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사오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사오 문화는 중국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문화로, 황허강 중류 유역에서 번성했다. 주요 식량은 수수였으며, 돼지, 개 등을 길렀다. 정교한 채색 도기를 제작했으며, 사람의 얼굴, 동물, 기하학적 무늬를 특징으로 한다. 움집 형태의 주거 형태를 가졌으며, 사회 구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몐츠 현의 양사오 유적을 비롯하여 반포 유적 등이 대표적인 유적지이다. 반포, 묘저구, 마가요 등의 단계로 구분된다.

2. 경제

양사오 문화 유적은 대부분 강기슭의 대지에 위치하며, 거주지와 공동묘지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정주생활을 했으며, , 수수 등을 재배하고 가축 사육, 사냥, 고기잡이도 병행했다.[20] 간석기, 뗀석기, 돌식칼 등으로 수확하고, 흙을 구워 만들거나 돌을 갈아 만든 팔찌도 애용했다.[20]

2. 1. 생계

양사오 문화의 주요 식량은 수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여우꼬리 수수나 차조를 재배했다.[5] 의 증거도 일부 발견되었다.[5] 소규모 화전 농업과 영구적인 밭에서의 집약적인 농업 중 어느 쪽이 우세했는지는 논쟁 중이다.[5] 중기 양사오 문화 유적지(장지 등)에는 잉여 곡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높은 바닥의 건물이 발견되었다. 밀가루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맷돌도 발견되었다.

양사오 문화 사람들은 돼지를 길렀다.[5] , 염소, 는 훨씬 더 드물게 발견되었다. 고기의 대부분은 석기를 이용한 사냥과 낚시에서 얻었다. 초기 형태의 양잠을 했을 수도 있다.

2. 2. 공예

양사오 문화는 정교한 백색, 적색, 흑색의 채색된 도기를 제작했다. 채색 도기에는 사람의 얼굴, 동물, 기하학적 무늬가 그려져 있었다. 후기 룽산 문화와 달리, 도기 제작에 물레를 사용하지 않았다.[6] 발굴 결과, 아이들은 채색된 도기 항아리에 묻혔다.[6] 도기 양식은 서쪽으로 마자야오 문화로 퍼져나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중앙아시아까지 확산되었다.[6]

기원전 4800 경의 반포기 도기


토기로는 붉은간토기와 바탕흙에 모래알이 함유된 회도(灰陶)가 있었는데, 특히 일부 붉은간토기에 기하학무늬와 사람 얼굴 등을 그린 채도는 제사나 묘장공헌(墓葬供獻)에 쓰였다.[20] 어린아이는 옹관장(甕棺葬)으로 집 근처나 마루 밑에 묻혔다.[20]

소량의 실크를 생산했고 삼베를 짰다.[6] 남자는 고의를 입고 머리를 상투로 묶었으며, 여자는 몸에 천을 두르고 머리를 묶었다.[6]

3. 주거

집은 둥근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약 1m 깊이로 파서 지었다. 그런 다음 다져서 싸리울타리를 격자 모양으로 엮고 진흙으로 덮었다. 바닥도 다져졌다.[5]

장자이의 양사오 시대 마을 모형


몇 개의 짧은 싸리 기둥을 구덩이 상단 주변에 배치하고 더 많은 싸리를 엮은 후 진흙으로 덮었다. 기둥 프레임을 배치하여 원뿔 모양의 지붕을 만들고, 수수 줄기로 지붕을 이었다. 가구는 거의 없었고, 가운데에는 얕은 난로, 벽을 따라 벤치, 천으로 만든 침대가 있었다. 음식과 물건은 벽에 놓거나 걸어두었다. 동물들을 위한 우리를 밖에 지었다.[5]

양사오 마을은 일반적으로 10~14에이커를 차지하며 중앙 광장 주변에 집들이 있었다.[5]

4. 사회 구조

초기 보고들은 양사오 문화가 모계 사회였음을 시사했지만,[10] 다른 연구자들은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의 전환기 사회였거나, 혹은 부계 사회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쟁은 매장 관습에 대한 해석 차이에 기인한다.[11][12]

양사오 문화에서 기원전 5천 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용 조각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묘사로 알려져 있다.[13]

고대 인골의 유전자 분석 결과, 북동부 6000-5000년 전의 유골에서 Haplogroup N (Y 염색체)가 확인되었다(100% = 3/3).[18] 이는 랴오허 문명인에게서 높은 빈도로 관찰되는 우랄 민족의 유형이며,[19] 양사오 문화 북동부에서는 인접한 랴오허 문명의 영향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5. 고고학 유적지

몐츠현 싼먼샤에 있는 양사오는 이 문화의 명칭이 된 장소이며, 고고학 유적지 옆에 박물관이 있다.[14] 시안 근처의 반포 유적은 양사오 문화의 가장 잘 알려진 도랑으로 둘러싸인 정착지 중 하나이다. 장자이 유적은 경계까지 발굴되었으며, 고리 모양의 도랑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었다. 반포와 장자이 유적에서 긁어서 새긴 자국이 있는 토기가 발견되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숫자나 한자의 전신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15]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아니다.[16]

6. 단계

양사오 문화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단계로 구분된다.


  • '''초기 양사오''' 시대 또는 '''반포 단계''' (기원전 5000년경 ~ 기원전 4000년경)
  • '''중기 양사오''' 시대 또는 '''묘저구 단계''' (기원전 4000년경 ~ 기원전 3500년경)
  • '''후기 양사오''' 시대 (기원전 35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


서쪽에 위치한 마가요 문화(기원전 33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는 중간 단계인 실령하 단계를 거쳐 중기 양사오 문화에서 발달한 별개의 문화로 간주된다.[2]

6. 1. 초기 양사오 (반포 단계)

기원전 5000년경 ~ 기원전 4000년경 섬서성 위수 계곡의 반포 유적, 장채 유적, 북수령 유적 및 대지만 유적으로 대표된다.[20]

6. 2. 중기 양사오 (묘저구 단계)

기원전 4000년경 ~ 3500년경에 해당되는 시기로, 문화가 모든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서부 허난성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정착지의 계층 구조가 발달했다.[20] 묘저구기(廟底溝期)는 반포기의 뒤를 잇는 시기로, 대략 기원전 4000년에서 기원전 3000년까지 해당된다.

6. 3. 후기 양사오

기원전 3500년경 ~ 3000년경 정착지 계층 구조가 더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중국 최초의 토담은 허난성 중부(현대 정저우 인근)의 서산(25ha) 정착지 주변에 건설되었다.[1] 서쪽에 위치한 마가요 문화 (기원전 3300년경 ~ 2000년경)는 중간 단계인 실령하 단계를 거쳐 중기 양사오 문화에서 발달한 별개의 문화로 간주된다.[2] 반산기 (기원전 2700년경 ~ 2300년경)는 마가요 문화의 후계 단계이며, 마창기 (기원전 2400년경 ~ 2000년경)가 그 뒤를 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Yangshao Culture Museum http://henan.chinada[...] 2018-04-13
[2] 간행물 Phylogenetic evidence for Sino-Tibetan origin in northern China in the Late Neolithic 2019-04-24
[3] 간행물 Subgrouping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2018-10-27
[4] 간행물 The origin and spread of the Sino-Tibetan language family 2019
[5]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 Company
[6] 간행물 The Spread and Integration of Painted pottery Art along the Silk Road 2021-02-04
[7] 웹사이트 Painted Pottery Basin with Fish and Human Face Design, National Museum of China https://en.chnmuseum[...] National Museum of China
[8] 서적 A Handbook of Chinese Ceramic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9
[9] 서적 Ancient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22
[10] 서적 Economic development and women in the world communi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11] 서적 Gender and Chinese Archaeology AltaMira Press
[12] 서적 Gender and the Archaeology of Death AltaMira Press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culture through the famil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 웹사이트 Yangshao Culture Museum http://henan.chinada[...] 2018-04-13
[15] 문서 Chinese Writing: Its Origin and Evolution Joint Publishing, Hong Kong
[16] 문서 Chinese Writ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and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7] 웹사이트 彩绘鹳鱼石斧图陶缸 http://www.wenbao.ne[...] The Chines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Web Site 2023-05-29
[18] 간행물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19] 간행물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20] 문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인류 문화의 시작/문명의 형성/중국 문명의 기원#양사오 문화 2018-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