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 현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의 임계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이다. 1911년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이 관찰되었다. 초전도체는 자기장에 대한 반응에 따라 1종과 2종으로 분류되며, BCS 이론과 같은 이론으로 설명된다. 초전도체는 에너지, 전력, 수송, 의료, 과학,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초전도 자석, SQUID, 초전도 모터, 초전도 전력선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1년 과학 - 러더퍼드 원자 모형
러더퍼드 원자 모형은 원자핵 주위를 전자가 공전하는 모형으로,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의 대부분이 빈 공간이고 질량과 양전하가 원자핵에 집중되어 있음을 밝혀 원자 구조에 대한 이해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 1911년 과학 - 아문센의 남극점 원정
로알 아문센이 이끈 남극점 원정은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며 극지 탐험 역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자기 부상 - 초반자성
초전자성은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완전히 배척하는 마이스너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초전도체 표면의 차폐 전류가 외부 자기장을 상쇄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자기선속 침투를 막는 현상을 기술한다. - 자기 부상 - 반자성
반자성은 외부 자기장에 반발하는 현상으로, 물질 내 전자의 궤도 운동에 기인하며, 모든 물질이 가지는 성질이지만 강자성이나 상자성에 비해 약하게 나타난다. - 별난 물질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극저온에서 보존 입자들이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응축되어 새로운 물질 상을 형성하는 현상으로, 1995년 실험적으로 관측되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초유체 현상과 같은 특이한 양자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 별난 물질 - 중성자별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태양 질량의 1.4배에서 3배 정도 되는 질량을 가진 고밀도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른 자전과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펄서, 마그네타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쌍성 중성자별의 합병은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발생시키며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전도 현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초전도 현상 |
영어 이름 | Superconductivity |
일본어 이름 | 超伝導 |
설명 |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 |
역사 | |
발견 | 1911년 헤이커 카멜링 오네스 |
최초 발견 물질 | 수은 |
BCS 이론 | 1957년 존 바딘, 레온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 |
고온 초전도체 발견 | 1986년 요하네스 베드노르츠와 카를 알렉산더 뮐러 |
주요 특징 | |
임계 온도 |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온도 |
마이스너 효과 | 초전도체가 자기장을 밀어내는 현상 |
완전 반자성 | 마이스너 효과의 결과 |
제로 저항 |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짐 |
조셉슨 효과 | 초전도체 사이의 터널링 현상 |
유형 | |
제1종 초전도체 | 임계 온도 이하에서 완전한 초전도 상태 |
제2종 초전도체 |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혼합 상태 존재 |
고온 초전도체 |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 발생 |
관련 이론 | |
BCS 이론 | 전자쌍 형성을 통해 초전도 현상 설명 |
긴츠부르크-란다우 이론 | 초전도 현상을 거시적으로 기술 |
응용 | |
자기 공명 영상 (MRI) | 강한 자기장 생성에 사용 |
자기 부상 열차 | 부상 및 추진에 사용 |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 (SQUID) | 미세한 자기장 측정 |
입자 가속기 | 고에너지 입자 가속에 사용 |
핵융합 장치 | 플라즈마 가두기 위해 사용 |
에너지 저장 장치 | 전력망 안정화 및 에너지 저장 |
초전도 케이블 |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한 송전 |
양자 컴퓨터 | 큐비트 구현에 사용 |
용어 | |
초전도체 |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 |
임계 자기장 | 초전도 상태를 파괴하는 자기장 세기 |
쿠퍼 쌍 | BCS 이론에서 전자쌍 형성 |
초유동성 | 점성이 없는 유체 상태 |
에너지 갭 | 초전도 상태의 전자 에너지 차이 |
2. 역사
초전도 현상은 1911년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가 처음 발견한 이후 여러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다.
- 1913년 납이 7K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것이 발견되었다.[112]
- 1933년 발터 마이스너와 로베어트 오흐젠펠트(Robert Ochsenfeldde)가 마이스너 효과를 발견했다.[113]
- 1935년 프리츠 론돈(Fritz Londonde)과 하인츠 론돈(Heinz Londonde)은 마이스너 효과가 초전도 전류가 운반하는 전자기적 자유 에너지를 최소화하려는 데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였다.[114]
- 1941년 질화 나이오븀(NbN)이 16K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것이 발견되었다.[112]
- 1950년 레프 란다우와 비탈리 긴즈부르크가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을 발표하여 초전도체의 거시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115]
- 1950년 맥스웰과 레이놀즈는 초전도체의 임계 온도가 그 구성 원소의 동위원소 질량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116][117]
- 1957년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가 BCS 이론을 제시하여 초전도 현상을 미시적으로 설명했다.[118]
- 1962년 웨스팅하우스는 최초의 상업용 초전도 전선 (나이오븀-타이타늄 합금)을 개발했다.
- 1962년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은 조지프슨 효과를 예측했다.[121]
- 1980년대 구리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 2008년 철계 초전도 물질 등이 발견되어 실용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 2020년 10월 14일, 267GPa의 고압 하에서 탄소질 수소화 황(CH8S)이 287.7K(15℃)에서 초전도 상태가 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96]
초전도 현상 연구에 기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과학자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자 |
---|---|
1913 | 헤이케 카메를링 오너스 |
1972 | 존 바딘, 리언 N.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 |
1973 | 에사키 레오나, 아이버 기버, 브라이언 조지프슨 |
1987 |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칼 알렉산더 뮐러 |
2003 |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 비탈리 긴즈부르크, 앤서니 레겟 |
한국은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주요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초전도체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고온 초전도체 개발과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발전을 중요하게 여기며, 초전도 기술 개발을 포함한 기초과학 연구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2. 1. 초전도 현상의 발견 (1911)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1911년에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액체 헬륨을 냉매로 사용하여 고체 수은의 저항을 측정하던 중, 4.2 K에서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했다.[112] 오너스는 2.2K에서 헬륨의 초유체 전이도 관찰했지만,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는 못했다. 이 발견의 정확한 날짜와 상황은 1세기 후 오너스의 노트를 통해 재구성되었다.[10]
이후 1913년에는 납이 7K에서, 1941년에는 질화 나이오븀(NbN)이 16K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것이 발견되었다.[112]
2. 2. 마이스너 효과 발견 (1933)
1911년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가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이후, 1933년에 초전도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발터 마이스너와 로베어트 오흐젠펠트(Robert Ochsenfeldde)는 초전도체가 자기장을 밀쳐내는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를 마이스너 효과라고 한다.[113] 이 발견은 초전도체가 단순한 완전 도체(저항이 0인 도체)와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었다.2. 3. 런던 형제와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 (1935, 1950)
1935년, 프리츠 런던(Fritz Londonde)과 하인츠 런던(Heinz Londonde) 형제는 마이스너 효과가 초전도 전류에 의해 운반되는 전자기 자유 에너지를 최소화하려는 데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였다.[114] 이들은 런던 방정식을 제시하여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려 했다.1950년, 레프 란다우와 비탈리 긴즈부르크는 초전도체의 현상론적인 모형인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을 발표하였다.[115] 이 이론은 란다우의 2차 상전이 이론을 슈뢰딩거 방정식과 결합하여 초전도체의 거시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는 이 이론을 바탕으로 초전도체가 제1종과 제2종으로 나뉠 수 있음을 예측했다. 긴즈부르크와 아브리코소프는 이 공로로 200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란다우는 1968년 사망)[115]
2. 4. BCS 이론 (1957)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는 1957년 초전도 현상을 미시적으로 설명하는 BCS 이론을 제안하였다.[118] 이 이론은 세 사람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붙여졌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는 1958년에 독자적으로 BCS 이론과 본질적으로 같은 이론을 발표하였다. BCS 이론은 초전도 전류를 쿠퍼 쌍의 초유체로 설명한다. 쿠퍼 쌍은 포논 교환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전자 쌍이다. 이 공로로 세 사람은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1958년, 니콜라이 보골류보프는 여러 논증으로 유도된 BCS 파동함수가 전자의 해밀토니언을 정준변환하여 얻어질 수 있음을 보이며 BCS 이론에 더욱 확고한 기반을 제공했다.[119] 1959년에는 레프 페트로비치 고리코프가 BCS 이론이 임계 온도 근처에서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으로 환원됨을 보였다.[120]
2. 5.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 (1986)
1986년까지 물리학자들은 BCS 이론에 따르면 30K 이상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 해,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와 카를 알렉산더 뮐러는 란타넘 구리계 페롭스카이트 물질에서 초전도를 발견하였으며, 그 임계 온도는 35K이었다.[122] 이들은 이 연구로 198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곧 우(M. K. Wu) 등이 란타늄을 이트륨으로 치환하여 YBCO를 만들었는데, 그 임계 온도가 92K에 이르렀다.[123] 이것은 냉각제로 사용되는 액체 질소의 기화점인 77K보다 높은 온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었다. 액체 질소는 원재료 걱정 없이 값싸게 어디서나 생산할 수 있으며, 액체 헬륨을 수송할 때 나타나는 고체 에어 플러그 등의 문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많은 다른 구리계 초전도체가 발견되었으며, 이 물질들이 보이는 초전도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응집 물질 물리 분야의 가장 도전적인 과제가 되었다.1993년경부터 알려진 가장 높은 온도의 초전도체는 수은, 바륨, 칼슘, 구리, 산소 (HgBa2Ca2Cu3O8+δ)로 구성된 쿠퍼레이트 초전도체 세라믹 재료였으며, 였다.[61][62]
2008년, 철 기반 고온 초전도체 계열이 발견되었다.[63][64] 도쿄 공업 대학의 호소노 히데오(細野秀雄|호소노 히데오일본어)와 동료들은 26K 이하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옥시프니크타이드인 란타넘 산화불화철비소(LaO1−xFxFeAs)를 발견했다. LaO1−''x''F''x''FeAs에서 란타넘을 사마륨으로 대체하면 55K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가 된다.[65]
2. 6. 한국의 초전도 연구
주어진 원문에는 한국의 초전도 연구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한국은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주요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초전도체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고온 초전도체 개발과 응용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발전을 중요하게 여기며, 초전도 기술 개발을 포함한 기초과학 연구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3. 초전도체의 성질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마이스너 효과를 통해 자기장을 밀어내는 등 일반적인 도체와는 다른 독특한 성질을 보인다. 이러한 성질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도 있지만, 모든 초전도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도 있다.
초전도체의 대표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
- 완전 도전성: 전기 저항이 0이 되어 전류가 손실 없이 영구적으로 흐를 수 있다.
- 마이스너 효과: 완전 반자성이라고도 불리며, 초전도체 내부의 자기장을 0으로 만든다.
- 자기 선속 양자화: 제2종 초전도체 내부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특정 값의 정수배로만 존재한다.
- 조셉슨 효과: 두 초전도체 사이에 얇은 절연막을 두면 전압 없이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 자속 격자 상태: 제2종 초전도체에 특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을 가하면, 양자화된 자기 선속이 초전도체 내부에 침투하여 규칙적인 배열을 이룬다.
- 핀닝 효과: 자속 격자 상태에서 외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자속 격자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현상이다.
- 임계 자기장: 초전도 상태가 깨지는 특정 세기의 자기장으로, 제2종 초전도체에는 두 종류의 임계 자기장이 존재한다.
- 비열의 이상: 초전도 상태로 전이될 때 비열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 퀀치: 초전도 자석에서 초전도 코일 일부가 상전도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이다.
- 에너지 갭의 존재: 초전도체 내 전자들은 쿠퍼 쌍을 형성하며, 이 쿠퍼 쌍을 분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가 존재한다.
- 동위원소 효과: 초전도체의 임계 온도가 구성 원소의 동위원소 질량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다.[98]
이러한 초전도체의 특성은 열역학적인 상의 특징을 가지며, 물질의 미시적인 구조와는 독립적인 특정한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전도체는 외부 자기장에 대한 반응에 따라 1종과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 1종 초전도체: 나이오븀, 테크네튬, 바나듐, 탄소 나노튜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순수한 단원자 초전도체가 여기에 속하며[32], 임계 자기장($H_c$)이 하나만 존재한다. 외부 자기장이 $H_c$보다 약하면 마이스너 효과로 자기장을 완전히 밀어내지만, $H_c$ 이상이 되면 초전도성이 갑자기 사라진다.
- 2종 초전도체: 불순물이 섞이거나 화합물인 초전도체는 대부분 2종 초전도체이며, 두 개의 임계 자기장($H_{c1}$, $H_{c2}$)을 갖는다. 외부 자기장이 $H_{c1}$과 $H_{c2}$ 사이일 때는 자기 선속이 물질을 통과하지만 저항은 0인 '혼합 상태'가 된다. 외부 자기장이 $H_{c2}$보다 커지면 초전도성이 없어진다.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도 유사틈(pseudogap영어)이라 불리는 에너지 갭이 존재하며, 이는 상온 초전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3. 1. 완전 도체 (직류 전기 저항 0)
초전도체는 전기 회로에 전류원 ''I''와 직렬로 배치하고 샘플 양단의 전압 ''V''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옴의 법칙에 따라 ''R = V / I''로 저항을 계산하는데, 전압이 0이면 저항이 0임을 의미한다.[5]초전도체는 전압을 가하지 않고도 전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MRI 기기와 같은 초전도 전자석에서 활용된다. 실험에 따르면 초전도 코일의 전류는 측정 가능한 저하 없이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우주의 수명보다도 길 수 있다고 추정된다.[5]
일반적인 도체에서는 전류가 무거운 이온 격자를 통과하는 전자의 흐름으로 표현된다. 전자는 이온 격자와 지속적으로 충돌하며, 이 과정에서 전류에 의해 전달되던 에너지의 일부가 격자에 흡수되어 열로 변환된다. 이는 격자 이온의 진동 운동 에너지 증가로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전류의 에너지는 흩어져 전기 저항이 발생한다.
하지만 초전도체에서는 이와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초전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은 개별 전자의 움직임으로 설명할 수 없다. 대신, 전자는 포논 교환에 의한 인력으로 쿠퍼 쌍을 형성한다. 양자 역학에 따르면, 쿠퍼 쌍의 흐름은 에너지 스펙트럼에 띠틈을 만들어 전자의 흐름을 흥분시키기 위해 최소한 ''ΔE''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ΔE''가 격자의 열 에너지(''kT'', ''k''는 볼츠만 상수, ''T''는 온도)보다 크면 전자는 격자에 의해 산란되지 않아 에너지 손실 없이 흐르는 초유체를 형성한다.[44]
제2종 초전도체(고온 초전도체 포함)는 초전도 상전이 근처에서 강한 자기장과 함께 전류가 가해졌을 때 매우 작은 비저항을 보인다. 이는 전자 초유체의 소용돌이(vortex)에 의한 것으로, 전류 에너지의 일부를 흩뜨린다. 전류가 충분히 작으면 소용돌이는 정지하고 비저항은 사라진다. 온도가 더 낮아지면 와동들은 불규칙하지만 고정된 "와동 유리"(vortex glass|와동 유리영어) 상으로 변하고, 이 온도 아래에서는 초전도체의 저항이 0이 된다.
3. 2. 초전도 상전이

초전도 상태는 물질의 온도가 초전도 상전이가 일어나는 '''임계 온도''' ''Tc'' 이하로 내려갈 때 나타난다. 임계 온도의 값은 물질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고체 수은은 4.2 K의 임계 온도를 가진다.[92] (고온 초전도체가 아닌) 일반 초전도체들은 보통 20 K에서 1 K 이하까지의 값을 가진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온 초전도체가 아닌) 일반 초전도체들의 임계온도는 2001년에 발견된 이붕화 마그네슘에서 보이는 39 K이 최고이다. (단, 이 물질이 보여준 성질 때문에 이붕화 마그네슘을 일반 초전도체로 분류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구리계 초전도체는 훨씬 높은 임계 온도를 가지는데, 최초로 발견된 구리계 초전도체 중 하나인 YBa2Cu3O7의 임계 온도는 92 K이며, 수은을 포함한 구리계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130 K을 넘는 것도 있다.
초전도성이 나타날 때는 다양한 물리량의 갑작스런 변화가 수반되는데, 이것은 상전이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자에 의한 비열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1승에 비례한다. 그러나 초전도 상전이를 할 때에 비열값은 갑자기 뛰어오르고 그 이후로는 더 이상 1승에 비례하지 않고 ''e''−α /''T''에 비례하게 된다. (α는 물질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
초전도 상전이의 상전이 차수는 논란의 대상이다. 실험 결과로 보면 초전도 상전이들은 잠열이 없는 2차 상전이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70년대의 계산에 의하면 초전도 상전이는 1차 상전이인데 전자기장의 장거리 요동에 의한 효과 때문에 약하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 최근에서야 무질서 장 이론(disorder field theory)의 도움으로 소용돌이 끈(vortex line)이 초전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전도 상전이는 type I 영역에서는 1차이고 type II 영역에서는 2차이며 두 영역은 삼중점에 의해 분리된 것이 밝혀졌다.
3. 3. 마이스너 효과
초전도체가 약한 외부 자기장 '''H''' 안에 놓이면, 자기장은 초전도체를 완전히 투과하지 못하고 대략 ''λ''만큼만 투과한다. 이 두께 ''λ''를 '''런던 투과 깊이'''(London penetration depth영어)라고 하며, 초전도체에 들어간 자기장은 이보다 더 깊은 곳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여 0이 된다. 이것을 '''마이스너 효과'''라 하며, 초전도체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초전도체에서 런던 투과 깊이는 100nm 정도이다.마이스너 효과는 이상적인 도체에서 나타나는 반자성과 혼동하기 쉽지만, 다른 효과이다. 렌츠의 법칙에 따르면, 전도체에 변화하는 자기장이 가해지면 전도체에 전류가 유도되어 가해진 자기장의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긴다. 이상적인 도체에서는 흐를 수 있는 전류의 값에 제한이 없으며, 이 전류로부터 유도된 자기장은 외부에서 가해진 자기장을 정확히 상쇄시킨다. 그러나 초전도체는 자기장이 변화하든 변화하지 않든 모든 종류의 자기장을 밀쳐낸다. 즉, 일정한 자기장이 가해지고 있더라도 자기장을 밀쳐낸다. 물질이 임계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물질의 내부 자기장이 갑작스레 밀쳐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렌츠의 법칙과 무관하다.
프리츠 론돈(Fritz Londonde)과 하인츠 론돈(Heinz Londonde) 형제는 초전도체에서 전자기적 자유 에너지가 다음 조건에서 최소화됨을 보여 마이스너 효과를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
여기서 는 자기장이고, 는 런던 투과 깊이이다. 이 방정식을 '''런던 방정식'''이라고 하며, 이에 따라 초전도체의 자기장이 표면에서 속으로 들어감에 따라 지수급수적으로 감소한다.
3. 4. 런던 모멘트
회전하는 초전도체는 스핀 축 방향으로 정확하게 정렬된 자기장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런던 모멘트라고 부른다. 중력 탐사 위성 B(en)는 런던 모멘트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실험에서는 네 개의 초전도 자이로스코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자이로스코프의 스핀 축을 결정하였다. 이는 특별한 형태가 없는 구의 스핀 축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몇 안 되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실험에 매우 중요했다.[97]3. 5.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
초전도체는 외부 자기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따라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로 나뉜다. 이는 임계 자기장과 상전이 차수에 따라 결정된다.1종 초전도체는 임계 자기장($H_c$)이 하나만 존재한다. 외부 자기장이 $H_c$보다 약하면 마이스너 효과로 자기장을 완전히 밀어내지만, $H_c$ 이상이 되면 초전도성이 갑자기 사라진다. 이때, 시료의 모양에 따라 자기장을 포함하는 '중간 상태'와 자기장을 포함하지 않는 '초전도 상태'가 섞여 나타날 수 있다. 나이오븀, 테크네튬, 바나듐, 탄소 나노튜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순수한 단원자 초전도체가 여기에 속한다.[32]
2종 초전도체는 두 개의 임계 자기장($H_{c1}$, $H_{c2}$)을 갖는다. 외부 자기장이 $H_{c1}$보다 크고 $H_{c2}$보다 작으면, 자기 선속이 물질을 통과하지만 저항은 0인 '혼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자기 선속이 양자화되어 '플럭손'이라는 단위를 이룬다. 혼합 상태는 전자 초유체의 와동(vertex) 때문에 발생한다.[33] 외부 자기장이 $H_{c2}$보다 커지면 초전도성이 없어진다. 불순물이 섞이거나 화합물인 초전도체는 대부분 2종 초전도체이다.
2종 초전도체에서, 그 초전도체에 고유한 자기장 값(하부 임계 자기장) 이상의 자기장을 가하면 양자화된 자속이 초전도체 안으로 들어온다. 이 상태를 혼합 상태라고도 한다. 자속 격자 상태일 때 자속 코어끼리는 서로 반발하므로, 대부분 가장 밀집된 구조인 삼각 격자를 형성한다.
2종 초전도체에서는 핀닝 효과 덕분에 영저항을 유지한다.
일정 강도 이상의 자기장을 가하면 초전도 상태가 사라진다. 2종 초전도체에는 이러한 의미에서 임계 자기장(상부 임계 자기장 $H_{c2}$)과 완전 반자성 상태에서 자속 격자 상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는 하부 임계 자기장 $H_{c1}$이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2종 초전도체를 연구한다.
3. 6. 핀닝 효과
초전도체의 여러 물리적 특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임계 온도, 초전도 갭 값, 임계 자기장, 그리고 초전도성이 파괴되는 임계 전류 밀도 등이 있다.3. 7. 에너지 띠틈
초전도체와 일반 도체는 전자의 에너지 분포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일반 도체에서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페르미 에너지 준위를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분포하여, 전자는 어떤 에너지 값이든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초전도체에서는 페르미 에너지 준위 바로 위와 아래에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된 에너지 띠에 '''띠틈'''이 존재한다. 이는 주사 터널 현미경으로 초전도체 시료의 전기전도도 미분값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32]
1990년대 이후 연구된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도 이러한 띠틈이 존재하는데, 이를 '''유사틈'''(pseudogap영어)이라고 부른다. 이 유사틈은 상온 초전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초전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은 개별 전자의 움직임이 아닌 쿠퍼 쌍이라는 묶인 전자쌍으로 나타난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쿠퍼 쌍의 흐름은 에너지 스펙트럼에서 띠틈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전자의 흐름을 흥분시키기 위해 최소한 ''ΔE''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ΔE''가 격자의 열 에너지(''kT'')보다 크면 (''k''는 볼츠만 상수, ''T''는 온도) 전자는 격자에 의해 산란되지 않아 초유체처럼 에너지 손실 없이 흐를 수 있다.[97]
4. 초전도 현상 이론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은 초전도체가 발견된 이래로 꾸준히 이어져 왔다. 1950년대에는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1950)과 BCS 이론(1957)이 등장하여 *일반적인* 초전도체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14][15] 그러나 1986년, BCS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30K 이상의 높은 임계 온도를 갖는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 초전도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7]
일반적인 도체에서 전류는 전자가 이온 격자 사이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전자와 격자의 충돌로 인해 에너지 손실, 즉 전기 저항이 발생한다. 그러나 초전도체에서는 쿠퍼 쌍이라는 묶인 전자쌍이 형성되어 초유체처럼 에너지 손실 없이 흐를 수 있다. 양자역학적으로 쿠퍼 쌍의 흐름은 에너지 스펙트럼에 띠틈을 만들어, 전자가 격자에 의해 산란되지 않도록 한다.
2종 초전도체는 초전도 상전이 근처에서 강한 자기장과 함께 전류가 가해질 때 약간의 비저항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전자 초유체의 소용돌이(vortex) 때문이다. 하지만 전류가 충분히 작으면 소용돌이는 정지하고 비저항은 사라진다. 온도가 더 낮아지면 소용돌이들이 "와동 유리"(vortex glass영어) 상으로 변하여 저항이 0이 된다.
초전도 현상은 물질의 온도가 임계 온도(''Tc'') 이하로 내려갈 때 나타나는 상전이 현상이다. 임계 온도는 물질마다 다르며, 일반 초전도체는 20K에서 1K 이하의 값을 가진다. 이붕화 마그네슘은 39K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데, 일반 초전도체로 분류할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구리계 초전도체는 훨씬 높은 임계 온도를 가지며, YBa2Cu3O7는 92K, 수은계 초전도체는 130K 이상의 임계 온도를 갖기도 한다.
초전도 상전이 시에는 비열과 같은 물리량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난다. 초전도 상전이의 상전이 차수는 논란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무질서 장 이론을 통해 소용돌이 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type I 영역에서는 1차, type II 영역에서는 2차 상전이로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초전도 현상에 대한 주요 이론은 다음과 같다:
- 런던 방정식: 프리츠 런던과 하인츠 런던 형제가 제시한 초전도 현상 이론 모델이다.[12]
-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 란다우와 긴즈부르그가 1950년에 고안한 이론이다.[16]
- BCS 이론: 1957년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완전한 미시적 이론을 제안했다.[15]
고온 초전도 현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4. 1. 런던 방정식
프리츠 런던과 하인츠 런던 형제는 1935년에 초전도체에서 자기장이 배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직후,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 모델인 런던 방정식을 제시했다.[12] 이 이론의 주요 성공은 마이스너 효과[11]를 설명하는 능력에 있다. 마이스너 효과란, 물질이 초전도 임계 온도를 넘어설 때 내부 자기장을 지수적으로 배출하는 현상이다. 런던 방정식을 사용하면 초전도체 내부의 자기장이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있다.[13]런던 형제가 제시한 초전도체에 대한 두 개의 구성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정식은 초전도 전자에 대한 뉴턴의 운동 제2법칙에서 유도된다.
런던 방정식은 초전도체 내의 자기장이 표면에서 가지는 값으로부터 기하급수적으로 감쇠한다고 예측한다.
4. 2.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
란다우와 긴즈부르그가 1950년에 고안한 현상론적인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은 란다우의 2차 상전이 이론과 슈뢰딩거 유사 파동 방정식을 결합하여 초전도체의 거시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두었다.[16] 아브리코소프는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이 초전도체를 제1종과 제2종으로 불리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는 것을 보였다. 아브리코소프와 긴즈부르그는 이 연구로 2003년 노벨상을 수상했다(란다우는 1968년에 사망). 긴즈부르그-란다우 이론의 4차원 확장인 콜먼-와인버그 모델은 양자장론과 우주론에서 중요하다. 1959년, 고르코프는 BCS 이론이 임계 온도 근처에서 긴즈부르그-란다우 이론으로 축소된다는 것을 보였다.[20][21]4. 3. BCS 이론
1957년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는 초전도 현상에 대한 완전한 미시적 이론을 제안했다.[15] 이 이론은 초전도 전류를 포논 교환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전자쌍인 쿠퍼쌍의 초유체로 설명한다. 이 업적으로 세 명의 연구자는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BCS 이론은 1958년 니콜라이 보골류보프에 의해 더욱 확고한 기반을 얻었다. 보골류보프는 원래 변분 논증으로 유도된 BCS 파동 함수를 전자 해밀토니안의 정준 변환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19] 1959년 레프 고르코프는 BCS 이론이 임계 온도 근처에서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으로 축소됨을 보였다.[20][21]
BCS 이론의 핵심은 전자들이 서로 쿠퍼쌍을 형성하고, 이 쌍들이 포논을 매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초전도 현상이 발생하며, BCS 이론은 이를 미시적으로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
4. 4. 고온 초전도 이론
1950년대에 이론 응집물질물리학자들은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1950)과 BCS 이론(1957)을 통해 ‘’일반적인’’ 초전도체에 대한 이해에 도달했었다.[14][15] 그러나 1986년, BCS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30K 이상의 높은 임계온도를 갖는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 BCS 이론만으로는 초전도 현상을 완벽하게 설명하기 어렵다는 의문이 제기되었다.[7]이후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노력들이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이해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주요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 강상관 전자계 기반 이론: 전자가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기반으로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 공명 원자가 결합 이론: 전자들이 쌍을 이루어 공명하는 상태를 기반으로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 스핀 요동 이론: 파라마그논으로 알려진 단거리 스핀파에 의해 전자 쌍 형성이 매개된다는 가설이다.[57][58][59]
2008년에는 AdS/CFT 대응 이론을 사용하는 홀로그래픽 초전도 현상이 특정 물질의 고온 초전도 현상에 대한 가능한 설명으로 제시되기도 했다.[60]
2018년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연구팀이 약 1.1도 각도로 비틀어진 이중층 그래핀에서 초전도성을 발견했다. 이 실험은 고온 환경에서 수행되지 않았지만, 외부 원자 도입 없이 초전도성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고온 초전도체 연구와 관련이 있다.[70]
5. 초전도체의 분류
초전도체를 분류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 자기장 응답에 따른 분류: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로 나뉜다. 1종 초전도체는 마이스너 효과로 인해 특정 임계 자기장 이하에서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하지만, 2종 초전도체는 상부 임계 자기장과 하부 임계 자기장 사이의 영역(소용돌이 상태 또는 혼합 상태)에서 자기장이 일부 침투해도 초전도성을 유지한다.
- 이론적 설명에 따른 분류: BCS 이론으로 설명되는 통상 초전도체와 BCS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상 초전도체로 나뉜다.[35][36] 주문 매개변수가 계의 점군 또는 공간군의 비자명한 기약 표현에 따라 변환되는 경우에도 이상 초전도체라고 한다.[37]
- 임계 온도에 따른 분류: 액체 질소의 끓는점(77K)을 기준으로 고온 초전도체와 저온 초전도체로 나뉜다.
- 물질에 따른 분류: 단원자(수은, 납 등), 합금(나이오븀-타이타늄, 저마늄-나이오븀 등), 세라믹(YBCO, 이붕화 마그네슘 등), 유기 초전도체(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등), 초전도 펜타크티드(불소 도핑된 LaOFeAs 등)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5. 1. 자기장 응답에 따른 분류
초전도체는 물리적 성질을 기준으로 '''1종 초전도체'''(type I superconductor영어)와 '''2종 초전도체'''(type II superconductor영어)로 분류된다. 1종 초전도체는 1차 상전이를, 2종 초전도체는 2차 상전이를 보인다.발견 초기의 단원자 저온초전도체들은 대부분 1종 초전도체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화합물 초전도체를 비롯하여 모든 산화물 고온초전도체들은 2종 초전도체로 알려져 있다.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의 구분은 자기장-온도 상전이 형태에서 쉽게 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1종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열역학적 임계자기장(Hc)이 존재하며, 이 임계 자기장을 경계로 정상 상태와 초전도 상태로 전이된다. 임계자기장 이하의 초전도 상태에서는 마이스너 효과로 인해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한다. 1종 초전도체는 주로 단원자 초전도체들이며, 이들의 응용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
2종 초전도체는 1종과 다르게 특정 온도에서 상부 임계 자기장(Hc2)과 하부 임계 자기장(Hc1)이 존재하며, 이 임계 자기장들을 경계로 유용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낸다. 하부 임계 자기장(Hc1) 이하에서는 1종 초전도체와 마찬가지로 마이스너 효과를 나타내어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한다. 그러나 하부 임계 자기장(Hc1) 이상에서는 초전도성을 잃지 않고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며, 일부 자기장이 초전도체를 침투한다. 자기장의 침투 정도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증가하여 상부 임계 자기장(Hc2)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며, 상부 임계 자기장(Hc2) 이상이 되면 초전도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전이되어 일반 물체가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임계 자기장(Hc2)과 하부 임계 자기장(Hc1) 사이의 영역을 '''소용돌이 상태'''(vortex state영어) 또는 '''혼합 상태'''(mixed state영어)라고 하며, 이 영역에서 어느 정도 자기장이 침투해도 초전도성이 유지되는 초전도체를 2종 초전도체라고 한다. 대부분 혼합물 및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들이 이에 속하며, 초전도체 응용에는 거의 모두 2종 초전도체가 이용된다.
5. 2. 이론적 설명에 따른 분류
초전도체는 설명하는 이론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통상 초전도체''' (conventional superconductor영어): BCS 이론으로 설명되는 초전도체이다.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되고 일반적인 BCS 이론 또는 그 확장인 엘리아시베르그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35][36]
- '''이상 초전도체''' (unconventional superconductor영어): BCS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초전도체이다. 초전도 주문 매개변수가 계의 점군 또는 공간군의 비자명한 기약 표현에 따라 변환되는 경우에도 이상 초전도체라고 한다.[37]
5. 3. 임계 온도에 따른 분류
초전도체는 임계 온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고온 초전도체: 임계 온도가 액체 질소의 끓는점인 77 K (−196℃)보다 높은 경우를 말한다. YBCO와 같은 세라믹 물질이 이에 해당하며, 액체 질소 냉각으로 초전도 현상을 구현할 수 있어 공학적으로 중요하다.[52]
- 저온 초전도체: 임계 온도가 77 K보다 낮은 경우를 말한다. 수은, 납과 같은 단원자 물질이나 나이오븀-타이타늄과 같은 합금이 이에 해당하며, 주로 액체 헬륨을 사용하여 냉각한다.
- 상온 초전도체: 임계 온도가 상온(0℃ 이상)인 초전도체를 의미하지만, 2023년까지 확실하게 발견되지는 않았다. 2020년에 270기가파스칼의 압력 하에서 수소, 탄소, 황으로 만들어진 물질이 288K(약 15℃)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는 논문이 ''네이처''지에 발표되었으나,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인해 철회되었다.[72][73][74] 2023년에는 고배향 열분해 흑연에서 상온 및 상압 초전도성을 보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5]
베드노르츠와 뮐러는 1986년에 란타넘 기반의 구리산화물(LBCO)에서 35K의 임계 온도를 갖는 초전도 현상을 발견하여 198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 이후 란타넘을 이트륨으로 대체하여 만든 YBCO는 90K 이상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52]
5. 4. 물질에 따른 분류
단원자 (수은, 납 등)합금 (나이오븀-타이타늄, 저마늄-나이오븀)
세라믹 (YBCO, 이붕화 마그네슘)
유기 초전도체 (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 탄소 나노 튜브는 탄소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원자 계열에 넣어야 할 수도 있다.)[40][41]
초전도 펜타크티드(불소 도핑된 LaOFeAs 등)
초전도체 재료의 종류에는 원소(예: 수은 또는 납), 합금(니오브-티타늄, 저마늄-니오브, 질화니오브 등), 세라믹(YBCO 및 이붕화마그네슘), 초전도 펜타크티드(불소 도핑된 LaOFeAs 등) 또는 유기 초전도체(풀러렌 및 탄소 나노튜브)가 있다.
일부 유기 화합물은 초전도 현상을 나타낸다. 이들은 유기 초전도체로 분류된다.[100][101][102]
6. 초전도체의 응용
초전도 자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전자석 중 하나로, MRI이나 NMR 기기, 질량 분석기, 입자 가속기에 쓰이는 광선 조타 자석 등에 사용된다. 또한, 입자들을 자성에 따라 분리하는 자기 분리에도 쓰이는데, 이는 안료 산업 등에서 활용된다.
초전도체는 디지털 회로, RF 회로, 마이크로파 회로, 휴대 전화 기지국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가장 민감한 자력계인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의 구성 단위인 조세프슨 접합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조세프슨 장치는 국제단위계의 단위 볼트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광자 검출기나 혼합기로도 활용된다. 일반 상태에서 초전도 상태로 전이할 때의 큰 저항 차이는 저온 열량계나 미소열량계의 온도계나 광자 검출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전도 물질을 사용했을 때 장치의 효율성, 크기, 무게에서의 이점이 초전도 물질 사용으로 발생하는 추가 비용보다 큰 경우 새로운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유망한 응용 예로는 고성능 변압기, 전력 저장 장치, 전력 전달기, 전기 모터, 자기 부상 장치, 과도 전류 제한기 등이 있다. 그러나 초전도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교류를 사용하는 장치(예: 변압기)를 만드는 것은 직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 어렵다.
초전도체는 마이스너 효과로 인해 자석 위에 떠 있을 수 있으며, 저항이 없어 전력 손실 없이 대량의 전기를 저장하거나 송전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센 전류를 흐르게 하여 강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어 자기 부상 열차에 사용 가능하다.
초전도 현상은 측정에 초전도 전자석을 사용하는 분야에서 이미 널리 실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냉각에 값비싼 액체 헬륨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보급에 큰 어려움이 있다.
분야별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 | 활용 예 |
---|---|
에너지 |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MHD 발전 등 |
전력 |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SMES), 초전도 변압기,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발전기 등 |
교통 | 초전도 자기부상열차, 초전도 전자 추진 선박, 초전도 전기자동차 등 |
의료ㆍ과학 | MRI, NMR, 뇌 자기 검출기, 암 치료 사이클로트론, 높은 장세기 자석(high field magnet) 등 |
환경ㆍ산업 | 핵 폐기물 처리가 가능한 초전도 자기 분리, 입자가속기 등 |
전자ㆍ정보 | 초전도 슈퍼컴퓨터, SQUID |
6. 1. 에너지/전력
초전도체를 활용한 유망한 미래 응용 분야에는 고성능 스마트 그리드, 전력 송전, 변압기, 에너지 저장 장치, 소형 핵융합 발전 장치 등이 있다.[82] 그러나 초전도는 이동하는 자기장에 민감하므로 교류(예: 변압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직류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보다 개발이 더 어려울 것이다. 기존 송전선과 비교하여 초전도 송전선은 더 효율적이며 공간의 일부만 필요로 하여, 환경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망 확장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83]- 초전도 핵융합: 일부 토카막의 플라즈마 가둠 자석에 초전도 자석이 사용된다.
-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SMES): 높은 출력과 짧은 응답 속도가 주목받고 있으며, 순간 정전 보상용으로 실용화되었지만, 현재로서는 대전력을 저장하기에는 이르지 못하고 콘덴서에 가깝다.
- 초전도 변압기: 고성능 변압기에 활용될 수 있다.
- 초전도 케이블: 기존 송전선과 비교하여 초전도 송전선은 더 효율적이며 공간의 일부만 필요하다. 이는 환경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망 확장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83] 저전압에서 고전력 송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또 다른 매력적인 산업적 측면이다.[84]
- 초전도 발전기: 풍력 터빈의 경우 초전도 발전기의 무게와 부피가 감소하면 건설 및 타워 비용을 절감하여 발전기의 높은 비용을 상쇄하고 총 평준화 전력비용(LCOE)을 낮출 수 있다.[81] 산업용 3.6메가와트 초전도 풍력 발전기가 덴마크에서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77]
6. 2. 수송
초전도 자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전자석 중 하나이며, MRI/NMR 기기, 질량 분석기, 입자 가속기에 사용되는 빔 조향 자석, 그리고 일부 토카막의 플라즈마 가둠 자석에 사용된다.[77] 또한, 안료 산업에서처럼 자성이 약한 입자를 자성이 적거나 없는 입자의 배경에서 추출하는 자기 분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높은 전류에 의해 부과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대형 풍력 터빈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덴마크에서 산업용 3.6메가와트 초전도 풍력 발전기가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77]고온 초전도체 기반 장치는 상대적인 효율성, 크기 및 무게의 이점이 관련 추가 비용을 상쇄하여 초기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력 터빈의 경우 초전도 발전기의 무게와 부피 감소는 건설 및 타워 비용을 절감하여 발전기의 높은 비용을 상쇄하고 총 평준화 전력비용(LCOE)을 낮출 수 있다.[81]
미래 유망 응용 분야에는 고성능 스마트 그리드, 전력 송전, 변압기, 에너지 저장 장치, 소형 핵융합 발전 장치, 전동기(예: 진공튜브열차 또는 자기 부상 열차와 같은 차량 추진), 자기 부상 장치, 결함 전류 제한기, 초전도 재료를 사용한 스핀트로닉스 장치 향상[82] 및 초전도 자기 냉각이 포함된다. 그러나 초전도는 이동하는 자기장에 민감하므로 교류(예: 변압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직류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보다 개발이 더 어려울 것이다. 기존 송전선과 비교하여 초전도 송전선은 더 효율적이며 공간의 일부만 필요로 한다. 이는 환경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망 확장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83] 또 다른 매력적인 산업적 측면은 저전압에서 고전력 송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84]
6. 3. 의료/과학
초전도 자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전자석 중 일부로, MRI 및 NMR 기기, 질량 분석기, 입자 가속기에 사용되는 빔 조향 자석, 그리고 일부 토카막의 플라즈마 가둠 자석 등에 사용된다.[77] 또한, 안료 산업에서처럼 자성이 약한 입자를 자성이 적거나 없는 입자의 배경에서 추출하는 자기 분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높은 전류에 의해 부과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대형 풍력 터빈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산업용 3.6메가와트 초전도 풍력 발전기가 덴마크에서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77]뇌자도에 사용되는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는 가장 민감한 자력계로 알려져 있다.
6. 4. 환경/산업
초전도 자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전자석 중 일부로, MRI/NMR 기기, 질량 분석기, 입자 가속기에 사용되는 빔 조향 자석, 그리고 일부 토카막의 플라즈마 가둠 자석 등에 사용된다.[77] 또한, 안료 산업에서처럼 자성이 약한 입자를 자성이 적거나 없는 입자의 배경에서 추출하는 자기 분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형 풍력 터빈에서 높은 전류에 의해 부과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덴마크에서는 산업용 3.6메가와트 초전도 풍력 발전기가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77]초전도체는 고속 단일 플럭스 양자 기술 기반의 디지털 회로와 휴대 전화 기지국용 RF 및 마이크로파 필터 제작에도 사용된다.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는 가장 민감한 자력계로 알려져 있으며, 주사형 SQUID 현미경과 뇌자도에 사용된다. 일련의 조셉슨 장치는 SI 볼트를 실현하는 데 사용된다.
고온 초전도체 기반 장치는 효율성, 크기, 무게의 이점이 커서 초기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력 터빈의 경우 초전도 발전기의 무게와 부피 감소는 건설 및 타워 비용을 절감하여 총 평준화 전력비용(LCOE)을 낮출 수 있다.[81]
미래에는 고성능 스마트 그리드, 전력 송전, 변압기, 에너지 저장 장치, 소형 핵융합 발전 장치, 전동기(예: 진공튜브열차 또는 자기 부상 열차), 자기 부상 장치, 결함 전류 제한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초전도는 이동하는 자기장에 민감하여 교류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은 직류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보다 더 어렵다. 기존 송전선과 비교하여 초전도 송전선은 더 효율적이며 공간의 일부만 필요하여 환경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력망 확장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83]
초전도 현상은 초고감도 자기 측정 장치(SQUID)나 의료용 핵자기공명영상촬영(MRI) 장치 등 측정에 초전도 전자석을 사용하는 용도에서는 이미 널리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 사례에서도 값비싼 액체 헬륨을 냉각에 사용하고 있어 보급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산업용으로는 실용화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초전도 모터가 가장 기대되고 있다. 전력 저장 용도에서는 순간 정전을 보상하기 위해 높은 출력과 짧은 응답 속도가 주목받고 있으며 실용화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대전력을 저장하기에는 이르지 못하고 배터리 등보다는 콘덴서에 가깝다. 또한 송전선의 경우, 생산된 전력의 수 %는 전기 저항에 의한 송전 손실로 인한 것이며, 상온 초전도가 실현되면 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6. 5. 전자/정보
초전도체는 디지털 회로, RF 회로, 마이크로파 회로, 휴대 전화 기지국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78] 고속 단일 플럭스 양자 기술 기반의 디지털 회로와 휴대 전화 기지국용 RF 및 마이크로파 필터 제작에도 사용된다.[78]초전도체는 가장 민감한 자력계인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SQUID는 주사형 SQUID 현미경과 뇌자도에 사용되며, SI 볼트를 실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79]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크라이오트론 스위치를 사용한 실험용 디지털 컴퓨터 제작에 초전도체가 사용되었다.[78] 초전도 트랜지스터는 조셉슨 컴퓨터에 사용되었으나 실용화는 요원하다.
6. 6. 기타
초전도 현상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발생하여 값비싼 액체 헬륨으로 냉각해야 하는 제약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특수한 용도로만 활용되었다. 그러나 20세기 말,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고 저렴한 액체 질소로 냉각 가능한 고온 초전도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대중의 인식이 높아졌다.현재 초전도체는 전자, 스핀트로닉스, 양자 기술의 기본 회로 요소를 만드는 유망한 물질이다. 예를 들어 한 방향으로만 초전류가 흐르는 초전도 다이오드는 손실 없는 초전도 및 반도체-초전도 하이브리드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
초전도 자석은 가장 강력한 전자석 중 하나로, MRI/NMR 기기, 질량 분석기, 입자 가속기의 빔 조향 자석, 일부 토카막의 플라즈마 가둠 자석 등에 쓰인다. 또한, 안료 산업에서처럼 자성이 약한 입자를 분리하는 자기 분리에도 사용되며, 대형 풍력 터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덴마크에서는 산업용 3.6메가와트 초전도 풍력 발전기가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77]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크라이오트론 스위치를 사용한 실험용 디지털 컴퓨터 제작에 초전도체가 사용되었다.[78] 최근에는 고속 단일 플럭스 양자 기술 기반 디지털 회로와 휴대 전화 기지국용 RF 및 마이크로파 필터 제작에도 사용된다.
가장 민감한 자력계로 알려진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는 조셉슨 접합으로 만들어진다. SQUID는 주사형 SQUID 현미경과 뇌자도에 사용되며, SI 볼트를 실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초전도 광자 검출기[79]는 다양한 장치 구성으로 구현 가능하며, 초전도체-절연체-초전도체 조셉슨 접합은 작동 모드에 따라 광자 검출기 또는 믹서로 사용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 초전도 상태로 전이될 때의 큰 저항 변화는 저온 마이크로 열량계 광자 검출기의 온도계나 초고감도 볼로미터 제작에 사용된다. 초전도 나노 와이어 단일 광자 검출기는 고속, 저잡음 단일 광자 검출을 제공하여 고급 광자 계수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80]
고온 초전도체 기반 장치는 효율성, 크기, 무게의 이점이 커서 초기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풍력 터빈의 경우 초전도 발전기의 무게와 부피 감소는 건설 및 타워 비용을 절감하여 총 평준화 전력비용(LCOE)을 낮춘다.[81]
유망한 미래 응용 분야로는 고성능 스마트 그리드, 전력 송전, 변압기, 에너지 저장 장치, 소형 핵융합 발전 장치, 전동기(진공튜브열차 또는 자기 부상 열차 등), 자기 부상 장치, 결함 전류 제한기, 스핀트로닉스 장치 향상[82], 초전도 자기 냉각 등이 있다.
그러나 초전도는 이동하는 자기장에 민감하여 교류(변압기 등)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직류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보다 개발이 어렵다. 초전도 송전선은 기존 송전선보다 효율적이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환경 성능을 높이고 전력망 확장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를 높인다.[83] 저전압에서 고전력 송전이 가능하다는 점도 매력적이다.[84] 냉각 시스템 효율 향상과 액체 질소와 같은 저렴한 냉매 사용으로 초전도에 필요한 냉각 비용도 크게 줄었다.
현재 실용화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초전도 모터가 산업용으로 가장 기대된다. 전력 저장 용도에서는 순간 정전 보상을 위해 높은 출력과 짧은 응답 속도가 주목받아 실용화되었지만, 현재는 대전력 저장에는 미흡하다. 송전선의 경우, 상온 초전도가 실현되면 송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 기대된다.
다음은 현재까지의 주요 이용 사례이다.
참조
[1]
서적
Superconductiv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2]
서적
Superconductivity: Physic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5
[3]
논문
Theory of Superconductivity
https://books.google[...]
2014-06-06
[4]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Physic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5]
서적
SQUIDS, the Josephson Effects and Superconducting Electron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0
[6]
서적
Quantum Physics of Matter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
[7]
논문
Possible high Tc superconductivity in the Ba−La−Cu−O system
1986
[8]
논문
The discovery of superconductivity
https://www.europhys[...]
2010-09-01
[9]
논문
Further experiments with liquid helium. C. On the change of electric resistance of pure metals at very low temperatures etc. IV. The resistance of pure mercury at helium temperatures
http://www.dwc.knaw.[...]
1911
[10]
논문
The Discovery of Superconductivity
http://ilorentz.org/[...]
2010-09
[11]
논문
Ein neuer Effekt bei Eintritt der Supraleitfähigkeit
1933
[12]
논문
The Electromagnetic Equations of the Supraconductor
1935
[13]
웹사이트
The London equations
http://openlearn.ope[...]
The Open University
2011-10-16
[14]
논문
Microscopic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57
[15]
논문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57
[16]
논문
O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50
[17]
논문
Isotope Effect in the Superconductivity of Mercury
1950
[18]
논문
Superconductivity of Isotopes of Mercury
1950
[19]
논문
A new method i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58
[20]
논문
Microscopic derivation of the Ginzburg–Landau equations i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59
[21]
논문
BCS ansatz for superconductivity in the light of the Bogoliubov approach and the Richardson–Gaudin exact wave function
2013
[22]
웹사이트
The Cryotron – A Superconductive Computer Component
http://dome.mit.edu/[...]
Lincoln Laborator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4-08-10
[23]
논문
Superconducting Winding for Electromagnet
1955
[24]
논문
Superconductivity in Nb3Sn at High Current Density in a Magnetic Field of 88 kgauss
1961
[25]
논문
Pulsed-Magnetic-Field Studies of Superconducting Transition Metal Alloys at High and Low Current Densities
1962
[26]
논문
Emergence of Nb-Ti as Supermagnet Material
http://fs.magnet.fsu[...]
1987
[27]
논문
Possible new effects in superconductive tunnelling
1962
[2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3
https://www.nobelpri[...]
2021-03-30
[29]
웹사이트
Newly discovered fundamental state of matter, a superinsulator, has been created.
https://www.scienced[...]
2008-10-23
[30]
뉴스
Researchers demonstrate a superconductor previously thought impossible
https://phys.org/new[...]
2020-12-08
[31]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superconductivity induced by disappearance of the nematic state
2020-11-01
[32]
웹사이트
Superconductivity
https://home.cern/sc[...]
2020-10-29
[33]
웹사이트
Superconductivity
http://lampx.tugraz.[...]
[34]
웹사이트
Type-1.5 superconductor shows its stripes
https://physicsworld[...]
2020-10-29
[35]
논문
Surprise graphene discovery could unlock secrets of superconductivity
2018-03-05
[36]
논문
Superconducting materials classes: Introduction and overview
https://www.scienced[...]
2015-07-15
[37]
서적
Introduction to Un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CRC Press
1999-09-21
[38]
논문
The great quantum conundrum
Nature Publishing Group, a division of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All Rights Reserved.
2011
[39]
논문
A perspective on conventional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at high pressure: Methods and materials
2020-04-29
[40]
논문
Superconducting materials classes: Introduction and overview
2015-07-15
[4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Superconductors
https://cds.cern.ch/[...]
[42]
논문
Recording Belgium's Gravitational History
[43]
논문
Geophysics From Terrestrial Time-Variable Gravity Measurements
https://hal.archives[...]
[44]
서적
Introduction to Superconductivity
Dover Publications, Inc.
1996
[45]
논문
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at 203 kelvin at high pressures in the sulfur hydride system
2015-08-17
[46]
서적
Introduction to Superconductivity
Dover Publications, Inc.
1996
[47]
논문
Adiabatic Magnetization of a Superconducting Sphere
1954
[48]
논문
Disorder Version of the Abelian Higgs Model and the Order of the Superconductive Phase Transition
http://www.physik.fu[...]
1982
[49]
논문
Vortex interactions and thermally induced crossover from type-I to type-II superconductivity
http://www.physik.fu[...]
2002
[50]
서적
Electrodynamics of Continuous Media
Butterworth-Heinemann
1984
[51]
논문
On the remarkable structure of the superconducting intermediate state
1990
[52]
논문
Superconductivity at 93 K in a New Mixed-Phase Y–Ba–Cu–O Compound System at Ambient Pressure
1987
[5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Liquid Helium
http://cryo.gsfc.n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NASA
[54]
웹사이트
Section 4.1 'Air plug in the fill line'
http://www.2genterpr[...]
2G Enterprises
2012-10-09
[55]
웹사이트
type II Superconductors and the Vortex Lattice
http://nobelprize.or[...]
2003-12-08
[56]
서적
La supraconductivité non-conventionnelle du ruthénate de strontium: corrélations électroniques et couplage spin-orbite
https://papyrus.bib.[...]
2021-09
[57]
논문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at 25: Still in suspense
2011-07-20
[58]
논문
The Gap Symmetry and Fluctuations in High-Tc Superconductors
Kluwer Academic
2002
[59]
논문
Toward a theory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the antiferromagnetically correlated cuprate oxides
1991
[60]
서적
Holographic Duality in Condensed Matter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1]
논문
Superconductivity above 130 K in the Hg–Ba–Ca–Cu–O system
1993
[62]
논문
Synthesis and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of the superconductor HgBa2Ca2Cu3O8+δ by Tl substitution
1995
[63]
논문
Superconductivity at 43 K in an iron-based layered compound LaO1−''x''F''x''FeAs
2008
[64]
웹사이트
Second Family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Discovered
http://sciencenow.sc[...]
ScienceNOW Daily News
2014-10-30
[65]
논문
Superconductivity and phase diagram in iron-based arsenic-oxides ReFeAsO1-d (Re = rare-earth metal) without fluorine doping
2008
[66]
논문
The metallization and superconductivity of dense hydrogen sulfide
2014-05-07
[67]
논문
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at 203 kelvin at high pressures in the sulfur hydride system
[68]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Achieved for the First Time
https://www.quantama[...]
2020-10-14
[69]
논문
Superconductivity at 250 K in Lanthanum Hydride under High Pressures
[70]
논문
Correlated insulator behaviour at half-filling in magic-angle graphene superlattices
2018-03-05
[71]
웹사이트
A New Twist Reveals Superconductivity's Secrets
https://www.quantama[...]
2021-03-23
[72]
논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https://www.osti.gov[...]
2020-10-14
[73]
뉴스
Finally, the First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nytimes.[...]
2020-10-14
[74]
논문
Retraction Not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2022-09-26
[75]
논문
Global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Graphite
https://onlinelibrar[...]
2024
[76]
논문
The superconducting diode effect
https://www.nature.c[...]
2023
[77]
간행물
Design and in-field testing of the world's first ReBCO rotor for a 3.6 MW wind generator
2019-10-25
[78]
웹사이트
Dudley Buck's Forgotten Cryotron Computer
https://spectrum.iee[...]
2014-03-19
[79]
논문
Superconducting photon detectors
https://eprints.gla.[...]
2022-03-11
[80]
논문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physics and applications
https://iopscience.i[...]
2012-04
[81]
논문
A review of offshore wind turbine nacelle: Technical challeng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al trends.
http://ro.uow.edu.au[...]
[82]
논문
Superconducting spintronics
2015-04-02
[83]
논문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 – Sustainable electric energy transfer with higher public acceptance?
http://cds.cern.ch/r[...]
[84]
논문
Technical and Economical Assessment of HTS Cables
[85]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
[86]
뉴스
超「電」導のひみつ(上)――リニア新幹線、浮上せ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ことばマガジン
2014-06-19
[87]
뉴스
超「電」導のひみつ(中) ――電気の時代にピタリ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ことばマガジン
2014-07-03
[88]
웹사이트
客の通り道は「動線」?「導線」?
https://mainichi-kot[...]
毎日新聞社
2021-06-24
[89]
웹사이트
超伝導と超電導
https://www.jsrae.or[...]
日本冷凍空調学会
[90]
뉴스
超「電」導のひみつ(下)――理研の威光から生まれた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ことばマガジン
2014-07-10
[91]
문서
大澤 p.11-35 I. 金属の化学 1. 金属とは
[92]
문서
齋藤 p.32-50 I. 金属の化学 2. 金属の物理的性質
[93]
논문
超電導が拓く夢の世界を目指して —希土類系超電導線材開発の現状と将来展望—
https://www.aist.go.[...]
国立研究開発法人 産業技術総合研究所
[94]
서적
超伝導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03-03-30
[95]
서적
超伝導の謎を解く
シーアンドアール研究所
2007-07-02
[96]
웹사이트
物理学:水素化物の室温超伝導
https://www.natureas[...]
Nature Japan
2020-10-15
[97]
서적
Introduction to Superconductivity
Dover Publications, Inc.
1996
[98]
논문
Isotope Effect in the Superconductivity of Mercury
1950
[99]
논문
A perspective on conventional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at high pressure: Methods and materials
2020-04-29
[100]
논문
有機超伝導体
https://doi.org/10.2[...]
一般社団法人 日本ゴム協会
[101]
논문
もうひとつの超伝導: 有機超伝導
https://doi.org/10.1[...]
一般社団法人 日本物理学会
[102]
논문
有機超伝導と高温超伝導 : 起源は同じか?
https://doi.org/10.1[...]
一般社団法人 日本物理学会
[103]
논문
Superconductivity in the Presence of Strong Pauli Paramagnetism: Ce${\mathrm{Cu}}_{2}$${\mathrm{Si}}_{2}$
https://link.aps.org[...]
1979-12-17
[104]
논문
Heavy-fermion superconductivity in CeCoIn 5 at 2.3 K
https://iopscience.i[...]
2001-04-30
[105]
논문
Heavy Fermion Superconductivity and Magnetic Order in Noncentrosymmetric CePt3Si
[106]
저널
Magnetically mediated superconductivity in heavy fermion compounds
[107]
저널
UBe13: An Unconventional Actinide Superconductor
http://www.escholars[...]
[108]
저널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Bulk Superconductivity and Spin Fluctuations in UPt3
http://www.escholars[...]
[109]
저널
Superconducting and Magnetic Transitions in the Heavy-Fermion System URu2Si2
https://research.rug[...]
[110]
저널
Heavy-fermion superconductivity at Tc=2K in the antiferromagnet UPd2Al3
[111]
저널
A new heavy-fermion superconductor: UNi2Al3
[112]
저널
The resistance of pure mercury at helium temperatures
[113]
저널
Ein neuer Effekt bei Eintritt der Supraleitfähigkeit
[114]
저널
The Electromagnetic equations of the supraconductor
http://links.jstor.o[...]
[115]
저널
O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Zh. Eksp. Teor. Fiz.
[116]
저널
Isotope Effect in the Superconductivity of Mercury
http://link.aps.org/[...]
[117]
저널
Superconductivity of Isotopes of Mercury
http://link.aps.org/[...]
[118]
저널
Theory of superconductivity
http://link.aps.org/[...]
[119]
저널
A new method i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20]
저널
Microscopic derivation of the Ginzburg--Landau equations in the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21]
저널
Possible new effects in superconductive tunnelling
[122]
저널
Possible high TC superconductivity in the Ba-La-Cu-O system
[123]
저널
Superconductivity at 93 K in a New Mixed-Phase Y-Ba-Cu-O Compound System at Ambient Pressure
[124]
저널
Synthesis and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of the superconductor HgBa2Ca2Cu3O8+δ by Tl substitution
[125]
저널
Superconductivity at 43 K in an iron-based layered compound LaO1-xFxFeAs
[126]
웹인용
Second Family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Discovered
http://sciencenow.sc[...]
ScienceNOW Daily News
2008-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