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71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와 엘리자베트 크리스틴 폰 브라운슈바이크의 딸로, 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로렌의 카를 알렉산더 공작과 결혼하여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사산 후 사망했다. 마리아 아나는 황실 묘소에 묻혔으며, 그녀의 남편은 총독으로 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합스부르크가 -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1701년)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황제 요제프 1세의 딸로 태어나 바이에른의 카를 알브레히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사후에는 자선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18세기 합스부르크가 - 파르마 피아첸차 공국
파르마 피아첸차 공국은 1545년 파르마와 피아첸차를 중심으로 설립되어 파르네세 가문, 스페인과 오스트리아 왕가, 나폴레옹과 마리 루이즈의 통치를 거쳐 1860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 네덜란드 총독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는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의 딸로, 알브레히트 7세 대공과 결혼하여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사후에는 총독으로서 통치하며 예술을 후원하고 세속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했다. - 네덜란드 총독 - 외젠 드 사부아 공자
외젠 드 사부아 공자는 수아송 백작 외젠 모리스와 올림피아 만시니 사이에서 태어난 삼남으로,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1744년 사망 - 알렉산더 포프
알렉산더 포프는 18세기 영국 대표 시인으로, 풍자와 기교로 이름을 알렸고, 고전 탐독과 작품 활동을 통해 사회 부조리를 풍자하고 인간 본성을 탐구했으며, 번역가와 편집가로도 활동하며 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 1744년 사망 - 안데르스 셀시우스
스웨덴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지질학자인 안데르스 셀시우스는 웁살라 대학교 천문학 교수이자 웁살라 천문대 설립에 기여했으며, 오로라와 지구 자기장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지구 모양 측정에 참여했고, 섭씨 온도 눈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그의 업적은 달의 셀시우스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남아있다.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71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마리아 안나 엘레오노어 빌헬미나 요제파 폰 합스부르크 |
출생일 | 1718년 9월 18일 |
출생 장소 | 빈, 호프부르크 왕궁 |
사망일 | 1744년 12월 16일 |
사망 장소 | 브뤼셀 |
매장지 | 빈, 황실 묘지 |
배우자 | 로트링겐 공자 카를 알렉산더 |
아버지 |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
직함 | |
직함 | 여대공 |
작위 | 로트링겐 공자비 |
직책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 |
2. 생애
마리아 아나는 빈의 호프부르크 궁전에서 태어났으며, 신성 로마 제국 카를 6세와 엘리자베트 크리스틴 폰 브라운슈바이크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었다. 아버지 카를 6세는 아들을 원했기 때문에 그녀의 출생을 반기지 않았다. 마리아 아나와 언니 마리아 테레지아는 카를 6세 부부의 자녀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두 명이었다. 두 자매는 빈의 황실 궁정(Kaiserhof)에서 함께 자랐다.
젊은 시절, 마리아 아나는 훗날 형부가 되는 로렌의 프란츠 슈테판과 그의 남동생 카를 알렉산더를 만났다. 이들은 어머니 오를레앙의 엘리자베스 샤를로트가 프랑스에 머무는 동안 교육을 받기 위해 오스트리아에 와 있었다.
1725년, 스페인의 여왕 엘리자베트 파르네세는 스페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마리아 아나를 당시 5세였던 파르마 공작 필리포와 결혼시키려 했다. 같은 해 4월 30일, 오스트리아-스페인 동맹이 체결되어 1713년 국사 조칙이 보장되었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아버지의 영토에 대한 장녀로서의 권리를 갖게 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스페인 왕위에 대한 모든 주장을 포기했고, 스페인은 오스트리아의 도움을 받아 지브롤터를 침공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영-스페인 전쟁으로 인해 엘리자베트 파르네세의 계획은 중단되었고, 세비야 조약 (1729년 11월 9일) 체결로 오스트리아-스페인 결혼 계획은 무산되었다.
마리아 아나는 형부 프란츠 슈테판의 동생이자 자신에게는 사돈이 되는 로트링겐 공자 카를 알렉산더와 사랑에 빠졌으나, 아버지 카를 6세는 더 중요한 정치적 혼처를 원했기 때문에 반대했다.
2. 1. 결혼과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 부임
마리아 아나는 형부 프란츠 슈테판의 동생이자 사돈이 되는 로트링겐 공자 카를 알렉산더와 성장하면서 사랑에 빠졌다. 아버지 카를 6세의 정치적 판단 때문에 두 사람의 결혼은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아버지 사후 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허락으로 1744년 1월 빈 아우구스티너 교회에서 결혼식이 이루어졌다. 이 결혼은 1월 8일에 서명된 특허장으로 인정받았다.[1]결혼 몇 주 후, 부부는 1741년에 사망한 이모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여대공의 뒤를 이어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744년 2월 3일 빈을 떠나 3월 24일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도시인 뷔스트웨젤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네덜란드 최고 의회의 일원인 카를 페르디난트 폰 쾨니히세그-에르프스 백작의 영접을 받았다. 그들의 도착은 테 데움, 무도회, 연회 등 많은 축하 행사와 함께 이루어졌다.
부부는 네덜란드에서 단 두 달 동안 함께 지냈는데, 남편 카를 알렉산더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떠났고, 첫 아이를 임신한 마리아 아나는 브뤼셀에 남았기 때문이다. 카를 알렉산더는 1744년 5월 4일에 공식적으로 전쟁터로 떠났다. 브뤼셀에 혼자 남은 마리아 아나는 오스트리아 정치가 벤첼 안톤 폰 카우니츠-리트베르크 백작의 도움을 받아 통치를 수행했다.
2. 2. 죽음
1744년 10월 9일 마리아 안나는 산통을 겪었고, 사산된 딸을 낳았다. 그녀는 회복하지 못하고 어려운 출산의 후유증으로 1744년 12월 16일에 사망했다. 그녀와 그녀의 딸은 빈의 황실 묘소에 묻혔다. 카를 알렉산더는 재혼하지 않았고, 1780년 사망할 때까지 총독으로 남았다. 그는 매우 인기 있는 총독이었으며, 그의 아내와 마찬가지로 브뤼셀에서 사망했다.3. 가계
마리아 아나는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와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제들 중 오빠 레오폴트 요한과 여동생 마리아 아말리아는 어려서 죽었고, 언니 마리아 테레지아와 마리아 아나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3]
16.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 | 8.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3세 | 17.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 |
---|---|---|---|
4.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 | 18.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 | 9.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 19.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타 |
2.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 | 20. 팔츠 백작 볼프강 빌헬름 | 10. 팔츠 선제후 필리프 빌헬름 | 21. 바이에른의 마그달레네 |
5. 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마그달레네 | 22. 헤센-다름슈타트 방백 게오르크 2세 | 11. 헤센-다름슈타트의 엘리자베트 아말리에 | 23. 작센의 소피아 엘레오노레 |
1.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안나 | 24.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아우구스투스 2세 | 12.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안톤 울리히 | 25. 안할트-체르프스트의 도로테아 |
6.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루이 루돌프 | 26.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노르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 13. 홀슈타인-노르부르크의 엘리자베트 율리아나 | 27. 안할트-체르프스트의 엘레오노어 |
3.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 28. 외팅겐-외팅겐 백작 요아힘 에른스트 | 14. 외팅겐-외팅겐의 알베르트 에른스트 1세 공작 | 29. 호엔로에-노이엔슈타인의 안나 도로테아 |
7. 외팅겐-외팅겐의 크리스티네 루이즈 공주 | 30. 뷔르템베르크 공작 에베르하르트 3세 | 15. 뷔르템베르크의 크리스티네 프리데리케 | 31. 잘름-키르부르크의 안나 카테리나 |
참조
[1]
서적
Maria Theresa, Biography of a Monarch
Schönbrunn Palace
2009
[2]
서적
Widowhood and visual culture in early modern Europe, Issue 7630
Ashgate Publishing Ltd.
2003
[3]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17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