가들은 생생하고 때로는 위협적인 자연의 힘을 강조한 작품을 제작했으며, 이들의 작품에는 낭만주의적인 과장이 강하게 나타났다.

탐험가, 자연 과학자, 항해사, 상인, 이주민들이 캐나다대서양 연안에 나타났을 초기, 이들은 혹독한 환경과 거친 바다에 직면했다. 이들은 이 땅을 지도에 그려 기록하고 자신들의 땅임을 주장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했다. 이 땅의 특성과 생물에 대한 이들의 이해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관찰 결과는 매우 과학적이고 정확한 것부터 기이하고 공상적인 것까지 다양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이들이 남긴 풍경화에 반영되어 있다. 캐나다 풍경화의 좋은 예는 1920년대의 그룹 오브 세븐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에드바르 뭉크, 조지아 오키프, 찰스 E. 버치필드, 닐 웰리버, 알렉스 카츠, 밀턴 에이버리, 피터 도이그, 앤드류 와이어스, 데이비드 호크니, 시드니 놀란 등 많은 예술가들이 다양한 스타일의 풍경화를 그렸다.

2. 1. 고대와 중세

세계 각처에서 발견되는 초기의 형태는 풍경화라고 부르기 힘든 것이었지만, 땅의 선과 산, 나무 또는 다른 자연의 형태가 포함되어 있었다. 사람이 포함되지 않은 가장 최초의 순수 풍경화는 기원전 1500년 경 그리스 미노스 문명에서 발견되었다.[71] 특히 고대 이집트의 나일 삼각주 갈대밭을 배경으로 한 사냥 장면은 장소에 대한 강한 느낌을 주지만, 전체 풍경보다는 개별 식물과 인물, 동물 형상에 더 집중했다. 대영박물관에 있는 네바무의 무덤(기원전 1350년경)의 프레스코화가 대표적이다.

봄 벽화, 아크로티리 출토 미노아 회화, 기원전 1600~1500년


전체 풍경을 일관되게 묘사하려면 원근법이나 거리에 따른 축소가 필요하며, 문헌에 따르면 이는 기원전 1세기 이후 폼페이, 헤르쿨라네움 등에서 발견되는 프레스코화와 모자이크에서 볼 수 있듯이, 고대 그리스헬레니즘 시대에 처음으로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8]

초기 서구 중세 미술에서 풍경에 대한 관심은 거의 완전히 사라지고, 후기 고대 작품(예: 우트레흐트 시편집)의 사본에서만 명맥을 유지했다. 초기 고딕 양식 버전에서 이 출처의 마지막 재해석은 이전에 광범위했던 풍경을 구성의 틈을 메우는 몇몇 나무로 축소하여 전체적인 공간감을 상실하게 했다.[10] 자연에 대한 관심의 부활은 처음에는 밀폐된 정원이나 밀레플뢰르 태피스트리에 있는 것과 같은 작은 정원의 묘사에서 주로 나타났다. 울창한 나무 배경 앞에서 일하거나 노는 인물들의 프레스코화는 아비뇽 교황궁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흔했던 주제의 독특한 생존 사례일 가능성이 크다.[11] 리비아의 빌라와 같은 로마식 주택에서 여러 정원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다.[12]

14세기 동안 조토와 그의 추종자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자연을 인식하기 시작하여 그림 속 인물들의 행동을 위한 배경으로 풍경 요소를 점점 더 도입했다.[13] 15세기 초, 풍경화는 유럽에서 장르로 확립되었는데, 종종 종교적 주제(예: "애굽으로의 도피 중 휴식", "동방 박사의 경배", "사막의 예로니모 성인")에서 표현되는 인간 활동의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사치스러운 장식 필사본은 특히 풍경의 초기 발전에 매우 중요했는데, 특히 베리 공작의 매우 풍부한 시집에 있는 것과 같은 달의 노동 연작은 전통적으로 점점 더 큰 풍경 설정에서 작은 풍속 인물을 보여주었다.

2. 2. 동아시아

중국 수묵화 전통의 산수화는 "산-물" 또는 "순수" 풍경화로 불리며, 사람의 모습은 현자나 그의 오두막 정도로만 작게 표현된다. 이 시대의 풍경화는 중국 전통에서 고전적이며 많이 모방되는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9]

로마와 중국의 풍경화는 모두 장엄한 산맥을 배경으로 한 상상 속 풍경의 웅장한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중국에서는 종종 폭포를, 로마에서는 바다, 호수, 강 등을 포함한다. 중국식 풍경화는 일반적으로 먼 풍경만 보여주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을 죽은 땅이나 안개로 처리하여 문제를 피했다.[9]

동아시아와 서양 풍경화의 주요한 차이점은, 동아시아에서는 고전적인 중국 산수 수묵화가 전통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시각 예술 형태였다는 점이다. 두 지역 모두 미학 이론에서 예술가의 상상력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작품에 높은 지위를 부여했다. 동아시아에서 상상의 풍경은 유명한 실천가들(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의 여러 황제를 포함한 아마추어 문인화가)이 그린 그림이었다. 그들은 종종 시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서로를 설명하기도 했다.[9]

이성(919~967), 멀리 봉우리 사이의 무성한 숲(세부), 10세기 중국, 요녕성박물관


일본 미술은 초기에는 중국 양식을 받아들여 서사적 주제에 관심을 보였다. 높은 시점을 사용하여 궁궐이나 도시 장면에 풍경을 섞어 묘사하고, 필요에 따라 지붕을 잘라내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12세기와 13세기의 매우 긴 야마토에 그림 두루마리에 나타난다.[55]

15세기 이후부터는 순수 풍경화를 주제로 한 작품이 훨씬 많이 남아 있다. 핵심 화가들 중 상당수는 선종 승려였으며, 중국식으로 붓놀림을 더욱 강조한 단색화 기법으로 작업했다. 어떤 화파는 전경을 더욱 강조하는 작은 시각을 사용하여 덜 정교한 스타일을 채택했다. 일본 화가들에게 오랫동안 인기를 얻어 "일본식"이라고 불리게 된 유형은 사실 중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이 유형은 수평 구성에서 한쪽에 하나 이상의 큰 새, 동물, 또는 나무를 전경에 배치하고, 종종 배경의 일부만을 덮는 넓은 풍경을 뒤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후기에는 배경 풍경을 완전히 생략하기도 했다.

16세기 이후부터 발전한 우키요에 양식은 처음에는 회화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저렴하고 널리 이용 가능한 채색 목판화로 발전했다. 처음에는 개인 또는 집단 인물에 초점을 맞췄으나, 18세기 후반부터 호쿠사이와 히로시게에 의해 우키요에 풍경화가 발전하여 일본 풍경화의 가장 잘 알려진 유형이 되었다.[58]

하세가와 도하쿠, 소나무 병풍, 일본, 1593년 접이식 병풍 한 쌍 중 하나.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에 정선과 같은 화가들이 진경산수화를 통해 한국의 실제 풍경을 독창적인 화풍으로 담아냈다.

2. 3. 서양 르네상스

얀 반 에이크를 포함한 초기 네덜란드 회화 화가들은 15세기 초 풍경화 기법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빛의 효과와 원근법을 능숙하게 묘사하여 풍경화에 깊이와 사실감을 더했다.[7]

16세기 초,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를 중심으로 한 도나우 학파 화가들은 인물 없이 풍경만을 그린 순수 풍경화를 최초로 선보였다.[7]

같은 시기 요아힘 파티니르는 넓은 파노라마 형식으로 풍경을 묘사하는 "세계 풍경화"라는 독특한 양식을 개발하여 이후 풍경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피터르 브뤼헐은 농민들의 일상생활과 자연 풍경을 결합한 독창적인 풍경화를 창조하여 풍경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68]

2. 4. 17세기와 18세기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에서는 야코프 반 레이스달을 비롯한 전문 풍경화가들이 등장하면서 풍경화가 크게 성장했다.[28] 네덜란드 풍경화는 국토가 평탄하여 하늘과 구름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얀 반 고이엔, ''사구 풍경'', 1630년경~1635년경,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의 "톤(tonal)" 스타일의 한 예


렘브란트, ''세 그루의 나무'', 1643년, 에칭


레푸수아르 같은 구성 공식은 현대 사진과 회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17세기 로마에서 주로 고전적인 주제나 성경 장면을 그린 프랑스 화가 니콜라 푸생[20]클로드 로랭이 그러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풍경 화가들은 네덜란드 동시대 화가들과 달리 장르의 위계 내에서 고전 신화 또는 성경의 한 장면을 나타내는 작은 인물을 포함하여 역사화로 분류되기를 원했다.[21] 살바토르 로사는 종종 ''반디티(banditi)''로 가득 찬 더 야생적인 남부 이탈리아 시골을 보여줌으로써 그의 풍경에 그림 같은 흥분을 더했다.[21]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는 빛과 날씨를 묘사하는 매우 미묘한 사실주의 기법의 발전과 함께 많은 화가들이 전문으로 삼았던 풍경화가 극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보았다. 해양화와 동물화의 하위 장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풍경화의 독특한 스타일과 다양한 스타일과 시대가 존재한다. 렘브란트의 작품과 헤르쿨레스 제거스의 실험적인 작품이 일반적으로 최고로 여겨지는 풍경 판화도 인기가 있었다.

야코프 반 레이스달은 네덜란드 황금기 풍경화가 중 가장 다재다능한 화가로 여겨진다.[28] 네덜란드에서 풍경화의 인기는 부분적으로 칼뱅주의 사회에서 종교 그림이 사실상 사라짐을 반영한 것이다.

18세기에는 수채화 풍경화가 영국의 특징이 되었고, 전문 작품에 대한 활황 시장과 많은 아마추어 화가들이 있었다.[32] 19세기 초가 되자 가장 현대적인 명성을 얻은 영국 화가들은 대부분 풍경화가들이었으며, 존 컨스터블, J. M. W. 터너, 새뮤얼 팔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영국 풍경의 다양한 낭만적인 해석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역사화와 초상화를 선호하는 현대 미술 시장에서 자리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9]

영국 전통의 수채화, 존 로버트 코젠스, ''로마와 피렌체 사이의 비코 호수'', 1783년경


프랜시스 타운의 ''엑서터 근처 카울리 플레이스'', 1812년경


18세기 영국에서는 클로드 로랭의 작품이 열렬히 수집되어 풍경화뿐만 아니라 캐퍼빌리티 브라운 등의 영국식 정원에도 영향을 미쳤다.

종이에 수채화로 그린 풍경화는 특히 영국에서 독특한 전문 분야가 되었는데, 다른 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것처럼 풍경 수채화만, 또는 거의 전적으로 그린 재능 있는 화가들의 특정 전통이 발전했다. 그림은 비교적 저렴하게 판매되었지만 제작 속도가 훨씬 빨랐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또한 그림을 그리는 "아마추어 군대"를 훈련시켜 수입을 늘릴 수 있었다.[32]

18세기 후반의 주요 화가로는 존 로버트 코젠스, 프랜시스 타운, 토마스 저틴, 마이클 앤젤로 루커, 윌리엄 파스, 토마스 헌, 존 워윅 스미스가 있으며, 19세기 초에는 존 글로버,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존 바알리, 존 셀 코트먼, 코플리 필딩, 새뮤얼 팔머가 있다.[33]

2. 5. 19세기와 20세기

낭만주의 운동은 풍경화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였다. 독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는 준 신비주의적 낭만주의를 더한 독특한 스타일의 풍경화를 창조했으며[9], 그의 작품에서는 황량한 풍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프랑스에서는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와 바르비종파 화가들이 19세기 동안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풍경화 전통을 확립했다.[9]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 화가들은 빛과 색채를 통해 자연을 새롭게 해석하며 풍경화를 모든 유형의 회화에서 주요한 스타일 혁신의 원천으로 만들었다.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1818년. 독일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이미지.


막시밀리안 게름스키, ''사냥 파티'', 1871년, 폴란드 19세기 사실주의.


카를로스 데 아에스, ''로스 피코스 데 에우로파'', 1876년


새로운 네덜란드 공화국민족주의는 17세기 네덜란드 풍경화의 인기에 영향을 주었다. 19세기에는 다른 국가들도 독특한 국가적 회화 유파를 발전시키려 했으며, 이는 고국의 풍경을 특별하게 표현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러시아와 미국에서는 그림의 거대한 크기 자체가 민족주의적 표현으로 여겨졌다.

폴란드에서는 19세기 후반 막시밀리안 게름스키, 요제프 헬몬스키, 스타니스와프 마슬로프스키 등이 풍경화의 주요 대표자였다.[34][35][36] 스페인에서는 벨기에 출신 화가 카를로스 데 아에스가 풍경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그는 1857년부터 마드리드의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풍경화 교수로 활동하며,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발전시켰다.[37] 그는 제자들과 함께 시골에서 그림을 그렸고, 새로운 철도 시스템을 이용해 국가 지형의 먼 곳까지 탐험했다.[38][39]

미국에서는 19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허드슨 강파가 두각을 나타냈다. 이들은 풍경의 서사적 규모를 포착하려는 거대한 규모의 작품을 만들었다. 토마스 콜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관상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영적 이익에 대한 세속적 신념을 작품에 담았다. 앨버트 비어스타트와 같은 후기 허드슨 강파 예술가들은 자연의 원초적이고 두려운 힘을 강조하는 작품을 만들었다.[40] 프레데릭 에드윈 처치는 존 러스킨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사상을 종합하여 19세기 미국 최고의 풍경화가가 되었다.[40]

캐나다에서는 그룹 오브 세븐이 1920년대에 두각을 나타내며 캐나다 풍경화의 좋은 예시를 보여주었다.[4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에드바르 뭉크, 조지아 오키프, 찰스 E. 버치필드, 닐 웰리버, 알렉스 카츠, 밀턴 에이버리, 피터 도이그, 앤드류 와이어스, 데이비드 호크니, 시드니 놀란 등 많은 예술가들이 다양한 스타일의 풍경화를 그렸다.

3. 한국의 풍경화

한국의 풍경화는 삼국시대 고분벽화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문인들 사이에서 산수화가 유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견몽유도원도와 같이 이상적인 풍경을 그린 관념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통해 한국의 실제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났다. 조선 후기에는 김홍도, 신윤복풍속화가들이 등장하여 민중의 삶과 자연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이상범, 변관식 등 전통 화가들이 한국 산수의 아름다움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현대에는 박수근, 이중섭 등 서양화가들이 한국적인 정서와 풍경을 독창적인 화풍으로 담아내고 있다.

4. 기법

초기 풍경화에서는 풍경이라고 부를 만한 묘사가 거의 없었지만, 지평선, 산, 나무 등의 자연물 묘사는 포함되기도 했다. 인물 없는 순수 풍경화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1500년경 미노아 미술의 프레스코화이다.[7] 고대 그리스헬레니즘 시대에는 원근법을 사용한 풍경 묘사가 처음 개발된 것으로 보이지만, 대규모 예시는 남아 있지 않다.[8]

중국 수묵화 전통의 산수화는 순수 풍경화로서, 유일한 인간의 흔적은 현자나 그의 오두막 정도였다. 서양과 동아시아 풍경화의 주요 차이점은 서양에서는 19세기까지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산수화가 가장 권위 있는 시각 예술 형태였다는 점이다. 서양에서는 역사화가 풍경 배경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풍경화가 발전할 수 있었다.[9]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에서는 풍경화가 크게 성장하고, 빛과 날씨를 묘사하는 사실주의 기법이 발전했다. 야코프 반 레이스달은 네덜란드 황금기 풍경화가 중 가장 다재다능한 화가로 여겨진다.[28] 18세기에는 수채화 풍경화가 영국의 특징이 되었고, 많은 아마추어 화가들이 알렉산더 코젠스 등의 시스템을 따랐다.[32] 19세기 초, 존 컨스터블, J. M. W. 터너 등 풍경화가들이 영국 풍경의 다양한 낭만적인 해석을 보여주었다.[29]

유럽에서는 풍경화가 19세기의 주요 예술적 창작물이었으며, 사람들은 자연의 아름다움 감상과 풍경화 제작을 정신 활동의 정상적인 부분으로 생각하게 되었다.[31] 18세기는 지형 판화의 황금기였으며, 낭만주의 운동과 함께 순수 풍경이 더 일반적이 되었다.

초기부터 도시 풍경화는 실제 도시를 묘사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중세 시대 체니노 체니니의 조언에 따라 푸생과 토마스 게인즈버러는 울퉁불퉁한 바위를 작은 바위에서 베껴 그렸고, 드가는 구겨진 손수건에서 구름 형태를 베꼈다.[61] 알렉산더 코즌스는 무작위적인 잉크 얼룩을 사용하여 풍경의 기본 형태를 만들었다.[62]

콘라트 비츠의 ''기적의 어획''(1444년)은 특정 장면을 보여주는 최초의 서구 전원 풍경화로 언급된다.[63] 뒤러의 풍경 연구는 실제 장면을 나타내며, 현장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1870년대에 튜브형 유화 물감과 휴대용 이젤이 등장하면서 야외 회화가 널리 실행되기 시작했다.

초기 작품에서는 하늘에 적은 공간을 할애했지만, 조토 등의 프레스코화는 파란 하늘을 보여주었다. 목판화에서는 뒤러 등이 새를 나타내는 구름이나 곡선을 포함시켜 공백을 피했다. 단색 중국 전통은 비단이나 종이에 먹을 사용했으며, 붓놀림을 강조했다. 서양 수채화는 밑그림이 보이는 경우에도 색조가 있는 매체이다.

5. 관련 양식


  • 바다 풍경화는 바다나 해변을 묘사한다.
  • 도시 풍경화는 도시(도시 풍경)를 묘사한다.
  • 하늘 풍경 또는 구름 풍경은 구름, 기상 현상 및 대기 상태를 묘사한다.
  • 달 표면은 달의 풍경을 보여준다.
  • 강 풍경화는 강이나 개울을 묘사한다.
  • 전투 장면은 군사 회화의 한 분야로, 멀리서 전투를 묘사할 때 풍경, 바다 풍경 또는 도시 풍경 속에 배치된다.
  • 경관 조성은 거리와 보도, 대규모 상업 단지와 주택 개발, 산업 지역과 같은 포장된 지역을 말한다.
  • 항공 풍경화는 특히 비행기나 우주선에서 보이는 것처럼 위에서 본 지표면을 묘사한다. (시점이 바로 위를 내려다볼 때는 수평선이나 하늘이 묘사되지 않는다.) 이 장르는 조지아 오키프의 항공 구름 풍경, 낸시 그레이브스의 항공 달 표면, 이본 자켓의 항공 도시 풍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장르와 결합될 수 있다.
  • 내면 풍경은 마음을 3차원 공간으로 보는 정신 분석적 관점을 전달하려는 풍경화 같은 (보통 초현실주의 또는 추상적인) 작품이다. [이 진술에 대한 출처는 내면 풍경(시각 예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베두타는 이탈리아어로 '전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8세기에 흔했던 회화 주제였던, 종종 도시 풍경을 포함한 풍경화에 사용된다.
  • 풍경 사진

6. 갤러리

존 컨스터블, 1821, ''건초 수레''. 낭만주의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 c. 1867, ''Ville d’Avray''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워싱턴 D.C.. 바비존 스쿨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델프트의 전경(1660년경)

참조

[1] 웹사이트 Landscapes, Classical to Modern Curriculum (Education at the Getty) https://www.getty.ed[...] 2023-06-08
[2] 웹사이트 Topographical collections: an overview http://www.bl.uk/res[...] 2010-07-21
[3] 웹사이트 Topographical prints and drawings: glossary of terms http://www.bl.uk/res[...] 2010-07-12
[4] 문서 Landscape
[5] 문서 L'Allegro 1632
[6] 문서 Landscape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서적 undefined
[11] 서적 undefined
[12] 웹사이트 Commons images http://commons.wikim[...] 2012-08-12
[13] 웹사이트 The landscape in Western Painting, Minneapolis Institute of the Arts http://www.artsconne[...] 2010-02-20
[14] 서적 undefined
[15] 서적 undefined
[16] 서적 undefined
[17] 서적 From Van Eyck to Bruegel: Early Netherlandish Painting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9
[18] 문서 undefined
[19] 서적 undefined
[20] 웹사이트 Poussin and The Heroic Landscape http://www.artcyclop[...] 2009-12-17
[21] 서적 undefined
[22] 문서 undefined
[23] 문서 undefined
[24] 문서 undefined
[25] 문서 undefined
[26] 문서 undefined
[27] 문서 Egmond Abbey
[28] 서적 undefined
[29] 서적 undefined
[30] 서적 Modern Painters
[31] 서적 undefined
[32] 서적 undefined
[33] 서적 undefined
[34] 서적 Maksymilian Gierymski i jego czasy (Maksymilian Gierymski and His Times) 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 (National Publishing Institute) 1976
[35] 서적 Malarski żywot Józefa Chełmońskiego (Józef Chełmoński Painter's Life) PIW (National Publishing Institute) 1972
[36] 서적 Stanisław Masłowski – Materiały do życiorysu i twórczości Wrocław 1957
[37] 서적 The Prado Museum: [collection of paintings] Fonds Mercator 1996
[38] 서적 Spanish literature. Current debates on Hispanism Garland Pub 2001
[39] 서적 Spain beyond Spain: modernity, literary history, and national identity Bucknell University Press 2005
[40] 서적 Frederic Edwin Church https://www.nga.gov/[...] National Gallery of Art
[41] 웹사이트 Landscapes http://www.collectio[...] 2016-03-12
[42] 뉴스 'River of Wisdom' is Hong Kong's hottest ticket https://blogs.wsj.co[...] 2010-11-02
[43] 문서 Sickman
[44] 문서 Sickman
[45] 문서 Sickman
[46] 문서 Watson
[47] 문서 Sickman
[48] 문서 Sickman
[49] 문서 Sickman
[50] 문서 Sickman
[51] 웹사이트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Xiao-Xiang ba jing) http://etcweb.prince[...] 2011-07-02
[52]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53] 문서 Liu
[54] 문서 Sickman
[55] 문서 Paine
[56] 문서 Paine
[57] 문서 Paine
[58] 문서 Paine
[59] 문서 Pierce
[60] 문서 Watson
[61] 문서 Clark
[62] 뉴스 The art of Colorado's landscape http://www.denverpos[...] 2007-08-09
[63] 문서 Clark
[64] 웹사이트 Landscape: 20th Century American Art https://www.amazon.c[...]
[65] 문서 風景の思想とモラル―近代画家論・風景編
[66] 문서 クラーク『風景画論』序文
[67] 문서 チャーチはアメリカのハドソン・リバー派
[68] 문서 ロマン派の大げさな理想的風景画以前の平和な田園風景
[69] 서적 西洋美術史入門 筑摩書房 2012
[70]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Landscape" Oxford English Dictionary 1598
[71] 서적 Honour & Fleming (출판사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