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그누스 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그누스 효과는 회전하는 물체가 유체 속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체의 회전에 의해 유체 흐름이 바뀌면서 압력 차이가 생겨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 효과는 베르누이의 법칙과 유체 흐름의 편향, 쿠타-주코프스키 정리 등으로 설명된다. 마그누스 효과는 회전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회전 속도, 물체의 속도, 크기, 유체 밀도 등에 따라 힘의 크기가 달라진다.

마그누스 효과는 스포츠에서 널리 활용되는데, 축구의 스핀킥, 야구의 변화구, 탁구의 다양한 기술 등 회전하는 공을 사용하는 종목에서 공의 궤적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로터 선박, 풍력 발전기, 외부 탄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응용되며, 총알의 비행 경로와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체역학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마그누스 효과
개요
명칭마그누스 효과
로마자 표기Mageunuseu hyogwa
영문 명칭Magnus effect
원리
설명회전하는 물체가 공기 중에서 이동할 때, 물체 표면의 공기 흐름이 회전 방향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되어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현상
상세 원리
회전 방향과 공기 흐름회전하는 물체 표면의 한쪽에서는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반대쪽에서는 느려짐
압력 차이공기 흐름 속도 차이로 인해 물체 표면에 압력 차이가 발생
힘의 발생압력 차이로 인해 물체에 힘이 작용하여 물체가 회전 방향에 수직으로 굽은 궤적을 그림
응용
스포츠축구
야구
탁구
테니스
선박로터선
역사
발견자하인리히 구스타프 마그누스
발견 시기1852년
참고 문헌
서적공기역학의 역사

2. 마그누스 효과의 원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오른쪽으로 날아가는 공을 예로 들어 마그누스 효과의 원리를 설명한다. 공과 공기의 충돌로 인해 공의 이동 방향 반대쪽(왼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또한 공이 회전하기 때문에 공 표면에 아주 가까이 있는 공기는 공과 같은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200px


이때 공의 위쪽에서는 공에 가까운 공기와 주변의 기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갖게 된다. 반대로 공의 아래쪽에서는 공에 가까운 공기와 주변의 기류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갖게 된다. 베르누이 법칙에 따르면 유체(액체 또는 기체)에서 물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갖게 된 공 아래쪽의 압력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갖게 된 공 위쪽의 압력은 증가한다.

공의 위아래에 발생한 이 압력 차이가 양력을 발생시켜 공을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데, 이 힘을 마그누스 힘이라고 한다. 이 힘에 의해 공은 회전 방향(이 경우 아래쪽)으로 휘게 된다. 마그누스 효과는 물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든 작용할 수 있다.

회전하는 구나 원통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 따랐을 궤적에서 벗어나 휘어지는 현상은 마그누스 효과에서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는 축구, 배구, 야구, 크리켓 등 구기 종목에서 활용되며, 유도 미사일의 회전 효과 연구나 회전선, 플레트너 비행기 설계와 같은 공학적 용도로도 사용된다.

2. 1. 베르누이 원리와 압력 차이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르면 유체(액체 또는 기체)에서 물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그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압력은 감소하고, 반대로 물체의 속도가 감소하면 그 압력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이 오른쪽으로 날아갈 때, 공과 공기의 충돌로 공의 이동 방향 반대쪽(왼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공이 회전하기 때문에 공 표면에 가까운 공기는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공 위쪽에서는 공기와 주변 기류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갖게 된다. 반대로 공 아래쪽에서는 공기와 주변 기류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갖게 된다.[5]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공의 위아래에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공 아래쪽의 압력은 감소하고, 느린 공 위쪽의 압력은 증가한다. 이 압력 차이는 양력을 발생시켜 공을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데, 이 힘을 마그누스 힘이라고 한다. 이 힘으로 인해 공은 회전 방향(이 경우 아래쪽)으로 휘게 된다.[8]

회전하는 원통 주위의 퍼텐셜 흐름의 유선. 자유 와류의 동심원 유선이 균일한 흐름의 평행 유선에 중첩되었다.


정성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백스핀으로 던져진 공은 유체의 유속과 곡률 반지름에 따른 원심력이 작용한다. 회전하는 물체(회전체) 앞면에서는 유속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여 대기압보다 높아져 항력이 된다. 그러나 회전체 근처 상하부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구배로 인해 표면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또한, 공이 회전할 때 코리올리 힘이 작용하는데, 공 앞면의 침체점을 경계로 위쪽에서는 음의 값을 가져 원심력에 더해지고, 아래쪽에서는 양의 압력으로 원심력에서 빠진다. 그 결과, 음압의 절댓값이 위쪽이 아래쪽보다 커져 그 차이가 상향의 양력으로 나타난다.[41]

2차원 속도 포텐셜을 고려할 때, 일정 속도 또는 균일 유속을 ''U'', 유체의 밀도를 ρ라고 하면, 발생하는 힘 ''L''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L = \rho U \Gamma

이 식은 2차원 포텐셜에서 순환을 가지는 익형에 발생하는 양력의 식과 일치하며, 쿠타-주코프스키 정리라고 불린다.[41]

2. 2. 유체 흐름의 편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이 오른쪽으로 날아갈 때, 공과 공기의 충돌로 공기 흐름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공 표면 근처의 공기는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공 위쪽에서는 공기와 기류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속도가 느려지고, 아래쪽에서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속도가 빨라진다.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속도가 빠른 아래쪽 압력은 감소하고, 느린 위쪽 압력은 증가한다. 이 압력 차이로 양력이 발생하여 공이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이 힘을 마그누스 힘이라고 한다. 이 힘으로 공은 회전 방향(아래쪽)으로 휘어진다. 마그누스 효과는 물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든 작용할 수 있다.

회전하는 구나 원통이 궤적에서 벗어나 휘어지는 현상은 축구, 배구, 야구, 크리켓 등 구기 종목에서 활용된다. 유도 미사일의 회전 효과 연구나 회전선, 플레트너 비행기 설계와 같은 공학적 용도로도 사용된다.

구기 종목에서 탑스핀은 공의 상단 표면이 이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회전이다. 마그누스 효과로 탑스핀은 공을 더 크게 아래쪽으로 휘게 하고, 백스핀은 비행 시간을 연장하는 상향력을 발생시킨다.[2] 사이드스핀은 슬라이더처럼 측면으로 휘게 한다.[3] 이는 익형 주변의 거동과 유사하지만, 기계적 회전에 의한 순환을 사용한다.[4] 야구에서는 커브볼의 하향 이동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마그누스 효과. 역회전하는 원통이나 공이 기류 속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화살표는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양력을 나타낸다. 휘어진 유체선은 난류 후류를 나타낸다. 기류는 회전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공 주위를 흐르는 공기는 공 위쪽 기류의 속도를 높이고 아래쪽 기류의 속도를 낮추어 위쪽의 공기 속도를 높이고 아래쪽의 공기 속도를 낮춘다.


역회전하는 공은 양력이 발생하여 후류와 뒤쪽 기류가 아래쪽으로 휘고, 뉴턴의 운동 제3법칙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반작용력이 존재한다.[6][7]

원통 위쪽 유선은 아래쪽보다 가까워 공기가 더 빠르게 흐른다.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위쪽 압력이 아래쪽보다 낮아져 마그누스 힘은 수직 상향으로 작용한다.[12] 원통 바로 위 유선은 원통 반지름보다 약간 더 큰 반지름으로 휘어져 저압이 존재함을, 아래 유선은 더 큰 반지름으로 휘어져 위쪽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함을 의미한다.[13] 원통 위아래 공기는 아래쪽으로 휘어지며 압력 구배에 의해 가속되고,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뉴턴의 제3법칙은 마그누스 힘과 공기에 작용하는 아래쪽 힘이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임을 예측한다.

회전체가 점성 유체 속을 이동하거나 균일한 흐름 속에 있을 때, 회전축 벡터와 유체의 상대 속도 벡터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은 유체 밀도, 상대 속도, 회전 속도에 비례한다.

백스핀 공의 경우 유체는 유속과 곡률 반지름에 따른 원심력이 작용한다. 회전체 앞면(풍상 측)은 압력이 높아져 항력이 된다. 회전체 근처 상하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구배로 기압이 낮아진다. 회전 시 유체 전단 응력이 관여하는 표면 경계층 흐름과 주류에는 코리올리 힘이 작용한다. 침체점에서 경계층 흐름이 상하로 갈라지고, 코리올리 힘은 위쪽에서 음의 값으로 원심력에 더해지고, 아래쪽에서 양의 압력으로 원심력에서 빠진다. 결과적으로 음압 절댓값이 위쪽 > 아래쪽이 되어 상향 양력으로 나타난다.

2차원 속도 포텐셜에서 일정 속도 또는 균일 유속을 ''U'', 유체 밀도를 ρ라고 하면, 발생하는 힘 ''L''은 다음과 같다.[41]

:L = \rho U \Gamma

이는 2차원 포텐셜에서 순환을 가지는 익형에 발생하는 양력의 식과 일치하며, 쿠타-주코프스키 정리라고 불린다.

2. 3. 쿠타-주코프스키 정리

원통에서 회전으로 인한 힘은 쿠타-주코프스키 양력의 한 예이다. 이는 회전에 의해 생성된 와류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원통의 단위 길이당 양력 L^{\prime}은 자유흐름 속도 v_{\infty} (m/s), 유체 밀도 \rho_{\infty} (kg/m3), 그리고 점성 효과로 인한 순환 \Gamma의 곱이다.[37]

: L^{\prime}= \rho_{\infty} v_{\infty} \Gamma,

여기서 와류 세기(주변 유체가 미끄럼 방지 조건을 따른다고 가정하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Gamma = 2 \pi \omega r^2

여기서 ''ω''는 원통의 각속도(rad/s)이고 ''r''은 원통의 반지름(m)이다.

원통 또는 구형의 회전체가 점성을 가진 유체 속을 일정 속도로 이동하거나, 균일한 흐름 속에 놓여 있을 경우, 회전체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체의 회전축 벡터와 유체의 상대 속도 벡터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발생한다. 그 크기는 유체의 밀도, 회전체와 유체의 상대 속도, 그리고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비례한다.

정성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공을 백스핀으로 던졌을 경우, 공을 우회하는 유체에는 유속과 유체의 곡률 반지름에 따른 원심력이 작용한다. 회전체의 앞면(풍상 측)에서는 유속이 감소하는 대신 압력이 증가하여 대기압보다 높아지므로 항력이 된다. 그러나 회전체 근처의 상하부는 모두 원심력에 의한 압력 구배가 발생하여 표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더 나아가, 구가 회전할 때 유체의 전단 응력이 관여하는 표면 경계층의 흐름과 회전체를 우회하는 주류에는, 회전체의 좌표를 기준으로 코리올리 힘이 작용한다. 구의 앞면에서 유체의 운동량이 0인 지점인 침체점(stagnation point)에서 경계층의 흐름이 상하로 갈라지고, 그 침체점을 경계로 코리올리 힘은 위쪽에서는 음의 값을 가져 원심력에 더해지고, 아래쪽에서는 양의 압력으로 원심력에서 빼진다. 그 결과, 음압의 절댓값이 위쪽 > 아래쪽이 되고, 그 차이가 상향의 양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순환에 의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2차원 속도 포텐셜을 생각해 보면, 일정 속도 또는 균일 유속을 ''U'', 유체의 밀도를 ρ라고 하면, 발생하는 힘 ''L''은 다음 식으로 얻을 수 있다.[41]

:L = \rho U \Gamma

위 식은 2차원 포텐셜에서 순환을 가지는 익형에 발생하는 양력의 식과 일치한다. 이 식을 쿠타-주코프스키 정리라고 부른다.

3. 마그누스 힘의 크기

마그누스 힘은 회전하는 공의 회전각속도와 이동속도, 공의 반지름, 단면적, 그리고 공이 이동하는 유체의 밀도에 비례한다. 회전이 빠르거나, 공을 빠르게 던지면 그 힘의 크기가 커지고, 공이 클수록, 유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힘이 커지므로 마그누스 효과가 잘 나타난다.

:F = \frac{1}{2} \rho \omega r V A l


  • ''F'' = 마그누스 힘
  • ''ρ'' = 유체의 밀도
  • ''ω'' = 회전 각속도
  • ''r'' = 공의 반지름
  • ''V'' = 공의 속도
  • ''A'' = 공의 단면적
  • ''l'' = 상수


마그누스 효과 또는 마그누스 힘은 유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회전하는 물체에 작용한다. 예로는 야구의 커브볼이나 비스듬히 맞은 테니스공이 있다.[5] 회전은 물체와 유체 사이의 경계층을 변화시킨다. 힘은 상대적인 운동 방향에 수직이며 회전 방향, 즉 공의 "앞부분"이 향하는 방향으로 향한다.[5] 힘의 크기는 주로 회전 속도, 상대 속도 및 물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물체의 표면 거칠기와 유체의 점성에도 의존한다. 힘에 대한 정확한 정량적 예측은 어렵지만,[5] 다른 공기역학적 양력의 예와 마찬가지로 더 단순하고 정성적인 설명이 있다.

일반적으로 점성 효과를 포함하여 차원 분석을 통해 양력 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42]

:C_L = f(\alpha,Re)

  • C_L \equiv \frac{L}{\frac{1}{2}\rho U^2d} : 양력 계수
  • ''d'' : 원통의 지름
  • \alpha \equiv \frac{Nd}{U}: 회전 속도 비
  • ''N'' : 회전 속도
  • Re \equiv \frac{\rho Ud}{\mu} : 레이놀즈 수
  • μ : 점성 계수

4. 마그누스 효과의 역사

1852년에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구스타프 마그누스(Heinrich Gustav Magnus)가 마그누스 효과를 발표했다.[14][15][5] 1672년,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은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테니스 선수들을 관찰한 후 이 효과에 대해 추측했다.[16][17] 1742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탄도학 연구원이자 군사 기술자인 벤자민 로빈스(Benjamin Robins)는 회전하는 소총탄의 탄도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설명했다.[18][19][20][21]

1928년 매끄러운 회전 구를 사용하여 마그누스 효과에 대한 선구적인 풍동 연구가 수행되었다.[22] 라이먼 브리그스(Lyman Briggs)는 나중에 풍동에서 야구공을 연구했고,[23] 다른 연구자들은 이 효과의 이미지를 생성했다.[24][25][10] 연구 결과에 따르면 회전하는 공 뒤쪽의 난류 후류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발생시키고, 후류에서 눈에 띄는 각도 편향이 발생하며, 이 편향은 회전 방향과 같다.

5. 스포츠에서의 마그누스 효과

축구에서는 이 효과를 이용한 스핀킥이 있다. 스핀킥은 공을 찰 때 공에 회전을 주어 마그누스 효과를 발생시켜 수비수 근처에서 공의 궤적이 휘게 한다. 테니스나 배구에서는 공에 톱 스핀을 가하여 마그누스 효과를 준다. 이 때문에 공이 날아가다가 급격히 떨어진다. 골프에서 초보자들이 흔히 겪는 실수는 공에 회전을 주어 마그누스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이 목표 지점보다 크게 벗어나는 것이다.

야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각종 변화구를 던지며, 직구에도 이것이 적용된다. 직구는 백스핀이 걸린 채 비행하는데, 이때 백스핀으로 인한 마그누스 힘이 공을 위로 밀어 올린다. 이 효과가 강해지면 타자 입장에서는 공이 예상보다 덜 떨어지게 되고, 떠오르는 듯한 착시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커브는 탑스핀을, 슬라이더 등의 횡 변화구는 사이드 스핀을 걸어 마그누스 힘을 이용해 뚝 떨어지거나, 타자에게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공을 던지게 된다.[2] 슬라이더는 영어로 slider영어라고 표기한다.[3]

회전하는 구(또는 원통)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따랐을 궤적에서 벗어나 휘어지는 경우가 마그누스 효과에서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는 축구, 배구 선수, 야구 투수, 크리켓 투수들이 종종 사용한다. 따라서 이 현상은 많은 구기 종목의 물리학 연구에 중요하며, 유도 미사일의 회전 효과 연구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구기 종목에서 탑스핀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이 축은 이동 방향에 수직이고 공의 상단 표면을 이동 방향으로 움직인다. 마그누스 효과에 따라 탑스핀은 움직이는 공을 중력만으로 발생하는 것보다 더 크게 아래쪽으로 휘게 한다. 백스핀은 움직이는 공의 비행 시간을 연장하는 상향력을 발생시킨다.[2]

마그누스 효과와 로베르투 카를루스의 유명한 "바나나킥"


로베르투 카를루스는 "바나나킥"으로 유명하다.

마그누스 효과는 축구, 탁구,[26] 테니스,[27] 배구, 골프, 야구, 크리켓에서 회전하는 공의 전형적인 궤적이나 경로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편차를 설명한다.

"슬라이스" 또는 "훅"으로 알려진 골프공의 곡선 경로는 클럽 페이스 각도와 스윙 경로의 결합된 효과로 인해 공의 회전축이 수평선에서 기울어져, 마그누스 효과가 각도로 작용하여 공의 궤적에서 직선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것에 크게 기인한다.[28]

탁구에서 마그누스 효과는 공의 작은 질량과 낮은 밀도 때문에 쉽게 관찰된다. 숙련된 선수는 공에 다양한 회전을 줄 수 있다. 탁구채는 보통 고무로 만들어진 표면을 가지고 있어 최대한의 그립력을 제공하여 공에 회전을 가할 수 있다.

크리켓에서 마그누스 효과는 공에 가해지는 회전의 회전축에 따라 스핀 볼링에서 "드리프트", "딥", "리프트"로 알려진 움직임 유형에 기여한다.

에어소프트 건에서 홉업으로 알려진 시스템은 발사된 BB탄에 역회전을 만들어 골프와 비슷한 방식으로 마그누스 효과를 사용하여 사거리를 크게 늘린다.

야구에서 투수들은 종종 공에 다른 회전을 가하여 마그누스 효과로 인해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다. PITCHf/x 시스템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던져진 모든 투구에서 마그누스 효과로 인한 궤적 변화를 측정한다.[32]

경기구는 이전 경기구와 다른 마그누스 효과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이 공은 마그누스 효과가 적어 더 멀리 날아가지만 제어 가능한 곡선이 적다고 설명되었다.[33]

6. 기타 분야에서의 활용

마그누스 효과는 축구에서 감아차기를 설명할 때 많이 언급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로터 선박은 배의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여 배를 조종하는 한 예이다. 또한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풍력 발전기의 효율을 5~10배 늘리는 HAWE 시스템도 있다.

회전하는 구(또는 원통)가 회전하지 않을 때의 궤적에서 벗어나 휘어지는 현상은 마그누스 효과를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는 축구, 배구, 야구, 크리켓 등 다양한 구기 종목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는 투수가 던지는 커브볼은 공의 회전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슬라이더와 같이 옆으로 휘는 공도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3]

구기 종목에서 탑스핀은 공의 윗부분이 이동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회전으로,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공이 중력만 작용할 때보다 더 크게 아래쪽으로 휘게 만든다. 반대로 백스핀은 공의 비행 시간을 연장하는 위쪽 방향의 힘을 발생시킨다.[2]

마그누스 효과는 유도 미사일의 회전 효과 연구나 회전선, 플레트너 비행기 설계와 같은 공학적 용도로도 사용된다.

외부탄도학에서도 마그누스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비행 중인 회전하는 총알은 측풍의 영향을 받는데, 여기에 총알의 요잉 운동으로 인한 작은 측면 바람 성분이 더해진다. 이 두 효과가 결합되어 총알에 마그누스 힘이 작용하고, 이는 총알의 비행 경로를 위 또는 아래로 편향시켜 탄착점에 영향을 미친다.[34]

마그누스 힘은 총알의 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총알의 요각을 변화시켜 비행 경로를 안정화시키거나 불안정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압력중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압력중심이 중력중심보다 앞에 있으면 불안정화 효과가, 뒤에 있으면 안정화 효과가 나타난다.[36]

안톤 플레트너의 회전익 항공기


플레트너 로터가 장착된 E-Ship 1


일부 항공기는 날개 대신 회전하는 원통을 사용하여 마그누스 효과로 양력을 생성, 더 낮은 수평 속도로 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37]

회전자 선박은 돛 대신 플레트너 로터(Flettner rotor)라고 불리는 기둥 모양의 원통을 사용한다. 이 원통이 선박 갑판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측면에서 바람이 불 때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전진 추력이 발생한다. 회전자 선박은 바람이 불 때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모터 요트 ''Eclipse''에 대규모로 배치되는 등 활용 사례가 있다.[39]

독일의 과학자 안톤 플레트너(Anton Flettner)는 회전하는 원통을 돛 대신 장착한 배(로터선)를 설계·제작하여 1926년 5월 9일 뉴욕에 도착, 대서양 횡단 항해에 성공했다.[42] 플레트너는 로터 비행기도 제작했으나 비행 기록은 없다.

마그누스 효과는 BB탄을 사용하는 에어소프트건의 호프업 시스템에도 이용된다.

러시아에서는 이 효과를 응용한 풍차가 개발되었고, 2007년에는 스파이럴 마그누스 풍차를 이용한 풍력 발전 방식이 개발되었다.[42]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Aerodynamics McGraw-Hill 1984
[2] 웹사이트 Why are Golf Balls Dimpled? http://math.ucr.edu/[...]
[3] 웹사이트 The Curveball http://library.think[...]
[4] 서적 Aerodynamics Pitman Publishing 1975
[5] 논문 A review of the Magnus effect in aeronautics 2012-11
[6]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s John Wiley and Sons 1988
[7] 웹사이트 What is Lift? https://www1.grc.nas[...] 2024-09-20
[8]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s John Wiley and Sons 1988
[9] 논문 Inverse Magnus effect on a rotating sphere: when and why 2014-09-10
[10] 웹사이트 Wind Tunnel Photographs http://www.physics.u[...] Physics Department, University of Sydney 2013-02-10
[11] 서적 PHYSICS 1966
[12] 서적 PHYSICS 1966
[13] 논문 How do wings work? 2003-11
[14] 논문 Über die Abweichung der Geschosse 1852
[15] 논문 Ueber die Abweichung der Geschosse, und: Ueber eine auffallende Erscheinung bei rotirenden Körpern 1853-01
[16] 논문 A letter of Mr. Isaac Newton, Professor of the Mathematicks in the University of Cambridge; containing his new theory about light and colors: sent by the author to the publisher from Cambridge, Febr. 6. 1671/72; in order to be communicated to the R. Society 1672-02-19
[17] 서적 Isaac Newton Harper Fourth Estate 2004
[18] 서적 New Principles of Gunnery: Containing the Determinations of the Force of Gun-powder and Investigations of the Difference in the Resisting Power of the Air to Swift and Slow Motions J. Nourse 1742
[19] 웹사이트 Artillery Swings Like a Pendulum... http://www.napoleon-[...]
[20] 논문 Muskets and Pendulums: Benjamin Robins, Leonhard Euler, and the Ballistics Revolution 1994
[21] 논문 On the path of a rotating spherical projectile https://archive.org/[...] 1893
[22] 논문 Aerodynamics of a Spinning Sphere 1928-09
[23] 논문 Effect of Spin and Speed on the Lateral Deflection (Curve) of a Baseball; and the Magnus Effect for Smooth Spheres 1959-11
[24] 서적 See the Wind Blow 1971
[25] 서적 An album of Fluid motion 1982
[26] 웹사이트 Identifying The Magnus Effect in Table Tennis https://edgesandnets[...] 2021-04-23
[27] 논문 On the irregular flight of a tennis ball 1877
[28] 뉴스 Spin Axis https://blog.trackma[...] 2015-11-17
[29] 서적 Aerodynamics Pitman Publishing Limited 1975
[30] 잡지 Malinga's unique swing 2007
[31] 학회발표 Fluid Mechanics of Cricket Ball Swing Australasian Fluid Mechanics Society 2014
[32] 웹사이트 Determining Pitch Movement from PITCHf/x Data https://baseball.phy[...] 2012-10-18
[33] 방송 SBS 2010 FIFA World Cup Show interview 2010-06-22
[34] 웹사이트 Yaw of repose http://www.nennstiel[...] Nennstiel-ruprecht.de 2013-02-22
[35] 웹사이트 The mathematical modelling of projectile trajectories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ffects https://web.archive.[...] 2018-02-02
[36] 웹사이트 Conditions for Rocket Stability http://exploration.g[...] 2014-08-29
[37] 웹사이트 Lift on rotating cylinders http://www.grc.nasa.[...] NASA Glenn Research Center 2010-11-09
[38] 잡지 Whirling Spools Lift This Plane https://books.google[...] 1930-11-01
[39] 웹사이트 Quantum Rotary Stabilizers https://www.youtube.[...] 2009-06-02
[40] 서적 空力学の歴史 京都大学学術出版会
[41] 서적 流体力学(前編) 裳華房
[42] 서적 流体工学と伝熱工学のための次元解析活用法 共立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