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린두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린두케 주는 필리핀 미마로파 지역에 위치한 섬 주이다. 섬 남쪽의 말린딕 산에서 유래된 이름은 "우뚝 서다" 또는 "우아하다"를 의미한다. 스페인, 미국, 일본의 지배를 받았으며, 필리핀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마린두케는 필리핀 군도의 지리적 중심지로 여겨지며, 쌀, 코코넛 재배, 수공예품, 어업 등이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사순절 기간의 모리오네스 축제가 유명하며, 칼루탕이라는 독특한 악기가 있다. 마린두케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어의 근원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마로파 지방 - 팔라완주
팔라완주는 필리핀의 팔라완 섬과 주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마지막 생물 다양성 전선"이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여러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미마로파 지방에 속하고 푸에르토 프린세사를 주도로 두고 있으며 농업, 어업과 함께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미마로파 지방 - 서민도로주
필리핀 민도로 섬 서쪽에 위치한 서민도로주는 맘부라오를 주도로 하며 아포 암초가 있고 농업이 중심 산업이며 타갈로그어와 망얀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마린두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마린두케 주 |
| 지방 | 미마로파 |
| 중심지 | 보악 |
| 설립 | 1901년 5월 1일 |
| 케손 주 편입 | 1902년 11월 10일 |
| 재설립 | 1920년 2월 21일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 자치 도시 | 0 |
| 구성 도시 | 0 |
| 자치체 | 보악 가산 모그포그 산타크루스 토리호스 부에나비스타 |
| 바랑가이 | 218 |
| 하원 의원 지역 | 마린두케 선거구 |
| 인문 지리 | |
| 면적 | 952.58 제곱킬로미터 |
| 최고 고도 | 1157 미터 (말린디그 산)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 239,207 명 (2020년) |
| 인구 밀도 | 251 명/제곱킬로미터 |
| 인구 통계학적 명칭 | 마린두케힌, 마린두케뇨/마린두케냐, 마린두카논 |
| 정부 | |
| 주지사 | 프레스비테로 J. 벨라스코 주니어(PFP) |
| 부지사 | 아델린 마르시아노-앙헬레스 (PFP) |
| 입법부 | 마린두케 주 의회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PHT (UTC+8) |
| 언어 | 타갈로그어 (마린두케뇨 방언) 영어 |
| 웹사이트 | 마린두케 주 공식 웹사이트 |
2. 어원
마린두케라는 이름은 섬 남쪽에 있는 말린딕 산과 관련하여 "우뚝 서다" 또는 "우아하다"를 뜻하는 ''malindig'' 또는 ''malindug''의 스페인식 변형이다.[2] 1676년 도밍고 나바레테는 ''Tratados historicos...''에서 "그곳 사람들이 '미놀로'라고 부르는 섬은 스페인 사람들에게 '민도로'라고 불리며, '말린딕'은 '마린두케'라고 부른다."라고 썼다.[3]
마린두케는 타갈로그어로 말린딕(Malindig), 비사야어로 말린독(Malindog)이라고 불렸다. 1571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총독은 아우구스티노회 사제 프. 페드로 데 에레라에게 마린두케를 위탁(엔코미엔다)했는데, 그는 마린두케 주민들에게 기독교를 처음 전파했다.[1] 16세기에는 바탕가스(당시에는 발라얀)의 일부였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민도로의 일부였다.[2]
3. 역사
필리핀-미국 전쟁 중에는 미국이 최초로 집중 수용소를 설치한 지역이었다.[4] 1900년 9월 13일 풀랑 루파 전투에서는 막시모 아바드 대령이 지휘하는 필리핀 군인 250명이 미국 보병 54명을 격파하기도 했다. 1902년, 미국-필리핀 위원회는 법률 제423호에 따라 민도로 섬과 루방 섬을 마린두케 주에 병합했다가, 1920년 필리핀 의회는 법률 제2280호를 통과시켜 마린두케를 별도의 주로 재설립했다.[6]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이 마린두케에 상륙했다. 1945년 연합 미국-필리핀 연합군은 일본군으로부터 마린두케 지역을 해방시켰다.[1]
3. 1. 중세 시대
마린두케 섬은 타갈로그어로 말린딕(Malindig), 비사야어로 말린독(Malindog)이라고 불렸다. 1570년 5월 마닐라 함락 이후 스페인의 즉각적인 영유권 주장으로 미루어 보아 루손 왕국의 구성국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마린두케에 족장(principalia) 또는 왕족과 같은 인물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말린딕을 다스리던 귀족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2]
3. 2. 스페인 통치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총독은 1571년에 마린두케를 아우구스티노회 사제인 프. 페드로 데 에레라에게 위탁(엔코미엔다)했는데, 그는 마린두케 주민들에게 기독교를 처음 전파했다.[1]
마린두케는 16세기에는 바탕가스(당시에는 발라얀)의 일부였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민도로의 일부였다.[2]
1881년 4월부터 7월까지 프랑스 박물학자 앙투안-알프레드 마르셰는 마린두케에서 고고학 조사를 수행했다.[3] 항아리, 꽃병, 금 장신구, 두개골 및 기타 장신구들이 다량으로 발견되었다.[3] 그는 이것들을 40개의 상자에 담아 프랑스로 가져갔는데, 그 중 일부는 프랑스의 인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3] 또한 당시 마린두케 주민들에 의해 이미 파스토레스라고 불리던 다신교 목상(아니토)의 나무 조각상도 발견되었다.[3]
마르셰가 발견한 유물 중 하나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소니언 협회의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되었다(카탈로그 번호 A127996-0, 인류학부, NMNH, 스미소니언 협회).[3] 발견된 깨지기 쉬운 작은 단지들은 중국에서 마린두케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3] 이 단지들은 수세기 동안 동굴에 묻혀 있다가 19세기 말에 발굴되어 파리로 옮겨졌고, 그 중 하나는 스미소니언 협회 박물관에 보관되었다.[3]
3. 3. 필리핀 제1공화국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마린두케주는 미국 침략자들이 최초로 집중 수용소를 설치한 지역이었다.[4] 1900년 9월 13일 풀랑 루파 전투에서 막시모 아바드 대령이 지휘하는 필리핀 군인 250명이 미국 보병 54명을 격파했다.
3. 4. 미국 통치
1901년 4월 15일, 아바드 대령은 산티아고 요새에서 미국인에게 인질로 잡힌 마틴 라르디사발 주지사와 다른 두 명의 관리가 체포되면서 항복했다.[5]
1902년 6월 23일, 미국-필리핀 위원회는 법률 제423호에 따라 민도로 섬(현재 두 개의 별도 주)과 루방 섬(현재 서민도로의 일부)을 마린두케 주에 병합했다.
1920년 2월 21일, 필리핀 의회는 법률 제2280호를 통과시켜 마린두케를 별도의 주로 재설립했다.[6]
미국 인류학자 헨리 오틀리 바이어에 따르면, 1922년 비사야스 제도에서 칼 군테 박사가 고고학적 작업을 수행하였다.
3. 5. 필리핀 연방
1935년 11월, 마린두케는 마누엘 퀘존 대통령 하의 필리핀 연방의 한 주로 편입되었다.[1] 필리핀 연방군이 이 주에 주둔했으며, 사령부는 1935년부터 1942년까지 운영되었다.[1]
3. 6. 일본 점령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이 마린두케에 상륙했다.
3. 7. 제2 필리핀 공화국 이후
1945년, 연합 미국-필리핀 연합군은 일본군으로부터 마린두케 지역을 해방시키고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 치하의 필리핀 연방으로 반환했다.[1] 필리핀 육군과 필리핀 경찰이 이 지역에 주둔하며 1945년부터 1946년까지 활동했다.[1]
마린두케의 역사를 보여주는 고고학적 발견물들은 보악 포블라시온에 있는 마린두케 박물관과 해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섬과 주의 역사 편찬에 활용될 예정이다.[1]
4. 지리
1911년 루손 데이터에 의해 필리핀 군도의 지리적 중심으로 여겨지는 마린두케 주는, 북쪽으로는 타야바스 만, 남쪽으로는 시부얀 해 사이에 위치한 총 면적 952.58km2의 "하트 모양" 섬이다. 케손 주의 본독 반도와는 몬퐁 해협으로 구분되며, 서쪽에는 민도로 섬과 분리되는 타블라스 해협이 있다.
북동쪽에는 폴로 섬, 마니와야 섬, 몬퐁 섬 등의 작은 섬들이 있으며, 남서쪽에는 트레스 레예스 제도와 엘리펀트 섬이 있다.
마린두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섬 남쪽 끝에 위치한 해발 1157m의 잠재적 활동 성층 화산인 말린딕 산(구 마를랑가 산)이다.
이 주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동굴 시스템이 있다.
- '''바탈라 동굴''': 산타 크루스 타운의 이필 바랑가이 근처에 위치.
- '''타루그 동굴''': 모그포그 타운의 타루그 바랑가이에 위치. 석회암 지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챔버 동굴로, 지상 270피트 높이로 급경사를 이루며 해발 331피트에 위치해 있다. 봉우리는 3제곱미터가 간신히 넘는다.
- '''바굼붕간 동굴''': 산 이시드로와 푸농에 있는 복잡한 지하 강을 가진 동굴 시스템.[9][10]
- '''탈라오 동굴''': 섬 서쪽 부분을 조망하는 12개의 일련의 동굴.
4. 1. 기후
마린두케주는 III형 기후로, 건기와 우기의 뚜렷한 경계 없이 연중 강우량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한다. 연평균 기온, 최고 기온, 최저 기온은 각각 27°C, 32.9°C, 22.3°C로 계산되었다. 연중 평균 습도는 78%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2034.6mm이다.[11]4. 2. 행정 구역
마린두케 주는 6개의 지방 자치체와 218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방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지방 자치체 | 바랑가이 수 |
|---|---|
| 보아크 | 61 |
| 부에나비스타 | 15 |
| 가산 | 25 |
| 모그포그 | 37 |
| 산타 크루스 | 55 |
| 토리호스 | 25 |
- '''보아크''': 주도이자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타운으로, 산업, 문화, 경제, 교육의 중심지이다. 대부분의 정부 및 사설 사무실이 보아크에 있다. 지리적으로 타운을 북쪽과 남쪽으로 나누는 보아크 강 때문에 "분할"을 의미하는 타갈로그어 biaktl에서 유래되었다.
- '''가산''': 주의 문화적 중심지이다. 필리핀에서 가장 깨끗하고 푸른 지방 자치체 중 하나로 꼽히며, 동부에 산림 보호 구역을 포함한다. 민도로 섬으로 가는 관문이기도 하다. 수공예품과 칼루탕이 유명하다. 산호에 대한 현지 용어인 gasang-gasangtl에서 이름을 따왔다.
- '''토리호스''': ① 토리호스 장군, ② 광대한 평원에서 방목하던 소를 지칭하는 "토리요스", ③ 교구를 지키는 망루 경비병을 지칭하는 "토레 이 히호스"의 세 가지 기원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주의 여름 수도로 여겨지며 현지에서 재배된 딸기로 유명하다.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린두케의 인구는 239,207명이며, 인구 밀도는 250PD/km2이다. 이는 미마로파 지역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다.[12]
| 연도 | 인구 |
|---|---|
| 1903 | 50,601 |
| 1918 | 56,858 |
| 1939 | 86,681 |
| 1948 | 109,035 |
| 1960 | 144,159 |
| 1970 | 144,109 |
| 1975 | 155,870 |
| 1980 | 173,715 |
| 1990 | 185,524 |
| 1995 | 199,902 |
| 2000 | 217,392 |
| 2007 | 229,636 |
| 2010 | 227,828 |
| 2015 | 234,521 |
| 2020 | 239,207 |
5. 1. 종교
가톨릭교가 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필리핀 독립 교회는 25%의 인구를 차지하며, 나머지 인구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하나님의 성회, 침례교, JIL, 감리교, 장로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SDA)를 포함한 다양한 주류 필리핀 개신교 교단과,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로 알려진 초교파 교회에 속한다. 이 지역에는 무슬림, 아니트교 신봉자, 애니미즘 신봉자, 무신론자도 존재한다.5. 2. 언어
마린두케에서 사용되는 타갈로그어의 방언인 ''마린두케 타갈로그어''는 현대 국가 언어 형태의 근원으로 묘사되며, 고대 타갈로그어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마린두케 주민들은 콧노래를 부르듯 말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마린두케의 타갈로그어는 공식적인 필리핀 국가 언어의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는다.[13]오늘날까지도 마린두케 사람들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의 타갈로그어와 매우 유사한 옛 변형의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언어 전문가들에 따르면, 마린두케의 타갈로그 방언, 특히 동부 마린두케 방언은 루손 본토의 타갈로그인과의 상대적인 고립과 비사야 및 비콜 이주민의 영향으로 인해 가장 이질적인 방언으로 평가받는다.[14] 교육받은 마린두케 사람들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타갈로그어, 대중 매체, 현대 버전의 타갈로그어 성경의 영향으로 현대 필리핀어 또는 표준 타갈로그어와 더 가까운 영어 용어를 사용하는 타갈로그어를 사용하지만, 비사야와 비콜의 영향은 여전히 남아있다.
언어학자 로사 소베라노의 1980년 저서 ''마린두케 타갈로그어의 방언''에는 마린두케 타갈로그어 방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다음은 동부 마린두케 타갈로그어의 동사 활용표이다.
| 부정사 | 미래 | 진행형 | 완료형 | 명령형 | |
|---|---|---|---|---|---|
| 주어 초점 1 | -um- (gumawa) | má- (mágawâ) | ná- (nágawâ) | -um- (gumawa) | 0 (gawa) |
| 주어 초점 2 | mag- (magbigay) | (ma)ga- ([ma]gabigay) | naga- (nagabigay) | nag- (nagbigay) | pag- (pagbigay) |
| 목적어 초점 1 | -in (kainin) | a- (akainin) | ina- (inakain) | -in- (kinain) | -a (kaina) |
| 목적어 초점 2 | i- (isulat) | a- (asulat) | ina- (inasulat) | i- -in- (isinulat) | -an (sulatan) |
| 목적어 초점 3 | -an (tawagan) | a-...-an (atawagan) | ina- ... -an (inatawagan) | -in- ... -an (tinawagan) | -i (tawagi) |
언어학자 크리스토퍼 순디타는 마린두케 타갈로그어의 일부 접사, 특히 "a-"와 "ina-"가 마린두케 남쪽 롬블론에서 사용되는 비사야어인 아시어(반토아논)에서 사용되는 접사임을 언급했다. 2세기 전 타갈로그어와 마찬가지로 마린두케 타갈로그어는 명령 및 요청에 사용되는 명령형이라는 추가적인 동사 범주를 가지고 있다(예: Matulog ka na - 자라). 당시에도 명령과 부정사는 명령을 표현하는 데 함께 사용되었지만, 표준 타갈로그어에서는 부정사가 독점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동부 마린두케 방언에서는 명령형 접사가 여전히 많이 사용된다.[15]
6. 경제
마린두케주는 농업이 발달한 주로, 쌀과 코코넛을 주로 재배한다. 마린두케의 수공예품 또한 세계 각지로 수출되며, 어업 역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때 광업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나, 마코퍼 광산 재해로 인해 산업이 섬에서 중단되고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면서 어려움을 겪었다.[1] 주 정부는 마코퍼의 모회사인 플래서 돔(Placer Dome)을 상대로 1억 달러의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했다.[1] 플래서 돔은 2006년 배릭 골드(Barrick Gold)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배릭 골드도 소송에 참여했다.[1]
관광 산업, 특히 사순절 기간의 관광이 마린두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섬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1] 최근 일부 주민들은 나비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1] 나비는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로 수출하기 위해 사육된다.[1] 현지에서는 생일, 결혼식, 일부 기업 행사 등 다양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살아있는 나비를 날려 보내기도 한다.[1]
7. 문화
마린두케는 크기에 따라 다른 음역대를 내는 두 조각의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인 '''칼루탕'''의 고향이다. 10명에서 12명으로 구성된 밴드가 이 악기로 음악을 연주한다.[16] 2011년, ''칼루탕 악기''는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에 의해 필리핀의 무형 문화 유산 중 전통 공예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인용되었으며, 정부는 이를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할 수 있다.[17]
7. 1. 축제
모리오네스 축제(https://www.travelingmorion.com/2019/01/marinduque-moriones-festival-2019.html)는 매년 3월에서 4월까지 마린두케주에서 열리는 축제로, 현지에서는 "모리요난"이라고 알려져 있다. 산타크루스, 가산, 보악, 모그포그에서는 "모리온"으로 분장한 사람들이 섬의 여러 마을을 잇는 주요 도로를 따라 행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악과 산타크루스는 마린두케에서 가장 큰 마을로, 저녁에는 장님이던 병사 롱기누스가 창으로 예수를 찌르자 그 상처에서 떨어진 피로 시력을 회복하는 실제 사건을 재현한다.7. 2. 음악
마린두케는 크기에 따라 다른 음역대를 내는 두 조각의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인 '''칼루탕'''의 고향이다. 10명에서 12명으로 구성된 밴드는 이 악기로 음악을 만들 수 있다.[16] 2011년, ''칼루탕 악기''는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에 의해 필리핀의 무형 문화 유산 중 전통 공예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인용되었으며, 정부는 이를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할 수 있다.[17]8. 교통
마린두케 공항에서는 세부 퍼시픽 항공이 마닐라 직항 항공편을 운항한다. 마린두케 공항은 가산과 보악 사이의 마시가에 있다. 발라나칸 항구에서는 케손 주 루세나로 가는 배편이, 산타 크루즈 항구에서는 케손 주 제너럴 루나로 가는 배편(마니와야 섬 경유)이 매일 운항되며, 화물과 승객을 수송한다.[1]
9. 미디어
라디오 나틴 네트워크에서 운영하는 라디오 방송국 3곳과 국립 영양 위원회에서 운영하는 FM 누트리스쿠엘라 커뮤니티 라디오 방송국인 라디오 카말린디그 94.1 DZNS가 있다. 라디오 나틴 네트워크는 보악에서 호출 부호 DZVH (105.7 MHz), 산타 크루즈에서 호출 부호 DWMD (104.5 MHz), 토리호스에서 100.1 FM을 운영한다. 웹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주 및 국가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마린두케 뉴스 네트워크는 2018년 Lucky Seven Cable Services Corporation과 협력하여 지역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자체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는 2016년 로미오 마타악 주니어가 설립했으며 마린두케 보악에 있다.[18]
보악의 Lucky Seven Cable Services Corporation, Marinduque Cable Television, Inc., 산타 크루즈와 토리호스의 G.R. CATV Services 등 주 내 여러 자치구에서 케이블 제공업체와 지역 케이블 방송국이 운영되고 있다. 시그널 디지털 TV, 드림 새틀라이트 TV, G Sat, 스카이 다이렉트와 같은 가정 직접 수신(DTH) 위성 TV 배급업체도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10. 교육
마린두케주에는 마린두케 주립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과 기타 학교들이 있다.
|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위치 |
|---|---|---|
| 대학교 | 마린두케 주립대학교 | 보아크, 토리호스, 가산, 산타크루스 |
| 기타 학교 | 부야보드 예술 및 기술 학교(Buyabod School of Arts and Trades, BSAT) | 산타크루스 부야보드 |
| 교육 시스템 기술 연구소(Educational Systems Technological Institute, ESTI) | 보아크 무랄론 | |
| 등대 해양 학교(Lighthouse Maritime Schools, Inc., LMSI) | 보아크 | |
| 말린딕 연구소(Malindig Institute, MI) | 산타크루스 라푸라푸 | |
| 마린두케 미드웨스트 칼리지(Marinduque Midwest College, MMC) | 가산 딜리 | |
| 마린두케 빅토리안 대학교(Marinduque Victorian University, MVU) | 부에나비스타 | |
| 보아크 성 마리아 칼리지(Saint Mary's College of Boac, SMCB) | 보아크 이속 | |
| 산타크루스 연구소(Santa Cruz Institute, SCI) | 산타크루스 바나하우 | |
| 토리호스 포블라시온 예술 및 기술 학교(Torrijos Poblacion School of Arts and Trades, TPSAT) | 토리호스 포크토이 |
10. 1. 고등 교육
Marinduque State University, MSU영어는 다음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마린두케 주립대학교 보아크 탄자 본교
- 포크토이 농업대학 (토리호스 소재)
- 바누요 수산대학 (가산 소재)
- 마탈라바 마린두케 커뮤니티 대학교 (산타크루스 소재)
- 산타크루스 부속 학교 (산타크루스 소재)
그 외 마린두케 주에는 다음과 같은 학교들이 있다.
- 부야보드 예술 및 기술 학교(Buyabod School of Arts and Trades, BSAT) — 부야보드, 산타크루스
- 교육 시스템 기술 연구소(Educational Systems Technological Institute, ESTI) — 무랄론, 보아크
- 등대 해양 학교(Lighthouse Maritime Schools, Inc., LMSI) — 보아크
- 말린딕 연구소(Malindig Institute, MI) — 라푸라푸, 산타크루스
- 마린두케 미드웨스트 칼리지(Marinduque Midwest College, MMC) — 딜리, 가산
- 마린두케 빅토리안 대학교(Marinduque Victorian University, MVU) — 부에나비스타
- 보아크 성 마리아 칼리지(Saint Mary's College of Boac, SMCB) — 이속, 보아크
- 산타크루스 연구소(Santa Cruz Institute, SCI) — 바나하우, 산타크루스
- 토리호스 포블라시온 예술 및 기술 학교(Torrijos Poblacion School of Arts and Trades, TPSAT) — 포크토이, 토리호스
11. 저명한 인물
- 리카르도 자민 비달 추기경 - 세부의 명예 대주교는 1931년 2월 6일 모그포그에서 태어났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2-20
[2]
서적
Selected writings of Cecilio Lopez in Philippine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Archives of Philippine Languages and Dialect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3]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1898 Vol. 38
https://www.gutenber[...]
Arthur H. Clark Company
[4]
문서
Birtle, p. 272
[5]
문서
Foreman, J., 1906, The Philippine Islands, A Political, Geographical, Ethnographical, Social and Commercial History of the Philippine Archipelago,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6]
웹사이트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
https://marinduque.g[...]
2022-04-23
[7]
문서
"Pursuant to the authority conferred upon me as Head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y Order No. 1 in connection with Order No. 3 of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Imperial Japanese Forces in the Philippines and upon the recommendation of the Executive Commission it is hereby ordered that—
[8]
문서
Provisions of this order only apply for the duration of the Japanese occupation; revoked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Commonwealth in 1945.
[9]
웹사이트
Bagumbungan Cave: Travel Guide (Budget + Itinerary)
https://www.thepinay[...]
2019-05-28
[10]
웹사이트
"...: Bagumbungan Cave {{!}} Marinduque's Newest Attraction"
https://traveljepar.[...]
2020-12-15
[11]
간행물
"The U.S. Army's Pacification of Marinduque, Philippine Islands, April 1900 – April 1901"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1997-04
[12]
웹사이트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13]
웹사이트
My Marinduque | Travel Blog
http://www.travelblo[...]
[14]
웹사이트
Salita Blog: Tagalog verbs
http://salitablog.bl[...]
2007-03-30
[15]
웹사이트
Home
http://salitablog.bl[...]
[16]
뉴스
Unveiling other treasures of Marinduque
http://www.philstar.[...]
2012-04-15
[17]
웹사이트
ICHCAP | e-Knowledge Center
http://www.ichcap.or[...]
[18]
웹사이트
About Us
https://marinduquene[...]
Marinduque News Network
2016-03-06
[19]
웹인용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