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나카 키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나카 키누요는 일본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1909년 시모노세키에서 태어나 1977년 사망했다. 258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특히 미조구치 겐지, 오즈 야스지로 등 거장 감독들의 작품에서 뛰어난 연기를 선보였다. 1953년에는 영화 '사랑의 편지'로 감독 데뷔하여 6편의 영화를 연출했다. 그녀는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키네마 준보상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1974년에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했다. 다나카 키누요는 1985년부터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그녀의 이름을 딴 상이 제정될 정도로 일본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모노세키시 출신 - 마츠다 유사쿠
    마츠다 유사쿠는 재일 한국인 어머니와 일본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배우, 영화 감독, 가수로 활동했으며, 형사 드라마로 인기를 얻고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개성파 배우로 변신하여 할리우드에도 진출했으나 방광암으로 사망했다.
  • 시모노세키시 출신 - 하나하라 쓰토무
    하나하라 쓰토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플라이급 금메달리스트이자 일본체육대학 명예교수로, 일본 선수권 6연패 및 올림픽 금메달 획득으로 일본 레슬링 발전에 기여했으며 욱일중수훈장을 수훈받았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니콜 키드먼
    니콜 키드먼은 호주 영화로 데뷔하여 할리우드에서 성공을 거둔 호주계 미국인 배우이자 제작자로, 《디 아워스》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에미상과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과 영향력을 인정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시몬 시뇨레
    프랑스 배우 시몬 시뇨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뷔하여 `황금 투구`, `맨 위의 방`, `바보들의 배`, `마담 로자`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맨 위의 방`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등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극작 참여 및 사회적 활동도 활발히 펼쳤다.
  • 훈3등 서보장 수훈자 - 데즈카 오사무
    일본의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는 700권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시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 훈3등 서보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다나카 키누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나카 키누요, 인생의 짐 (1935년)
다나카 키누요 (인생의 짐, 1935년)
본명다나카 키누요
다른 이름다나카 킨카 (田中 錦華, Tanaka Kinka)
출생일1909년 11월 29일
출생지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세키고치 마을 (현재의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마루야마초)
사망일1977년 3월 21일
사망지일본 도쿄도 분쿄구 혼고
국적일본
직업배우, 영화 감독
활동 기간1924년 - 1976년
152 cm
활동
활동 내용1920년: 비파 소녀 가극단 입단
1924년: 쇼치쿠 시모가모 촬영소 입사
1925년: 쇼치쿠 가마타 촬영소 이적
1949년: 미일 친선 사절로 도미, 쇼치쿠 퇴사
1953년: 《연애 편지》로 첫 감독
1966년: 텔레비전 드라마 첫 출연
1977년: 사망
개인사
배우자시미즈 히로시 (1927년–1929년, 법적 결혼은 아님)
주요 작품 (출연)
주요 작품 (감독 및 출연)
수상
키네마 준보상 여우주연상1959년 《나라야마 부시코》
1975년 《산다칸 8번 창관 망향》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주연상1947년 《결혼》, 《불사조》, 《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1948년 《밤의 여인들》, 《바람 속의 암탉
1974년 《산다칸 8번 창관 망향》, 《삼파파》, 《내 가는 길》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조연상1957년 《여체는 슬프게》, 《지상》, 《이복 형제》
1960년 《오토토》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1975년 《산다칸 8번 창관 망향》
기타 수상훈3등 서보장 (1977년)
자수포장 (1970년)
예술선장 문부대신상 (1974년)

2. 생애

다나카 키누요는 1909년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비파를 배웠고, 1920년 오사카로 이주하여 비파 소녀 가극단에서 활동했다. 1923년 가극단 해산 후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24년 쇼치쿠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데뷔, 초기에는 시미즈 히로시와 고쇼 헤이노스케 감독의 작품에 출연하며 주목받았다. 1931년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토키 영화인 『마담과 부인』에 출연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하야시 쵸지로와 함께 『금색 야차』에 출연하여 콤비로 명성을 얻었다. 1938년 우에하라 켄과 공연한 『사랑의 붓꽃』은 큰 인기를 얻어 속편이 제작되기도 했다. 1940년에는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나니와 부인』에 출연하여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1949년 전후 첫 문화 사절단으로 미국을 방문했다가 귀국 후, 달라진 모습으로 인해 대중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52년 『사이카쿠 일대녀』에 출연하여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국제상을 수상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이후에도 미조구치 겐지 감독과 함께 『우게츠 이야기』, 『산쇼 대부』 등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명성을 이어갔다. 1953년에는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여 총 6편의 작품을 연출하며 "섬세한 연출"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77년 뇌종양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약 260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일본 영화계를 대표하는 배우로 활동했다. 사후에는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그녀의 이름을 딴 "다나카 키누요상"이 제정되었고, 2010년에는 시모노세키 시립 근대 선인 현창관(다나카 키누요 분카관)이 개관되는 등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909-1923)

1909년 11월 29일,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구메키치와 야스 다나카 부부의 아홉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2][5] 다나카 가문은 기모노 상인이었으나,[2] 1912년 아버지 구메키치가 사망한 후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5]

어려서부터 비파를 배웠고, 1919년에는 지쿠젠 비파의 미야자키 킨조에게 제자로 들어가 다나카 킨카라는 이름을 받았다. 1920년 오사카로 이주하여 비파 소녀 오페레타 극단에 합류했다.[2][6] 라쿠텐치 무대에 섰으며,[28] 영화관을 드나들며 영화 배우를 꿈꾸게 되었다. 1923년 가극단 해산 후, 배우가 되는 것을 허락받았다.

다나카의 첫 출연작은 1924년 쇼치쿠 스튜디오의 《겐로쿠 여자》(번역: "겐로쿠 시대의 여성")였다.[2]

2. 2. 배우 데뷔와 초기 활동 (1924-1930)

다나카는 1924년 쇼치쿠 시모가모 촬영소에 입사하여, 노무라 호테이 감독의 시대극 '겐로쿠 여자'로 영화계에 데뷔했다.[2] 이 영화에서 '개의 시녀' 역을 맡았는데, 주연 배우 야나기 사쿠코와 닮아 그녀의 뒷모습 대역도 함께 연기했다.[27] 같은 해 시미즈 히로시 감독의 '마을의 목장'에서는 주연으로 발탁되었다.[28]

1925년, 시미즈 감독의 작품 두 편에 조연으로 출연한 후, 촬영소가 쇼치쿠 가마타 촬영소로 옮겨가면서 다나카도 함께 이동했다.[29] 시마즈 야스지로 감독의 '용감한 사랑'에서 여동생 역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시마즈 감독의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순진한 딸 역할을 주로 연기했다.[27]

1927년, 고쇼 헤이노스케 감독의 '부끄러운 꿈'에서 기생 역으로 주연을 맡아 이 작품을 통해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29] 같은 해 17세의 나이로 준 간부로 승격되었으며,[30] 이케다 요시노부 감독의 '진주 부인'에서는 어릴 적부터 동경하던 배우 구리시마 스미코와 함께 출연하기도 했다.[29]

1928년부터는 우시하라 키요히코 감독, 스즈키 덴메이 주연의 청춘 영화에 출연하며 스즈키의 상대역을 맡았다. 이 해에만 16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고, 1929년에는 간부로 승진했다.[27]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초기작 '대학은 나왔지만'에서는 가련한 딸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나카는 '밝고 따뜻하게 미래를 바라본다'라는 쇼치쿠 가마타 영화의 이미지를 대표하며, 구리시마 스미코를 뛰어넘는 간판 스타로 자리매김했다.[31]

2. 3. 유성 영화 시대 (1931-1945)

1931년(쇼와 6년), 고쇼 히데오 감독의 일본 최초 본격적인 토키 영화 『마담과 부인』에 주연하여 그 달콤한 목소리로 전국 영화 팬들을 매료시켰다. 이 작품에서 뛰어난 기억력과 감각으로 자유자재로 대사를 구사한 다나카 키누요는 그 이후 무성 영화의 주역들을 대체하게 되었다. 1932년(쇼와 7년), 노무라 호테이 감독의 『금색 야차』에서 하야시 쵸지로와 공연하여 두 사람의 칸이치·오미야 콤비로 평판을 얻어, 어느 극장이나 매진될 정도로 대성황을 이루는 인기작이 되었다. 그 외 고쇼 감독의 『이즈의 무희』, 『인생의 짐』, 시마즈 야스지로 감독의 『춘금초(春琴抄) 오토와 사스케』 등에 주연하며, 토키 시대에도 가마타의 간판 스타로 계속 활약했다. 1933년 (쇼와 8년) 1월에는 대간부 대우[32], 1935년 (쇼와 10년)에 대간부가 되었다.

1936년 (쇼와 11년) 1월 15일에 촬영소가 가마타에서 오후나로 이전한 후에도, 쇼치쿠 삼우조의 우에하라 켄, 사노 슈지, 사부리 신 등을 상대역으로 하여, 잇따라 작품에서 히로인을 연기했다. 특히 1938년 (쇼와 13년)에 우에하라와 공연한 노무라 히로마사 감독의 멜로 드라마 『사랑의 붓꽃』은 공전의 대히트를 기록했고, 이후 4편의 속편이 제작되었다. 일부 언론에서는 " '다나카 키누요'라는 여배우를 일본의 모든 사람이 알게 된 것은 『사랑의 붓꽃』 시리즈에 출연한 이후"라고 평가하고 있다. 1940년 (쇼와 15년)에는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나니와 부인』에 주연하여, 미조구치 감독의 엄격한 요구에 부응하며, 스스로도 연기에 자신감을 깊게 했다.

2. 4. 전후 활동 (1946-1977)

각본가 요다 요시카타, 다나카 키누요와 미조구치 겐지가 1953년 파리를 방문


1949년 10월부터 다나카는 일본의 전후 첫 문화 사절단 중 한 명으로 3개월간 미국을 방문했다.[8] 귀국 후, 다나카는 미국의 문화적 매너리즘을 보였다며 많은 팬들의 반감을 샀다.[12] 그녀는 쇼치쿠를 사임하고, 프리랜서로 활동하겠다는 의사를 발표했다. 이후 나루세 미키오, 오즈 야스지로, 기노시타 케이스케, 고쇼 히데오 등과 함께 영화를 제작했다. 미조구치 겐지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그의 영화 15편에 출연했으며, 그 중 1952년 ''오하루의 일생'', 1953년 ''우게츠 이야기'', 1954년 ''산쇼 대부'' 등에서 주연을 맡았다. 현대극과 시대극을 아우르는 이 영화들의 반복적인 주제는 가족, 연인, 사회로부터 학대받는 여성의 운명이었다.[11] 다나카와 미조구치의 관계는 많은 추측을 불러일으켰으며,[8][6] 일본 영화 감독 협회가 닛카쓰 스튜디오에 그녀를 감독으로 고용하라고 추천했지만 미조구치가 이를 반대하면서 그들의 협력 관계는 끝났다.[13]

다나카의 고향에 있는 박물관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다나카 키누요 문화 박물관"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고바야시 마사키 감독은 그녀와 사촌지간이었으며,[8] 그녀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했다.[18] 1985년부터 여배우의 작품과 경력을 기리는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시상식에서 키누요 다나카상(田中絹代賞)이 수여되고 있다.

2012년 리즈 대학교에서 심포지엄과 회고전이 열리면서 다나카의 작품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다시 높아지기 시작했다.[19] 2018년에는 아이린 곤잘레스-로페즈와 마이클 스미스가 다나카의 작품과 삶에 대한 최초의 영어 컬렉션인 ''다나카 키누요: 국가, 스타덤, 여성 주체성''을 출판했다.[20]

2020년 로카르노 영화제의 예술 감독 릴리 힌스틴은 배우이자 감독인 다나카를 위한 대규모 회고전을 발표했지만,[21] 2021년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연기된 후 그녀가 영화제를 떠나면서 취소되었다.[22]

2021년, 다나카가 감독한 6편의 영화가 모두 칸 영화제와 리옹 영화제에서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으로 상영되었다.[23] 이 중 3편의 영화는 제34회 도쿄 국제 영화제에서 4K 복원판으로 상영되었다.[24]

『엄마(おかあさん)』(1952년) 오른쪽. 왼쪽은 카가와 쿄코


전후에도 쇼치쿠의 간판 여배우로서 주연 자리를 지켰다. 미조구치 감독의 『밤의 여인들』이나 오즈 감독의 『바람 속의 암탉』에서는 악역에 도전하여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1947년1948년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 연기상을 수상했다.

1949년 10월, 전후 첫 미일 친선 사절로 지명되어 쇼치쿠를 퇴사하고 도미하여 약 3개월간 현지에서 보냈다. 그러나 1950년 1월에 귀국했을 때, 다나카의 달라진 외모나 행동이 원인이 되어 많은 미디어와 팬들에게 대대적인 비난을 받았다. 몇 달간 가마쿠라에서 요양한 후, 같은 해 여름 무렵 신토호에서 오즈 감독의 『소오카타 자매』에 출연했고, 키노시타 케이스케 감독의 『약혼반지』를 촬영했다. 그러나 두 작품 모두 평판이 좋지 않았고, 특히 『약혼반지』는 미후네 도시로와 연인 역을 연기했지만, "노추함"이라고까지 혹평받았다.

여배우로서의 위기를 극복하게 해준 것은 다나카와 마찬가지로 슬럼프를 겪고 있던 미조구치 감독이었다. 1952년 『사이카쿠 일대녀』에 주연한 다나카는 오하루 역으로, 시녀에서부터 다양한 운명을 거쳐 창녀가 되어 노추함을 드러내는 한 여자의 일생을 연기했다. 작품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국제상을 수상했고, 다나카는 여배우로서 완전 부활을 이루었다. 미조구치도 동시에 슬럼프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고, 1953년 같은 콤비로 『우게츠 이야기』를 제작,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1954년에는 미조구치의 『산쇼 대부』와 『소문의 여자』에 출연했다.

『사랑의 편지』 로케이션 중인 다나카


1953년 2월, 니와 후미오 원작의 『사랑의 편지』로 영화 감독으로 진출할 것을 발표했다. 같은 해 12월에 감독 데뷔를 한 후, 10년간 쿄 마치코 주연의 『유전의 왕비』 등 총 6 작품을 찍었고, "섬세한 연출"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49년 10월 21일부터 미일 친선 사절로서 도미하여 약 3개월 동안 하와이와 할리우드를 순회하며 50회 이상의 공연을 했다. 하와이에서는 각지에서 환영의 레이를 목에 걸었으며, 전시 하에 차별받았던 일본계 미국인으로부터도 유달리 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할리우드에서는 영화 스튜디오 등을 견학하고 베티 데이비스, 실비아 시드니 등과 만나 조앤 크로퍼드의 촬영 등을 견학하거나 당시의 선진적인 메이크업 기술도 배웠다.

1950년 1월 19일 귀국했다. 출발 당시에는 호화로운 고대 무늬를 사용한 고소데 차림이었지만,[44] 귀국 시에는 갈색과 흰색의 애프터눈 드레스와 모피 하프 코트, 녹색 선글라스에 하와이 기념품인 레이를 걸치고 등장했다. 취재진에게 "헬로"라고 한마디 내뱉고 긴자 퍼레이드에서 키스 세례를 퍼부었다.[45] 이 모습과 행동으로 도미를 후원한 마이니치 신문을 제외한 언론으로부터 "미국 물이 든"이라는 비난을 받았으며, 일부 언론에서는 "아메숀 여배우" 등으로 묘사되었다.

다나카의 팬들도 "미국에 독이 들었다"며 맹반발했고, "총후를 지키는 기개 있는 일본 여성"의 이미지를 확립했던 국민적 여배우의 갑작스러운 변신에 패전으로 상처입고 빈곤한 상태에 있던 국민들은 당혹감과 분노를 느꼈다. 다나카는 그 이후 자살을 생각할 정도의 슬럼프에 빠졌다. 1951년 영화 잡지 《근대 영화》의 스타 인기 투표 여배우 부문에서 10위 안에도 들지 못해 톱스타의 지위를 잃었다. 당시 다나카는 지인에게 "팬레터가 한 통도 오지 않게 되었다"라고 털어놓았다고 한다.[47]

2. 5. 사후 (1977-현재)

1977년(쇼와 52년) 1월 12일 심한 두통으로 순텐도 병원에 긴급 입원하여 뇌종양 진단을 받고 며칠 후 시력을 잃었다. 3월 21일 오후 2시 15분에 뇌종양 악화로 사망[36]했다. 향년 67세. 입원 중 다나카는 문병 온 고바야시 마사키에게 "눈이 안 보이게 되어도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을까"라고 말하며 여배우 복귀를 소원했지만 이루지 못했다.

유작은 텔레비전 드라마 『전략 어머니께』이다. 평생 약 260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같은 해 3월 31일 쓰키지 혼간지에서 영화 방송인 장례가 치러졌고, 재종제인 고바야시 마사키가 상주, 기도 시로가 장례 위원장을 맡았다[37]조사는 일본 감독 협회 이사장 고쇼 헤이노스케 외 다카미네 미에코가 읽었다. 영화 방송 업계의 약 400명, 팬 약 3천 명이 참석[38]했으며, 모두 향불을 피우는 제단 위에 100엔짜리 동전을 놓아두었다고 한다[39]법명은 가령원석견방이다.

생전 "죽으면 어머니가 잠든 시모노세키에서 잠들고 싶다"고 희망[34]했기 때문에 묘소는 시모노세키시의 시모노세키 중앙 영원에 있다. 또한, 1979년 (쇼와 54년) 삼주기에는 고바야시 마사키에 의해 가나가와현가마쿠라시의 엔가쿠지에도 묘가 건립되어 분골되었다.

1985년 (쇼와 60년), 고바야시에 의해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 "다나카 키누요상"이 창설되어 영화계 발전에 기여한 여배우에게 수여하게 되었다. 제1회 수상자는 요시나가 사유리였다.

1986년 (쇼와 61년), 신도 카네토가 『소설 다나카 키누요』를 주간 요미우리에 연재했으며, 이듬해 1987년 (쇼와 62년)에 이를 원작으로, 이치카와 곤 감독, 요시나가 사유리 주연으로 『영화 여배우』로 영화화되었다.

1987년 (쇼와 62년), 시모노세키 시민들 사이에서 본격적인 현창 활동이 시작되었다. 시모노세키 등의 팬들에 의해 매년 기일인 3월 21일에 "하나아라시 기(花嵐忌)"라고 명명된 시민 묘참회가 시모노세키 중앙 영원(시모노세키시 이다)에서 열린다. 또한 같은 날 다나카 키누요 분카관에서 출연 영화 상영회가 개최되었다.

2000년 (헤이세이 12년), 『키네마 준보』가 발표한 "20세기의 영화 스타"에서, 유명인 선정 일본 여배우 부문에서 5위, 독자 선정 일본 여배우 부문에서 4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2014년 (헤이세이 26년)에는 같은 잡지의 "올타임 베스트 일본 영화 남우·여배우" 여배우 부문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

2009년 (헤이세이 21년),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상영회를 비롯한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 쇼치쿠는 키누요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키누요 100% 프로젝트"로서 작품 상영회, DVD 발매, CS 방송, 인터넷 배포 등 각종 이벤트를 개최했다.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필름 센터에서는, 9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약 4개월 동안 기획전 "탄생 백년 영화 여배우 다나카 키누요"에서 유품과 관련 자료를 전시했다. 같은 관은 10월 6일부터 11월 15일, 11월 17일부터 12월 27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대규모 특집 상영 "탄생 백년 영화 여배우 다나카 키누요(1), (2)"에서 출연작 및 감독작 총 97 작품을 상영했다. 제10회 도쿄 필름 멕스 영화제에서는, "일본★모던 1930 ~또 하나의 영화 황금기~"로서 다나카 키누요 출연작을 중심으로 특집 상영했으며, 특히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는 11월 29일에는 "키누요 DAY"로서 대표작을 상영했다. 이 외에도, 각지에서 특집 상영회가 열렸다.

2010년 (헤이세이 22년), 시모노세키 시의 구 체신성 시모노세키 전신국 전화과 청사의 건물에 시모노세키 시립 근대 선인 현창관(다나카 키누요 분카관)이 오픈했다. 세레모니에는 마츠자카 케이코, 오쿠다 에이지, 아베 신조 등이 참석했다.

3. 감독 활동

사랑의 편지 의상 맞춤 중 (왼쪽부터 카가와 쿄코, 하나오카 키쿠코, 쿠가 미치코, 다나카, 세키 치에코)


다나카 키누요는 1953년 사랑의 편지를 시작으로, 1962년 오긴 님까지 총 6편의 영화를 감독했다.

  • 사랑의 편지 (1953년, 신토호)
  • 달은 떠오른다 (1955년, 닛카츠)
  • 젖가슴이여 영원하라 (1955년, 닛카츠)
  • 유전의 왕비 (1960년, 다이에이)
  • 여자뿐인 밤 (1961년, 도쿄 영화)
  • 오긴 님 (1962년, 문예 프로)

3. 1. 감독 데뷔와 초기 작품 (1953-1955)

나루세 미키오 감독을 상담 상대로 하여 감독 데뷔를 준비하였고, 나루세의 お姉さん弟|오빠와 여동생일본어에 연출 견습으로 참여했다. 나루세 감독으로부터 "지금까지의 스타 의식을 버려라. 자가용으로 오지 마라. 촬영 30분 전에 준비하라. 촬영 중에는 앉지 마라" 등의 엄명을 받으며 약 50일 동안의 촬영 기간을 견뎠다[48]. 1953년 12월, 첫 감독 작품인 사랑의 편지를 공개하여 일본에서 두 번째 여성 감독이 되었다.

1954년 7월, 오즈 야스지로의 추천으로 두 번째 감독 작품인 달은 떠오르고 제작에 들어갔다. 그러나 5사 협정에 가맹하지 않은 닛카츠에서 제작했기 때문에 일본 영화 감독 협회 이사장인 미조구치에게 반대받았다. 다나카는 오즈의 협력으로 영화를 완성했지만, 이 일로 인해 미조구치와의 관계가 소원해졌다[48]. 여배우로서는 일류였지만, 영화 감독으로서는 그렇지 못하여 연출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촬영이 대폭 늦어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49][50].

1955년에는 달은 떠오르고와 영원한 유방을 감독하였다.

3. 2. 후기 작품 (1955-1962)


  • 1955년: 달은 떠오르고
  • 1955년: 영원한 유방
  • 1960년: 방랑의 왕비
  • 1961년: 밤의 여자들
  • 1962년: 십자가 밑의 사랑

4. 작품 목록

다나카 키누요는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출연작과 감독작을 남겼다.

4. 1. 출연 작품 (일부)

다나카 키누요의 출연 작품은 다음과 같다.
영화

}) || 미조구치 겐지 ||

|-

| 1948 || 바람 속의 암탉
(風の中の牝鶏|카제노 나카노 멘도리일본어) || 오즈 야스지로 ||

|-

| 1949 || 내 사랑은 불타고 있다
(わが恋は燃えぬ|와가 코이와 모에누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0 || 약혼 반지
(婚約指環|콩야쿠 유비와일본어) || 키노시타 케이스케 ||

|-

| 1950 || 무네카타 자매
(宗方姉妹|무네카타 쿄다이일본어) || 오즈 야스지로 ||

|-

| 1951 || 내궁 음모
(おぼろ駕籠|오보로 카고일본어) || 이토 다이스케 ||

|-

| 1951 || 긴자 화장
(銀座化粧|긴자 케쇼일본어) || 나루세 미키오 ||

|-

| 1951 || 오유님
(お遊さま|오유사마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1 || 무사시노 부인
(武蔵野夫人|무사시노 후진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2 || 사이카쿠 일대녀
(西鶴一代女|사이카쿠 이치다이 온나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2 || 어머니
(おかあさん|오카아상일본어) || 나루세 미키오 ||

|-

| 1953 || 굴뚝이 보이는 곳
(煙突の見える場所|엔토츠노 미에루 바쇼일본어) || 고쇼 헤이노스케 ||

|-

| 1953 || 우게츠 이야기
(雨月物語|우게츠 모노가타리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4 || 산쇼 대부
(山椒太夫|산쇼 다유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4 || 여자의 달력
(女の暦|온나노 코요미일본어) || 히사마츠 세이지 ||

|-

| 1954 || 소문의 여자
(噂の女|우와사노 온나일본어) || 미조구치 겐지 ||

|-

| 1956 || 아라시
(嵐|아라시일본어) || 이나가키 히로시 ||

|-

| 1956 || 흐르다
(流れる|나가레루일본어) || 나루세 미키오 ||

|-

| 1957 || 노란 까마귀
(黄色いからす|키이로이 카라스일본어) || 고쇼 헤이노스케 ||

|-

| 1957 || 의붓 형제
(異母兄弟|이보 쿄다이일본어) || 이에키 미요지 ||

|-

| 1958 || 피안화
(彼岸花|히간바나일본어) || 오즈 야스지로 ||

|-

| 1958 || 나라야마 부시코
(楢山節考|나라야마부시코일본어) || 키노시타 케이스케 ||

|-

| 1958 || 슬픔은 여자에게만
(悲しみは女だけに|카나시미와 온나 다케니일본어) || 신도 가네토 ||

|-

| 1960 || 그녀의 동생
(おとうと|오토토일본어) || 이치카와 곤 ||

|-

| 1962 || 방랑기
(放浪記|호로키일본어) || 나루세 미키오 ||

|-

| 1963 || 태평양 1인 항해
(太平洋ひとりぼっち|타이헤이요 히토리-봇치일본어) || 이치카와 곤 ||

|-

| 1963 || 사투의 전설
(死闘の伝説|시토노 덴세츠일본어) || 키노시타 케이스케 ||[26]

|-

| 1964 || 향화
(香華|코게일본어) || 키노시타 케이스케 ||

|-

| 1974 || 산다칸 8번 창관 망향
(サンダカン八番娼館 望郷|산다칸 하치반 쇼칸: 보쿄일본어) || 구마이 케이 ||

|-

| 1975 || 구로사와 아키라: 영화 감독의 삶
(ある映画監督の生涯 溝口健二の記録|아루 에이가-칸토쿠 노 쇼가이 미조구치 켄지 노 키로쿠일본어) || 신도 가네토 ||

|-

| 1976 || 기타의 곶
(北の岬|키타노 미사키일본어) || 구마이 케이 ||

|-

| 1976 || 대지의 자장가
(大地の子守歌|다이치노 코모리우타일본어) || 마스무라 야스조 ||

|}
TV 드라마

  • 1966년: 《두 사람의 별》(二人の星, 후타리노 호시) (TBS)
  • 1967년: 《모모타로 사무라이》(桃太郎侍, 모모타로자무라이) (NTV)
  • 1970년: 《모미의 나무는 남았다》(樅ノ木は残った, 모미노키와 노콧타) (NHK)
  • 1970년: 《내일의 행복》(明日のしあわせ, 아스노 시아와세) (NET)
  • 1971년: 《여인 헤이케》(女人平家, 뇨닌 헤이케) (ABC)
  • 1973년: 《단 한 사람의 반란》(たった一人の反乱, 탓타 히토리노 한란) (NHK)
  • 1974년: 《린 린 토》(りんりんと, 린린토) (HBC)
  • 1974년: 《자아네》(じゃあね, 자아네) (NHK)
  • 1975-1977년: 《전략 어머님》(前略おふくろ様, 젠랴쿠 오후쿠로사마) (NTV)
  • 1976년: 《환상의 마을》(幻の町, 마보로시노 마치) (HBC)
  • 1976년: 《구름의 융단》(雲のじゅうたん, 쿠모노 주탄) (NHK) - 내레이터
  • 1976년: 《석춘의 노래》(惜春の歌, 세키슌노 우타) (CBC)

4. 2. 감독 작품 (전체)


  • 사랑의 편지 (1953년, 신토호)
  • 달은 떠오른다 (1955년, 닛카츠)
  • 젖가슴이여 영원하라 (1955년, 닛카츠)
  • 유전의 왕비 (1960년, 다이에이)
  • 여자뿐인 밤 (1961년, 도쿄 영화)
  • 오긴 님 (1962년, 문예 프로)


5. 수상 내역

연도제목감독비고
1974삼파
1974산다칸 8번 창관
1972남자는 괴로워 10 - 토라의 꿈은★이루어진다!
1965붉은 수염구로사와 아키라
1929졸업했지만...
(大学は出たけれど|다이가쿠 와 데타케레도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1929숲의 대장장이
(森の鍛冶屋|모리노 카지야일본어)
시미즈 히로시
1930낙제했지만...
(落第はしたけれど|라쿠다이 와 시타케레도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1930진군
(進軍|신군일본어)
우시하라 키요히코
1931이웃의 아내와 나
(マダムと女房|마담토 뇨보일본어)
고쇼 헤이노스케
1932곤지키 야샤
(金色夜叉|곤지키 야샤일본어)
노무라 호테이
1932청춘의 꿈은 지금 어디에
(青春の夢いまいづこ|세이슌 노 유메 이마 이즈코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1933이즈의 무희
(恋の花咲く 伊豆の踊子|코이노 하나 사쿠 이즈노 오도리코일본어)
고쇼 헤이노스케
1933도쿄의 여인
(東京の女|토쿄노 온나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1933드래그넷 걸
(非常線の女|히조센노 온나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1934오사요의 사랑에 나타난 모습
(お小夜恋姿|오사요 코이 스가타일본어)
시마즈 야스지로
1935오코토와 사스케
(春琴抄 お琴と佐助|슌킨쇼 오코토토 사스케일본어)
시마즈 야스지로
1935인생의 짐
(人生のお荷物|진세이노 오니모츠일본어)
고쇼 헤이노스케
1938폭풍 속의 꽃
(愛染かつら|아이젠 카츠라일본어)
노무라 히로마사
1941장식 머리핀
(簪|칸자시일본어)
시미즈 히로시
1944육군
(陸軍|리쿠군일본어)
키노시타 케이스케
1944무사시
(宮本武蔵|미야모토 무사시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1945산쥬산겐도 통시야 이야기
(三十三間堂通し矢物語|산쥬산겐도 토시야 모노가타리일본어)
나루세 미키오
1946우타마로와 그의 다섯 여자
(歌麿をめぐる五人の女|우타마로 오 메구루 고닌노 온나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1947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女優須磨子の恋|조유 스마코노 코이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1948밤의 여인들
({{lang|ja|Yoru no onnatachi|}
연도작품
1947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주연상결혼, 불사조, 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1948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주연상밤의 여자들, 바람 속의 암탉
1957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조연상이복형제, 지상, 타유상보다 여체는 슬프게
1960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조연상오토토
1974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여우주연상산다칸 8번 창관
1958키네마 준보 여우주연상나라야마 부시코
1974키네마 준보 여우주연상산다칸 8번 창관
1974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산다칸 8번 창관
1974예술선장 문부대신상
1970자수포장
1977훈3등 서보장(사후 추증)


6. 평가와 영향

다나카 키누요는 평생 약 260편의 영화에 출연한 일본의 대표적인 여배우이다.[36] 1977년 뇌종양으로 사망할 때까지 왕성한 활동을 펼쳤으며, 사망 후에도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1985년에는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 "다나카 키누요상"이 창설되어 영화계 발전에 기여한 여배우에게 수여되고 있다. 1986년에는 신도 카네토가 『소설 다나카 키누요』를 연재했고, 1987년에는 이를 원작으로 한 영화 『영화 여배우』가 제작되었다.

2000년에는 『키네마 준보』의 "20세기의 영화 스타"에서 일본 여배우 부문 5위(유명인 선정)와 4위(독자 선정)에 올랐으며, 2014년에는 같은 잡지의 "올타임 베스트 일본 영화 남우·여배우" 여배우 부문에서 8위에 선정되었다.

2009년에는 탄생 100주년을 맞아 대규모 회고전과 각종 행사가 열렸다.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필름 센터에서는 유품과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출연작 및 감독작 총 97편을 상영하는 대규모 특집 상영회를 개최했다. 2010년에는 시모노세키시에 시모노세키 시립 근대 선인 현창관(다나카 키누요 분카관)이 개관하여 그녀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

다나카 키누요는 작품에 대한 열정으로 배역을 철저히 연구하고, 감독에게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배우였다. 구로사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미조구치 겐지, 나루세 미키오 등 일본 영화의 거장들이 앞다투어 기용한 몇 안 되는 여배우 중 한 명이었다.[36] 영화 평론가 니시무라 유이치로는 "시나리오에 적힌 배역을 그 근본까지 이해하고 한결같이 연기했다. 더욱이 숙고하여 새로운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에 거장들에게는 상상 이상의 효과를 가져다주는 귀한 여배우였다"라고 평가했다.

"다나카 키누요 기념 협회"의 사무국장은 30년 동안 다나카 키누요를 연구해 왔으며, "다나카는 키가 150cm밖에 되지 않고, 절세 미녀도 아니었다. 그러나 필사적으로 배역을 배우고,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와복(和服)의 옷자락 솜씨와 손놀림을 익혔다. 또한, 남성처럼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남성을 존중하면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을 실천한,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여배우였다"라고 평가했다.

7. 개인사

1909년 11월 29일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아버지 구메키치와 어머니 야스 사이의 4남 4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다. "비단떡처럼 하얀 피부가 되기를 바란다"는 뜻에서 "키누요"라는 이름을 얻었다.[27] 어린 시절 유복했으나, 1912년 아버지 사망 후 가세가 기울었다.[28] 1916년 가족과 오사카시로 이주, 병으로 인해 텐노지 보통 초등학교 3학년 편입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27]

어릴 적부터 비파를 배워 1919년 스승에게서 '다나카 킨카'라는 이름을 받았으나, 초등학교 여교사와의 갈등으로 자퇴했다.[27] 1920년 스승이 조직한 비파 소녀 가극에 참가, 라쿠텐치 무대에 섰다.[27][28]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배우를 꿈꿨으나, 어머니는 반대했다. 1923년 가극단 해산 후, 후견인의 설득으로 배우가 되었다.

1949년 10월 21일부터 미일 친선 사절로 미국을 방문, 하와이와 할리우드에서 공연하며 일본계 미국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44] 1950년 귀국 당시 화려한 복장과 "헬로"라는 인사, 긴자 퍼레이드에서의 키스 세례로 인해 "미국 물이 들었다"는 비난을 받았다.[44][45] 이로 인해 한동안 슬럼프를 겪었으며, 1951년 영화 잡지 인기 투표에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47]

10대 시절 시미즈 히로시 감독과 "시험 결혼"(동거)했으나, 1929년 관계를 해소했다.[51] 미조구치 겐지 감독과 15편의 작품을 함께하며 친분을 쌓았으나, 미조구치의 구애에도 불구,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았다.[51] 미즈하라 시게루와의 염문설도 있었으나, 평생 독신이었다.

1965년 파킨슨병에 걸린 형 간호를 위해 잠시 일을 쉬었다.[33] 197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산다칸 8번 창관 망향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34] 1977년 1월 12일 뇌종양 진단 후 투병 중 3월 21일 67세로 사망했다.[36]

8. 기타


  • 애견가로 알려져 자택에서 개와 고양이를 키웠다.
  • "하세가와 초지로" 시대의 하세가와 카즈오와 여러 번 공동 출연했으며, 다나카의 유품 앨범에는 그와 함께 찍은 투샷 사진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 우메즈 카즈오의 장편 대작 세례에는 주인공이 "다나카 키누요"와 공동 출연하는 부분이 있다.
  • 시모노세키 시립 근대 선인 현창관(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다나카 정)에는 "다나카 키누요 분카관"이라는 애칭이 붙어 있으며, 해당 관 2층에 다나카 키누요 기념관이 있다.[54]

참조

[1] 웹사이트 田中絹代 (Tanaka Kinuyo) http://www.kinenote.[...] 2022-01-02
[2] 웹사이트 田中 絹代 (Tanaka Kinuyo) https://kotobank.jp/[...] 2022-01-02
[3] 웹사이트 10 great films set in medieval Japan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3-01-04
[4] 웹사이트 Kinuyo Tanaka—Actress, Director, Pioneer https://harvardfilma[...] 2023-08-27
[5] 서적 日本映画俳優全集・女優篇 Kinema Junposha
[6] 서적 Tanaka Kinuyo:Nation, Stardom and Female Subjectiv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7] 서적 Tanaka Kinuyo:Nation, Stardom and Female Subjectiv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ese Cinema Scarecrow Press 2011
[9] 서적 The Cinema of Gosho Heinosuke: Laughter through Tear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10] 서적 Critical Handbook of Japanese Film Directors: From the Silent Era to the Present Day Stone Bridge Press 2008
[11] 웹사이트 'The Best Japanese Film of Every Year – From 1925 to Now'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1-01-20
[12] 서적 Tanaka Kinuyo:Nation, Stardom and Female Subjectiv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13] 문서 Tony Rayns video essays in the Masters of Cinema edition of The Crucified Lovers/The Woman in the Rumor.
[14] 웹사이트 With Lincoln Center's Kinuyo Tanaka Retrospective, One of Japanese Cinema's Best-Kept Secrets is Out https://www.vogue.co[...] 2022-03-19
[15] 웹사이트 Kinuyo Tanaka, A Pioneer of Japanese Cinema https://www.festival[...] 2021-12-03
[16] 서적 Directory of World Cinema: Japan2 Intellec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웹사이트 Prizes and Honours 1975 https://www.berlinal[...] 2022-01-02
[18] 서적 A Dream of Resistance: The Cinema of Kobayashi Masaki Rutgers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Leeds IFF 2012: Tanaka Kinuyo Workshop https://globalfilmbo[...] 2012-11-05
[20] 웹사이트 Edinburgh University Press Books https://edinburghuni[...]
[21] 웹사이트 Locarno to fete Japan's Kinuyo Tanaka in first retrospective devoted to female filmmaker https://www.screenda[...]
[22] 웹사이트 Tanaka Kinuyo will not appear at Locarno https://itpworld.wor[...] 2021-03-13
[23] 웹사이트 Tokyo Festival Honors Japan's Pioneering 1950s Female Filmmaker Kinuyo Tanaka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21-12-04
[24] 웹사이트 Main Section https://2021.tiff-jp[...] Toky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2-01-02
[25] 웹사이트 ja:田中絹代 (Tanaka Kinuyo) http://www.jmdb.ne.j[...] Japanese Movie Database 2009-12-05
[26] 웹사이트 死闘の伝説 https://eiga.com/mov[...] 2023-07-03
[27] 문서 『写真集日本の女優 銀幕に咲いた美しいスターたち』p.45
[28] 문서 今村昌平著『無声映画の完成』p.12
[29] 문서 古川薫著『花も嵐も 女優・田中絹代の生涯』p.76
[30] 문서 『松竹九十年史』p.239
[31]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田中絹代」の項 https://kotobank.jp/[...]
[32] 문서 『松竹九十年史』p.245
[33] 웹사이트 下関市立近代先人顕彰館(田中絹代ぶんか館)のウェブサイトの春季所蔵品展「絹代と先帝祭」のページより。 https://kinuyo-bunka[...]
[34] 웹사이트 NPO法人 田中絹代メモリアル協会とは https://web.archive.[...]
[35] 문서 倉本聰『愚者の旅 わがドラマ放浪』理論社、2002年、p.137
[36] 서적 花も嵐も 女優・田中絹代の生涯
[37] 간행물 芸能 第19巻
[38] 뉴스 青鉛筆 朝日新聞 1977-04-01
[39] 서적 日本の生死観大全書
[40] 서적 今日はお墓参り 平凡社 1999
[41] 웹사이트 オールタイム・ベスト10 日本映画男優・女優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2016-09-23
[42] 웹사이트 田中絹代 生誕100年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www.shochiku.[...]
[43] 서적 激動の昭和を生きる
[44] 웹사이트 名誉館長のつぶや記20 - 下関市立近代先人顕彰館 田中絹代ぶんか館 http://kinuyo-bunka.[...]
[45] 서적 戦後風俗史
[46] 문서 暁に祈る
[47] 서적 君美わしく 戦後日本映画女優讃 文藝春秋社 1996
[48] 간행물 田中絹代 新書館 1996
[49] 웹사이트 田村正和さん「家に帰りたい、学校に行けない」忙しすぎた “泣き虫俳優” 時代 https://www.jprime.j[...] 2021-09-05
[50] 웹사이트 田村正和さん「家に帰りたい、学校に行けない」忙しすぎた “泣き虫俳優” 時代 ページその2 https://www.jprime.j[...] 2021-09-05
[51] 서적 邦画の昭和史 新潮新書 2007
[52] 웹사이트 絹代の生涯【1933年〜1962年】 - 田中絹代メモリアル協会 http://www.kinuyo.in[...]
[53] 간행물 情熱と根性で芸域広げる 田中絹代 キネマ旬報社 1997
[54] 웹사이트 ドリームシップ6月号 https://s-dreamship.[...] 202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