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처드 데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데니스는 1949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미국의 상품 거래인으로, 17세에 시카고 선물 시장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그는 윌리엄 에크하르트와의 논쟁에서 성공적인 거래를 가르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터틀'이라는 23명의 트레이더를 훈련시켜 단 2주 만에 추세 추종 시스템을 가르쳤고, 이들은 5년 만에 1억 7,5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데니스는 1980년대 후반 고객 자금 관리에서 손실을 겪었고, 이후 여러 차례 자금 관리 시도했으나 2000년에 종료했다. 그는 현재 Dennis Trading Group Inc.의 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생애

리처드 데니스는 1949년 1월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그는 17세의 어린 나이에 시카고 선물 시장에서 밀 거래를 시작했으며, 1970년대 초반 가족에게 빌린 16000USD를 종잣돈 삼아 불과 10년 만에 약 2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폴 대학교를 졸업한 후 툴레인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했으나, 학업을 중단하고 선물 트레이더로서의 길을 걸었다. 그는 뛰어난 거래 실력으로 1974년, 25세의 나이에 이미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성공 가도만 걸었던 것은 아니어서, 1987년 블랙 먼데이 주가 대폭락 당시에는 큰 손실을 입고 몇 년 동안 거래를 중단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리처드 데니스는 1949년 1월 시카고에서 태어났다.[1] 그는 17세에 시카고 선물 시장에서 밀 거래를 시작했으며, 1970년대 초반에는 가족에게서 16000USD를 빌려 약 10년 만에 2억달러 상당의 자산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데니스는 17세에 시카고 상품 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주문 중개인으로 경력을 시작했다.[1][4] 이후 초보자들이 주로 거래하는 미드아메리카 상품 거래소에서 자신의 계좌로 직접 거래를 시작했다. 당시 거래소 규정상 만 21세 이상만 거래가 가능했기 때문에, 데니스는 아버지를 고용하여 자신을 대신해 현장에서 거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피했다.[1]

디폴 대학교(DePaul University)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툴레인 대학교(Tulane University) 대학원에서 철학 석사 과정을 위한 장학금을 받았으나, 거래에 집중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했다.[1] 그는 가족에게서 1600USD를 빌렸는데, 이 중 1200USD는 미드아메리카 상품 거래소 회원권을 사는 데 사용했고, 남은 400USD를 초기 거래 자본금으로 삼았다.[1]

1970년까지 이 400USD는 3000USD로 불어났고, 데니스는 이를 "진정한 종잣돈"이라고 표현했다.[1] 1973년에는 그의 자본금이 10만달러를 넘어섰다. 1974년에는 대두 거래에서 큰 성공을 거두어 5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고, 그해 말 26세가 되기 전에 백만장자가 되었다.[1]

데니스는 1970년대의 반복적인 작황 부진과 1972년 소련이 미국 밀 작물의 상당량을 비밀리에 구매했던 '대 러시아 곡물 강탈' 사건 등으로 변동성이 커진 시장 환경 속에서 기회를 잡았다.[1][4] 당시의 인플레이션 상황과 맞물려 시장이 상승 추세를 보이자, 그는 새로운 주간 및 월간 최고가를 경신할 때마다 매수하는 추세 추종 전략을 구사하여 큰 수익을 올렸다.[1][4] 이는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따라 빠르게 매매하는 스캘핑 위주의 현장 거래인들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데니스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포지션을 유지하며 단기 변동성을 견뎌냈고, 종종 피라미딩 기법을 사용해 수익을 극대화했다.[1] 1970년대 후반에는 더 큰 규모의 거래를 위해 시카고 상품 거래소(Chicago Board of Trade)의 정회원 자격을 취득하고 자신의 사무실을 열었다.[1]

데니스는 성공적인 거래 기법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가르칠 수 있다고 믿었다.[1][4] 이러한 그의 생각은 동료 거래인이자 친구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의 오랜 논쟁거리였다.[1] 이 논쟁을 실증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데니스는 1983년 12월부터 '터틀'(Turtles)이라고 불리는 그룹(남성 21명, 여성 2명[5])을 모집하여 자신의 거래 시스템을 가르치는 실험을 시작했다.[1][5]

2. 2. 투자 철학

리처드 데니스의 투자 철학은 추세 추종 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대표적으로 돈치안 브레이크를 활용한 20일 및 55일 브레이크아웃 기법에 자금 관리 원칙을 더한 방식이다.

그러나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추세 추종 기법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에서는 현대 시장 환경에서는 이 기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보기도 한다. 실제로 데니스 자신도 과거 투자 중단 시기에 약 50%에 달하는 드로우다운을 겪기도 했다.

반면, 추세 추종 기법은 수익률의 변동성이 존재할 뿐, 그 유효성 자체는 변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 세계적인 헤지 펀드인 만 그룹(Man Group)이나 윈턴 캐피털(Winton Capital) 등이 여전히 추세 추종 전략을 통해 상당한 수익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된다.

3. 터틀 트레이더

리처드 데니스는 학창 시절 친구이자 동업자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 성공적인 트레이더는 타고나는 것인지, 아니면 교육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데니스는 후자의 입장을 증명하기 위해, 1983년1984년에 걸쳐 투자 경험이 없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모집하여 '터틀(Turtles)'이라는 이름으로 직접 교육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터틀'이라는 이름은 데니스가 동남아시아 여행 중 본 거북이 양식장에서, 트레이더를 마치 거북이처럼 '양식'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13]

데니스는 터틀들에게 단 2주 동안 비교적 간단한 추세추종전략과 자금 관리 기법을 가르치고, 자신의 자금을 투자하여 실제 거래를 하도록 했다. 놀랍게도 터틀들은 몇 년 만에 엄청난 수익률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데니스의 주장대로 트레이딩 기술이 후천적인 학습과 훈련을 통해 충분히 습득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13][9] 이 실험과 그 결과는 월 스트리트 저널 등 주요 언론에 소개되며 큰 화제를 모았고, 특히 1980년대 주식선물 시장에 참여한 많은 투자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3][14] 터틀 프로그램의 성공 사례와 그들이 사용한 기법은 이후 여러 책을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3. 1. 터틀 트레이딩의 기원

리처드 데니스는 학창 시절 친구이자 오랜 동업자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 "성공적인 트레이더는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에크하르트는 뛰어난 트레이더는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데니스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누구나 성공적인 트레이더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데니스는 마치 거북이를 양식장에서 키우듯 트레이더를 육성하는 실험을 기획했다.[13]

데니스는 1983년 12월과 1984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월 스트리트 저널』에 광고를 내고 투자 경험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트레이더를 모집했다. 지원자들은 심리 및 성격 테스트만을 거쳐 선발되었으며, 컴퓨터 프로그래머, 농부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21명의 남성과 2명의 여성이 최종 선발되었다.[5] 이들은 '터틀(Turtles)'이라 불렸는데, 이는 데니스가 동남아시아 여행 중 방문했던 거북이 양식장에서 영감을 얻어 트레이더를 '양식'한다는 개념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데니스는 터틀들에게 단 2주 동안 상품, 통화, 채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추세 추종 시스템을 가르쳤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가격이 최근 범위를 넘어 상승하면 매수하고, 최근 범위 아래로 떨어지면 매도하는 것이었다. 또한 손실 기간에는 포지션 규모를 줄이고, 수익이 날 때는 공격적으로 포지션을 늘려나가는(피라미드화) 방법을 배웠다. 단, 한 번에 총 자본의 24% 이상을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관리했다. 데니스는 터틀들이 실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자신의 개인 자금 3000만달러을 투자 자금으로 제공했다.[13]

1984년 1월, 2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을 마친 터틀들은 데니스로부터 거래 계좌를 받아 실제 트레이딩을 시작했다. 초기 1개월 동안은 시장당 최대 12계약까지만 거래할 수 있었고, 이 시험 기간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터틀들에게는 데니스의 개인 자금으로 25만달러에서 200만달러에 이르는 계좌가 할당되어 관리하게 되었다.

5년간의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터틀들은 평균 18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데니스가 제공한 초기 자금을 약 5억달러으로 불렸고, 총 1.75억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9][13] 이 실험은 데니스의 주장대로 성공적인 트레이더는 후천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육성될 수 있다는 결론을 뒷받침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터틀 프로그램 특집 기사에서 "터틀 중에 가장 성공한 인물이 바로 커티스 페이스다. 당시 열아홉 살의 최연소자로 터틀 프로그램에 입문했던 페이스는 데니스에게 3150만달러라는 어마어마한 수익금을 안겨주었다"고 보도하며 이들의 성공을 조명했다.[14] 터틀 트레이딩 기법은 1980년대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13]

'''모집된 터틀 중 일부:'''[6][7][8]

이름비고
스티그 오스트가드
엘리자베스 슈발EMC 공동 창립 추정
루시 와이엇 매티넨
마이클 카발로
R. 제리 파커체사피크 캐피탈(Chesapeake Capital) 설립
러셀 J. 샌즈
폴 라바라바 마켓 리서치(Rabar Market Research) 설립
필립 루
크레이그 소더퀴스트
제임스 디마리아JPD 엔터프라이즈(JPD Enterprises, Inc.) 설립
브라이언 프로크터
하워드 시들러혹스빌 캐피탈 매니지먼트(Hawksbill Capital Management) 설립
마이클 섀넌
톰 섕스삭손 투자 회사(Saxon Investment Corporation) 공동 설립 추정
제프 고든
마이클 카
지리 ‘조지’ 스보보다
커티스 페이스최연소 참가자, 최고 수익 기록



실험 종료 후, 터틀들에게 가르쳐진 정확한 시스템은 최소 두 권의 책을 통해 공개되었다. 공개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백테스트 결과, 1986년 이후에는 성과가 점차 감소하여 1996년부터 2009년까지는 큰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하지만 제리 파커, 리즈 슈발, 폴 라바, 톰 섕스, 하워드 시들러, 짐 디마리아 등 많은 터틀 출신들은 터틀 프로그램에서 배운 원칙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장 변화에 적응하며 성공적인 상품 거래 관리자(CTA)로서 경력을 이어갔다.

3. 2. 터틀 트레이더 모집 및 교육

리처드 데니스는 학창 시절 친구이자 오랜 동업자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 '훌륭한 트레이더는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에크하르트는 전자의 입장이었지만, 데니스는 제대로 가르치기만 하면 자신과 같은 성공적인 트레이더를 키워낼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데니스는 직접 트레이더를 모집하고 교육하는 실험을 기획했다.[13] 데니스는 동남아시아 여행 중 본 거북이 양식장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트레이더를 거북이처럼 키워낼 수 있다는 생각에 이 실험 참가자들을 '터틀(Turtles)'이라고 불렀다.

데니스는 1983년1984년 두 차례에 걸쳐 『월스트리트저널』에 광고를 내어 터틀을 모집했다. 지원자들에게는 심리 및 성격 테스트만을 거쳤으며, 주식이나 선물 투자 경험이 없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농부 등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선발되었다.[13] 최종적으로 21명의 남성과 2명의 여성, 총 23명이 터틀로 선발되었다.[5] 데니스는 이들에게 단 2주 동안 상품, 통화, 채권 시장에서 사용할 간단한 추세 추종 시스템을 가르쳤다. 이 시스템은 가격이 최근 범위를 넘어서 상승하면 매수하고, 최근 범위 아래로 떨어지면 매도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손실 기간에는 포지션 규모를 줄이고, 수익이 날 때는 공격적으로 피라미딩 전략을 사용하도록 교육받았다.[13] 교육을 마친 터틀들에게는 데니스가 제공한 초기 투자금(개인당 2.5만달러에서 200만달러까지 다양)으로 실제 거래를 시작하게 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터틀들은 몇 년 만에 평균 1874%라는 놀라운 수익률을 기록하며 데니스가 제공한 초기 자금 3000만달러를 5억달러로 불렸다.[13] 5년간의 실험 기간 동안 터틀들이 올린 총 수익은 1.75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9] 이 터틀 트레이딩 기법은 1980년대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13]

월스트리트저널은 터틀 프로그램 특집 기사에서 "터틀 중에 가장 성공한 인물은 커티스 페이스다. 당시 19세 최연소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페이스는 데니스에게 3150만달러라는 막대한 수익을 안겨주었다"고 보도했다.[14]

아래는 모집된 터틀 중 일부의 명단이다.[6][7][8]

이름비고
스티그 오스트가드
엘리자베스 슈발EMC 공동 창립
루시 와이엇 매티넨
마이클 카발로
R. 제리 파커체사피크 캐피탈 창립자
러셀 J. 샌즈
폴 라바라바 마켓 리서치(Rabar Market Research) 창립자
필립 루
크레이그 소더퀴스트
제임스 디마리아JPD 엔터프라이즈(JPD Enterprises, Inc.) 창립자
브라이언 프로크터
하워드 시들러삭손 투자 회사(Saxon Investment Corporation) 창립자
마이클 섀넌
톰 섕스혹스빌 캐피탈 매니지먼트(Hawksbill Capital Management) 창립자
제프 고든
마이클 카
지리 ‘조지’ 스보보다
커티스 페이스터틀 중 가장 높은 수익 기록



데니스가 터틀들에게 가르친 정확한 시스템은 이후 최소 두 권의 책을 통해 공개되었다. 공개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백테스팅 결과, 1986년 이후 해당 시스템의 성과는 점차 감소했으며, 1996년부터 2009년까지는 거의 수익을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10] 그러나 제리 파커, 리즈 슈발, 폴 라바, 톰 섕스, 하워드 시들러, 짐 디마리아 등 많은 터틀들은 원래 시스템을 응용하거나 발전시킨 기법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상품 거래 관리자로서 경력을 이어갔다. 이는 데니스의 주장대로 '훌륭한 트레이더는 교육을 통해 육성될 수 있다'는 결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3. 3. 터틀 트레이딩의 원칙

리처드 데니스는 학창 시절 친구이자 오랜 동업자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 "우수한 트레이더를 육성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에크하르트는 데니스와 같은 뛰어난 펀드 매니저는 타고나는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데니스는 제대로 가르치기만 하면 누구나 성공적인 트레이더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논쟁을 증명하기 위해 데니스는 마치 거북이를 양식장에서 키우듯 투자자를 키워낼 수 있는지 실험하기로 했다. '터틀'이라는 이름은 데니스가 동남아시아 여행 중 본 거북이 양식장에서 영감을 얻어 붙여졌다.

데니스는 1983년1984년 두 차례에 걸쳐 『월 스트리트 저널』에 광고를 내고 지원자를 모집했다. 그는 심리 및 성격 테스트만을 거쳐 컴퓨터 프로그래머, 농부 등 주식 투자 경험이 거의 없는 다양한 배경의 초기 13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23명의 제자를 선발했다. 이들에게는 실험 종료 후 5년간 배운 투자 기법을 외부에 발설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었다. 데니스는 자신의 자금 3000만달러를 이들에게 투자 자금으로 제공하고, 단 2주 동안 간단한 추세추종전략을 가르쳤다.

'터틀스(Turtles)'라고 불린 이 제자들은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몇 년 만에 평균 18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초기 자금 3000만달러를 5억달러으로 불렸다.[13] 이를 통해 데니스는 '우수한 트레이더는 육성될 수 있다'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했다. 이 터틀 트레이딩 기법은 1980년대 주식 시장에 참여한 일반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3]

월스트리트저널은 터틀 프로그램 특집 기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인물로 커티스 페이스를 꼽았다. 당시 19세로 최연소 참가자였던 페이스는 데니스에게 3150만달러에 달하는 수익을 안겨주었다고 보도했다.[14]

터틀 트레이딩의 핵심 원칙은 추세추종전략을 기반으로 한 돈치안 채널 브레이크아웃 기법(주로 20일 및 55일 이동평균선 돌파)과 체계적인 자금 관리를 결합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기법의 유효성에 대한 논란이 생겨났다. 인터넷 보급 이후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단순한 추세 추종 기법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실제로 데니스 자신도 한때 투자 자금의 50%에 가까운 손실(드로우다운)을 겪고 잠시 트레이딩을 중단하기도 했다. 반면, 추세 추종 기법은 수익률에 변동이 있을 뿐 여전히 유효하며, 만 그룹(Man Group)이나 윈턴 캐피털(Winton Capital)과 같은 세계적인 헤지 펀드들이 이 전략을 통해 여전히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3. 4. 터틀 트레이더의 성과

리처드 데니스는 학창 시절 친구이자 오랜 동업자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 성공적인 트레이더는 타고나는 것인지, 아니면 후천적인 교육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에크하르트는 뛰어난 트레이더에게는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지만, 데니스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자신과 같은 성공적인 트레이더를 육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논쟁을 증명하기 위해 데니스는 '터틀(Turtle)'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실험을 기획했다.[13]

데니스는 1983년과 1984년 두 차례에 걸쳐 지원자들을 모집했다. 지원자들은 주식이나 선물 거래 경험이 거의 없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컴퓨터 프로그래머, 농부 등)이었으며, 오직 심리 및 성격 테스트만을 통해 선발되었다.[13] 처음 1983년 12월 그룹에는 13명이 선발되었고,[13] 이후 1984년 12월 그룹을 포함하여 총 21명의 남성과 2명의 여성이 터틀 프로그램에 참여했다.[5] 데니스는 이들에게 단 2주 동안 상품, 통화, 채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추세 추종 시스템을 가르쳤다. 이 시스템은 가격이 최근의 특정 범위를 돌파할 때 매수하고, 반대로 하락 돌파할 때 매도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손실이 발생할 때는 포지션 규모를 줄이고, 이익이 날 때는 공격적으로 포지션을 늘리는(피라미딩) 자금 관리 기법도 교육했다. 총 자본의 24% 이상을 한 번에 노출하지 않도록 제한했다.[5]

데니스는 터틀들에게 자신의 개인 자금 3000만달러을 초기 투자금으로 제공했으며,[13] 훈련을 마치고 1개월의 시험 거래 기간을 거친 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이행한 사람들에게는 데니스의 개인 자금으로 25만달러에서 200만달러에 이르는 거래 계좌를 운용하도록 맡겼다.

터틀들은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몇 년 만에 평균 18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초기 자금 3000만달러을 5억달러으로 불렸다고 하며,[13] 5년간의 실험 기간 동안 터틀들이 총 1.75억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9] 월스트리트저널은 터틀 프로그램 특집 기사에서 당시 19세 최연소 참가자였던 커티스 페이스가 데니스에게 3150만달러의 수익을 안겨주며 가장 성공적인 터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고 보도했다.[14] 이 터틀 트레이딩 기법은 1980년대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높은 신뢰를 얻었다.[13]

'''터틀 프로그램 참가자 일부'''[6][7][8]
이름
스티그 오스트가드
엘리자베스 슈발
루시 와이엇 매티넨
마이클 카발로
R. 제리 파커
러셀 J. 샌즈
폴 라바
필립 루
크레이그 소더퀴스트
제임스 디마리아
브라이언 프로크터
하워드 시들러
마이클 섀넌
톰 섕스
제프 고든
마이클 카
지리 ‘조지’ 스보보다
커티스 페이스



데니스가 터틀들에게 가르친 정확한 시스템은 이후 여러 책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백테스팅 결과 1986년 이후에는 성과가 점차 감소하여 1996년부터 2009년까지는 큰 수익을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10] 하지만 제리 파커(체사피크 캐피탈), 리즈 슈발(EMC), 폴 라바(라바 마켓 리서치), 톰 섕스(혹스빌 캐피탈 매니지먼트), 하워드 시들러(삭손 투자 회사), 짐 디마리아(JPD 엔터프라이즈) 등 많은 터틀 출신들은 터틀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기법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상품 거래 관리자(CTA)로서 경력을 이어갔다.

추세 추종 기법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현재에도 논쟁이 있다. 인터넷 보급 이후 시장 변동성이 복잡해지면서 과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의견과, 수익성에 변동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유효성은 변함없다는 의견이 공존한다. 실제로 만 그룹(Man Group)이나 윈턴 캐피털(Winton Capital)과 같은 세계적인 헤지펀드들은 여전히 추세 추종 전략을 중요한 운용 방식으로 채택하여 상당한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3. 5. 주요 터틀 트레이더

리처드 데니스는 성공적인 트레이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신념을 증명하기 위해 그는 친구이자 동료 트레이더인 윌리엄 에크하르트와의 내기 끝에 '터틀 트레이딩' 실험을 시작했다. 에크하르트는 뛰어난 트레이딩 능력이 선천적이라고 주장했지만, 데니스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누구나 성공적인 트레이더가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데니스는 1983년 12월과 1984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총 21명의 남성과 2명의 여성[5]을 '터틀(Turtles)'이라는 이름으로 모집했다. 이들은 주식이나 선물 투자 경험이 거의 없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로, 심리 및 성격 테스트만을 거쳐 선발되었다. 터틀들은 단 2주 동안 데니스가 개발한 간단한 추세 추종 시스템 교육을 받았다. 교육 내용은 상품, 통화, 채권 시장에서 가격이 최근 범위를 돌파할 때 매수하고, 하락 돌파할 때 매도하는 전략, 손실 시 포지션 축소 및 이익 시 공격적인 피라미드식 투자 방법 등을 포함했다. 데니스는 자신의 자금 3000만달러[13] 터틀들에게 제공하여 실제 거래를 하도록 지원했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몇 년 만에 터틀들은 평균 18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데니스가 제공한 초기 자금을 5억달러으로 불렸다.[13] 이는 트레이딩 기술이 교육을 통해 습득될 수 있다는 데니스의 주장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결과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실험을 특집 기사로 다루며, 특히 당시 19세로 최연소 참가자였던 커티스 페이스가 데니스에게 3150만달러라는 막대한 수익을 안겨주었다고 보도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14]

5년간의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 터틀들은 총 1.75억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집계되었다.[9] 데니스가 터틀들에게 가르친 정확한 시스템은 이후 여러 책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백테스트 결과 1986년 이후에는 시스템의 성과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0] 하지만 많은 터틀들은 이 실험을 통해 얻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트레이딩 경력을 성공적으로 구축해 나갔다.

다음은 터틀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주요 인물들의 명단이다.[6][7][8]

이름비고
스티그 오스트가드
엘리자베스 슈발이후 상품 거래 관리자로 활동, EMC 창립[10]
루시 와이엇 매티넨
마이클 카발로
R. 제리 파커이후 체사피크 캐피탈(Chesapeake Capital) 창립[10]
러셀 J. 샌즈
폴 라바이후 라바 마켓 리서치(Laba Market Research) 창립[10]
필립 루
크레이그 소더퀴스트
제임스 디마리아이후 JPD 엔터프라이즈(JPD Enterprises, Inc.) 창립[10]
브라이언 프로크터
하워드 시들러이후 삭손 투자 회사(Saxon Investment Corporation)에서 활동[10]
마이클 섀넌
톰 섕스이후 혹스빌 캐피탈 매니지먼트(Hawksbill Capital Management) 창립[10]
제프 고든
마이클 카
지리 ‘조지’ 스보보다
커티스 페이스최연소 참가자, 가장 큰 수익 기록[14]


4. 터틀 트레이딩 이후

데니스가 진행한 터틀 트레이딩 실험은 5년 후 종료되었을 때, 참가자들이 총 1.75억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9] 데니스가 터틀들에게 가르쳤던 정확한 시스템은 이후 최소 두 권의 책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성과 검증(백테스팅)이 가능해졌다. 백테스팅 결과, 해당 시스템의 성과는 1986년 이후 급격히 감소했으며, 1996년부터 2009년까지는 거의 수익을 내지 못하는 평탄한 성과를 보였다.[10]

하지만 터틀 프로그램 참가자 중 다수는 터틀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기법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상품 거래 관리자로서 경력을 시작하고 이어갔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체사피크 캐피탈(Chesapeake Capital)의 제리 파커, EMC의 리즈 슈발, 라바 마켓 리서치(Rabar Market Research)의 폴 라바, 혹스빌 캐피탈 매니지먼트(Hawksbill Capital Management)의 톰 섕스, 삭손 투자 회사(Saxon Investment Corporation)의 하워드 시들러, JPD 엔터프라이즈(JPD Enterprises, Inc.)의 짐 디마리아 등이 있다.

데니스가 활용했던 추세 추종 기법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현재에도 논쟁이 있다. 인터넷 보급 이후 시장 변동성이 복잡해지면서 추세 추종 기법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수익성에 변동은 있을지언정 기법 자체의 유효성은 변함없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실제로 맨 그룹(Man Group)이나 윈턴 캐피털 매니지먼트(Winton Capital Management)와 같은 세계적인 헤지 펀드들은 여전히 추세 추종 전략을 사용하여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4. 1. 투자 실패와 은퇴

데니스는 한동안 시장에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본을 관리했지만, 고객들이 큰 손실을 입은 후 1988년 봄에 그러한 관리를 철회했다. 블랙 먼데이 주식 시장 붕괴 (1987년) 당시 그는 1000만달러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으며,[11]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총 5000만달러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2]

1990년에 그의 회사는 자신의 규칙을 따르지 못한 것에 대한 투자자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250만달러 이상을 지불했으며, 어떠한 잘못도 인정하거나 부인하지 않았다.[12] 그는 또한 1990년대 중반과 후반에 한동안 자금을 관리했으며, 2000년 여름 손실을 본 후 이러한 운영을 종료했다.

이후 그는 Dennis Trading Group Inc.의 사장이자 C&D Commodities의 부회장이며, 마약 정책 연합(Drug Policy Alliance)의 자문 위원회 전 의장이자, 케토 연구소(Cato Institute) 이사회의 구성원이며, 리즌 재단(Reason Foundation)의 이사이다.

4. 2. 사회 활동

그는 Dennis Trading Group Inc.의 사장이자 C&D Commodities의 부회장이다. 또한, 마약 정책 연합(Drug Policy Alliance)의 자문 위원회 전 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케토 연구소(Cato Institute) 이사회 구성원이자 리즌 재단(Reason Foundation)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5. 평가 및 영향

리처드 데니스는 추세 추종 전략을 활용하여 큰 성공을 거둔 선물 트레이더로 평가받는다. 그는 평범한 사람도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성공적인 트레이더가 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유명한 '터틀 트레이딩' 실험을 진행했다. 이 실험은 큰 성공을 거두며 금융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그의 투자 철학과 기법은 이후 많은 시스템 트레이더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그의 핵심 전략인 추세 추종 기법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5. 1. 비판적 평가

리처드 데니스의 주요 투자 기법은 추세 추종 전략으로, 돈치안 브레이크로 대표되는 20일·55일 브레이크아웃 기법에 자금 관리 원칙을 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 보급 이후 시장 변동성이 복잡해지면서, 이러한 추세 추종 기법이 현대 시장에서도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추세 추종 기법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데니스 자신도 투자 경력 중 한때 자산 가치가 50% 가까이 하락하는 큰 손실(드로우다운)을 경험하고 자금을 회수하여 거래를 중단했던 시기가 있었다.

반면, 추세 추종 기법은 단지 수익성에 주기가 있을 뿐이며, 그 기본적인 유효성은 변하지 않았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세계적인 헤지 펀드인 만 그룹이나 윈턴 캐피털 등 다수의 유명 투자 회사들이 여전히 추세 추종 전략을 핵심적으로 운용하며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점이 제시된다.

6. 관련 저작물


  • 『시장의 마법사』: 리처드 데니스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 (2001년 8월 1일, 팬롤링, ISBN 978-4939103407)
  • 『터틀의 비밀』: 저자 러셀 선즈는 이 책을 쓴 이유로 터틀 그룹에서 파문되었다는 소문과 함께 출간되었다. 다만, 이 책에 터틀의 모든 기법이 설명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1999년 1월 1일, 팬롤링, ISBN 978-4939103186)
  • 『전설의 트레이더 집단 터틀류 투자의 마술』: 터틀 그룹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진 커티스 페이스가 저술한 책이다. 터틀의 투자 기법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정리되어 있다. (2007년 10월 17일, 도쿠마 쇼텐, ISBN 978-4198624262)
  • 『더 터틀』: 제3자인 마이클 코벨이 저술한 책이다. 리처드 데니스의 삶의 절반과 터틀즈 결성 전후, 그리고 그 이후 터틀즈 멤버들의 이야기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터틀즈 멤버들이 직접 쓴 책에서는 밝혀지지 않았던 그룹의 전체적인 모습이 객관적으로 그려져 있다. 철저한 조사, 취재, 인터뷰를 바탕으로 터틀의 투자 기법을 다룬 교과서로서도 손색이 없는 책이다. (2009년 2월 11일, 닛케이BP, ISBN 978-4822246303)
  • 『전설의 트레이더 집단 터틀즈의 전모』: 『더 터틀』의 복각판이다. 미국 페이퍼백판 출간 시 새로 추가된 '저자 후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 후기는 뒷이야기 성격이지만, 터틀즈의 트레이딩 기법과 인간적인 면모를 더욱 깊이 있게 보여주는 객관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2019년 3월 26일, FPO, ISBN 978-4909074027)

7. 관련 항목


  • 시스템 트레이딩

참조

[1] 뉴스 Prince of the P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976-04-25
[2] 뉴스 Special Report: The Crash, One Year Later http://www.time.com/[...] Time 1988-10-17
[3] 뉴스 Wealthy Ally for Dissidents in the Drug War https://query.nytime[...] 1996-09-11
[4] 뉴스 The End of Foo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9-07-15
[5] article Turtle Article – background http://www.comparesh[...]
[6] PDF https://www.turtletr[...] 2022-03
[7] 웹사이트 The Turtle Trading Mythology Exposed – the Original TurtleTrader https://www.turtletr[...]
[8] 웹사이트 Michael Shannon a Turtle Trained by Richard Dennis – the Original TurtleTrader https://www.turtletr[...]
[9] article Turtle Trading – A Market Legend http://www.investope[...]
[10] 웹사이트 Were the Turtles just lucky? http://www.automated[...]
[11] 뉴스 MARKET TURMOIL; Trader's Survival Lessons https://select.nytim[...] 2007-02-05
[12] 뉴스 Judge Approves Dennis Pact https://query.nytime[...] 2007-02-05
[13] 뉴스 "[숨은 투자의 거장들]리처드 데니스, '터틀즈(turttles) 시스템' 창시자" 아시아경제 2010-08-20
[14] 뉴스 터틀 기법을 우리 시장에 적용하여 수익 내는 트레이더가 되는 길 머니투데이 2010-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