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는 2세기 초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이자 115년 1월의 집정관이었다. 그는 115년 말 안티오키아 지진으로 사망했는데, 당시 그는 집정관직에서 물러난 상태였고, 트라야누스 황제의 수행단에 속해 있었다. 그의 이름은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었으며, 역사가들은 그의 가문을 추정하기 위해 이름의 의미를 분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으로 죽은 사람 - 크리스천 아추
가나의 축구 선수였던 크리스천 아추는 윙어로 활약하며 가나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였고, FC 포르투, 첼시 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알 라에드 FC, 하타이스포르를 거쳤으나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사망했다. - 지진으로 죽은 사람 - 지우다 아른스
브라질의 소아과 의사이자 사회 운동가인 지우다 아른스는 빈곤층 아동을 위한 공중 보건에 헌신하며 '파스토랄 다 크리안사'를 창립하여 영아 사망률 감소에 기여했으나, 아이티 지진 당시 인도주의적 활동 중 사망했다. - 2세기 로마인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로마인 - 폼페이아 플로티나
폼페이아 플로티나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아내이자 하드리아누스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피쿠로스 학파를 후원하고 황제 숭배 대상이 된 로마 황후이다. - 로마 제국의 집정관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로마 제국의 집정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 |
로마자 표기 | Marcus Pedo Vergilianus |
생몰년 | 서기 2세기 초 |
활동 시기 | 로마 제국 |
경력 | |
원로원 의원 | 로마 원로원 의원 |
집정관 | 115년 |
출신 가문 | 페도 가문 |
추가 정보 | 프리아무스의 역사에 등장 |
2. 생애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는 2세기 초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이었다.[15][1] 그는 115년에 집정관을 지냈으나,[15][1] 집정관직에서 물러난 그 해 말 안티오키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목숨을 잃었다.[17][3][18][4] 당시 안티오키아에는 트라야누스 황제 역시 파르티아 원정 준비를 위해 머물고 있었다.[17][3] 베르길리아누스는 사망 당시 집정관 신분은 아니었으며, 황제의 수행단 일원으로 도시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2][18][4]
2. 1. 집정관 경력
베르길리아누스는 2세기 초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이었다. 115년 그는 루키우스 빕스타누스 메살라를 동료 집정관으로 하여 1월 한 달 동안 직권 집정관 직무를 수행했다.[15][1] 베르길리아누스는 그 달 말에 자리에서 물러났고,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막시무스 세베루스 하드리아누스가 그의 뒤를 이어 메살라와 함께 4월 말까지 집정관직을 수행했다.[16][2]베르길리아누스는 115년 말 안티오키아를 강타한 지진 중에 사망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당시 트라야누스 황제는 파르티아 원정 준비를 위해 안티오키아에 머물고 있었는데,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도시에서 간신히 탈출했다.[17][3] 카시우스 디오는 베르길리아누스가 집정관 임기 중에 사망했다고 기록했지만,[18][4] 실제로는 후임자가 임명된 2월 이전에 이미 사임한 상태였고 지진은 12월 13일에 발생했다.[18][4] 따라서 베르길리아누스는 사망 당시 집정관 신분은 아니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의 수행단 일원으로 안티오키아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2. 2. 안티오키아 지진과 죽음
베르길리아누스는 115년 말 안티오키아를 강타한 지진으로 사망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진으로 도시와 주변 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당시 트라야누스 황제는 파르티아와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안티오키아에 있었는데, 그가 머물던 집의 창문으로 기어나와 가까스로 죽음을 면했으며, 경미한 부상만 입었다.[3]카시우스 디오는 베르길리아누스가 집정관 임기 중에 사망했다고 기록했으나,[4] 실제로는 그가 집정관직에서 물러난 후였을 가능성이 높다. 베르길리아누스는 후임자가 취임한 115년 2월 초까지는 집정관직에서 사임했을 것이 분명하며, 지진은 그 해 12월 13일에 발생했기 때문이다.[4] 따라서 베르길리아누스는 사망 당시 집정관으로 복무하고 있지 않았고, 트라야누스 황제의 수행단 일원으로 안티오키아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이름과 명명법
로마사에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물이지만,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는 그의 이름을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에 학계의 추가적인 조사를 받았다. 금석학 연구 결과, 그의 이름은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edo Vergilianusla) 또는 '마르쿠스 베르길리아누스 페도'(Marcus Vergilianus Pedola) 등 다양하게 나타났으며,[19][5] 때로는 단순히 '페도'(Pedola)[20][6]나 '베르길리아누스'(Vergilianusla)[21][7]로만 언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들이 그의 완전한 이름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페도'는 로마 이름에서 씨족 이름인 노멘 겐틸리키움이 아닌, 개인이나 가문의 별칭에 해당하는 코그노멘으로 여겨진다. '베르길리아누스'는 특정 씨족들(gentilicia|젠틸리키아la)이 공유하는 이름 형태이지만, 이 경우에는 베르길리아 씨족과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아그노멘(추가적인 코그노멘)일 수 있다.[22][8] 로마 제국 시대에는 귀족들이 여러 명문가의 후손임을 나타내기 위해 길고 복잡한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했으며, 편의상 이름을 축약하거나 순서를 바꾸기도 했다.[23][9]
이러한 이름의 불확실성 속에서 그의 가문에 대한 추론도 제기되었다. 역사가 베르너 에크는 2세기에 활동했던 포필리아 씨족 인물들과의 이름 유사성을 근거로 베르길리아누스가 포필리아 씨족 출신이며, 그의 전체 이름이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opillius Pedo Vergilianusla)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4][10] 이 견해는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25][11] 및 다른 학자들에게도 언급되었다.[22][8][26][12] 한편, 로널드 사임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절 처형된 '폼페이우스 페도'(Pompeius Pedola)라는 인물을 언급하며, 베르길리아누스가 폼페이우스 씨족에 속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27][28][13][14]
3. 1. 다양한 이름 표기
금석문 연구에 따르면, 그는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edo Vergilianusla) 또는 '마르쿠스 베르길리아누스 페도'(Marcus Vergilianus Pedola)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되었다.[5][19] 다른 비문에서는 단순히 '페도'(Pedola)[6][20] 또는 '베르길리아누스'(Vergilianusla)[7][21]라고만 언급되기도 한다.그러나 이러한 이름들이 그의 완전한 이름 체계를 이루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 않다. '페도'는 로마인의 성(姓)에 해당하는 코그노멘이며, 노멘 겐틸리키움(씨족 이름)은 아니다. '베르길리아누스'라는 이름 형태는 일부 씨족(gentiliciala)들이 공유했는데, 이는 아마도 베르길리아 씨족에서 유래했음을 나타내는 성의 한 형태인 아그노멘일 가능성이 있다.[8][22]
로마 제국 시대에는 로마 귀족들이 여러 명문 가문의 후손임을 나타내기 위해 길고 복잡한 이름을 갖는 경우가 흔했다. 이러한 이름들은 소유자의 의지에 따라 순서가 바뀌기도 했고, 편의를 위해 자주 축약되었다. 심지어 로마 공화정 시대에도, 널리 알려진 가문 출신 인물들의 경우, 가문 이름(노멘)을 통해 씨족을 쉽게 추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종종 생략되곤 했다.[9][23]
역사학자 베르너 에크는 베르길리아누스의 이름이 2세기에 활동했던 포필리아 씨족 인물들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147년 말의 집정관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카루스 페도, 191년의 집정관 포필리우스 페도 아프로니아누스(Popilius Pedo Apronianusla), 그리고 살리 팔라티니 사제단의 일원이었던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페도(Marcus Popilius Pedola) 등이 있다. 이를 근거로 에크는 베르길리아누스가 포필리아 씨족 출신이며, 그의 전체 이름은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opillius Pedo Vergilianusla)였을 것이라고 추론했다.[10][24] 이 추론은 ''로마 제국 인명 사전''(Prosopographia Imperii Romanila)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11][25] 올리 살로미에스(Olli Salomies)[8][22]와 로널드 사임[12][26] 역시 이 가능성을 언급했다. 한편, 사임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폼페이우스 페도'(Pompeius Pedola)라는 이름의 집정관이 처형된 사례를 들며, 베르길리아누스가 폼페이우스 씨족에 속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13][14][27][28]
3. 2. 이름의 의미와 가문 분석
금석문에서는 그의 이름이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edo Vergilianusla) 또는 '마르쿠스 베르길리아누스 페도'(Marcus Vergilianus Pedola)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5] 다른 비문에서는 단순히 '페도'(Pedola)[6] 또는 '베르길리아누스'(Vergilianusla)[7]라고만 언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이름들이 그의 전체 이름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페도'는 로마 이름에서 씨족 이름인 노멘 겐틸리키움이 아니라 개인이나 가문의 별칭에 해당하는 코그노멘이며, '베르길리아누스'는 특정 씨족들(gentilicia|젠틸리키아la)이 공유하는 이름 형태이지만, 이 경우에는 아마도 베르길리아 씨족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아그노멘(추가적인 코그노멘)으로 추정된다.[8]로마 제국 시대 귀족들은 여러 명문가의 혈통을 드러내기 위해 길고 복잡한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름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순서를 바꾸거나 편의상 줄여서 사용하기도 했다. 심지어 로마 공화정 시대에도, 널리 알려진 가문 출신 인물의 경우 씨족 이름(노멘 겐틸리키움)을 생략하기도 했다.[9]
역사가 베르너 에크는 베르길리아누스가 포필리아 씨족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베르길리아누스의 이름이 2세기에 활동했던 포필리아 씨족 인물들, 즉 147년 말 보좌 집정관(suffect consul)이었던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카루스 페도, 191년 집정관 포필리우스 페도 아프로니아누스(Popilius Pedo Apronianusla), 그리고 살리 팔라티니 사제단의 일원이었던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페도(Marcus Popilius Pedola)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따라서 에크는 베르길리아누스의 전체 이름을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Marcus Popillius Pedo Vergilianusla)로 추정했다.[10] 이 추론은 권위 있는 로마 인명 사전인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에도 반영되었으며,[11] Olli Salomies|올리 살로미스영어[8]와 로널드 사임 역시 주목했다.[12]
한편, 로널드 사임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 처형된 '폼페이우스 페도'(Pompeius Pedola)라는 이름의 집정관이 있었다는 점을 들어, 베르길리아누스가 폼페이아 씨족 출신일 가능성도 제기했다.[13][14] 이러한 이름 분석은 로마 제국 시대 귀족들의 복잡한 명명 관습과 가문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논문
Per una nuova edizione dei Fasti Potentini
[2]
서적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3]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4]
서적
Chronographia
[5]
간행물
CIL 6 43; CIL 6 44; CIL 6 791; CIL 6 1984; AE 1949 23, 2003 588, 2005 457
[6]
간행물
CIL 15 20; CIL 15 21; CIL 15 22
[7]
간행물
CIL 6 2411, 32637; CIL 6 31148
[8]
논문
Three Notes on Roman Nomina
[9]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10]
논문
PW, supplement 15 ("Popilius", Nos. 38a, b)
[11]
간행물
PIR2, P. 843
[12]
논문
Spaniards at Tivoli
[13]
서적
Apocolocyntosis
[14]
논문
Polyonymous Consuls
[15]
논문
Per una nuova edizione dei Fasti Potentini
[16]
서적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17]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8]
서적
Chronographia
[19]
간행물
CIL 6 43; CIL 6 44; CIL 6 791; CIL 6 1984; AE 1949 23, 2003 588, 2005 457
[20]
간행물
CIL 15 20; CIL 15 21; CIL 15 22
[21]
간행물
CIL 6 2411, 32637; CIL 6 31148
[22]
논문
Three Notes on Roman Nomina
[23]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24]
논문
PW, supplement 15 ("Popilius", Nos. 38a, b)
[25]
간행물
PIR2, P. 843
[26]
논문
Spaniards at Tivoli
[27]
서적
Apocolocyntosis
[28]
논문
Polyonymous Consu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