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고슴도치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다가스카르고슴도치붙이는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으로 코모로, 세이셸, 레위니옹, 모리셔스에 도입되었다. 몸길이는 25–39cm이고 꼬리 길이는 0.5–1cm이며, 체중은 0.5–1.5kg으로 아프리카땃쥐목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숲이나 사바나에 서식하며 야행성이다. 잡식성으로 곤충류, 육생 조개류, 지렁이, 개구리, 소형 파충류, 소형 포유류, 과실 등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태생이며, 한 번에 평균 20마리, 최고 32마리의 어린 개체를 낳는다. 서식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8년 기재된 포유류 - 아메리카오소리
아메리카오소리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육식성 포유류로, 굴을 파는 데 유리한 형태와 강력한 앞발톱을 지니며, 초원 등지에 서식하며 주머니고퍼 등을 잡아먹고, 캐나다에서는 일부 아종이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는다. - 1778년 기재된 포유류 - 날쥐
날쥐는 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사는 캥거루와 비슷한 외형의 야행성 동물로, 뒷다리와 꼬리를 이용해 도약하며 굴을 파고 살고, 생물 발광성 털과 제한적인 귀 조직 재생 능력을 가진다. - 아프리카땃쥐목 - 메이저긴꼬리땃쥐텐렉
- 아프리카땃쥐목 - 큰귀텐렉
큰귀텐렉은 쥐와 비슷한 외형에 큰 귀와 긴 꼬리를 가진 동물로, 곤충을 먹고 살며, 낮은 신진대사율과 변온성을 보이고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된다.
마다가스카르고슴도치붙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enrec ecaudatus (Schreber, 1778) |
이명 | Tenrec ecaudatus (Schreber, 1778) |
분류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포유강 아강: 수아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아프로테리아상목 목: 아프리카땃쥐목 아목: 텐렉아목 과: 텐렉과 아과: 텐렉아과 속: 텐렉속 (Tenrec) |
한국어 이름 | 마다가스카르고슴도치붙이 |
영어 이름 | Common tenrec |
분포 | [[파일:Tenrec ecaudatus range map.svg|200px]] |
분포도 설명 | 텐렉의 분포 |
형태 | |
크기 | 26~39cm |
몸무게 | 2kg |
꼬리 | 1~1.5cm (거의 없음) |
생태 | |
서식지 |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제도 |
먹이 | 곤충, 무척추동물 |
습성 | 겨울잠을 잠 |
보전 상태 | |
IUCN | LC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0595/97204107 |
기타 | |
기생충 | Metacanthocephala |
2. 분포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이다. 코모로, 세이셸, 레위니옹(프랑스), 모리셔스에도 도입되었다.
몸길이는 25~39cm, 꼬리 길이는 0.5cm~1cm, 체중은 0.5kg~1.5kg이다. 아프리카땃쥐목에서 가장 큰 종이다. 온몸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꼬리는 매우 짧으며, 종소명 ecaudatus|에카우다투스la는 "꼬리가 없는"을 의미한다.
숲이나 사바나에 서식한다.[1] 야행성으로, 5월~12월의 건기에는 땅속에 숨어 휴면한다.[1] 외적에게 습격당하면 입을 크게 벌려 물어뜯고, 어린 개체는 등 쪽에 있는 바늘 모양의 체모를 상대에게 찌르거나 체모를 비벼 소리를 내어 어미에게 위험을 알린다.[1] 또한 외적의 소리를 들으면 움직임을 멈추고 주변에 녹아들어 눈에 띄지 않게 한다.[1]
3. 형태
입은 크다. 치열은 앞니 위턱 4개, 아래턱 6개, 송곳니 위아래 2개씩, 작은 어금니 위아래 3개씩, 큰 어금니 위아래 3개씩이다.
수컷의 송곳니는 1.5cm로 길며, 위턱 송곳니 앞부분에 움푹 들어간 곳이 있어 아래턱의 송곳니를 수납할 수 있다. 젖꼭지 수는 29개로, 포유강 중에서 가장 많다. 어린 새끼는 가시 모양의 털이 나며, 검은색과 흰색의 세로 줄무늬가 들어간다. 세로 줄무늬는 보호색이 된다고 생각된다.
4. 생태
4. 1. 식성
마다가스카르고슴도치붙이는 잡식성으로, 곤충류, 육생 조개류, 지렁이, 개구리, 소형 파충류, 소형 포유류, 과실 등을 먹는다.[1]
4. 2. 번식
태생으로, 한 번에 평균 20마리, 최고 32마리의 어린 개체를 낳는다.[1]
5. 인간과의 관계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4] 한국에서도 일부 애완동물로 기르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MSW3
Afrosoricida
[2]
간행물
Tenrec ecaudatus
2016
[3]
웹사이트
Tenrec ecaudatus (Tailless tenrec)
https://animaldivers[...]
[4]
웹사이트
Mammals may have slept through dinosaur extinction
https://www.australi[...]
Australian Geographic
2014-10-23
[5]
논문
Sur un singulier Métacanthocéphale parasite d'insectivores (Tenrecinae) de Madagascar et des Comores
https://www.parasite[...]
2020-02-09
[6]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7]
MSW3
Bronner
[8]
IUCN
Tenrec ecaudat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