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너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밀어내는 현상으로, 1933년 발터 마이스너와 로베르트 오크센펠트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효과는 초전도체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과 함께 초전도체를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런던 방정식으로 현상론적으로 설명되며, 힉스 메커니즘과 연관되어 게이지장의 질량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기 부상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자기 부상 - 초반자성
초전자성은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완전히 배척하는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초전도체 표면의 차폐 전류가 외부 자기장을 상쇄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자기선속 침투를 막는 현상을 기술한다. - 공중 부양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공중 부양 - 초반자성
초전자성은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완전히 배척하는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초전도체 표면의 차폐 전류가 외부 자기장을 상쇄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자기선속 침투를 막는 현상을 기술한다. - 초전도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초전도 - 고온 초전도체
고온 초전도체는 액체 질소 온도 이상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로, 구리 산화물 발견 이후 다양한 물질이 개발되었지만 작동 메커니즘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전자-전자 상호작용이 중요하고 송전, 의료, 자기부상열차 등에 응용될 잠재력을 가진다.
마이스너 효과 | |
---|---|
현상 개요 | |
이름 | 마이스너 효과 |
다른 이름 | 마이스너-옥센펠트 효과 |
로마자 표기 | Maiseuneo Hyogwa |
독일어 이름 | Meißner-Ochsenfeld-Effekt |
일본어 이름 | マイスナー効果 (Maisunā Kōka) |
발견 | 1933년 |
발견자 | 발터 마이스너 로베르트 오흐젠펠트 |
관련 현상 | 초전도 현상 |
설명 | 특정 물질이 초전도체 상태로 전이될 때, 내부의 자기장을 밀어내는 현상 |
추가 설명 | 초전도체 내부에서 자기장이 0이 되는 완전 반자성 상태를 의미 |
![]() | |
물리학적 특성 | |
완전 반자성 |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완벽하게 밀어내는 성질 |
임계 자기장 | 초전도 상태가 파괴되는 특정 자기장 세기 |
침투 깊이 | 자기장이 초전도체 표면에서 얼마나 깊이 침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
BCS 이론 | 쿠퍼 쌍 형성을 통해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 |
2. 역사
1911년 네덜란드의 과학자이자 레이던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인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절대온도 4.2K(영하 268.8도)에서 수은의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워지는 초전도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0일 뿐만 아니라, 내부 자기장도 0으로 유지되는 초반자성(완전 반자성)을 띤다. 이는 자기 감수율 = −1로 표현된다.[14] 1931년 발터 마이스너와 오센펠트가 이 현상을 발견했다.
1931년 독일의 물리학자 발터 마이스너와 로베르트 오크센펠트는 초전도체에서 전기 저항뿐만 아니라 내부의 자기장도 완전히 없어지는 완전반자성의 성질을 발견했다. 1933년에 발터 마이스너의 조수였던 로베르트 오크센펠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마이스너와 오크센펠트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다.[13]
마이스너 효과의 발견은 1935년 프리츠 런던과 하인츠 런던 형제에 의해 현상론적 초전도 이론으로 이어졌다. 이 이론은 저항 없는 수송과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했으며, 초전도 현상에 대한 최초의 이론적 예측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실험 관측만을 설명했을 뿐, 초전도 특성의 미시적 기원을 밝히지는 못했다. 이는 1957년 BCS 이론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침투 깊이와 마이스너 효과가 그 결과로 나타났다.[5] 그러나 일부 물리학자들은 BCS 이론이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6]
3. 이론
전기저항이 0인 물질에 자기장을 걸면 렌츠의 법칙에 따라 표면에 차폐 전류가 유도되어 외부 자기장을 상쇄한다. 그러나 마이스너 효과는 단순히 자기장이 보존되는 것이 아니라, 초전도체 내부 자기장이 0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초전도 상태로 전이될 때 외부 자기장을 밀어내어 내부 자속을 0으로 만든다.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 초전도체를 냉각 후 자기장을 가하면,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자기장 침투를 막는다. 이때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자기장의 시간 변화는 0이 되며(),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 자기장이 있는 상태에서 초전도 상태로 전이되면, 자기장이 밀려나며() 이는 전자기 유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마이스너 효과는 완전 도체와 구별되는 초전도체의 고유한 특성이다.
일반 물질의 반자성은 전자의 궤도 스핀에 의한 것이지만, 초전도체의 완전 반자성은 차폐 전류에 의한 것으로 그 기원이 다르다.
마이스너 효과는 1935년 프리츠 런던과 하인츠 런던 형제에 의해 현상론적으로 설명되었다.
3. 1. 런던 방정식
런던 형제는 초전도체에서 전자기 자유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 조건은 다음과 같은 런던 방정식으로 표현된다.[1]
:
여기서 '''H'''는 자기장이고, λ는 런던 침투 깊이이다.[1] 이 방정식은 초전도체 내부의 자기장이 표면에서부터 지수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예측한다.[1]
런던 침투 깊이 내의 표면 근처에서는 자기장이 완전히 상쇄되지 않는다.[1] 각 초전도 물질은 고유한 침투 깊이를 갖는다.[1]
3. 2. 완전 반자성 (Perfect Diamagnetism)
마이스너 상태의 초전도체는 완전 반자성 또는 초반자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초전도체 내부 깊숙이(표면으로부터 여러 침투 깊이)에서 총 자기장이 0에 매우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부피 자기 감수율 = −1임을 의미한다.[14] 반자성체는 가해진 자기장의 방향과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물질의 자발적인 자화로 정의된다. 그러나 초전도체와 일반 물질에서의 반자성의 근본적인 기원은 매우 다르다. 일반 물질에서 반자성은 가해진 자기장의 적용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유도된 원자핵 주위의 전자의 궤도 스핀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다. 초전도체에서 완전 반자성의 환상은 가해진 자기장에 반대하기 위해 흐르는 지속적인 차폐 전류(마이스너 효과)에서 비롯되며, 궤도 스핀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전기저항이 0인 물질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렌츠의 법칙에 의해 차폐 전류가 유도된다. 이 차폐 전류는 물질 표면에 흐른다. 그리고 걸어준 자기장과 크기는 같지만 반대 방향의 유도 자기장을 만들어, 결국 물질 내부에는 본래 갖고 있던 자기장 외에 걸어준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초전도체 역시 전기저항이 0이므로 이 현상을 만족한다. 즉, 전기저항이 0인 물질 내부를 침투하는 자속은 외부에서 어떠한 자기장을 걸어주더라도 그 값이 보존된다. 하지만 1931년에 발견된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체 내부의 자속은 단순히 일정한 값으로 보존되는 것이 아닌 0으로 보존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질이 초전도 상태로 전이될 때 외부에서 임계 자기장보다 작은 어떠한 자기장을 걸어주더라도 초전도체는 그것들을 모두 밀어내어 침투하는 자속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단순히 전기저항이 0인 상태와, 마이스너 효과를 띠는 초전도체의 차이는 여기서 나타난다.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초전도 물질을 냉각하고, 초전도 상태가 된 후 외부 자기장을 가하기 시작하면 자기장은 초전도체 내부로 침투하지 않는다. 이는 마이스너 효과라는 것을 생각하지 않아도 전자기 유도의 법칙만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0이므로, 외부 자기장을 가하는 순간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그 유도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이 외부 자기장을 상쇄시킨다.
다시 말해 전기 저항이 0이므로, 맥스웰 방정식에서 예상되는 자기장의 시간 변화는 다음과 같다.
즉,
가 되어, 초기 상태를 보존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먼저 외부 자기장을 걸어 물질 내부에 자기장이 있는 상태로 만든 다음, 물질을 냉각하여 초전도 상태로 만들면, 초전도 상태가 되는 순간 자기장이 물질 외부로 밀려난다. 이 현상은 전자기 유도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마이스너 효과는 완전 도전성(제로 저항)과는 별개의, 초전도체 고유의 성질 중 하나이다. 위에 따른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완전 도전성과 함께 초전도의 2대 특징이며, 이 효과가 확인되지 않으면 초전도체로 인정되지 않는다. 전이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 0만을 나타내는 물질은 완전 도체로, 이에 더해 완전 반자성도 나타내는 물체를 초전도체로 구분한다.[14]
4. 현상
발터 마이스너와 로베르트 오크센펠트는 초전도체에서 전기 저항뿐만 아니라 내부 자기장도 완전히 없어지는 완전반자성 현상을 발견했다.[13] 이는 전기 저항이 0인 물질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렌츠의 법칙에 의해 차폐 전류가 유도되어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하는 현상과는 다르다. 초전도체는 외부 자기장의 세기에 상관없이 내부 자기장을 0으로 유지한다.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초전도체를 냉각한 후 자기장을 가하면,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외부 자기장을 상쇄시킨다. 이는 초전도체의 전기 저항이 0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맥스웰 방정식에 따르면, 전기 저항이 0인 물질 내부의 자기장 시간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즉,
:
이는 초기 상태를 보존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초전도체는 외부 자기장을 먼저 가한 후 냉각하여 초전도 상태로 만들면, 초전도 상태가 되는 순간 자기장이 밀려난다. 이는 전자기 유도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따라서 마이스너 효과는 완전 도전성과는 별개의 초전도체 고유 성질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제1종 초전도체는 임계 자기장 ''H''c 보다 작은 자기장에서, 제2종 초전도체는 하부 임계 자기장 ''H''c1 보다 작은 자기장에서 마이스너 효과가 발생한다.
마이스너 효과는 완전 도전성과 함께 초전도의 2대 특징이며, 이 효과가 확인되지 않으면 초전도체로 인정되지 않는다. 전기 저항 0만을 나타내는 물질은 완전 도체이고, 완전 반자성도 나타내는 물체를 초전도체로 구분한다.[14]
5. 힉스 메커니즘과의 관계
마이스너 효과는 게이지장에 질량 ''M'' (즉, 상호 ''범위'', , 여기서 ''h''는 플랑크 상수이고 ''c''는 빛의 속도)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의 중요한 패러다임 역할을 한다. 이 비유는 힉스 메커니즘의 아벨 예시이며,[7] 고에너지 물리학에서 전약력 W± 및 Z0 게이지 입자의 질량을 생성한다. 길이 은 초전도 현상 이론에서 런던 침투 깊이와 동일하다.[8][9]
6. 한국의 초전도체 연구 (추가)
한국은 초전도체 연구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참조
[1]
뉴스
Meissner effect
https://www.britanni[...]
2017-04-22
[2]
논문
Ein neuer Effekt bei Eintritt der Supraleitfähigkeit
[3]
서적
Electrodynamics of Continuous Media
Butterworth-Heinemann
[4]
논문
On the remarkable structure of the superconducting intermediate state
1990
[5]
논문
Theory of superconductivity
[6]
논문
The origin of the Meissner effect in new and old superconductors
[7]
논문
Spontaneous symmetry breakdown without massless bosons
[8]
논문
The recent excitement in high-density QCD
[9]
논문
Superconductivity for particular theorists
[10]
문서
Meissner-Ochsenfeld effect
[11]
논문
Ein neuer Effekt bei Eintritt der Supraleitfähigkeit
http://www.springerl[...]
[12]
문서
perfect diamagnetism、superdiamagnetism
[13]
서적
はじめてナットク!超伝導
講談社
1999-09-20
[14]
서적
超伝導の謎を解く
シーアンドアール研究所
2007-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