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에다 오사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에다 오사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약한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테이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카이 대학에서 4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1987년 일본 대표팀에 선출되어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등에 출전했다. 1988년 전일본공수 요코하마 클럽에 입단하여 신인왕을 수상했고, 요코하마 플뤼겔스에서 J리그 선수로도 활약하며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다. 1996년 현역 은퇴 후에는 지도자 및 축구 스쿨 운영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스키가라 마사히로
스키가라 마사히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여러 클럽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일본 국가대표 B팀에 선발된 경력이 있고, 은퇴 후에는 고등학교 축구팀 감독을 맡았다. - 1988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황선홍
황선홍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4회 연속 월드컵에 출전하고 2002년 월드컵 4강에 기여했으며, J리그 득점왕, K리그 구단 감독, 아시안 게임 금메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 대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도카이 대학 동문 - 교토쿠 고지
교토쿠 고지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2008년 부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남아시아 축구 연맹컵 준결승 진출, 2003년 시미즈 에스펄스 감독으로 J리그컵 준결승과 천황배 준결승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도카이 대학 동문 - 야마시타 야스히로
야마시타 야스히로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무제한급 금메달리스트이자 203연승의 기록, 세계 선수권에서의 압도적 성적, 전일본 유도 선수권 9연패를 달성한 일본 유도계의 전설적인 인물이며, 은퇴 후에는 국제 유도계와 올림픽 운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요코하마 플뤼겔스의 축구 선수 - 나라자키 세이고
나라자키 세이고는 1988년 고베시 출생의 전 축구 선수로, 요코하마 플뤼겔스에서 데뷔하여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J리그 우승을 경험하고 일본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한 후 은퇴, 현재 나고야 그램퍼스 CSF로 활동하고 있다. - 요코하마 플뤼겔스의 축구 선수 - 소리마치 야스하루
소리마치 야스하루는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천황배와 아시아컵 위너스컵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 여러 팀에서 감독을 맡아 J1리그 승격과 J2리그 우승을 이끌며 J리그 어워즈 J2리그 우승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적인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는 시미즈 에스펄스 제너럴 매니저 축구사업본부장으로 활동 중이다.
마에다 오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사무 마에다 |
원어 이름 | 前田 治 |
로마자 표기 | Maeda Osamu |
출생일 | 1965년 9월 5일 |
출생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키 | 176cm |
포지션 | 공격수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데이쿄 고등학교 (1981-1983) 도카이 대학 (1984-1987) |
프로 클럽 | 요코하마 플뤼겔스 (1988-1996) |
클럽 출장 및 득점 | 164경기 45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88-1989)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14경기 6골 |
수상 경력 | |
소속팀 | 요코하마 플뤼겔스 |
준우승 | 1988/89 일본 사커 리그 |
우승 | 1993년 천황배 |
2. 선수 경력
마에다 오사무는 도카이 대학을 졸업하고 1988년 전일본공수(이후 요코하마 플뤼겔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1월 27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데뷔하여, 1990년 월드컵 예선에서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1]
2. 1. 클럽 경력
마에다 오사무는 1965년 9월 5일 후쿠오카현에서 태어나 도카이 대학을 졸업하고, 1988년 전일본공수(이후 요코하마 플뤼겔스)에 입단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현역 시절에는 빠른 돌파와 뛰어난 위치 선정 능력을 갖춘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2. 1. 1. 요코하마 플뤼겔스 (전일본공수 시절 포함)
마에다는 1988년 도카이 대학 졸업 후 전일본공수(이후 요코하마 플뤼겔스)에 입단했다. 첫 시즌에 팀은 2위를 차지했고, 그는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5] 1993년, 팀은 천황배에서 우승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1994-95년 아시안 컵 위너스 컵과 1995년 아시안 슈퍼컵에서 우승했다. 1996년에 은퇴했다.J리그 창설에 따라 요코하마 플뤼겔스로 개칭된 후에도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1993년 J리그 산토리 시리즈(1st 스테이지)에서는 시미즈 에스펄스와의 개막전부터 4경기 연속 골을 기록하는 등 활약으로 J리그 올스타 축구에도 출전했다.[6] 같은 해 천황배 준결승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는 선제골을 기록했고,[7] 결승전 가시마 앤틀러스전에서는 골을 넣지는 못했지만, 선제골이 되는 PK를 얻어내는 등,[8]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1996년에는 벤치 신세, 혹은 출전 명단에서 제외되는 등 출전 기회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 은퇴했다.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1988/89 | 전일본공수 | JSL 1부 | 22 | 10 | 22 | 10 | ||||
1989/90 | 16 | 3 | 3 | 1 | 19 | 4 | ||||
1990/91 | 16 | 3 | 4 | 1 | 20 | 4 | ||||
1991/92 | 7 | 0 | 1 | 0 | 8 | 0 | ||||
1992 | 요코하마 플뤼겔스 | J1 리그 | - | 9 | 3 | 9 | 3 | |||
1993 | 32 | 10 | 5 | 4 | 6 | 1 | 43 | 15 | ||
1994 | 39 | 11 | 2 | 0 | 2 | 0 | 43 | 11 | ||
1995 | 29 | 8 | 2 | 0 | - | 31 | 8 | |||
1996 | 3 | 0 | 0 | 0 | 4 | 0 | 7 | 0 | ||
합계 | 164 | 45 | 9 | 4 | 29 | 6 | 202 | 55 |
2. 2. 국가대표팀 경력
1988년 1월 27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데뷔했다. 1990년 월드컵 예선에 주전 선수로 출전하여, 1989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14경기에 출전해 6골을 기록했다.[1]1987년 일본 대표팀에 선출되어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아시아 1차 예선에 참가했다. 1988년 2월 2일 오만과의 친선 경기(무스카트)에서 득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본인의 일본 대표팀 첫 득점이자 일본 대표팀의 쇼와 시대 마지막 득점이었다. 1989년 1월 20일 이란과의 친선 경기(테헤란)에서는 2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첫 번째 골은 일본 대표팀의 헤이세이 시대 첫 득점이었다.
연도 | 출장 | 골 |
---|---|---|
1988 | 5 | 1 |
1989 | 9 | 5 |
총합 | 14 | 6 |
은퇴 후, 마에다 오사무는 요코하마 플뤼겔스/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주니어 유스를 지도했다.[4] 2003년에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F스포츠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현재는 마에다 오사무 F 축구 스쿨에서 아이들을 지도하고 있다.[4]
3. 은퇴 후 경력
도쿄도 조후시의 초등학교에 다녔던 인연으로, 현재 조후시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클럽 FC 도쿄의 TOKYO MX에서 제작하는 홈 경기 중계의 해설자를 맡고 있으며, 도쿄 주니치 스포츠에서는 FC 도쿄의 경기를 분석하는 칼럼을 담당하고 있다.[4]
은퇴 후 경력은 다음과 같다.연도 내용 1998년 요코하마 플뤼겔스 주니어 유스 코치 1999년-2000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주니어 유스 스가타 감독 2003년- 마에다 오사무 F. 축구 스쿨
4. 개인 수상
5. 통산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88 | 5 | 1 |
1989 | 9 | 5 |
합계 | 14 | 6 |
- 국제 A매치 14경기 6득점 (1988-1989)[3]
- 일본 대표팀 첫 출장 (국제 A매치): 1988년 1월 27일 vs 아랍에미리트전 (두바이)
- 일본 대표팀 첫 득점: 1988년 2월 2일 vs 오만전 (무스카트)[1]
5. 1. 클럽 기록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일본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1988/89 | 전일본공수 | JSL 1부 | 22 | 10 | 22 | 10 | ||||
1989/90 | 16 | 3 | 3 | 1 | 19 | 4 | ||||
1990/91 | 16 | 3 | 4 | 1 | 20 | 4 | ||||
1991/92 | 7 | 0 | 1 | 0 | 8 | 0 | ||||
1992 | 요코하마 플뤼겔스 | J1 리그 | - | 9 | 3 | 9 | 3 | |||
1993 | 32 | 10 | 5 | 4 | 6 | 1 | 43 | 15 | ||
1994 | 39 | 11 | 2 | 0 | 2 | 0 | 43 | 11 | ||
1995 | 29 | 8 | 2 | 0 | - | 31 | 8 | |||
1996 | 3 | 0 | 0 | 0 | 4 | 0 | 7 | 0 | ||
합계 | 164 | 45 | 9 | 4 | 29 | 6 | 202 | 55 |
- 기타 공식전
- * 1990년: 코니카 컵 6경기 3득점
5. 2. 국가대표팀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88 | 5 | 1 |
1989 | 9 | 5 |
합계 | 14 | 6 |
- 국제 A매치 14경기 6득점 (1988-1989)[3]
- 일본 대표팀 첫 출장 (국제 A매치): 1988년 1월 27일 vs 아랍에미리트전 (두바이)
- 일본 대표팀 첫 득점: 1988년 2월 2일 vs 오만전 (무스카트)[1]
5. 2. 1. 출전 대회
마에다는 1988년 1월 27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데뷔했다. 그는 주전 선수로 활약했으며, 1990년 월드컵 예선에도 출전했다. 1989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1]대회 | 내용 |
---|---|
J리그 첫 출장 · 첫 득점 | 1993년 5월 16일 시미즈 에스펄스전 (미쓰자와 공원 구기장) |
유스 | 일본 대표 |
유니버시아드 | 일본 대표 |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 예선 |
5. 2. 2. 경기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88 | 5 | 1 |
1989 | 9 | 5 |
합계 | 14 | 6 |
마에다는 1988년 1월 27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데뷔했다.[1] 그는 주전 선수로 활약했으며, 1990년 월드컵 예선에도 출전했다. 1989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1]
- 국제 A매치 14경기 6득점 (1988-1989)[3]
- 일본 대표팀 첫 출장 (국제 A매치): 1988년 1월 27일 vs 아랍에미리트전 (두바이)
- 일본 대표팀 첫 득점: 1988년 2월 2일 vs 오만전 (무스카트)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88년 1월 27일 | 두바이 | 아랍에미리트 | △1-1 | 요코야마 켄조 | 국제 친선 경기 | |
2. | 1988년 1월 30일 | 아부다비 | 아랍에미리트 | ●0-2 | 국제 친선 경기 | ||
3. | 1988년 2월 2일 | 무스카트 | 오만 | △1-1 | 국제 친선 경기 | ||
4. | 1988년 6월 2일 | 아이치현 | 미즈호 공원 육상 경기장 | 중국 | ●0-3 | 기린 컵 | |
5. | 1988년 10월 26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0-1 | 한일 정기전 | |
6. | 1989년 1월 20일 | 테헤란 | 이란 | △2-2 | 국제 친선 경기 | ||
7. | 1989년 5월 5일 | 서울 | 대한민국 | ●0-1 | 한일 정기전 | ||
8. | 1989년 5월 10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중국 | △2-2 | 국제 친선 경기 | |
9. | 1989년 5월 13일 | 오카야마현 | 오카야마현 종합 운동장 육상 경기장 | 중국 | ○2-0 | 국제 친선 경기 | |
10. | 1989년 5월 22일 | 홍콩 | 홍콩 | △0-0 | 월드컵 예선 | ||
11. | 1989년 5월 28일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 △0-0 | 월드컵 예선 | ||
12. | 1989년 6월 4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 | 월드컵 예선 | |
13. | 1989년 6월 11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인도네시아 | ○5-0 | 월드컵 예선 | |
14. | 1989년 6월 18일 | 아이치현 |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유니버 기념 경기장 | 홍콩 | △0-0 | 월드컵 예선 |
5. 2. 3. 득점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88 | 5 | 1 |
1989 | 9 | 5 |
합계 | 14 | 6 |
# | 년월일 | 개최지 | 대전국 | 스코어 | 결과 | 경기 개요 |
---|---|---|---|---|---|---|
1 | 1988년 2월 2일 | 오만, 무스카트 | 오만 | 1-1 | 무승부 | 친선 경기 |
2 | 1989년 1월 20일 | 이란, 테헤란 | 이란 | 2-2 | 무승부 | 친선 경기 (축구 일본 대표팀의 헤이세이 시대 첫 득점) |
3 | 1989년 1월 20일 | 이란, 테헤란 | 이란 | 2-2 | 무승부 | 친선 경기 |
4 | 1989년 5월 10일 | 일본, 도쿄 | 중국 | 2-2 | 무승부 | 친선 경기 |
5 | 1989년 5월 13일 | 일본, 오카야마시 | 중국 | 2-0 | 승리 | 친선 경기 |
6 | 1989년 6월 11일 | 일본, 도쿄 | 인도네시아 | 5-0 | 승리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마에다 오사무는 1988년 1월 27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데뷔했다.[1] 그는 주전 선수로 활약했으며, 1990년 월드컵 예선에도 출전했다. 1989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서적
Jリーグオフィシャルガイド1996
[3]
뉴스
前田 治
http://www.jfootball[...]
[4]
Youtube
前田治 帝京高校/高校サッカー/MXテレビ/FC東京ホットライン
http://www.youtube.c[...]
[5]
웹사이트
1988年JSL最終成績
http://www.geocities[...]
2013-09-06
[6]
웹사이트
Jリーグオールスターサッカー1993
https://data.j-leagu[...]
2024-04-12
[7]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1994-01-19
[8]
간행물
Jサッカーグランプリ
199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