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그노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그노멘은 고대 로마 인명 체계에서 가문의 분파를 구분하거나 개인의 특징, 업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이름이다. 초기에는 신체적 특징이나 성격을 나타내는 별명으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가문의 분파를 구별하는 용도로 발전했다. 전쟁 영웅에게는 칭호 형식으로 수여되기도 했으며, 로마 공화정 후기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코그노멘 외에 개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용된 이름은 아그노멘이라고 불렸다. 현대 학계에서는 키케로, 카이사르 등 주요 로마인들을 코그노멘만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성씨나 별칭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용되며, 코사족, 요루바족 등 다른 문화권에서도 유사한 인명 체계가 나타난다. 한국의 전통적인 인명 체계는 코그노멘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본관, 자, 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코그노멘
로마사 정보
유형이름
문화권고대 로마
사용 시기고대 로마
목적개인 식별
구성 요소프라이노멘 (Praenomen)
노멘 (Nomen)
코그노멘 (Cognomen)
상세 정보
어원라틴어 'cognoscere'(알다, 인지하다)
의미가문의 별칭, 성씨
개인의 특징이나 업적을 나타내는 칭호
특징본래는 개인적인 별명에서 유래
시간이 지나면서 세습되는 경향
예시키케로 (Cicero): '병아리콩'
카이사르 (Caesar): '머리숱이 많은' 또는 '코끼리'
중요성로마 공화정 후기부터 개인 식별에 중요한 역할
가문 간의 연결고리 및 사회적 지위 나타냄
변형아그노멘 (Agnomen): 특별한 공훈을 기리기 위해 추가되는 칭호
참고여성은 일반적으로 코그노멘을 가지지 않음
노예는 코그노멘 대신 출신지를 나타내는 이름 사용

2. 로마 인명

고대 로마의 인명 체계는 프라이노멘(개인 이름), 노멘(씨족 이름), 코그노멘(분파/별명)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대 폼페이우스(Gnaeus Pompeius Magnusla)처럼 이름에 코그노멘이 붙는 경우도 있었지만,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같이 개인 이름과 씨족명만 가진 인물도 있었다.

2. 1. 코그노멘의 기원과 기능

라틴어 인명 '프라이노멘'의 제한적인 속성 때문에, '코그노멘'은 가문 내의 분가를 구분하기 위해 발전하였다. 이는 개인의 업적, 특히 전쟁에서의 업적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코그노멘 '마그누스'는 술라 독재정 시절 그가 이룬 승전을 통해 얻은 것이다.[4]

이미 코그노멘을 지닌 이들에게는 또 다른 전용 인명인 아그노멘이 부여되기도 했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는 아프리카 자마에서 한니발에게 승리한 후 '아프리카누스'라는 아그노멘을 받았다. 여기서 '아프리카누스'는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기보다는 '아프리카에서 얻은 명성'을 의미한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 (누미디아의 정복자)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 역시 비슷한 사례이다.[4]

대부분의 '코그노미나'는 신체나 성격적 특징을 기반으로 했다. 예를 들어 적발을 의미하는 '루푸스' 또는 왼손잡이를 뜻하는 '스카이볼라' 등이 있다. 몇몇 코그노멘은 세습되기도 했는데, 율리우스 씨족의 분가 중 카이사르, 유니우스 씨족 중 브루투스와 실라누스, 카이킬리우스 씨족 중 필리우스와 메텔루스 등이 그 예이다. 그 외에는 개별적 성향을 띠었으며, 동일한 인명들이 세습되지 않는 코그노멘인 아그노멘 그리고 프라이노멘으로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4]

예를 들어, '보피스쿠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레스 씨족에서 프라이노멘과 코그노멘 두 가지 용도로 쓰였다. 초기 황가인 클라우디우스 씨족 중 한 명인 네로처럼, 클라우디우스 가문은 전통적으로 세습되던 클라우디우스라는 코그노멘을 프라이노멘으로서 사용했다.[4]

로마 공화정 후기에는 코그노멘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로마 제국 초창기에는 코그노멘으로 형제를 구별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대 세네카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노바투스''',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소),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멜라'''와 같이 코그노멘으로 구별했다.

상류층은 서로를 지칭할 때 주로 코그노멘을 사용했다.[1] 현대 학계에서도 여러 주요 로마인들이 코그노멘만으로 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키케로는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카이사르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간략하게 지칭한다.

2. 2. 아그노멘

라틴어 인명인 '프라이노멘'의 제한적인 속성 때문에, 이미 코그노멘을 지닌 자들에게는 또 다른 전용 인명인 아그노멘이 부여되었다.[4] 아그노멘은 주로 개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는 아프리카 자마에서 카르타고 장군 한니발에게 승리한 뒤 '아프리카누스'라는 아그노멘을 부여받았다.[4] 여기서 아프리카누스는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기보다는 아프리카에서 얻은 그의 명성을 의미한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 (누미디아의 정복자)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도 이와 같은 경우이다.[4]

아그노멘은 코그노멘과 달리 세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2. 3. 현대의 사용

현대 학계에서는 키케로(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나 카이사르(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처럼 유명한 로마 인물을 코그노멘만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4] 이는 병아리콩을 뜻하는 '키케르'에서 비롯된 키케로나, 카이사르와 같이 그들의 코그노멘을 약칭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3. 현대적 용법

'코그노멘'(cognomen, 이따금 복수형으로는 cognomens)은 고대 로마에 관한 내용 외에 영어의 명사로서 사용되고 있다. 'Random House Dictionary' 2012년판에 따르면, 코그노멘은 'surname'(성씨) 혹은 특히 별칭 같은 '아무 인명'을 의미할 수 있다.[5][2] 영어에서 코그노멘의 근본적인 요점은 "그 자가 얼마나 잘 알려져 있는가"이다. 그 예시가 바로 앨프리드 대왕이다. (이 용례는 영어권에서 코그노멘 사용보다는 로마 시대의 아그노멘과 좀 더 유사하다)

라틴어 코그노멘에서 유래한 카탈루냐어의 '코그놈'(cognom) 그리고 이탈리아어의 '코뇨메'(cognome') 등은 성씨를 의미한다. 몰타어의 'kunjom'은 이탈리아어 코뇨메에서 비롯하였고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코그노멘이라는 용어는 씨족 구조와 고대 로마의 인명 체계에 비교할 만한 인명 부여 체계를 가진 문화권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습이 되는 코그노멘은 코사족 (이지두코), 요루바족 (오리키), 줄루족 (이지봉고) 등에서도 사용된다고 묘사된다.

참조

[1] 논문 A Note on the use of the ''Praenomen'' 1984
[2] 웹사이트 Cognomen http://dictionary.re[...]
[3] 논문 A Note on the Use of the Praenomen 1984
[4] 논문 A Note on the use of the ''Praenomen'' 1984
[5] 웹사이트 Cognomen http://dictionary.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