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카르도 비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카르도 비달은 필리핀의 로마 가톨릭 추기경으로, 1931년 2월 6일에 태어나 2017년 10월 18일에 사망했다. 그는 1985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1986년부터 1987년까지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비달은 1986년 국민권력혁명과 2001년 EDSA 혁명 당시 민주화 운동을 지지했으며, 2005년 교황 선거에 참여하여 베네딕토 16세를 선출했다. 세부 대교구장직에서 은퇴한 후에도 활발히 활동했으며, 현재 시성 운동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카르도 비달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각하 |
이름 | 리카르도 티토 하민 비달 |
로마자 표기 | Rikareudo Tito Jamin Vidal |
스페인어 표기 | Ricardo Tito Vidal y Jamín |
출생일 | 1931년 2월 6일 |
출생지 | 모그포그, 마린두케 주, 필리핀 제도 |
사망일 | 2017년 10월 18일 |
사망지 | 세부 시, 필리핀 |
매장일 | 2017년 10월 26일 |
매장 장소 | 세부 대성당 묘소, 세부 시, 필리핀 |
국적 | 필리핀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거주지 | 세부 시 |
문장 | Coat of arms of Ricardo Jamin Vidal.svg |
좌우명 | "VIAM VERITATIS ELEGI" (진리의 길을 택했네) |
가톨릭 직위 | |
직책 | 추기경, 세부 대주교 |
임명일 (부교구장) | 1981년 4월 13일 |
임기 시작 | 1982년 8월 24일 |
임기 종료 | 2010년 10월 15일 |
이전 교구장 | 훌리오 로살레스 |
후임 교구장 | 호세 S. 팔마 |
사제 서품일 | 1956년 3월 17일 |
서품자 | 알프레도 오브비아 |
주교 서임일 | 1971년 11월 30일 |
서임자 | 카르미네 로코 |
추기경 서임일 | 1985년 5월 25일 |
서임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직위 | 추기경 사제 |
다른 직위 | 산티 피에트로 에 파올로 아 비아 오스티엔세 성당 추기경 사제 |
이전 직위 | 말로로스 부교구장 및 클라테르나에 명의 주교 (1971년–1973년) 리파 대주교 (1973년–1981년) |
스타일 | |
경칭 | 각하 |
공식 호칭 | 각하 |
종교 호칭 | 몬시뇰 |
교구 | 세부 |
2. 초기 생애와 교육
리카르도 비달은 마린두케주 모그포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국제 성체 대축일에서 첫 영성체를 받았다. 이후 케손주 사리아야와 바탕가스주 리파에 있는 신학교에서 철학을, 메트로 마닐라 마카티의 산 카를로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2][4]
2. 1. 출생 및 가족
리카르도 비달은 1931년 2월 6일 마린두케주 모그포그에서 라구나주 필라 출신인 파우스티노 S. 비달과 나티비다드 자민 사이에서 여섯 형제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2] 1937년에는 국제 성체 대축일에서 첫 영성체를 받았다.[3] 비달은 모그포그 초등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마쳤다.[2]2. 2. 학력
비달은 모그포그 초등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2] 케손주 사리아야에 있는 지극히 거룩한 묵주 성당 소속 소신학교(현재는 카르멜 산 성모 신학교)와 바탕가스주 리파에 있는 프랑수아 드 살 신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4][2] 메트로 마닐라 마카티에 있는 산 카를로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4][2]3. 사목 활동
비달은 알프레도 오비아르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은 후, 케손 주 사리아야에 있는 카르멜 산 성모 신학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1971년 말롤로스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고, 이후 리파 대주교, 세부 보좌대주교를 거쳐 세부 대주교가 되었다. 테오필로 카모못 주교와 협력하고 성 테레사의 교리교사 선교회 설립에 기여했다.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 회장,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 상임위원회 집행위원, 로마 교황청 여러 성성에서 활동하는 등 필리핀 가톨릭 교회와 국제 가톨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1. 사제 서품
비달은 1955년 9월 24일 부제로, 1956년 3월 17일에는 케손 주 루세나에서 알프레도 오비아르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았다.[2] 이후 비달은 케손 주 사리아야에 있는 카르멜 산 성모 신학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3. 2. 주요 활동
비달은 1955년 9월 24일 부제로 서품받았고, 1956년 3월 17일 케손 주 루세나에서 알프레도 오비아르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았다.[2] 이후 케손 주 사리아야에 있는 카르멜 산 성모 신학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1971년 11월 30일, 비달은 말롤로스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고,[2] 필리핀 교황대사 카르미네 로코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봉헌되었다. 2년이 채 지나지 않아 바오로 6세에 의해 리파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1981년 요한 바오로 2세는 비달을 세부 보좌대주교로 임명했고, 1982년 8월 24일 줄리오 로살레스 추기경의 뒤를 이어 세부 대주교가 되었다.
비달은 테오필로 카모못 주교와 자주 협력했으며, 세부ano 고위 성직자의 기적적인 행위에 대한 증언을 하였다.[5] 또한 가톨릭 수도회인 성 테레사의 교리교사 선교회 설립에도 기여하였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CBCP) 회장을 역임했고, 1989년에는 CBCP 사제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 상임위원회 집행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화해 공의회(1983년), 임시 공의회(1985년), 사제 공의회(1991년), 수도생활 공의회(1994년)의 대표로 참석했으며, 1989년 평신도 공의회에서는 대표 의장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공의회 상임위원회 위원이었다. 로마 교황청에서는 민족 복음화 성성, 가톨릭 교육 성성, 교황청 보건 의료 사목 평의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6]
3. 3. 주교 임명 및 활동
비달은 1955년 9월 24일 부제로, 1956년 3월 17일 케손 주 루세나에서 알프레도 오비아르(Alfredo Obviar)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았다.[2] 그는 케손 주 사리아야에 있는 카르멜 산 성모 신학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1971년 11월 30일 말롤로스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고,[2] 필리핀 교황대사 카르미네 로코(Carmine Rocco)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봉헌되었다. 2년도 채 되지 않아 바오로 6세에 의해 리파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1981년 요한 바오로 2세는 비달을 세부 보좌대주교로 임명했고, 1982년 8월 24일 줄리오 로살레스(Julio Rosales) 추기경의 뒤를 이어 세부 대주교가 되었다.
비달은 테오필로 카모못(Teofilo Camomot) 주교와 자주 협력했으며, 세부ano 고위 성직자의 기적적인 행위에 대한 증언을 하였다.[5] 그는 또한 가톨릭 수도회인 성 테레사의 교리교사 선교회 설립에도 기여하였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CBCP) 회장을 역임했고, 1989년에는 CBCP 사제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 상임위원회 집행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화해 공의회(1983년), 임시 공의회(1985년), 사제 공의회(1991년), 수도생활 공의회(1994년)의 대표로 참석했으며, 1989년 평신도 공의회에서는 대표 의장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공의회 상임위원회 위원이었다. 로마 교황청에서 민족 복음화 성성, 가톨릭 교육 성성, 교황청 보건 의료 사목 평의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6]
3. 4.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 및 국제 활동
비달은 1986년부터 1987년까지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CBCP) 회장을 역임했고, 1989년에는 CBCP 사제위원회 위원장이었다.[6]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 상임위원회 집행위원으로 임명되었다.[6] 그는 화해 공의회(1983년), 임시 공의회(1985년), 사제 공의회(1991년), 수도생활 공의회(1994년)에 대표로 참석했으며, 1989년 평신도 공의회에서는 대표 의장을 역임했다.[6] 1989년부터 1994년까지 공의회 상임위원회 위원이었다.[6] 비달은 로마 교황청에서 민족 복음화 성성, 가톨릭 교육 성성, 교황청 보건 의료 사목 평의회 회원으로 활동했다.[6]4. 추기경
1985년 5월 25일, 리카르도 비달은 추기경-사제로서 오스티엔세 가도의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에 임명되었다.[8] 그는 2005년 교황 선거에 참여하여 베네딕토 16세를 선출한 추기경 선거인 중 한 명이었다.[8] 하이메 신 추기경이 건강 악화로 불참하면서, 비달은 해당 선거에 참여한 유일한 필리핀 추기경이었다.
4. 1. 추기경 서임
1985년 5월 25일, 리카르도 비달은 추기경-사제로 서임되어 오스티엔세 가도의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에 임명되었다.[8] 그는 2005년 교황 선거에 참여한 추기경 선거인 중 한 명으로, 베네딕토 16세 선출에 기여하였다.[8] 당시 하이메 신 추기경이 건강 악화로 불참하면서, 비달은 해당 선거에 참여한 유일한 필리핀 추기경이었다.4. 2. 2005년 교황 선거
1985년 5월 25일, 리카르도 비달은 오스티엔세 가도의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의 추기경-사제로 임명되었다. 그는 2005년 교황 선거에 참여하여 베네딕토 16세를 선출한 추기경 선거인 중 한 명이었다.[8] 하이메 신 추기경이 건강 악화로 불참하면서, 비달은 해당 선거에 참여한 유일한 필리핀 추기경이 되었다.5. 필리핀 민주화 운동 참여
리카르도 비달은 1986년과 2001년 두 차례의 필리핀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이메 신 추기경과 함께 1986년 국민권력혁명을 지지했으며,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의 요청으로 반군을 설득하여 평화적 항복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2001년에는 조세프 에스트라다 대통령의 사퇴를 설득했으며, 이후 에스트라다의 사면을 호소하기도 했다.[9][10][11][12]
5. 1. 1986년 국민권력혁명(피플 파워 혁명)
하이메 신 추기경과 함께 1986년 국민권력혁명을 지지했다.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 회장이자 세부 대주교로서, 비달은 필리핀의 다른 고위 성직자들을 이끌고 정부와 조기 대선 결과에 반대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9]1989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비달에게 자신의 정부와 싸우는 반군에 동정적인 호세 코멘다도르 장군을 설득하여 평화적으로 항복하도록 요청했다. 그의 개입으로 유혈 쿠데타가 될 수 있었던 상황을 막았다.[10]
2001년 2001년 국민권력혁명 당시 비달은 조세프 에스트라다 대통령에게 사퇴할 것을 설득했다.[11] 에스트라다는 이후 구금되었는데, 비달은 마니 비야르 상원의원, 호세 드 베네시아 주니어 하원의장과 함께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에게 "국가 통합과 화해의 정신"으로 에스트라다를 사면해 줄 것을 호소하는 편지를 썼다. 에스트라다는 2007년 10월 26일 사면되어 구금에서 풀려났다.[12]
5. 2. 2001년 EDSA 혁명
2001년 국민권력혁명 당시 비달은 조세프 에스트라다 대통령에게 사퇴할 것을 설득했다.[11] 에스트라다는 이후 구금되었다. 비달은 마니 비야르 상원의원과 호세 드 베네시아 주니어 하원의장과 함께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에게 "국가 통합과 화해의 정신"으로 에스트라다를 사면해 줄 것을 호소하는 편지를 썼고, 에스트라다는 2007년 10월 26일 사면되어 구금에서 풀려났다.[12]6. 은퇴 이후와 죽음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2010년 10월 15일 비달 추기경의 세부 대교구장직 사임을 수락했고, 호세 S. 팔마 대주교가 후임 세부 대교구장이 되었다. 비달 추기경은 은퇴 후 세부 시티의 산토 니뇨 마을에 거주하며 미사 집전 및 세부 대교구 행사 참석 등의 활동을 했다. 2004년 관상동맥 조영술 및 심장 박동기 삽입, 2013년 경미한 뇌졸중을 겪었으며, 2014년부터 폐렴으로 여러 차례 입원했다. 2017년 5월 폐렴으로 입원하여 10월 11일 병자성사를 받았고, 10월 18일 사망했다.[13]
6. 1. 은퇴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2010년 10월 15일 비달 추기경의 세부 대교구장직 사임을 수락했다. 그의 뒤를 이어 파로 대교구의 호세 S. 팔마 대주교가 세부 대교구장이 되었다.
은퇴 후 비달 추기경은 세부 시티(Cebu City)의 산토 니뇨 마을(Sto. Niño Village)에 거주하며 미사를 집전하고 세부 대교구가 주최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2004년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고 심장 박동기를 삽입했으며, 2013년 9월 23일에는 경미한 뇌졸중을 겪었다. 2014년부터 폐렴으로 여러 차례 입원했고, 2017년 5월에도 같은 질병으로 입원하여 10월 11일 병자성사를 받았다. 2017년 10월 18일 사망했다.[13]
6. 2. 은퇴 이후 활동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2010년 10월 15일 비달 추기경의 세부 대교구장직 사임을 수락했다. 그의 뒤를 이어 파로 대교구의 호세 S. 팔마 대주교가 세부 대교구장이 되었다.
은퇴 후 비달 추기경은 세부 시티(Cebu City)의 산토 니뇨 마을(Sto. Niño Village)에 거주하며 미사를 집전하고 세부 대교구가 주최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2004년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고 심장 박동기를 삽입했으며, 2013년 9월 23일에는 경미한 뇌졸중을 겪었다. 2014년부터는 폐렴으로 여러 차례 입원했고, 2017년 5월에도 같은 질병으로 입원하여 10월 11일 병자성사를 받았다. 2017년 10월 18일 사망했다.[13]
6. 3. 죽음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2010년 10월 15일 비달 추기경의 세부 대교구장직 사임을 수락했다. 그의 뒤를 이어 파로 대교구의 호세 S. 팔마 대주교가 세부 대교구장이 되었다.
은퇴 후 비달 추기경은 세부 시티(Cebu City)의 산토 니뇨 마을(Sto. Niño Village)에 거주하며 미사를 집전하고 세부 대교구가 주최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2004년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고 심장 박동기를 삽입했으며, 2013년 9월 23일에는 경미한 뇌졸중을 경험했다. 2014년부터 폐렴으로 여러 차례 입원했고, 2017년 5월에도 같은 질병으로 입원하여 10월 11일에는 병자성사를 받았다. 2017년 10월 18일에 사망했다.[13]
7. 시성 움직임
리카르도 비달을 성인으로 선포해야 한다는 요청이 있었다.[19] 비달은 페드로 칼룽소드를 포함한 여러 필리핀인들의 시성을 추진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 필리핀 가톨릭 신자들은 비달이 같은 영예를 받기를 촉구해왔다.
7. 1. 시성 청원
비달을 성인으로 선포해야 한다는 요청이 있었다.[19] 비달은 특히 페드로 칼룽소드를 포함한 여러 필리핀인들의 시성을 추진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 필리핀 가톨릭 신자들은 비달이 같은 영예를 받기를 촉구해왔다. 비달의 발인 미사에서 세부시 북구 대표인 라울 델 마르는 가톨릭 교회 관계자들에게 성스러운 삶과 주목할 만한 겸손함으로 성인이 될 자격이 있는 비달의 시성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대주교가 성스러운 삶을 살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중에는 상원의원 티토 소토가 있는데, 그는 비달이 준 묵주를 보여주며 기자들에게 "이제 저는 천국에 새로운 친구가 있습니다. 그는 저를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0]8. 수상
비달은 정부로부터 여러 표창을 받았다. 2010년 12월 7일, 필리핀 상원은 상원 결의 제306호를 통해 세부 지역에 대한 그의 봉사를 인정했다. 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원은 세부 대주교 리카르도 추기경 비달(Ricardo Cardinal Vidal)의 세부 주민에 대한 봉사를 기리고자 한다. 그는 영적인 지도력과 영감을 제공하고, 여러 위기와 갈등을 극복하도록 지역 사회를 도왔으며, 종종 평화 유지자로 활동하고 지역 및 국가적 문제에서 상충하는 견해와 이해관계 속에서 온건한 목소리를 내었다."[14]
그는 또한 하원 결의 제593호를 통해 하원으로부터도 인정을 받았다.[16] 세부 주는 주에서 수여할 수 있는 최고의 상인 라푸라푸 훈장(Order of Lapu-lapu)을 수여했다.[17] 세부 시와 탈리사이 시는 그를 두 지역의 "입양 아들"로 삼았다.[18] 2009년 3월, 비사야스 대학교는 그에게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Philippines Civil Registration (Archives Division), 1902-1945; pal:/MM9.3.1/TH-1951-26323-20610-60 —
https://familysearch[...]
2016-03-30
[2]
웹사이트
Ricardo J. Cardinal Vidal, D.D.
http://www.cbcponlin[...]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the Philippines
2017-10-18
[3]
뉴스
Cardinal Vidal as one of the First Communicants
http://iec2016.ph/ca[...]
2017-10-18
[4]
뉴스
Cebu Archbishop Emeritus Ricardo Cardinal Vidal
https://www.rappler.[...]
2017-10-18
[5]
웹사이트
A man who learned to give it all
http://www.philstar.[...]
philstar.com
2016-03-20
[6]
웹사이트
Ricardo J. Cardinal Vidal, D.D
http://www.cbcponlin[...]
Cbcponline.net
2016-03-20
[7]
뉴스
2 Americans Among Cardinals: Pope Installs 28 New 'Princes of the Church'
https://www.latimes.[...]
2013-05-23
[8]
뉴스
Cardinals taking part in the vote
http://news.bbc.co.u[...]
2013-05-23
[9]
웹사이트
Post-Election Statement
http://www.cbcponlin[...]
Cbcponline.net
2016-03-20
[10]
웹사이트
Cardinal Vidal Says Dialogue Helped Limit Bloodshed during Coup
http://www.ucanews.c[...]
ucanews.com
2016-03-20
[11]
웹사이트
Cardinal Vidal recounts many roles as Cebu archbishop
http://mycebu.ph/art[...]
MyCebu.ph
2016-03-20
[12]
뉴스
Former President Estrada leaves prison, thanks Cardinal Vidal
http://www.asianews.[...]
2017-10-18
[13]
뉴스
Cebu Archbishop Emeritus Ricardo Cardinal Vidal, 86
http://newsinfo.inqu[...]
2017-10-18
[14]
웹사이트
Senate Resolution No. 306 HONORING RICARDO CARDINAL VIDAL
https://www.senate.g[...]
senate.gov.ph
2016-07-14
[15]
뉴스
Del Mar seeks House recognition for Vidal
http://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16-07-14
[16]
뉴스
Vidal to get province's highest honor
http://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16-07-14
[17]
뉴스
Vidal is now Talisay's adopted son
http://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16-07-14
[18]
뉴스
Cardinal Vidal expresses elation over latest award
http://balita.ph/201[...]
balita.ph
2016-07-14
[19]
뉴스
A call to sainthood in Cebu
http://www.manilatim[...]
manilatimes.net
2018-04-02
[20]
뉴스
San Ricardo Vidal? Calls for possible canonization
http://www.sunstar.c[...]
sunstar.com.ph
2018-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