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자야오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자야오 문화는 기원전 33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번성한 중국 신석기 시대 문화로, 간쑤성 린타오 현의 마자야오촌에서 유적이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이 문화는 채색 토기가 특징이며, 붓으로 산화철을 사용하여 검정색이나 붉은색 문양을 그린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마자야오 문화는 양사오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스링샤, 마자야오, 반산, 마창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기원전 3천년 말에는 치자 문화로 계승되었으며, 청동기 기술과 목축이 도입되었다. 마자야오 문화의 발전은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청동기 시대 - 얼리터우 문화
    얼리터우 문화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중국 허난성 중서부 지역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문화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을 갖춘 유적에서 다양한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하 왕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중국의 청동기 시대 - 삼성퇴
    삼성퇴는 고대 촉나라의 유적지로, 성벽 도시 흔적과 독특한 형태의 청동 유물들이 출토되어 고대 문명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툭 튀어나온 눈을 가진 가면과 세계 최대 크기의 청동 가면인 청동 세로 눈 가면, 청동 신수 등이 대표적인 유물로 쓰촨성 광한 시에 위치한 삼성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박선 문화
    박선 문화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로, 동굴이나 암반에서 거주하며 사냥, 채집, 초기 농업을 했고, 정교한 석기와 도자기, 다양한 재료의 장신구를 사용했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다붓 문화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룽산 문화
    룽산 문화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 황하 유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로, 흑색 도기, 도시 출현, 사회 계층화 심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중국 문명 기원과 발달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양사오 문화
    황하 유역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번성한 양사오 문화는 채색 도기, 움집, 수수 경작을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농업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논쟁이 있다.
마자야오 문화
문화 개요
마자야오 문화 지도
마자야오 문화 분포도
지역황하 상류 지역
시기신석기 시대 중국
연대기원전 3300년 ~ 기원전 2000년 경
대표 유적지미상
관련 문화미상
선행 문화양사오 문화(기원전 5000-3000년)
후행 문화치자 문화
중국어 정보
간체马家窑文化
번체馬家窯文化
병음Mǎjiāyáo Wénhuà
추가 정보
기후 변화 영향후기 빙기부터 중기 홀세에 걸친 장기간의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 조건은 마자야오 문화와 치자 문화의 발전과 확장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인구 성장 요인안정적이고 농업에 적합한 기후는 식량 생산 증가에 기여하여 급속한 인구 성장을 가져왔다.
문화 발전 저해 요인후기 홀세에 시작된 지속적인 건조화는 농업 생산 감소와 식량 및 물 공급 부족을 초래하여 인구 성장과 문화 발전을 저해했다.
관련 연구신석기 시대의 초기 시노-티베트어족 화자들이 황하 유역에서 티베트 고원으로 이주한 것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

2. 역사

마자야오 문화는 양사오 문화 유적 위의 지층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황하 중류의 중원에서 시작된 양사오 문화가 서쪽으로 퍼져나가면서 신석기 시대 후기인 기원전 38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 사이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2. 1. 발견과 명칭

1923년간쑤성 린타오 현의 마자야오촌에서 유적이 발견되어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마자야오 문화에서는 도기를 굽기 전의 항아리나 조리기에 붓으로 산화철 등에서 검정이나 빨간 색으로 문양을 그려, 1000도 전후의 온도로 구운 채도(채문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고, 그 문양이나 스타일은 현재에도 세계의 연구자들과 수집가들을 매료시키고 있다.[3][4]

1924년 스웨덴 고고학자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이 간쑤성 린타오 현 마자야오 마을 근처에서 처음 발견하였으며, 그는 이곳을 양사오 문화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현대 고고학 창시자인 샤 나이의 연구 이후, 이전에는 "간쑤 양사오" 문화로 불렸지만, 이후에는 최초의 유적지 이름을 따서 별개의 문화로 여겨지게 되었다.

2. 2. 유형 구분 및 연대

마자야오 문화는 출토물의 유형에 따라 스링샤(石嶺下), 마자야오(馬家窯), 반산(半山), 마창(馬廠)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출토 지층의 관계(층서학)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각 유형별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유형연대
스링샤 유형기기원전 3800년 ~ 기원전 3100년
마자야오 유형기기원전 3100년 ~ 기원전 2700년
반산 유형기기원전 2600년 ~ 기원전 2300년
마창 유형기기원전 2200년 ~ 기원전 2000년



이 문화는 중기 양사오 문화(먀오디거우) 단계를 거쳐 중간 단계인 스링샤 단계를 통해 발전했다.[3][4] 마자야오(기원전 3300–2500년), 반산 (기원전 2500–2300년) 및 마창(기원전 2300–2000년)의 세 단계로 나뉜다.[5]

2. 3. 양사오 문화와의 관계

마자야오 문화는 양사오 문화 유적 위의 지층에서 발견된다. 그 때문에, 황하 중류의 중원에서 출발한 양사오 문화가 서쪽으로 전파되었다고 추측되며, 5700년 전의 신석기 시대 후기에 출현하고 있다.

1924년 스웨덴 고고학자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간쑤성 린타오 현 마자야오 마을 근처에서 유적을 처음 발견하고, 이곳을 양사오 문화의 일부로 간주했다.[3][4]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현대 고고학 창시자인 샤 나이의 연구 이후, "간쑤 양사오" 문화로 불리던 것에서 최초의 유적지 이름을 따서 별개의 문화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 문화는 중기 양사오(먀오디거우) 단계를 거쳐 중간 단계인 스링샤 단계를 통해 발전했다.[5]

2. 4. 치자 문화로의 계승

기원전 3천년 말에 치자 문화는 간쑤 동부, 간쑤 중부, 간쑤 서부/칭하이 동부의 세 주요 지리적 구역에서 마자야오 문화를 계승했다.[6]

3. 유적 분포

마자야오 유적은 1923년 간쑤성 린타오 현 마자야오촌에서 발견되었다. 마자야오 문화는 양사오 문화 유적 위 지층에서 발견되어, 황하 중류 중원에서 출발한 양사오 문화가 서쪽으로 전파되었다고 추측되며, 신석기 시대 후기인 5700년 전에 출현했다.

마자야오 문화 시기(기원전 3300년–기원전 2500년) 유적은 주로 다음 지역의 테라스에서 발견된다.

지역
상류 웨이강 계곡
상류 바이룽강 계곡
중·하류 타오강 및 다샤강 계곡
상류 황허 계곡
황수이강
하류 다퉁강


4. 특징

마자야오 문화는 1923년 간쑤성 린타오 현 마자야오촌에서 발견된 유적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이 문화는 양사오 문화 유적 위 지층에서 발견되어 양사오 문화가 서쪽으로 전파되었다고 추측되며, 5700년 전 신석기 시대 후기에 나타났다.

마자야오 문화는 출토물 유형에 따라 스링샤(石嶺下), 마자야오(馬家窯), 반산(半山), 마창(馬廠)의 네 시기로 구분된다. 출토 지층 관계(층서학)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각 시기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유형기연대
스링샤(石嶺下)기원전 3800년 ~ 기원전 3100년
마자야오(馬家窯)기원전 3100년 ~ 기원전 2700년
반산(半山)기원전 2600년 ~ 기원전 2300년
마창(馬廠)기원전 2200년 ~ 기원전 2000년


4. 1. 채색 토기

마자야오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채색 토기이다. 1923년 간쑤성 린타오 현의 마자야오촌에서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마자야오 문화의 채색 토기는 도기를 굽기 전의 항아리나 조리기에 붓으로 산화철 등에서 검정이나 빨간색으로 문양을 그려넣고, 1000도 전후의 온도로 구워 제작되었다. 이러한 채색 토기는 다수 출토되었으며, 그 문양과 스타일은 현재에도 세계 연구자들과 수집가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upright


마자야오 시기에는 흑색 안료로 굽이치는 평행선과 점이 있는 디자인으로 토기를 장식했다. 반산 시기에는 흑색과 적색 페인트를 모두 사용하여 곡선 디자인으로 토기를 제작하였으며, 마창 시기에는 이전 시기와 비슷하지만, 종종 덜 정교하게 마감되었다. 이러한 채색 토기의 발전은 칭하이 지역의 수렵 채집인과 농경 양사오인들의 서쪽 확장의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다.

마자야오 채색 토기는 대규모의 중앙 집중식 작업장에서 생산되었다.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큰 신석기 시대 작업장은 간쑤의 바이다오고우핑에 있다. 대량의 채색 토기 생산은 전문 장인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적 복잡성의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산 시기에 생산 과정과 품질에 대한 통제가 감소했는데, 이는 장례 의식에 사용되는 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다.

양사오 문화에서 나타난 토기 양식은 마자야오 문화로 퍼졌고, 이후 신장과 중앙 아시아로 더 확산되었다.[10]

4. 1. 1. 상징성

마자야오 문화는 도기에 다양한 상징을 사용했는데, 그중 일부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띠었으며, 잘 알려진 신석기 시대의 만(卍)자 기호[11][12]를 포함했다. 일부는 --와 같은 구상적인 형태[7][8]를 띠었다. 만(卍)자 기호는 특히 마자야오 시대의 마지막 시기인 마창기(기원전 2300~2000년)에 사용되었으며, 불교에서 ''윤회''를 나타내는 현재의 상징이 되었다.[11] 이 상징에는 그물 패턴, 팔각별 패턴, 연결된 조개 패턴, 꽃잎 패턴, 소용돌이 패턴 등이 포함된다.[13] 많은 모티프는 이미 이전의 양사오 문화 (기원전 5000~3000년)에서 알려져 있었다.[14]

4. 2. 청동기

간쑤성 둥샹에서 발견된 청동 칼(기원전 2900–2740년으로 추정)




기원전 3000-2000년 중국의 신석기 문화


청동 기술은 스텝 지대에서 중국으로 수입되었다.[16]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청동 유물은 간쑤성 둥샹의 마자야오 유적에서 발견된 칼로, 기원전 2900–2740년으로 추정된다. 간쑤성의 마창기 유적에서도 더 많은 구리와 청동 유물이 발견되었다. 야금술은 기원전 3천년 말에 황하 중류와 하류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아파나시에보 문화와 마자야오 문화, 그리고 치자 문화 간의 접촉은 청동 기술 전파와 관련하여 고려되었다.[17]

4. 3. 목축의 도입

가축화된 소, 양, 염소는 기원전 8000년경 서아시아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중국에 이들이 도입된 것은 마자야오 문화 시대에 허시 회랑을 통해서였을 수 있지만, 기원전 3500년에서 2500년경 유라시아 초원 지대를 거쳐 몽골 고원을 통하는 경로가 있었을 수도 있다.[18]

5. 기후 변화와의 관계

학자들은 마자야오 문화의 발전이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란저우 대학의 한 연구진은 마자야오 문화 시대의 기후 변화를 연구했으며, 그 결과 기원전 5830년에서 4900년 사이에는 기후가 습윤하여 칭하이성 동부 지역의 초기 및 중기 마자야오 문화 발전을 촉진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원전 4900년에서 4700년 사이에는 이 지역에 가뭄이 발생하여, 초기-중기에서 후기 마자야오 문화로의 전환기에 선사 문화의 쇠퇴와 동쪽 이동의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19]

양사오 문화에서 마자야오 문화로의 전환은 기후적으로 피오라 진동과 일치한다.

참조

[1] 논문 Paleo-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in Shiyang River Basin since the Late Glacial 2023-05-01
[2] 논문 Archaeological evidence for initial migration of Neolithic Proto Sino-Tibetan speakers from Yellow River valley to Tibetan Plateau 2022-12-20
[3] 서적 Researches into the prehistory of the Chinese https://archive.org/[...]
[4] 서적 Topographical and Archaeological Studies in the Far East https://archive.org/[...]
[5] 논문 The spatiotemporal pattern of the Majiayao cultural evolution and its relation to climate change and variety of subsistence strategy during late Neolithic period in Gansu and Qinghai Provinces, northwest China https://www.research[...]
[6] 웹사이트 Neolithic period http://etcweb.prince[...]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8] 서적 Gender and Chinese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4
[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rchaeology of Ritual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1-10-27
[10] 논문 The Spread and Integration of Painted pottery Art along the Silk Road 2021-02-04
[11] 서적 Collection of Ancient Chinese Cultural Relics, Volume 1: Primitive Society (1.7 million - 4000 BC) and The Xia and Shang Dynasties (21st - 11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ATF Press 2019-12-01
[12] 서적 Reflections of Early China: Decor, Pictographs, and Pictorial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Nelson-Atkins Museum of Art 2000
[13] 서적 Collection of Ancient Chinese Cultural Relics, Volume 1: Primitive Society (1.7 million - 4000 BC) and The Xia and Shang Dynasties (21st - 11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ATF Press 2019-12-01
[14] 서적 Studies in Chinese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1982
[15] 논문 Chariotry and Prone Burials: Reassessing Late Shang China's Relationship with Its Northern Neighbours https://www.research[...] 2020
[16] 논문 China and the steppe: reception and resistance https://www.research[...] 2017-04
[17] 논문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Central Asia during the Bronze Age https://www.thebriti[...] 2003
[18] 논문 Direct dating of the earliest domesticated cattle and caprines in northwestern China reveals the history of pastoralism in the Gansu-Qinghai region https://doi.org/10.1[...] 2022-08-01
[19] 뉴스 Climate Change; Researchers from Lanzhou University Describe Findings in Climate Change 2012-02-20
[20] 웹사이트 先史時代の「馬家窯彩陶」、北京で展覧会 https://www.afpbb.co[...] AFP 2019-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