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케도니아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 문학은 마케도니아어로 쓰인 문학 작품을 포괄하며, 1945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수립 이전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크르스테 미시르코프는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코스타 라친은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는 것을 장려했다.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는 마케도니아 문학을 고대, 신, 현대 문학으로 구분한다. 현대 마케도니아 문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케도니아어 표준화 노력과 함께 발전했으며, 슬라브코 야네프스키, 블라제 코네스키, 아코 쇼포프 등 많은 작가와 시인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케도니아 문학
지도
일반 정보
국가마케도니아
언어마케도니아어
역사
기원키릴로스와 메토디우스 형제의 선교 활동
발전9세기 후반 ~ 10세기 초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와 나움 프레슬라프스키의 활동
황금기11세기 ~ 14세기
쇠퇴기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부흥기19세기 민족 부흥 운동
현대 문학20세기 이후
특징
초기 문학종교적인 성격의 필사본
중세 문학다양한 장르의 발전
민족 부흥기 문학민족 의식 고취
현대 문학다양한 주제와 실험적인 기법
주요 인물
초기 문학키릴로스
메토디우스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
나움 프레슬라프스키
민족 부흥기 문학그리고르 프를리체프
콘스탄틴 밀라디노프
디미타르 밀라디노프
라이코 진지포프
요아킴 크르초프스키
키릴 페이치노비치
현대 문학코체 라친
블라제 코네스키
슬라프코 야네프스키
아초 쇼포프
가네 토도로프스키
마테야 마테프스키
보진 파블로프스키
에프렘 카렘
관련 문서
관련 문서마케도니아어

2. 역사적 배경

마케도니아어는 1945년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크르스테 미시르코프는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1903년)와 문예지 《바르다르》(1905년 창간)에서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졌다. 코스타 라친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로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고 1930년대 문예지를 통해 그 사용을 장려했다. 그의 시집 《흰 새벽》(1939년)에는 구전 민속시의 요소가 많았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콜레 네델코프스키 등 일부 작가들은 정치적 압력으로 해외에서 활동하고 출판했다.[5][6]

''Za Makedonckite raboti'' (1903)


''A Dictionary of Three languages'' (1875)

2. 1. 고대 마케도니아 문학 (9세기~18세기)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는 마케도니아 문학을 세 개의 큰 시기로 나누며, 각 시기는 다시 세분화된다.[5][6] 고대 마케도니아 문학은 9세기부터 18세기까지를 포함하며,[7] 기독교 도입부터 터키 침략까지(9세기~14세기)와 터키 침략부터 18세기 초까지로 나뉜다.

2. 1. 1. 기독교 도입부터 터키 침략까지 (9세기~14세기)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에서 정의하는 마케도니아 문학의 세 시기 중 첫 번째 시기인 고(古) 마케도니아 문학의 초기 단계이다.[5][6]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기독교가 전래된 시기부터 터키의 침략 시기까지를 포함한다.[7]

2. 1. 2. 터키 침략부터 18세기 초까지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는 마케도니아 문학을 세 개의 큰 시기로 나누었으며, 그 중 고(古) 마케도니아 문학은 9세기부터 18세기까지를 포함한다. 이 시기는 다시 기독교 도입부터 터키 침략까지(9세기~14세기)와 터키 침략부터 18세기 초까지로 나뉜다.[5][6]

2. 2. 신 마케도니아 문학 (1802년~1944년)

마케도니아어는 1945년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으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5][6]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는 마케도니아 문학을 고(古) 마케도니아 문학, 신(新) 마케도니아 문학, 현대 마케도니아 문학의 세 시기로 구분한다.[7] 신 마케도니아 문학은 1802년부터 1944년까지 이어졌으며, 민족 각성기, 혁명기, 양차 대전 사이의 문학 시기로 나뉜다.

2. 2. 1. 민족 각성기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는 저서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1903년)와 문예지 《바르다르》(1905년 창간)에서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로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고 1930년대 문예지를 통해 그 사용을 장려한 코스타 라친에 의해 이어졌다. 라친의 시집 《흰 새벽》(1939년)에는 구전 민속 시의 많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콜레 네델코프스키와 같은 일부 작가들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해외에서 활동하고 출판했다.[5][6]

2. 2. 2. 혁명기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는 저서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1903년)와 문예지 《바르다르》(1905년 창간)에서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로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고 1930년대 문예지를 통해 그 사용을 장려한 코스타 라친에 의해 이어졌다. 라친의 시집 《흰 새벽》(1939년)에는 구전 민속 시의 많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콜레 네델코프스키와 같은 일부 작가들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해외에서 활동하고 출판했다.[5][6]

2. 2. 3. 양차 대전 사이의 문학 시기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는 저서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1903년)와 문예지 《바르다르》(1905년 창간)에서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코스타 라친은 주로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고 1930년대 문예지를 통해 그 사용을 장려했다. 코스타 라친의 시집 《흰 새벽》(1939년)에는 구전 민속 시의 많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콜레 네델코프스키와 같은 일부 작가들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해외에서 활동하고 출판했다.[5][6]

3. 현대 마케도니아 문학 (1944년~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블라제 코네스키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은 마케도니아어를 공식 문학 언어로 표준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자체 언어로 글을 쓰고 출판할 수 있는 새로운 자유를 통해,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전후 시대에 많은 문학가를 배출했다. 1947년 2월 13일에는 국가 최대이자 가장 오래된 작가 협회인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가 설립되었다.[8]

시는 아코 쇼포프, 슬라브코 야네프스키, 블라제 코네스키, 가네 토도로브스키의 작품에서 나타났다. 야네프스키는 최초의 마케도니아 소설인 Selo zad sedumte jaseni|셀로 자드 세둠테 야세니|일곱 개의 물푸레나무 뒤의 마을mk (1952)의 작가이자 저명한 산문 작가였다. 그의 가장 야심찬 작품은 마케도니아 역사를 다룬 6개의 소설 연작으로, 마케도니아 국민의 역사 기억과 해석에 대한 신화와 전설을 담은 소설 Tvrdoglavi|트브르도글라비|고집 센 사람들mk (1965)이 포함되어 있다.

바실 일요스키와 같은 전전(戰前) 극작가들은 계속 글을 썼고, 코레 차슐레, 토메 아르소브스키, 고란 스테파노브스키와 같은 새로운 극작가들에 의해 극장은 활기를 띠었다. 차슐레는 여러 소설을 쓰기도 했는데, 그의 작품의 주요 주제는 이상주의자와 이상주의의 패배였다. 그의 희곡 Crnila|츠르닐라|검은 것들mk (1960)은 20세기 초 다른 조직의 활동가들에 의한 IMRO 지도자의 살인 사건과, 처형자와 피해자 모두의 캐릭터를 다루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소설가 및 산문 작가로는 스탈레 포포프 (Krpen zivot|크르펜 지보트|꿰맨 삶mk (1953)), 조르지 아바지예프 (Pustina|푸스티나|사막mk (1961)) 그리고 지브코 칭고가 있으며, 그의 단편집인 Paskvelija|파스크벨리야mk (1962)와 Nova Paskvelija|노바 파스크벨리야|새로운 파스켈리야mk (1965)는 낡은 전통과 혁명적 의식 사이의 충돌과 상호 작용이 벌어지는 상상의 땅에 관한 것이다. 그의 소설 Golemata voda|골레마타 보다|위대한 물mk (1971)은 고아원을 배경으로 어린 시절의 웅장함과 슬픔을 보여준다.

21세기 작가들 사이에서 주제와 서술 스타일의 다양성은 더욱 커졌으며, 1970년대~1990년대에 태어난 작가들이 포함된다.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는 2023년 6월 4일에 유럽 작가 협의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스테판 마르코브스키가 가입 인터뷰를 진행했다.[9]

3. 1. 현대 문학의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블라제 코네스키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마케도니아어를 공식 문학 언어로 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작가들이 자국어로 글을 쓰고 출판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되면서 많은 문학가들을 배출하였다. 1947년 2월 13일에는 마케도니아 최대이자 가장 오래된 작가 협회인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가 설립되었다.[8]

아코 쇼포프, 슬라브코 야네프스키, 블라제 코네스키, 가네 토도로브스키 등의 시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다. 슬라브코 야네프스키는 뛰어난 산문 작가로도 알려져 있으며, 최초의 마케도니아 소설인 Selo zad sedumte jaseni|셀로 자드 세둠테 야세니|일곱 개의 물푸레나무 뒤의 마을mk(1952)을 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마케도니아 역사를 다룬 6개의 소설 연작이 있으며, 그중 Tvrdoglavi|트브르도글라비|고집 센 사람들mk(1965)는 마케도니아 국민의 역사적 기억과 해석에 대한 신화와 전설을 담고 있다.

전전(戰前) 극작가인 바실 일요스키는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코레 차슐레, 토메 아르소브스키, 고란 스테파노브스키와 같은 새로운 극작가들이 등장하면서 극예술은 활기를 띠었다. 코레 차슐레는 소설도 여러 편 썼는데, 그의 작품은 주로 이상주의자와 이상주의의 패배를 주제로 다루었다. 그의 희곡 Crnila|츠르닐라|검은 것들mk(1960)는 20세기 초 IMRO 지도자의 암살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내면을 묘사하고 있다.

스탈레 포포프(Krpen zivot|크르펜 지보트|꿰맨 삶mk(1953)), 조르지 아바지예프(Pustina|푸스티나|사막mk(1961)), 지브코 칭고는 저명한 소설가이자 산문 작가로 알려져 있다. 지브코 칭고의 단편집 Paskvelija|파스크벨리야mk(1962)와 Nova Paskvelija|노바 파스크벨리야|새로운 파스켈리야mk(1965)는 낡은 전통과 혁명적 의식 사이의 갈등과 상호작용을 다룬 작품이며, 소설 Golemata voda|골레마타 보다|위대한 물mk(1971)는 고아원을 배경으로 어린 시절의 웅장함과 슬픔을 그리고 있다.

이 외에도 주목할 만한 작가로는 페트레 M. 안드레예브스키(Pirej|피레|피레제mk(1980)), 블라다 우로셰비치(Sonuvacot i prazninata|소누바초트 이 프라즈니나타|몽상가와 공허mk(1979)), 요반 파블로브스키(Sok od prostata|소크 오드 프로스타타|전립선 액즙mk(1991)), 벤코 안도노브스키(Papokot na svetot|파포코트 나 스베토트|세계의 배꼽mk(2000)), 알렉산다르 프로코피예프(Covekot so cetiri casovnici|초베코트 소 체티리 차소브니치|네 개의 시계를 가진 남자mk(2003)) 등이 있으며, 주요 극작가로는 요르단 플레브네스(Mazedonische zustände|마체도니셰 추슈텐데|마케도니아 상황de(1979)), 사슈코 나세프(Chija si|치야 시|누구의 것인가mk(1991)), 데얀 두코브스키(Bure barut|부레 바루트|화약 통mk(1996))가 있다.

21세기 들어서면서 작가들의 주제와 서술 스타일은 더욱 다양해졌으며, 1970년대에서 1990년대에 태어난 작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세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고체 스밀레프스키(Sestrata na Sigmund Frojd|세스트라타 나 지그문트 프로이트|프로이트의 여동생mk(2007)), 리디야 딤코브스카(Rezerven zivot|레제르벤 지보트|여분의 삶mk(2012)), 슬라브초 코빌로스키(Sinot na kralot|시노트 나 크랄로트|왕의 아들mk(2011)), 니콜라 마지로프(Ostatoci od nekoe drugo vreme|오스타토치 오드 네코에 드루고 브레메|다른 시대의 잔해mk(2007)), 스테판 마르코브스키(Anatomija na bumbarot|아나토미야 나 붐바로트|호박벌의 해부학mk(2020)), 루메나 부자로브스카(Mojot maz|모요트 마시|내 남편mk(2014)), 페타르 안도노브스키(Teloto vo koe mora da se zivee|텔로토 보 코에 모라 다 세 지베에|살아야 하는 몸mk(2015)), 네나드 요르데스키(Sekoj so svoeto ezero|세코이 소 스보에토 에제로|각자 자신의 호수와 함께mk(2012)) 등이 있다.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는 2023년 6월 4일에 유럽 작가 협의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스테판 마르코브스키가 가입 인터뷰를 진행했다.[9]

3. 2. 주요 작가와 작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블라제 코네스키 등은 마케도니아어를 공식 문학 언어로 표준화하는 작업을 맡았다. 이러한 새로운 자유 덕분에 많은 문학가들이 등장했다. 1947년 2월 13일에는 국가 최대이자 가장 오래된 작가 협회인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가 설립되었다.[8]

시는 아코 쇼포프, 슬라브코 야네프스키, 블라제 코네스키, 가네 토도로브스키 등의 작품에서 나타났다. 야네프스키는 최초의 마케도니아 소설인 Selo zad sedumte jaseni|셀로 자드 세둠테 야세니|일곱 개의 물푸레나무 뒤의 마을mk(1952)을 쓴 저명한 산문 작가이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마케도니아 역사를 다룬 6개의 소설 연작 중 하나인 Tvrdoglavi|트브르도글라비|고집 센 사람들mk(1965)이다.

바실 일요스키 같은 전전(戰前) 극작가들은 계속 글을 썼고, 코레 차슐레, 토메 아르소브스키, 고란 스테파노브스키와 같은 새로운 극작가들이 등장했다. 차슐레는 소설도 썼으며, 그의 작품은 주로 이상주의자와 이상주의의 패배를 다룬다. 그의 희곡 Crnila|츠르닐라|검은 것들mk(1960)은 20세기 초 IMRO 지도자의 살인 사건을 다룬다.

유명한 소설가 및 산문 작가로는 스탈레 포포프(Krpen zivot|크르펜 지보트|꿰맨 삶mk(1953)), 조르지 아바지예프(Pustina|푸스티나|사막mk(1961)), 지브코 칭고 등이 있다. 칭고의 단편집 Paskvelija|파스크벨리야mk(1962)와 Nova Paskvelija|노바 파스크벨리야|새로운 파스켈리야mk(1965)는 낡은 전통과 혁명적 의식 사이의 충돌이 벌어지는 상상의 땅을 배경으로 한다. 그의 소설 Golemata voda|골레마타 보다|위대한 물mk(1971)은 고아원을 배경으로 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작가로는 페트레 M. 안드레예브스키(Pirej|피레|피레제mk(1980)), 블라다 우로셰비치(Sonuvacot i prazninata|소누바초트 이 프라즈니나타|몽상가와 공허mk(1979)), 요반 파블로브스키(Sok od prostata|소크 오드 프로스타타|전립선 액즙mk(1991)), 벤코 안도노브스키(Papokot na svetot|파포코트 나 스베토트|세계의 배꼽mk(2000)), 알렉산다르 프로코피예프(Covekot so cetiri casovnici|초베코트 소 체티리 차소브니치|네 개의 시계를 가진 남자mk(2003)) 등이 있다. 주요 극작가로는 요르단 플레브네스(Mazedonische zustände|마체도니셰 추슈텐데|마케도니아 상황de(1979)), 사슈코 나세프(Chija si|치야 시|누구의 것인가mk(1991)), 데얀 두코브스키(Bure barut|부레 바루트|화약 통mk(1996)) 등이 있다.

21세기에는 주제와 서술 스타일의 다양성이 더욱 커졌으며, 1970년대~1990년대에 태어난 작가들이 등장했다. 이 세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고체 스밀레프스키(Sestrata na Sigmund Frojd|세스트라타 나 지그문트 프로이트|프로이트의 여동생mk(2007)), 리디야 딤코브스카(Rezerven zivot|레제르벤 지보트|여분의 삶mk(2012)), 슬라브초 코빌로스키(Sinot na kralot|시노트 나 크랄로트|왕의 아들mk(2011)), 니콜라 마지로프(Ostatoci od nekoe drugo vreme|오스타토치 오드 네코에 드루고 브레메|다른 시대의 잔해mk(2007)), 스테판 마르코브스키(Anatomija na bumbarot|아나토미야 나 붐바로트|호박벌의 해부학mk(2020)), 루메나 부자로브스카(Mojot maz|모요트 마즈|내 남편mk(2014)), 페타르 안도노브스키(Teloto vo koe mora da se zivee|텔로토 보 코에 모라 다 세 지베에|살아야 하는 몸mk(2015)), 네나드 요르데스키(Sekoj so svoeto ezero|세코이 소 스보에토 이제로|각자 자신의 호수와 함께mk(2012)) 등이 있다.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는 2023년 6월 4일에 유럽 작가 협의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스테판 마르코브스키가 가입 인터뷰를 진행했다.[9]

3. 3. 21세기 마케도니아 문학

21세기 마케도니아 문학은 주제와 서술 스타일에서 다양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197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에 출생한 작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 세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고체 스밀레프스키( ''Sestrata na Sigmund Frojd''(2007; Sigmund Freud's Sister|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여동생영어)), 리디야 딤코브스카(''Rezerven zivot''(2012; A Spare Life|여분의 삶영어)), 슬라브초 코빌로스키(''Sinot na kralot''(2011; The King's Son|왕의 아들영어)), 니콜라 마지로프(''Ostatoci od nekoe drugo vreme''(2007; Remnants of Another Time|다른 시대의 잔해영어)), 스테판 마르코브스키(''Anatomija na bumbarot''(2020; The Anatomy of the Bumblebee|호박벌의 해부학영어)), 루메나 부자로브스카(''Mojot maz''(2014; My Husband|나의 남편영어)), 페타르 안도노브스키(''Teloto vo koe mora da se zivee''(2015; The Body One Must Live In|살아야 하는 몸영어)), 네나드 요르데스키(''Sekoj so svoeto ezero''(2012; Everyone with Their Own Lake|각자 자신의 호수와 함께영어)) 등이 있다.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는 2023년 6월 4일 유럽 작가 협의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스테판 마르코브스키가 가입 인터뷰를 진행했다.[9]

4. 주요 작가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는 저서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1903년)와 문예지 《바르다르》(1905년 창간)에서 마케도니아어와 문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10] 코스타 라친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로 마케도니아어로 시를 쓰고 1930년대 문예지를 통해 그 사용을 장려하며 이러한 노력을 이어나갔다. 라친의 시집 《흰 새벽》(1939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콜레 네델코프스키와 같은 일부 작가들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해외에서 활동하고 출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블라제 코네스키와 다른 사람들은 마케도니아어를 공식 문학 언어로 표준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7년 2월 13일에는 국가 최대이자 가장 오래된 작가 협회인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가 설립되었다.[8] 아코 쇼포프, 슬라브코 야네프스키, 블라제 코네스키, 가네 토도로브스키는 시를 통해 마케도니아 문학에 기여했다. 야네프스키는 최초의 마케도니아 소설인 ''Selo zad sedumte jaseni''(1952; "일곱 개의 물푸레나무 뒤의 마을")를 썼다.

바실 일요스키와 같은 전전(戰前) 극작가들은 계속 글을 썼고, 코레 차슐레, 토메 아르소브스키, 고란 스테파노브스키와 같은 새로운 극작가들에 의해 극장이 활기를 띠었다. 차슐레는 여러 소설을 쓰기도 했는데, 그의 작품의 주요 주제는 이상주의자와 이상주의의 패배이다.

스탈레 포포프, 조르지 아바지예프, 지브코 칭고는 가장 잘 알려진 소설가 및 산문 작가이다. 칭고의 단편집 Paskvelija (1962)와 ''Nova Paskvelija''(1965; "새로운 파스켈리야")는 낡은 전통과 혁명적 의식 사이의 충돌과 상호 작용이 벌어지는 상상의 땅에 관한 것이다.

페트레 M. 안드레예브스키, 블라다 우로셰비치, 요반 파블로브스키, 벤코 안도노브스키, 알렉산다르 프로코피예프는 주목할 만한 작가이며, 요르단 플레브네스, 사슈코 나세프, 데얀 두코브스키는 주요 극작가이다.

21세기에는 고체 스밀레프스키, 리디야 딤코브스카, 슬라브초 코빌로스키, 니콜라 마지 로프, 스테판 마르코브스키, 루메나 부자 로브스카, 페타르 안도노브스키, 네나드 요르데스키 등 1970년대~1990년대에 태어난 작가들을 중심으로 주제와 서술 스타일의 다양성이 더욱 커졌다. 마케도니아 작가 협회는 2023년 6월 4일에 유럽 작가 협의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스테판 마르코브스키가 가입 인터뷰를 진행했다.[9]

마케도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한 주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작가주요 활동 분야
크르스테 미시르코프[10]작가, 슬라브학자, 언어학자
아코 쇼포프시인 및 작가
조르지야 풀레브스키[10]작가 및 정치 운동가
가네 토도로프스키작가 및 시인
안테 포포프스키작가 및 시인
코초 라친작가 및 시인
코레 네델코프스키시인
리스토 크를레작가
벤코 마르코프스키[10]시인
블라도 말레스키작가
보이단 체르노드린스키[10]작가
바실 일요스키작가
안톤 파노프작가
마테야 마테브스키시인
블라제 코네스키작가
시몬 드라쿨작가
고고 이바노프스키작가
이반 토치코작가
페타르 시릴로프작가
타슈코 게오르기예프스키작가
슬라브코 야네프스키작가
지브코 칭고작가
그리고르 펄리체프[10]작가



더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acedonian literature http://www.britannic[...]
[2] 웹사이트 Medieval Macedonian literature http://www.macedonia[...]
[3] 웹사이트 Macedonian language on cybermacedonia.com http://www.cybermace[...] 2011-02-18
[4] 서적 Old Church Slavonic grammar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1
[5] 서적 Periodizacija na makedonskiot literaturno-kulturen razvoj https://www.scribd.c[...] Macedon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6]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Macedonian language http://mahimahi.uchi[...]
[7] 문서 literary works of the Macedonian recension
[8]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9] 웹사이트 EWC welcomes The Association of Writers of Macedonia as new member https://europeanwrit[...] European Writers' Council 2023-07-07
[10] 문서 Considered/self-identified his language and himself as Bulgar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