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부는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작물 재배, 가축 사육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농업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와 수메르 문명에서 관개 농업과 축산이 발달했다. 현대에는 농업 기술 발전으로 한 명의 농부가 더 많은 사람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농부의 유형은 가축의 종류, 생산 방식, 소유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농업 관련 단체들은 농부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농업 발전을 위해 활동한다. 농업은 위험한 산업으로, 농부들은 다양한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으며, 쟁기, 트랙터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농업 활동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관련 직업 - 가우초
    가우초는 라플라타 강 유역 팜파스 지역의 유목 기마민족으로,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며 민족주의적 상징이 되었으나 유럽 이민과 팜파 지역 변화로 전통 문화가 쇠퇴했다.
  • 농업 관련 직업 - 축산물품질평가사
    축산물품질평가사는 축산물품질평가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며, 축산물등급판정사에서 명칭이 변경되었고, 필기 및 면접 시험을 통해 최종 합격자를 결정한다.
  • 농부 - 이새
    이새는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다윗 왕의 아버지로, 유다 지파 베들레헴 출신의 농부이자 사육사이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인물이다.
  • 농부 - 아모스 (예언자)
    기원전 8세기 북이스라엘의 예언자 아모스는 양치기이자 돌무화과 농부로서, 사회 정의 실현과 도덕적 회복을 촉구하며 이스라엘의 죄악을 비판했고 그의 메시지는 아모스서에 기록되어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기념된다.
농부
직업 정보
직업 이름농부
영문 이름Farmer
설명식량 또는 원자재를 위해 살아있는 유기체를 키우는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활동 분야농업
관련 직업목장주 (미국)
목장주 (호주) 또는 축산업자
농촌 사회
관련 정보농촌 지역
농촌 경제농촌 경제
농촌 경제 - 공예공예
인도
농촌 경제 - 개발개발
농촌 경제 - 서비스택배 서비스
농촌 경제 - 전기화전기화
농촌 경제 - 인터넷인터넷
농촌 경제 - 건강건강
농촌 경제 - 주택주택
농촌 경제 - 빈곤빈곤
농촌 경제 - 빈곤 - 보호구역보호구역
농촌 경제 - 빈곤 - 게토게토
농촌 사람사람
농촌 사람 - 농부농부
농촌 사람 - 농부 - 가족가족 농부
농촌 사람 - 농부 - 농업 노동자농업 노동자
농촌 사람 - 농부 - 소작농소작농
농촌 사람 - 원주민원주민
농촌 사람 - 유목민유목민
농촌 사람 - 유목민 - 목동목동
농촌 사람 - 소작인소작인
농촌 사람 - 소규모 자작농소규모 자작농
농촌 사람 - 여성여성
농촌 사람 - 여성 - 농업농업의 성 역할
농촌 사회사회
농촌 사회 - 농업 사회농업
농촌 사회 - 국가국가
농촌 사회 - 다양성다양성
농촌 사회 - 이주이주
농촌 사회 - 관광관광
농촌 사회 - 관광 - 농업농업
농촌 사회 - 공동체 유형공동체 유형
농촌 사회 - 농촌성농촌성
농촌 사회 - 국가별국가별
농촌 사회 - 국가별 - 캐나다캐나다
농촌 사회 - 국가별 - 중국중국
농촌 사회 - 국가별 - 라오스라오스
농촌 사회 - 국가별 - 미국미국
농촌 역사역사
농촌 역사 - 농업농업
농촌 역사 - 지역지역
농촌 역사 - 미국미국의 농촌 역사
정치정치
정치 - 농본주의농본주의
정치 - 농본주의 - 사회주의사회주의
정치 - 유목민 갈등유목민 갈등
정치 - 의회비공식 의회
정치 - 농민 운동농민 운동
정치 - 농민 운동 - 비아 캄페시나비아 캄페시나
정치 - 농민 권리 선언유엔 농민 권리 선언

2. 역사

농업은 신석기 시대에 시작되어 인류가 수렵 채집 생활에서 벗어나 정착하고 인구가 증가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오랜 역사 동안 대부분의 인류는 농업에 종사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산업화와 농업 기계화로 인해 농업 종사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농업 경영은 플랜테이션이나 구 사회주의 국가의 집단 농장과 같은 예외도 있지만, 세계적으로 가족 단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2019년에 "가족 농업의 10년"을 선포하기도 했다.[18]

선진국에서는 노동력 인구의 극히 일부만이 농업에 종사하며 다른 사람들을 위한 식량을 생산하고 있다.

2. 1. 고대 농업

농업은 신석기 시대의 특징 중 하나였다.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5000년에서 4000년 사이에 농업에 분업화된 노동력을 갖추었고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관개에 크게 의존했다. 그들은 봄에 수확할 때 3인 1조 팀에 의존했다.[5] 고대 이집트 농부들은 나일강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었다.[6]

축산은 농업 목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으로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다. 는 약 15,000년 전에 동아시아에서 가축화되었다. 염소은 기원전 8000년경 아시아에서 가축화되었다. 돼지는 기원전 7000년경 중동중국에서 가축화되었다. 가축화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4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2. 2. 기술 발전

아프가니스탄 농부들이 온실에 대해 배우고 있다


1930년대 미국에서는 농부 한 명이 다른 소비자 3명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었다. 현대 농부는 100명 이상의 사람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을 생산한다. 그러나 일부 저자는 이러한 추정이 잘못되었다고 보는데, 농업에는 추가 노동자가 제공해야 하는 에너지 및 기타 많은 자원이 필요하므로 농부가 먹이는 사람의 비율이 실제로는 100:1보다 적기 때문이다.[8]

일본에서는 농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일본 농림수산성의 용어 해설).[24]

# 경영 경지 면적이 10a(1000m2) 이상의 농업을 영위하는 세대.

# 경영 경지 면적이 10a 미만일 경우, 연간 농산물 판매 금액이 15만 이상인 세대.

농가 수[25]
연도판매 농가 (천 호)자급적 농가 (천 호)총 농가 (천 호)농가 세대원 수 (천 명)기조적 농업 종사자 (천 명)
1985년3,3159144,22919,3003,465[26]
1990년2,9718643,83517,3002,927
1995년2,6517923,44415,0802,560
2000년2,3377833,12010,4702,400
2005년1,9638852,8488,3702,241
2010년1,6318972,5286,5002,051
2015년1,3308252,1554,8801,757
2020년1,0287191,7473,490[27]1,363


3. 농업의 유형

농업은 작물 재배와 가축 사육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 염소, 과 같은 가축을 기르는 목장주(Rancher영어)나 방목업자(Grazier영어)가 있으며, 양, 염소, 소를 기르는 농부는 각각 양치기, 염소치기, 소몰이꾼이라고 불린다.[9]

농가는 농업(농경)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 또는 그 가구·공동체를 말한다. 농가가 재배하는 식물을 농산물(또는 농작물)이라고 한다. 수렵 채집민이었던 인류가 농경을 발명하면서 농가가 탄생하였고,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현대에는 산업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농업이 기계화되어 농가 수가 줄어들고 있다.

농업을 경영하는 주체는 개발도상국의 플랜테이션이나 구 사회주의 국가의 집단 농장(콜호스나 소프호스 등)을 제외하면 세계적으로 가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2019년에 "가족 농업의 10년"을 시작했다[18]

대한민국에서는 농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구분정의
전업 농가세대원 중 자가 농업 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없는 농가.
겸업 농가생업으로 농업을 영위하는 것 외에 다른 생업을 영위하는 농가.



주·부업 농가의 분류가 정착됨에 따라 2020년 농업 센서스에서는 조사를 폐지했다.[28]

1990년 농업 센서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류가 신설되었다.

구분정의
주업 농가농업 수입 > 농외 수입, 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인 판매 농가.
준주업 농가농업 수입 < 농외 수입, 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인 판매 농가.
부업적 농가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 없는 판매 농가.


3. 1. 작물 재배 유형

, , 염소, 과 같은 풀을 뜯는 가축을 기르는 사람들은 '목장주'(미국), '방목업자'(호주 및 영국) 또는 단순히 '축산가'로 알려져 있다. 양, 염소, 소를 기르는 농부는 각각 '양치기', '염소치기', '소몰이꾼'이라고 불린다.[9] 낙농 농부는 소, 염소, 양 또는 기타 우유 생산 동물을 통해 주로 우유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이다.[9] 가금류 농부는 , 칠면조, 오리 또는 거위고기, 알, 깃털 생산을 위해, 또는 일반적으로 이 세 가지 모두를 위해 기르는 사람이다.[9] 시장을 위해 다양한 채소를 기르는 사람은 '트럭 농부' 또는 '원예사'라고 불릴 수 있다.[9] '흙 농부'는 자신의 땅을 경작하는 실질적인 농부 또는 농부의 미국 구어체 용어이다.[9]

선진국에서 농부(직업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작물 또는 가축에 대한 소유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에 토지 또는 관리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노동만 제공하는 사람은 대부분 '농부'라고 불린다. 부재 지주의 농지를 관리하고 수확물(또는 그 이익)을 공유하는 재배자는 '소작인' 또는 '분작 농부'로 알려져 있다.

3. 2. 가축 사육 유형

, , 염소, 과 같은 풀을 뜯는 가축을 기르는 사람들은 '목장주'(미국), '방목업자'(호주 및 영국) 또는 단순히 '축산가'라고 불린다.[9] 양, 염소, 소를 기르는 농부는 각각 '양치기', '염소치기', '소몰이꾼'이라고도 한다.[9] 우유 생산을 위해 소, 염소, 양 등을 기르는 사람은 '낙농 농부'라고 하며, , 칠면조, 오리, 거위고기, 알, 깃털 생산을 위해 기르는 사람은 '가금류 농부'라고 부른다.[9]

3. 3. 생산 방식에 따른 유형

선진국에서 농부는 보통 작물이나 가축에 대한 소유 지분을 가지고 생산에 토지나 관리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노동만 제공하는 사람은 대부분 '농부'라고 불리지 않는다. 부재지주의 농지를 관리하고 수확물을 공유하는 사람은 소작인 또는 분작 농부라고 불린다. 농업 기업의 맥락에서 농부는 광범위하게 정의되어, 전업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개인도 농업 정책에 따라 보조금, 인센티브,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9]

일본의 경우, 제2차 세계 대전 후 실시된 농지 개혁이 현재 농가의 모습을 크게 규정하고 있다. 전후 자작농이라는 호칭은 이러한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전후 농업 정책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소작농으로의 전락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농지 제도 중심으로 농가를 보호하는 정책이 취해졌고, 가족 외 인원이 농업 경영 주체가 되는 것에 제한이 가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점차 완화되어 유한회사나 농사 조합 법인 형태로 법인화가 인정되었고, 최근에는 특구에 의해 주식회사의 농업 진출이 인정된 지역도 있다. 절세 등의 목적으로 법인화한 경우에도 경영 실태가 가족 경영과 같은 경우도 많으며, 이들 또한 일반적으로 농가라고 불린다.[9]

농업 경영체로서 농가는 농업 경영 주체와 가계 단위 주체가 분리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농업 경제학이나 농업 경영학에서는 이 점이 경영체로서 농가 발전을 저해한다는 생각이 주류를 이루며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농업 정책에서도 가족을 주요 담당자로 상정하여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의도되었다. 1961년 제정된 농업 기본법에서는 "자립 경영 육성"을 목표로 농업 근대화를 추구했지만, 최근에는 소비자 요구 다양화, 농산물 가격 하락, 자재 가격 상승, 식품 안전성, 환경 문제 등 농업 경영체가 고려해야 할 과제가 다양해졌다. 1999년 제정된 식량·농업·농촌 기본법에서는 "자립 경영 육성" 대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9]

가족이 농업을 하면 일상생활과의 경계, 역할 분담, 노동 시간, 보수가 모호해지기 쉽다. 농림수산성은 "가족 경영 협정" 체결을 권장하고 있다.[22] 2020년 체결 수는 5만 9162호로, 사업 승계나 신규 취농이 계기가 되었다는 답변이 나왔다.[23]

2020년 농업 센서스에서는 주·부업 농가 분류 조사를 폐지했다.[28]

구분정의
전업 농가세대원 중 자가 농업 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없는 농가.
제1종 겸업 농가농업 외 수입이 있는 농가 중 농업 수입이 주인 농가.
제2종 겸업 농가농업 외 수입이 있는 농가 중 농업 외 수입이 주인 농가.
판매 농가경지 면적 30a 이상 또는 연간 농산물 판매 금액 50만 엔 이상인 농가.
자급적 농가경지 면적 30a 미만, 연간 농산물 판매 금액 50만 엔 미만인 농가.



1990년 농업 센서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류가 신설되었다.

구분정의
주업 농가농업 수입 > 농외 수입, 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인 판매 농가.
준주업 농가농업 수입 < 농외 수입, 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인 판매 농가.
부업적 농가65세 미만 농업 종사자 60일 이상 없는 판매 농가.


4. 농업 관련 단체

1914년 동부 일리노이 양봉가 협회 회의


'농업은 공공 서비스' 셔츠


농업 관련 단체들은 농업 정책 및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농부들의 권익 보호, 농업 기술 교육, 지속 가능한 농업 장려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4. 1. 국제 농업 단체

농부들은 종종 지역, 지역 또는 전국 농민 조합이나 농업 생산자 단체의 회원이며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미국의 그레인지 운동은 20세기 초 철도 및 농업 관련 기업의 이익에 반대하여 농민의 의제를 진전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FNSEA는 특히 유전자 변형 식품과 관련하여 프랑스에서 매우 정치적으로 활동적이다. 소규모 및 대규모 농업 생산자 모두는 79개국에서 120개의 전국 농민 조합을 통해 6억 명 이상의 농부를 대표하는 국제 농업 생산자 연맹(IFAP)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대표된다.[11]

4. 2. 청소년 농업 단체

젊은이들에게 농업을 가르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의 지식과 이점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많은 단체들이 있다.

  • 4-H는 1902년에 시작되었으며, 미국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로, 5세에서 21세 사이의 약 65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농무부의 국립 식량 및 농업 연구소(USDA)에서 관리한다.[11]
  • 전국 FFA 기구(National FFA Organization)(구 미국 미래 농부(Future Farmers of America))는 1925년에 설립되었으며, 중고등학생에게 농업 교육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11]
  • 유럽 농촌 청소년 연합(Rural Youth Europe)은 유럽 청소년들을 위한 비정부 기구로, 농촌 환경 및 농업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1957년에 시작되었으며, 본부는 핀란드 헬싱키에 있다. 이 단체는 17개 국가에서 50만 명 이상의 참가자와 함께 활동하고 있다.[11]

5. 대한민국의 농업

이 섹션은 일본의 농업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농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서 일본 농업에 대한 통계 자료만 간략하게 제시한다.

농지 개혁은 현대 일본 농업의 모습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농림수산성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판매 농가는 102.8만 호, 자급적 농가는 71.9만 호였다.[20] 2024년 일본의 농지는 427만 2000ha이며, 이 중 58만 5900ha는 목초지이다.[21]

5. 1. 농지 개혁과 그 이후

메이지 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전업 농가 수가 겸업 농가 수보다 많았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겸업 농가의 비율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1950년 전후로 전업 농가와 겸업 농가의 수가 거의 같아진 이후에는 겸업 농가의 수가 전업 농가의 수를 압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겸업 농가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상황이 바뀌고 있다.[19] 농가 수와 농업 생산량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으며, 일본은 식량 순수입국으로서 타 산업의 이윤으로 타국의 농민으로부터 잉여 농산물을 구매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실시된 농지 개혁이 현재 농가의 모습을 크게 규정하고 있으며, 농가가 오늘날의 모습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를 파악하려는 경우 일종의 출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전후 자작농이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전후 농업 정책의 주요 목적 중 하나였다. 이를 위해 농지에 관한 제도를 중심으로 농가를 보호하는 정책이 취해졌으며, 가족 외 인원이 농업 경영 주체가 되는 것에 다양한 제한이 가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점차 완화되어 유한회사나 농사 조합 법인 등의 형태로 농가가 법인화되는 것이 인정되었고, 최근에는 특구에 의해 주식회사의 농업 진출이 인정된 지역도 있다.

농업 경영체로서 농가의 특징은 농업 경영을 수행하는 주체와 가계의 단위가 되는 주체가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농업 경제학이나 농업 경영학에서는 이 점이 경영체로서 농가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생각이 주류를 이루며 주요한 연구 테마가 되어 왔다. 1961년에 제정된 농업 기본법에서는 "자립 경영의 육성"이 목표로 내걸어졌으며, 이는 규모 확대나 기계화 등 농업 근대화 방향으로의 경영 발전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농산물 가격 하락, 자재·연료 등의 가격 상승, 식품 안전성, 환경 문제 등 농업 경영체가 고려해야 할 과제가 다양해지고 있다. 농업 기본법을 대신하여 1999년에 제정된 식량·농업·농촌 기본법에서는 "자립 경영의 육성"이라는 문구 대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가족이 농업을 영위하면 일상생활과의 경계, 각 구성원의 역할 분담, 노동 시간, 보수가 모호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일본 농림수산성은 경영 방침이나 노동 조건을 명문화한 "가족 경영 협정"을 체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22]

5. 2. 현대 한국 농업의 과제

현대 한국 농업은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농업 경영체는 농업 경영을 하는 주체와 가계의 단위가 되는 주체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경영체로서의 발전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농업 경제학이나 농업 경영학의 주요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22]

1961년 제정된 농업 기본법은 농공 간 소득 격차 확대를 배경으로 "자립 경영의 육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규모 확대와 기계화 등 농업 근대화를 통한 경영 발전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농산물 가격 하락 및 정체, 자재 및 연료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 식품 안전성, 환경 문제 등 농업 경영체가 고려해야 할 과제가 다양해지고 있다.

1999년 농업 기본법을 대체하여 제정된 식량·농업·농촌 기본법에서는 "자립 경영의 육성" 대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육성해야 할 농업 경영체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가족이 농업을 영위하면 일상생활과의 경계, 각 구성원의 역할 분담, 노동 시간, 보수가 모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림수산성은 경영 방침과 노동 조건을 명문화한 "가족 경영 협정" 체결을 권장하고 있다.[22] 2020년 기준 체결 건수는 전년 대비 1% 증가한 5만 9162건이었으며, 신규 또는 재체결 농가는 세대 교체 시 사업 승계나 신규 취농이 계기가 되었다고 응답했다.[23]

6. 일본의 농업

메이지 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전업 농가의 수가 겸업 농가의 수를 압도했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겸업 농가의 비율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1950년 전후로 전업 농가와 겸업 농가의 수가 거의 같아진 이후에는 겸업 농가의 수가 전업 농가의 수를 압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겸업 농가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상황이 바뀌고 있다.[19] 인정 농업인에 대한 농지 집약도 진행되고 있으므로, 농가 수와 농업 생산량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또한 일본은 식량 순수입국이며, 타 산업의 이윤으로 다른 나라 농민으로부터 잉여 농산물을 구매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농림수산성 통계부에 따르면 2020년 통계에서 판매 농가는 102.8만 호, 자급적 농가는 71.9만 호이다.[20] 2024년 일본의 농지는 4272000ha이며, 이 중 585900ha는 목초지이다.[21]

7. 각국의 농업 현황



각국의 농업 현황은 국가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미국, 중국, EU 등의 농업 현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7. 1. 미국

1930년대 미국에서는 농부 한 명이 다른 소비자 3명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었다. 현대 농부는 100명 이상의 사람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을 생산한다. 그러나 일부 저자는 이러한 추정이 잘못되었다고 보는데, 농업에는 추가 노동자가 제공해야 하는 에너지 및 기타 많은 자원이 필요하므로 농부가 먹이는 사람의 비율이 실제로는 100:1보다 적기 때문이다.[8]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의 2022년 농업 센서스에 따르면 미국의 농장(farm)은 연간 1000USD 이상의 농산물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곳으로 간주되며, 약 190만 개의 농장이 존재하며, 그 중 약 95%가 가족 경영, 즉 농가에 의해 운영된다.[29] 일본과 비교하면 인구당 농가 수는 적다. 2019년의 농지 면적은 405810000ha이며, 그 중 경지 면적은 157740000ha이다.[31]

7. 2. 중국

2020년 중국의 농업 경영체 수(대부분 농가)는 약 1억 9000만 호이며 농지는 527710000ha이고,[30] 이 중 경지 면적은 118880000ha이다. 호당 경지 면적은 약 0.7ha로 일본보다 소규모이다.[31]

7. 3. EU

EU 전체의 농지는 2019년 기준 164930000ha이며, 목초지를 제외한 경지 면적은 99420000ha로, 세계적으로 볼 때 목초지 비율이 적다.[31] EU 전체의 농업 경영체 수는 1084만 호인데, 1호당 평균 농지 면적이 130ha인 체코에서 1.2ha인 몰타까지 집약 정도에 차이가 있다.[31]

8. 농업의 위험 요소

1949년 만화 "부주의한 일리노이 농부들의 죽음의 앨범"은 전년도의 275건의 트랙터 관련 사고와 183건의 가축 관련 사고를 보여준다.


농업은 특히 위험한 산업으로, 농업 종사자는 몇 가지 직업적 위험에 노출된다.[12] 농부들은 전갈, 불개미, , 말벌, 호박벌 등 위험한 곤충 및 기타 절지동물에게 물릴 수 있다.[13] 또한, 농부들은 사망이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중장비 주변에서 일하며, 반복적인 작업으로 근육과 관절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14]

9. 농업 관련 도구


  • 쟁기
  • 괭이
  • 트랙터
  • 경운기
  • 이앙기
  • 콤바인
  • 동력 분무기
  • 경트럭 - 엄밀히 말하면 농기구는 아니지만, 위의 농기구나 농업 기계, 묘상 등의 각종 자재 및 수확한 작물 등의 운반에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word 'farmer' was originally used to describe a tenant paying a leasehold rent (a farm), often for holding a lord's manorial [[demesne]]. The use of the word was eventually extended to mean any tenant or owner of a large holding, though when [[Gregory King]] estimated that there were 150,000 farmers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he evidently defined them by their tenures, as freeholders were counted separately."
[2] 웹사이트 Operating model http://www.ifad.org/[...] 2018-01-02
[3] 웹사이트 Investing in smallholder agriculture http://www.fao.org/3[...] Committee on World Food Security 2021-02-23
[4] 웹사이트 SOFA 2017 -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http://www.fao.org/s[...] 2021-03-08
[5] 서적 By the sweat of thy brow: Work in the Western world Putnam
[6] 문서 Nicholson (2000) p. 514
[7] 웹사이트 Breeds of Livestock - Oklahoma State University http://www.ansi.okst[...] Ansi.okstate.edu 2011-12-10
[8] 문서 Kirschenmann (2000)
[9]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10] 서적 Essentials of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1-11
[11] 웹사이트 About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gricultural Producers http://www.ifap.org/[...]
[12] 웹사이트 Agricultural Safety https://www.cdc.gov/[...] NIOSH 2014-12-15
[13] 웹사이트 Insects and Scorpions https://www.cdc.gov/[...] NIOSH 2012-02-24
[14] 간행물 Agriculture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8-07-03
[15] 웹사이트 "Farmer {{!}} Definition of Farmer" https://www.lexico.c[...] Oxford Dictionaries
[16] 웹사이트 The Lost Meanings of 'Farm' and 'Farm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s Dictionary of English Usage
[17] 웹사이트 "farmer {{!}} Origin and meaning of farmer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18] 뉴스 国連「家族農業の10年」記念式典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19-05-31
[19] 웹사이트 農家数・専兼別主副業別農家数の長期推移 http://www2.ttcn.ne.[...]
[20] 웹사이트 農林水産省/農家に関する統計 https://www.maff.go.[...]
[21] 웹사이트 令和6年耕地面積(7月15日現在)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0-29
[22] 웹사이트 家族経営協定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9-06-21
[23] 뉴스 家族協定で農水省初調査 継承・就農機に活用 日本農業新聞 2021-12-04
[24] 문서 農水省 農林業センサス累年統計
[25] 웹사이트 農家人口などのデータ https://www.kubota.c[...] 株式会社クボタ データで見る田んぼ
[26] 문서 今年度以降販売農家に限る
[27] 문서 農林業センサス 2020年
[28] 웹사이트 2020年農林業センサス結果の概要(概数値) http://www.nohken.or[...] 農林⽔産省 2021-01-12
[29] 뉴스 USDA releases 2022 Census of Agriculture data https://www.nass.usd[...] アメリカ農務省 2024-02-13
[30] 문서 耕地面積を除く大半は[[牧草地]]である
[31] 웹사이트 第10号特別分析トピック︓⽶国、EU、中国の農業政策の概要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32] 웹인용 Operating model – ifad.org http://www.ifad.org/[...] 2018-01-02
[33] 웹인용 Investing in smallholder agriculture http://www.fao.org/3[...] Committee on World Food Security ,Rome 2021-02-23
[34] 웹인용 SOFA 2017 -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http://www.fao.org/s[...] 2021-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