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월산터널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과 부평구 부평동을 잇는 2.87km 구간의 터널이다. 2005년 7월 6일에 개통되었으며, 같은 해 7월 30일부터 통행료 징수를 시작했다. 2009년 7월 1일 기준으로 소형 800원, 대형 1,100원, 감면 차량 400원의 통행료를 2035년 7월 29일까지 징수할 예정이다. 통행료는 현금, 카드, 교통카드로 지불 가능하며, 삼성페이와 하이패스는 사용할 수 없다. 높은 통행료와 하이패스 미도입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터널 - 문학터널
문학터널은 1996년 착공하여 2002년 완공된 총 연장 1,450m의 3차로 쌍굴 터널이며, 2022년 4월부터 인천광역시가 직영하며 통행료가 무료로 전환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터널 - 원적산터널
인천 서구 석남동과 부평구 산곡동을 잇는 2,269m 길이의 원적산터널은 2004년 6월 개통되어 천마개발(주)가 시행하고 교원공제회가 출자한 2차로 쌍굴 구조의 터널로, 석남지하차도에 요금소가 있으며 2034년 7월까지 통행료가 징수될 예정이고 하이패스는 지원되지 않는다. - 유료 터널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유료 터널 - 우면산터널
우면산터널은 1997년 착공하여 2004년 개통되었으며 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등과 연결되고, 가연성 물질 운반 차량과 10톤 이상 화물차는 통과할 수 없으며, 통행료 인상 및 특혜 의혹 문제로 사업 재구조화가 이루어졌다. - 인천 부평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부평구의 교통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만월산터널 | |
|---|---|
| 기본 정보 | |
| 공식 이름 | 만월산터널 | 
| 교통 시설 | 호구포로 | 
| 관통 | 만월산 | 
| 관리 | 만월산터널주식회사 | 
| 구조 | 편도 3차로의 쌍굴 터널 | 
| 길이 | 1,500m | 
| 위치 |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 부평구 부평동 | 
| 건설 | |
| 개통일 | 2005년 7월 6일 | 
| 통행료 | |
2. 연혁
2. 1. 개통 및 통행료 징수
2005년 7월 6일에 만월산터널(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 부평구 부평동) 2.87km 구간이 개통되었다.[1] 통행료 수납은 2005년 7월 30일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통행료는 다음과 같았다.[2]| 구분 | 소형(중형) | 경차 | 대형 | 
|---|---|---|---|
| 통행료 | 700원 | 350원 | 1,000원 | 
2009년 7월 1일, 통행료가 아래와 같이 인상되었다.[3]
| 구분 | 소형 | 대형 | 감면차량 | 
|---|---|---|---|
| 변경 전 통행료 | 700원 | 1,000원 | 350원 | 
| 변경 후 통행료 | 800원 | 1,100원 | 400원 | 
2. 2. 통행료 인상
2005년 7월 30일에 통행료 수납이 시작되었다. 당시 통행료는 소형(중형) 700KRW, 경차 350KRW, 대형 1000KRW이었다.[2]2009년 7월 1일, 소형차 통행료는 700KRW에서 800KRW으로, 대형차 통행료는 1000KRW에서 1100KRW으로, 감면차량 통행료는 350KRW에서 400KRW으로 인상되었다.[3]
3. 통행료
만월산터널의 통행료는 2035년 7월 29일까지 30년간 징수할 계획이다.[2] 통행료 지불 수단은 현금, 카드, 교통카드가 가능하며 삼성 페이, 하이패스는 불가능하다. 통행료를 지불할 수단이 없을 경우에는 서식을 작성하고 계좌이체로 납부할 수 있다.
3. 1. 2009년 7월 1일 기준 통행료
2009년 7월 1일 기준 통행료는 다음과 같다.[2] 2035년 7월 29일까지 30년간 징수할 계획이다.[2]| 구분 | 통행료 | 해당 차량 | 
|---|---|---|
| 감면 차량 | 400KRW | |
| 소형 | 800KRW | |
| 대형 | 1100KRW | 
통행료 지불 수단은 현금, 카드, 교통카드가 가능하며 삼성 페이, 하이패스는 불가능하다. 아무것도 없다면 서식 한 장을 쓰고 계좌이체로 납부할 수 있다.
3. 2. 통행료 지불 수단
통행료는 현금, 카드,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으며, 삼성 페이와 하이패스는 사용할 수 없다. 통행료를 지불할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서식을 작성하고 계좌이체로 납부할 수 있다.[2]4. 논란 및 개선 요구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란 및 개선 요구'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던 상황은 동일합니다.)
참조
[1] 
간행물
 
인천광역시공고 제2005-565호
 
http://www.incheon.g[...] 
2005-06-29
 
[2] 
간행물
 
인천광역시공고 제2005-564호
 
http://www.incheon.g[...] 
2005-06-29
 
[3] 
간행물
 
인천광역시공고 제2009-656호
 
http://www.incheon.g[...] 
2009-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